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303Y1 - 모래분급장치 - Google Patents

모래분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303Y1
KR200326303Y1 KR20-2003-0016908U KR20030016908U KR200326303Y1 KR 200326303 Y1 KR200326303 Y1 KR 200326303Y1 KR 20030016908 U KR20030016908 U KR 20030016908U KR 200326303 Y1 KR200326303 Y1 KR 200326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tank body
bucket
boundary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의
Original Assignee
오광기업(주)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광기업(주), 김동현 filed Critical 오광기업(주)
Priority to KR20-2003-0016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3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3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Abstract

본 고안은, 양질의 골재를 얻을 수 있는 모래분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일측으로 미세 골재가 섞인 혼합액이 유입되는 중공상의 탱크몸체와, 상기 탱크몸체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골재가 회전되며 선별토록 다수개의 버켓이 버켓휠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버켓탱크부와, 상기 탱크몸체 내측의 혼합액을 버켓탱크부로 이동토록 회전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수조탱크부와, 상기 탱크몸체의 단부에 설치되어 부유하는 미분이나 부유물을 선별하여 배출하는 배출경계부 및, 상기 버켓휠과 회전샤프트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따라, 폐기물 선별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미세한 이물질에 의한 강도의 저하를 방지함으로서 양질의 골재를 얻을 수 있는 모래분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래분급장치{APPARATUS FOR SORTING SAND}
본 고안은 미세 골재가 섞인 혼합액이 유입되는 유입파이프가 일측에 연결되는 중공상의 탱크몸체와, 상기 탱크몸체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골재가 선별토록 회전하는 버켓휠을 통해 선별된 골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버켓탱크부와, 상기 탱크몸체 내측의 혼합액을 상기 버켓탱크부로 이동하는 회전블레이드가 구비되는 수조탱크부와, 탱크몸체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배출토록 이물질선별수단을 갖는 배출경계부 및, 상기 버켓휠과 회전샤프트를 구동하는 구동부로서 이루어져 골재가 섞인 혼합액의 이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함으로서 양질의 골재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모래분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나 토목공사에는 철근콘트리트구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시멘트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는 세립골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천연골재는 공급에 비해 수요가 턱없이 모자랄 뿐만 아니라 무분별한 채취로 인해 연간 여의도 면적의 103배에 달하는 산림과 하천 등 자연환경의 파괴를 초래하고 있어 자연자원의 고갈로 인한 대체자원 및 국가자원의 효율적 이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재생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는 특허출원 2002-23288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건설폐기물의 폐콘크리트 및 석분 등의 원료를 투입하는 호퍼 및 진동공급기와, 상기 진동공급기로부터 공급된 원료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컨베이어로 운반도중 철재류등 자성물질을 제거하는 제 1 마그넷과, 상기 자성물질이 제거된 폐콘크리트를 벨트에서 낙하시키는 과정에서 풍력으로 비닐류를 제거하는 송풍팬과, 상기 풍력으로 제거된 이물질이 폐콘크리트 원료를 물의 부력을 이용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쏘팅기 및 이물질이 제거된 폐콘크리트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장치와, 상기 탈수된 폐콘크리트 원료를 파쇄하는 제 1 압축식 파쇄기와, 상기 파쇄된 폐콘크리트를 상단에 투입하여 진동방식에 의해 파쇄된 콘크리트 원료 입자를 선별하는 제 1 진동스크린과, 상기 제1 진동스크린 상단 스크린 망위에 잔류 통과한 입자는 제 1 압축식 파쇄기에 재투입 파쇄하고, 스크린망을 통과한 입자는 송풍팬과 컨베이어의 이송도중 철재류 등의 이물질을 2차로 제거하는 제 2 마그넷을 통과하는 한편, 상기 2차 자성물질 제거 입자가 원심력을 