KR200326913Y1 - 보조기판을 구비하는 마우스 - Google Patents

보조기판을 구비하는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913Y1
KR200326913Y1 KR20-2003-0018443U KR20030018443U KR200326913Y1 KR 200326913 Y1 KR200326913 Y1 KR 200326913Y1 KR 20030018443 U KR20030018443 U KR 20030018443U KR 200326913 Y1 KR200326913 Y1 KR 200326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substrate
mouse
fixed
mou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 웨이
Original Assignee
조세 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세 웨이 filed Critical 조세 웨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9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기판을 갖는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후단부에서 연장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코드가 제공되고 코드의 외측 단부는 단자 플러그에 연결되는 마우스 몸체 및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및 상,하부 안내 오리피스로 구성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코드는 상부 안내 오리피스를 통해 기판 내부로 관통하고 하부 오리피스를 통해 기판에서 연장되며 마우스 몸체의 내측면은 기판의 표면과 겹쳐져 고정되고 상기 구조를 이용하여 기판과 선택적으로 분리 및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조기판을 구비하는 마우스 {MOUSE HAVING ATTACHED BASE}
본 발명은 보조기판을 구비하는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단부로부터 나오는 코드가 연결되어 마우스 몸체와 겹쳐지는 보조기판을 구비하는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대만 특허공보 제446903호 "신호 코드를 수용할 수 있는 마우스"에서 공개된 마우스용 원형 코드 수용장치에서, 종래의 발명은 마우스 내의 수용실에서 신호 코드를 풀거나 감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하여 감기는 두 개의 원판형 안내부재를 사용한다. 하지만, 신호코드가 수용실 내로 수용될 때 엉켜 무질서하게 수용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발명은 코드를 자동으로 수용할 수 있는 탄성소재에 대한 고려가 없고 따라서 안내부재의 감기가 수동으로 작동되어 전체적으로 불편하다. 게다가, 코드 수용장치는 마우스에 배치되어, 수용될 수 있는 코드의 길이기 한정되어 있다.
또 다른 대만 특허공보 제519264호 "수용실을 구비하는 마우스"에 따르면,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은 마우스 내부 공간에 코드 수용실을 더 형성하여 중앙 축을 사용하여 연결되고 신호 코드는 중앙축 주위에 감겨 수용된다. 신호 코드를 사람 손으로 뽑을 때 마우스 또한 회전하게 되고, 코드를 사람 손을 이용해 코드 수용실로 수용할 때 마우스 몸체를 수동으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러한 마우스의 수용 및 풀기는 수동으로 실시되고, 따라서 매우 부적절하다. 또한, 코드 수용장치는 마우스 몸체에 배치되어 풀리거나 수용될 수 있는 코드의 길이 역시 한정된다.
또 다른 대만 특허공보 제444174호 "케이블 감기장치를 구비한 마우스"에 따르면, 상기 발명은 축에 유연하게 연결된 신호 코드 수용 휠을 구동하기 위한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신호 코드가 코드 수용 휠에서 풀리거나 감길 때 마우스의 내부회로에 신호 코드를 전달하기 위해 코드 수용 휠에 전도성 몸체가 제공되어 전도성 몸체가 코드 수용 휠과 동시에 회전할 때 그 내부표면에 형성된 전도성 층을 갖는 고정 커버 요소와 마찰을 하게 된다. 장기간 사용시, 상기 전도성 몸체는 마멸 및 변형되고, 또는 커버 요소의 내부표면의 전도성 층은 전도성 몸체가 커버 요소 내부표면의 전도성 층과 지속적으로 마찰을 일으켜 닳게 되고, 따라서 결국은 접촉 및 전도가 불량하게 된다. 특히, 코드 수용장치는 마우스 몸체에 배치되어 그 결과 수용되거나 풀릴 수 있는 코드의 길이가 한정된다.
본 고안자의 선원발명, 대만 특허공보 제509447호, "동축 이중 휠을 갖는 이어폰 와이어 감기 박스"에 따르면, 상기 발명은 상기 언급한 발명에서와 같이 회로의 도전성 단자 및 전기제품의 회로구조 사이에 발생하는 접촉불량을 해소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서 대형 및 소형의 두 개의 휠이 제공되고, 여기서 신호 와이어는 대형 및 소형 휠의 휠 폭으로 수용되며, 이것을 통해 하나의 신호 와이어의 도전성 터미널이 고정상태로 유지되어 전기제품의 내부에서 도전성 요소와 회로요소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미끄럼 운동이 필요가 없게 된다.