이용한 충격으로 인해 메탈판에 부딪혀 부서지고 마모되고 깎이는 작용을 이용하여 파쇄, 마광, 박리하는 돌과 메탈형의 제 1 충격식 임팩터와, 상기 제 1 진동스크린에 잔류 통과한 조 입자와 이 스크린을 통과하여 탁수제거와 탈수된 세입자를 합하여 마광 및 박리시키는 돌과 돌형의 제 2 충격식 임팩터와, 상기 2차 마광 박리된 입자를 상단에 5mm 내지 8mm와 하단에 4mm 내지 6mm의 망으로 장착되어 원료의 세립자를 선별하는 제 2 진동스크린과, 상기 제 2 진동스크린의 5mm 내지 8mm의 망에 걸린 원료를 제 3 충격식 임팩터에 의해 재투입 마광 박리하여 상기 제 2 진동스크린의 4mm 내지 6mm의 망에 최종적으로 걸리도록 하는 한편, 최종적으로 가공된 세립원료, 즉재생골재와 슬러지 및 이물질을 종합적으로 분급처리하는 분급기등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이물질을 부양시켜 제거하기 위한 쏘팅기는, 수면아래에 위치되는 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물에 뜨는 이물질 즉 스티로폼이나 목재 등은 쉽게 걸러낼 수 있으나 입자가 작고 물의 비중보다 큰 미분은 가라앉게 되고, 이러한 미분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쏘팅기의 컨베이어의 높이 이상으로 쌓이게 되면 벨트와 롤러 및 베어링간의 부위에 끼어 해당 접촉부위가 쉽게 파손되거나, 수면아래에 위치되어 있는 컨베이어에 산화현상이 더욱 가중되어 장치의 수명을 단축시켜 추가적인 시설비의 증가분이 발생되었고, 또한 적층된 미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담수시킨 물을 모두 배출시킨 다음 살수하여 세척해야 하기 때문에 전공정 시스템의 가동을 멈추어야 하는 문제점과 함께 번거로운 별도의 미분 세척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린공정에서의 세립골재는 세척과정을 거친다 하더라도 분쇄과정에서 부착된 미세한 이물질(부유물질)을 완전하게 제거시킬 수 없어 이물질이 제대로 제거되지 못한 채 그대로 배출되어 양질의 재생골재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단순히 죠 크라샤나 임팩트 크라샤와 같은 파쇄기를 이용한 파쇄공정으로는 정작 용이하게 재활용 할 수 있는 6mm 이하의 모래는 그 생산량이 적고 생산된 모래에는 다량의 미분(75㎛이하) 함유되어 있어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분쇄과정에서 발생된 미세한 미분이나 이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하고, 별도의 탈수기가 없이 모래에 섞인 수분을 제거함으로서 골재의 재활용시 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양질의 골재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모래분급장치를 도시한 설치 상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래분급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3a 또는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모래분급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모래분급장치의 배출경계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모래분급장치의 배출경계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모래분급장치를 설치상태를 도시한 설치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탱크몸체 110...유입파이프
120...수조공간 130...유입박스
200...버켓탱크부 210...배출슈트
300...수조탱크부 310...회전블레이드
320...회전샤프트 400...배출경계부
420...토출공 430...경계편
500...구동부 600...이동부
610...바퀴 620...지지대
630...견인바 700...호퍼
800...스크린 박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파쇄된 미세 골재로 부터 이물질 및 미분을 선별하는 분급장치에 있어서,
미세 골재가 섞인 혼합액이 유입되는 유입파이프가 일측으로 연결되고, 내측으로 수조공간이 형성되는 중공상의 탱크몸체와,
상기 탱크몸체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세척된 골재가 회전되며 선별토록 다수의 장홈이 형성된 버켓이 버켓휠에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버켓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골재를 외부로 배출토록 배출슈트가 일측에 설치되는 버켓탱크부와,
상기 수조공간의 혼합액을 상기 버켓탱크부로 이동토록 나선형의 회전블레이드가 상기 탱크몸체의 중심부를 회전하는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수조탱크부와,
상기 탱크몸체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공간에 부유되는 부유물이 토출공을 통해 오버 플로우 되도록 상기 토출공을 구획되는 다수의 경계편이 이물질선별수단을 통해 구비되는 배출경계부 및,
상기 버켓휠과 회전샤프트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탱크몸체에는,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지지토록 설치되는 지지대와,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견인바및, 구륜토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바퀴로서 이루어지는 이동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경계부는, 상기 탱크몸체의 측면부를 따라 제1경계편이 다수개 설치되고, 탱크몸체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경계편이 상기 제1경계편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경계편과 제2경계편을 통해 배출되는 부유물이 섞인 혼합액을 집수토록 가이드편이 상기 탱크몸체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선별수단은, 상기 토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미분과 부유물이 접하는 경계라인이 확장토록 상기 경계편이 초단부와 말단부 사이에 다수의 절곡라인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유입파이프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무라이닝이 접착되어 2겹으로 구성되는 이중 고무파이프로서 이루어 질 수 있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측에 수조공간(120)이 형성되는 중공상의 탱크몸체(100)와, 일측으로 버켓(230)에 의해 걸러지는 골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버켓탱크부(200)와, 물과 혼합된 고운 모래가 상기 버켓탱크부(200)로 이동토록 회전블레이드(310)가 설치되는 수조탱크부(300)와, 경계편(430)을 통해 상기 수조공간(120)에 부유되는 부유물을 배출하는 배출경계부(400) 및, 상기 버켓휠(220)과 회전샤프트(3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5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탱크몸체(100)는, 유입파이프(110)로 부터 모래가 섞인 혼합액이 유입되는 유입박스(130)가 일측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입파이프(11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무라이닝이 접착되어 2겹으로 구성되는 이중 고무파이프로서 이루어 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탱크몸체(100)에는, 상기 유입박스를 통해 혼합액이 담수토록 수조공간(120)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조공간(120)의 일측 저부에는 바닥으로 가라앉은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토록 슬러지도어(140)가 다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몸체(100)의 단부에는, 유입된 모래를 일측으로 배출하는 버켓탱크부(200)가 설치되고, 상기 버켓탱크부(200)는 상기 탱크몸체(100)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세척된 모래를 회전시켜 일측으로 모래만을 선별하는 버켓휠(220)이 제1버켓휠(220a)과 제2버켓휠(220b)의 이중으로 설치된다.
상기 버켓휠(220)에는, 다수개의 버켓(230)이 상기 버켓휠(220)의 직경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버켓(230)에는 세척된 모래에서 물만을 배수하고 미세한 모래만 선별되도록 세척된 모래가 걸러지는 장홈(240)이 다수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켓(230)의 장홈(240)은, 상기 유입파이프(110)를 통해 유입되는 골재중에서 0.5mm~6mm의 모래를 건져 올릴 때 모래의 수분 배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10×5mm 정도의 장홈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버켓(230)에서 걸러진 모래는 일측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걸러진 모래를 집수하여 이동하는 배출슈트(210)가 상기 버켓휠(220)과 대응토록 상기 탱크몸체(100)의 일측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슈트(210)는 상기 제1버켓휠(220a)과 제2버켓휠(220b)에서 배출되는 모래를 분리 하여 수집토록 제1버켓휠(220a)과 제2버켓휠(220b)에 대응되는 두개의 배출슈트(210)로 분할되어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유입된 혼합액과 침전물을 상기 버켓탱크부(200)로 이동토록 상기 탱크몸체(100)의 내측으로 수조탱크부(3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수조탱크부(300)는, 상기 탱크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구동부(500)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샤프트(320)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샤프트(320)의 장방향을 따라 그 외주면으로 나선형의 회전블레이드(310)가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블레이드(310)는 상기 탱크몸체(100)의 길이에 따라 그 갯수는 6~8로 가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몸체(100)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수조공간(120)에 부유하는 미분이나 기타 부유물을 배출하는 배출경계부(400)가 설치된다.