본 고안자의 선원발명은 사실상 매우 유용하지만, 그 적용분야가 특정 장치에만 국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보조기판을 구비하는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고, 여기서 마우스 몸체는 그 내부에 수용실을 갖는 기판과 연결되어 겹쳐지고, 그로 인해 마우스가 기판과 선택적으로 겹쳐지거나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서로 연결된 마우스 몸체와 기판을 도시하는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의 호형 가장자리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내부의 동일한 지름을 갖는 A 및 B 코드 수용 휠의 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동축회전을 하는 대형 및 소형 회전 휠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A 코드 수용 휠 20 : B 코드 수용 휠
30 : 고정 축 40 : 기판
42 : 수용실 50 : 마우스 몸체
52 : 코드 55 : 플러그
80 : 스프링 100 : 감기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 본 고안의 특성 및 기능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하기에 첨부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본 고안은 후방 단부에서 연장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코드(52)가 제공되고 코드(52)의 외측 단부가 단자 플러그(55)에 연결된 마우스 몸체(50), 및 상부 하우징(401)과 하부 하우징(402) 및 상, 하부 안내 오리피스(43,44)로 구성되는 기판(40)을 포함하고, 여기서 코드(52)는 상부 안내 오리피스(43)을 통하여 기판(40) 내부로 관통하고 내부 하부 오리피스(44)를 통해 기판(40)에서 연장되며 마우스 몸체(50)의 내측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40)의 표면(48)에 겹쳐져 고정된다.
상기 주요 특성에 따라, 기판(40)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호형 가장자리(45)가 제공되어 마우스 몸체의 외주(51)는 호형 가장자리(45)의 내측 벽에 접하여 고정되고 따라서 마우스 몸체(50)를 기판(40)의 표면(48) 상에 위치시킨다.
상기 주요 특성에 따라, 기판(40)의 내부에는 코드(52)를 수용하기 위한 코드 감기장치(100)를 갖는 수용실(42)이 제공된다.
도 3을 참고로 하여 상기 부차적인 특성에 따라, 코드 감기장치(100)는 수용실(42)에 고정된 고정 축(30), 동일한 중앙 개구부(12)를 가지고 일체로 결합되며 중앙 개구부(12)는 고정 축(30) 주위에 유연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A 및 B 코드 수용 휠(10,20), 코드(52)가 A 및 B 코드 수용 홈(15,25)에 감겨 수용되는 A 및 B 코드 수용 홈(15,25), 및 A 코드 수용 휠(10)에 제공된 측면 오목부(11)에 위치되는 스프링(80)을 포함하고, 여기서 스프링(80)의 내부 단부(81)는 고정 축(30)에 고정된 반면 나머지 단부(82)는 측면 오목부(11)의 측벽에 고정된다.
상기 부차적인 특성에 따라, A 및 B 코드 수용 휠(10,20)은 웨징 노치(131)가 제공되는 링 형상(13)이다. 코드(52)는 A 코드 수용 홈(15)에서 B 코드 수용 홈(25)으로 연장하고 웨징 노치(131)에서 코드(52)의 정지부(431)를 형성한다.