도 4 또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경계부(400)는, 상기 수조공간(120)에 부유되는 부유물이 오버 플로우 되도록 내측으로 토출공(420)을 분할하는 다수의 경계편(430)이 설치되어 부유되는 미분이나 부유물은 이물질선별수단(410)을 통해 토출공(420)으로 선별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배출경계부(400)는 상기 탱크몸체(100)의 측면부를 따라 설치되는 제1경계편(430a)과, 탱크몸체(100)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경계편(430a)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제2경계편(430b) 및, 이물질선별수단(410)을 통해 배출되는 부유물이 섞인 혼합액을 집수토록 상기 탱크몸체(100)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편(4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물질선별수단(410)은, 상기 토출공(420)과 접하는 경계라인을 확장함으로서 상기 수조공간(120)상에 부유되는 미분과 부유물이 상기 회전블레이드(31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를 줄여 미분과 부유물이 선택적으로 선별되도록 상기 경계편(430)이 초단부와 말단부 사이에 다수의 절곡라인(331)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연장거리는 60m까지 연장형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탱크몸체(100)의 일단과 타단으로 상기 버켓휠(220)과 회전샤프트(3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500)가 설치된다.
도3a 또는 도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버켓휠(220)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510)와 상기 회전샤프트(320)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부(520)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구동부(500)는 상기 버켓휠(220)과 회전샤프트(320)가 회전토록 통상의 수력모터(530)에 연결되는 기어박스(540)와 상기 기어박스(540)로 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샤프트(550), 상기 샤프트(550)와 치합연결되는 구동체인(560) 및 상기 구동체인(560)으로 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기어(570)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버켓(230)와 회전블레이드(310)의 회전속도의 조작이 용이토록 구동부(500)의 동작 스위치에 의해 버켓(230)의 회전속도의 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버켓휠(220)과 회전샤프트(320)을 회전토록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변속유량조절밸브가 구비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탱크몸체(100)에는, 상기 탱크몸체(100)를 지지토록 다수의 프레임(640)에 의해 저부에 설치되는 지지대(620)와, 일측에 연장형성되는 견인바(630)및, 다수개의 바퀴(610)로 이루어지는 이동부(6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이 설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골재가 호퍼(700)를 통해 투입된 후 스크린 박스(800)를 통해 세척되고, 굵은 골재는 일측으로 배출되고, 6mm이하의 가는 모래는 유입파이프를 통해 본 고안의 탱크몸체의유입박스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탱크몸체로 유입된 혼합액은 상기 버켓탱크부로 이동된 후 0.5mm~6mm 크기의 미세한 골재는 제1버켓휠과 제2버켓휠을 타고 버켓에 의해 걸러져 탱크몸체 일측에 설치된 배출슈트로 1차적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탱크몸체 내측의 수조공간으로 이동된 혼합액은 상기 수조탱크부의 회전블레이드에 의해 다시 상기 버켓탱크부로 이동하게 되고, 여기서, 75㎛~0.5mm의 고운 모래는 다시 상기 버켓휠에 의해 2차적으로 배출슈트를 통해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버켓 내의 수분은 상기 이중버켓에 형성된 다수개의 장홈을 통해 낙하하게 되고, 수분이 제거된 모래만이 버켓휠의 회전운동에 의해 배출슈트로 배출되며, 상기 버켓휠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면 버켓에 의해 퍼 올려져 배출되는 모래의 수분함유량을 적정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조공간에 부유되는 나머지 75㎛이하의 미분와 기타 이물질로 이루어진 부유물은, 상기 회전블레이드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물질선별수단을 통해 경계편의 경계라인을 넘어 경계편의 토출공을 통해 가이드편에서 집수되어 배출된 후 케익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유입되는 혼합액 속에 미분의 많고 적음에 따라 상기 회전블레이드의 속도를 조절하여 수조의 교란운동을 증감시킬수 있는데, 유입되는 미분이 많을 경우에는 회전블레이드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고, 유입되는 미분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회전블레이드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미분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선별수단의 경계편은 40m~60m의 연장라인으로 이루어져 물의 속도가 감소되고, 그에 따른 물의 와류가 감소함으로서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미분나 부유물을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버켓휠로 모래를 퍼올리면서 수분을 배출시킴으로서 골재의 세척시 별도의 탈수스크린을 추가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생산비를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골재를 세척함과 동시에 간단한 공정으로 미분을 골재와 분리하고 부유물을 제거함으로서 재활용 골재의 품질을 고급화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 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정입도 이하로 파쇄된 재생골재를 6mm이하의 세척된 모래로 다량 생산이 가능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더하여, 본 고안은 폐기물이나 그 선별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각종 부유물과 미분을 완벽하게 제거하고, 모래에 섞인 수분을 제거하여 구조적 강도가 우수하고 낮은 흡수율을 갖는 양질의 골재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파쇄된 미세 골재로 부터 이물질 및 미분을 선별하는 분급장치에 있어서,