상기 부차적인 특성에 따라, A 및 B 코드 수용 휠(10,20)의 지름(D,d)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실시예
본 고안은 상기 주요 특성과 부차적 특성에 따라, 하기 실시예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도 1, 도 2 및 도 4에서, 호형 가장자리(45)의 내부 측면에는 마우스 몸체(50)가 하향으로 표면(48)에 고정되도록 경사진 플랜지(451)가 제공된다. 마우스 몸체(50)의 외주(51)는 호형 가장자리(45)가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하도록플랜지(451)에 접하여 표면(48) 상에 마우스 몸체(50)를 효과적으로 위치시키고 용이한 저장 및 운반을 위해 일체로 기판(40)과 마우스 몸체(50)를 결합시킨다. 상기 구조를 사용하기 위해, 마우스 몸체(50)만이 기판(40)에서 상향으로 분리되어야 하고, 플랜지(451)에 의해 가해진 힘이 제거되며, 호형 가장자리(45)는 탄성적으로 원위치 된다. 사용자는 마우스 몸체(50)를 기판(40)에 더 결합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2. 도 2, 도 3 및 도 6에서, 기판(40) 내부의 수용실(42)에 배치된 코드 감기장치(100)에 따라, A 및 B 코드 수용 휠(10,20)은 동일한 고정 축(30)에 유연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A 코드 수용 휠(10)이 1회전 할 때, B 코드 수용 휠(20) 또한 1회전 한다. A 코드 수용 휠(10)의 1회전에 대한 A 코드 수용 홈(15)에서 풀린(또는 감긴) 외측 코드(522)의 길이는 π×D이고, 여기서 D는 A 코드 수용 휠(10)의 지름이다. 이와 유사하게, B 코드 수용 휠(20)의 1회전에 대한 B 코드 수용 홈(25)에서 풀린(또는 감긴) 내측 코드(521)의 길이는 π×d이며, 여기서 d는 B 코드 수용 휠(20)의 지름이다. 따라서, A 및 B 코드 수용 휠(10,20)이 동축적으로 회전할 때, 풀린(또는 감긴) 코드의 길이의 비는 A 및 B 코드 수용 휠(10,20)의 지름의 비와 같다, 즉 D:d.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A 및 B 코드 수용 휠(10,20)의 지름 비는 10:1 이다. 마우스 몸체(50)가 사용자에 의해 분리되어 외측 코드(522)가 풀릴 때, 플러그(55)를 갖는 내측 코드(521) 또한 풀린다. 마우스 몸체(50)를 사용하기 위해 풀린 외측 코드(521)의 길이가 50㎝라 하면, B 코드 수용 홈(25)에서 풀린 내측 코드(521)는 하부 안내 오리피스(44)에서 측정할 때 5㎝이다. 이제 내측 코드(521)의 외측 단부에 연결된 플러그(55)가 전기제품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마우스 몸체(50)가 분리되어 제거될 때, 플러그(55)와 기판(40) 사이의 지나친 간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코드를 감는 동안, 스프링(80)은 A 및 B 코드 수용 휠(10,20)에 수축력을 가하고, 따라서 내측 및 외측 코드(521,522)는 A 및 B, 코드 수용 홈(15,25)에 다시 감긴다. 여기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55)의 후단부는 플러그(55)가 기판(40)에 재위치될 때 위치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정지부(431)에서 정지된다.
3. 도 5에서, A 및 B 코드 수용 휠(10,20)은 다양한 작업환경 또는 특정 조건에 적합하도록 동일한 지름(1:1)을 갖도록 설계되고, 따라서 내측 및 외측 코드(521,522)의 풀리는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된다. 도 1에서, 조건에 맞는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소켓(403)이 기판(40)의 측면에 제공된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단순히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낼 뿐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사람이라면 하기 청구범위에서 주장하는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을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부에 코드 감기장치를 포함하는 코드 수용실을 갖는 보조기판을 구비하여 코드를 수동으로 감거나 풀지 않아도 되고, 기판과 마우스 몸체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어 저장 및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후단부에서 연장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코드가 제공되고 코드의 외측 단부는 단자 플러그에 연결되는 마우스 몸체, 및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및 상,하부 안내 오리피스로 구성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코드는 상부 안내 오리피스를 통해 기판 내부로 관통하고 하부 오리피스를 통해 기판에서 연장되며 마우스 몸체의 내측면은 기판의 표면과 겹쳐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기판을 구비하는 마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기판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호형 가장자리가 제공되어 마우스 몸체의 외주는 호형 가장자리 내벽과 접해 고정되는 방식으로 마우스 몸체를 기판의 표면 상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기판을 구비하는 마우스.
  3. 제 1 항에 있어서,
    기판의 내부에는 코드를 수용하기 위한 코드 감기장치를 구비하는 수용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기판을 구비하는 마우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코드 수용장치는 수용실에 고정된 고정 축,
    일체로 결합되고 동일한 중앙 개구부를 가지며, 중앙 개구부는 고정 축 주위에 유연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A 및 B 코드 수용 휠,
    코드가 감기고 수용되는 A 및 B 코드 수용 홈, 및
    A 코드 수용 휠에 제공된 측면 오목부에 위치되고 내측 단부는 고정 축에 고정되는 반면 다른 단부는 측면 오목부의 측벽에 고정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기판을 구비하는 마우스.
  5. 제 1 항에 있어서,
    A 및 B 코드 수용 휠은 웨징 노치가 제공되는 링 형상이고 코드는 A 코드 수용 홈에서 B 코드 수용 홈으로 연장하며 웨징 노치에서 코드의 정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기판을 구비하는 마우스.
  6. 제 1 항에 있어서,
    A 및 B 코드 수용 휠은 같거나 다른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기판을 구비하는 마우스.
KR20-2003-0018443U 2003-04-11 2003-06-12 보조기판을 구비하는 마우스 KR20032691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2205743U TW568307U (en) 2003-04-11 2003-04-11 Mouse with attached stand body
TW092205743 2003-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913Y1 true KR200326913Y1 (ko) 2003-09-19

Family

ID=2973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443U KR200326913Y1 (ko) 2003-04-11 2003-06-12 보조기판을 구비하는 마우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201574A1 (ko)
KR (1) KR200326913Y1 (ko)
DE (1) DE20311458U1 (ko)
TW (1) TW56830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205B1 (ko) * 2014-01-23 2015-06-09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인코더를 이용한 손목 마우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9627A1 (en) * 2003-05-28 2004-12-02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Mouse cord stowing mechanism
US7589496B2 (en) * 2006-06-02 2009-09-15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put device charging system
US8643601B2 (en) * 2012-04-02 2014-02-04 Primax Electronics Ltd. Retractable cable mouse
JP6585470B2 (ja) * 2015-11-04 2019-10-0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ンソールドロワ
US11620004B2 (en) 2019-08-28 2023-04-04 BT5 Technologies, LLC Computer mouse with enhanced functionalit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0749A (en) * 1990-03-14 1997-01-07 Magic Electrical Products L.L.C. Electrical cord retraction device
US5490039A (en) * 1993-11-24 1996-02-06 Dell Usa, L.P. Integrated mouse tray and mouse for portable computer having cavity therefore
US6043807A (en) * 1997-09-23 2000-03-28 At&T Corp. Mouse for positioning a cursor on a computer display and having a removable pen-type input device
US6088021A (en) * 1998-06-03 2000-07-11 Gateway, Inc. Peripheral input device having a retractable cord
US6304249B1 (en) * 1999-09-24 2001-10-16 Hewlett-Packard Company Collapsible portable mouse
US6392635B1 (en) * 2000-01-20 2002-05-21 Robert F. Snyder Mouse device having retractable cord and connector storage
US6600479B1 (en) * 2000-07-28 2003-07-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put device with cable storage
US6731956B2 (en) * 2001-03-26 2004-05-04 Tania W. Hanna Retractable co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wireless device
US6738046B2 (en) * 2002-01-08 2004-05-18 Yu-Lin Chung Computer mouse having a windable output wire
US6871812B1 (en) * 2004-01-20 2005-03-29 Wen-Han Chang Multi-stages retractable coiling cord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205B1 (ko) * 2014-01-23 2015-06-09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인코더를 이용한 손목 마우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01574A1 (en) 2004-10-14
DE20311458U1 (de) 2003-11-20
TW568307U (en) 200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1588B2 (ja) 伸縮コードリール
KR200326772Y1 (ko) 보조기판을 구비하는 배터리 충전기
US9935409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relating to extension cord with integrated cord management
US6230860B1 (en) Mobile phone battery charger with power cord winding mechanism
US5082448A (en) Rotatable electrical connector
US20040129820A1 (en) Wire-winding box structure with increased use area
US6848802B2 (en) Computer light with extensible electric conductive wire
KR101103392B1 (ko) 이중 케이블릴 장치
US5518417A (en) Multiple electrical socket
KR200326913Y1 (ko) 보조기판을 구비하는 마우스
KR200337311Y1 (ko) 신호및 전력용 케이블 권취장치
US7023424B2 (en) Cord storage device for mouse
US6659246B2 (en) Extendable and retractable telephone cord apparatus
KR101063416B1 (ko) 슬립링 장치
KR100515506B1 (ko) 마우스에 사용되는 집선장치
KR19980071968A (ko) 이어폰 코드 자동감김 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용 이어폰
GB2166115A (en) Storage devices
CN216563881U (zh) 一种具有伸缩盒的数据线
KR100502170B1 (ko) 릴형 이동식 안전 전열 아웃렛
JP3097672U (ja) 台座を具有するマウスの構造
CA2441023A1 (en) Mouse having attached base
KR20060045197A (ko) 와이어 권취장치
JP2008024400A (ja) コードリール
KR200175162Y1 (ko) 이어폰 코드의 권취장치
JP2001187675A (ja) 電気コード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