    미세 골재가 섞인 혼합액이 유입되는 유입파이프(110)가 일측으로 연결되고, 내측으로 수조공간(120)이 형성되는 중공상의 탱크몸체(100);
    상기 탱크몸체(100)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골재가 회전되며 선별토록 다수의 장홈(240)이 형성된 버켓(230)이 버켓휠(220)에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버켓(23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골재를 외부로 배출토록 배출슈트(210)가 일측에 설치되는 버켓탱크부(200);
    상기 수조공간(120)의 혼합액을 상기 버켓탱크부(200)로 이동토록 나선형의 회전블레이드(310)가 상기 탱크몸체(100)의 중심부를 회전하는 회전샤프트(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수조탱크부(300);
    상기 탱크몸체(100)의 단부에 설치되어 수조공간(120)에 부유되는 부유물이 토출공(420)을 통해 오버 플로우 되도록 상기 토출공(420)을 구획되는 다수의 경계편(430)이 이물질선별수단(410)을 통해 구비되는 배출경계부(400) 및;
    상기 버켓휠(220)과 회전샤프트(32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500)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분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몸체(100)에는, 다수의 프레임(640)에 의해 지지토록 설치되는 지지대(620)와,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견인바(630)및, 구륜토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바퀴(610)로서 이루어지는 이동부(60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분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경계부(400)는, 상기 탱크몸체(100)의 측면부를 따라 제1경계편(430a)이 다수개 설치되고, 탱크몸체(100)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경계편(430b)이 상기 제1경계편(430a)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경계편(430a)과 제2경계편(430b)을 통해 배출되는 부유물 섞인 혼합액을 집수토록 가이드편(440)이 상기 탱크몸체(100)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분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선별수단(410)은, 상기 토출공(420)으로 배출되는 미분이나 부유물이 접하는 경계라인이 확장토록 상기 경계편(430)의 초단부와 말단부 사이에 다수의 절곡라인(331)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분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몸체(1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유입파이프(11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무라이닝이 접착되어 2겹으로 구성되는 이중 고무파이프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분급장치.
KR20-2003-0016908U 2003-05-30 2003-05-30 모래분급장치 KR200326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908U KR200326303Y1 (ko) 2003-05-30 2003-05-30 모래분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908U KR200326303Y1 (ko) 2003-05-30 2003-05-30 모래분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303Y1 true KR200326303Y1 (ko) 2003-09-13

Family

ID=4933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908U KR200326303Y1 (ko) 2003-05-30 2003-05-30 모래분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3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75B1 (ko)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CA2284507C (en) Axial flow, bi-rotor concrete reclaimer
KR100497318B1 (ko)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 세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650509B1 (ko)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KR100529690B1 (ko)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CN108855587B (zh) 一种建筑垃圾筛选分离方法
KR20100138730A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0534680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 제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보충수의 재사용 방법
JP2003127141A (ja) 廃プラスチックの分別処理装置とその分別処理方法
KR100693109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764136B1 (ko) 소각로 폐열을 이용한 고온고압 스팀분사방식의 순환골재미립분 제거장치
KR100456716B1 (ko) 재생골재 제조시스템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26303Y1 (ko) 모래분급장치
KR100668144B1 (ko) 연마분리장치
KR100631436B1 (ko)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0078574A (ko) 재활용 모래 선별기
KR100616525B1 (ko) 골재 세척장치
KR200311094Y1 (ko)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 세 골재 제조장치
KR100834710B1 (ko)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장치
KR200313445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 제거장치
KR100428498B1 (ko) 이물질 분리장치
KR200295418Y1 (ko) 재생골재 제조시스템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50051428A (ko) 건설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모래 재생방법 및재생장치
JPH10338558A (ja) コンクリート骨材再生方法
KR100804141B1 (ko) 부유 이물질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