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903Y1 -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903Y1
KR200325903Y1 KR20-2003-0017042U KR20030017042U KR200325903Y1 KR 200325903 Y1 KR200325903 Y1 KR 200325903Y1 KR 20030017042 U KR20030017042 U KR 20030017042U KR 200325903 Y1 KR200325903 Y1 KR 2003259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desk
desk shelf
roller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랑
Original Assignee
박일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랑 filed Critical 박일랑
Priority to KR20-2003-0017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9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9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9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책 등을 보관 및 진열하고자 하는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책 등을 얹어 보관 및 진열하는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책상의 전면판 양측에 수직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걸림공들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승하강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승하강 된 임의 위치에서 상기 걸림공들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돌기를 갖는 한 쌍의 승강구; 상기 승강구의 선단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그 선단이 상향으로 위치되게 결합되어 책상용 선반이 안착 고정되는 지지암; 및 상기 승강구의 일면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승강구의 승하강시 회전하는 한 쌍의 제1,제2롤러와 상기 승강구의 일면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승강구의 승하강시 회전하는 제3롤러로 이루어진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omitted}
본 고안은 책 등을 얹어 보관 및 진열하는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에 구비되는 선반 혹은 책꽂이 등은 책상의 전면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는 조절이 안됨으로써 사용상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하여도 그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일반인들이 손쉽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책 등을 보관 및 진열하고자 하는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대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구비되는 승강구의 승하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상기 승강구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구비되는 가이드수단의 제1∼제3롤러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이드레일 12 - 결합공
20 - 승강구 22 - 돌기
24 - 간격유지구 26 - 고정편
30 - 지지암 40a,40b,40c - 제1,제2,제3롤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책 등을 얹어 보관 및 진열하는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책상의 전면판 양측에 수직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걸림공들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승하강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승하강 된 임의 위치에서 상기 걸림공들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돌기를 갖는 한 쌍의 승강구; 상기 승강구의 선단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그 선단이 상향으로 위치되게 결합되어 책상용 선반이 안착 고정되는 지지암; 및 상기 승강구의 일면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승강구의 승하강시 회전하는 한 쌍의 제1,제2롤러와 상기 승강구의 일면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승강구의 승하강시 회전하는 제3롤러로 이루어진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게 설치되는 제1,제2롤러 중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이 후면에 밀착되는 제2롤러는 상기 제1롤러의 하측으로 위치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롤러와 제3롤러는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대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고안에 따른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구비되는 승강구의 승하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상기 승강구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구비되는가이드수단의 제1∼제3롤러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한 쌍의 가이드레일(10)은 책상의 전면판(52) 양측에 위치되게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0)에는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걸림공(12)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10)을 책상의 전면판(52)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나사못 혹은 못을 이용하여 고정하면 되는데, 이러한 고정 기술은 통상 이용하는 기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승강구(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승강구(20)는 상기 가이드레일(10)에 각각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레일(10)에 대해 승하강 된 임의 위치에서 상기 걸림공(12)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돌기(22)를 갖는다. 이러한 승강구(20)는 좌우 양측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각각 가이드레일(10)에 각각 결합되며 그 높이 역시 동일 높이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승강구(20)에는 간격유지구(24)와 고정편(26)이 결합되어 상기 승강구(20)가 가이드레일(1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간격유지구(24)와 고정편(26)에 의해 소정 공간부가 형성되어 그 공간부에 가이드레일(10)이 위치되어 안내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지지암(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암(30)은 상기 승강구(20)의 선단으로 돌출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그 선단이 상향으로 소정 각도(θ)를 경사지게 위치되게 결합되어 책상용 선반(10)이 안착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이드수단은 상기 승강구(20)가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승하강 될 때 그 승하강을 도와주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수단은 승강구(20)의 일측면으로 설치되는 제1,제2,제3롤러(40a,40b,40c)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제2,제3롤러(40a, 40b, 40c)들은 상기 승강구(20)의 일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승강구(20)의 하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승강구(20)의 승하강시 회전하는 한 쌍의 제1,제2롤러(40a,40b)와 상기 승강구(20)의 일면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승강구의 승하강시 회전하는 제3롤러(40c)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게 설치되는 제1,제2롤러(40a,40b) 중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0)의 후면에 밀착되는 제2롤러(40b)는 상기 제1롤러(40a)의 하측으로 위치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롤러(40a)와 제3롤러(40c)는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설치된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제2롤러(40a,40b)에 가이드레일(10)의 전후면이 밀착되어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 제3롤러(40c)가 가이드레일(10)의 전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것에 의해 승강구(20)의 승하강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상기 승강구(20)의 높낮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20)에 구비된 돌기(22)가 가이드레일(10)에 형성된 결합공(12)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고정됨으로써,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구(20)에 결합되어 책상용 선반(50)이 안착 고정되는 지지암(30)이 승강구(20)의 수평선상에서 선단부가 소정 각도(θ)로 경사지는 형태로 결합됨에 따라 승강구(20)가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형태로 돌기(22)가 결합공(12)에 고정되어도 책상용 선반(50)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다.
이와 같이 승강구(20)의 돌기(22)가 가이드레일(10)의 걸림공(12)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그 고정 상태가 더욱 확실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승강구(20)에 고정된 책상용 선반에 책 등을 얹게 되면 그 책 등의 중량에 의해 승강구(20)의 선단은 힘을 받게 되고 그 힘에 의해 승강구(20)의 돌기(22)가 가이드레일(10)의 걸림공(12)에 더욱 견고한 상태의 고정력을 유지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상기 가이드레일(10)에 형성되는 걸림공(12)에 승강구(20)의 돌기(22)가 위치되어 결합되면 자중 및 선반에 얹혀진 물건의 하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지지되고,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선반을 약간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 승강구(20)의 돌기(22)가 가이드레일(10)의 걸림공(12)으로부터 벗어나게 됨으로써 간편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가이드레일(10)에 결합되는 승강구(20)와 지지암(30) 및 그 승강구(20)와 지지암(30)에 고정되는 책상용 선반은 1개 혹은 그이상의 개수로 다단으로 여러 개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보관 및 진열하고자 하는 책 등을 높이에 따라 선반의 높낮이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Claims (2)

  1. 책 등을 얹어 보관 및 진열하는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책상의 전면판 양측에 수직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걸림공들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승하강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승하강 된 임의 위치에서 상기 걸림공들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돌기를 갖는 한 쌍의 승강구;
    상기 승강구의 선단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그 선단이 상향으로 위치되게 결합되어 책상용 선반이 안착 고정되는 지지암; 및
    상기 승강구의 일면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승강구의 승하강시 회전하는 한 쌍의 제1,제2롤러와 상기 승강구의 일면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승강구의 승하강시 회전하는 제3롤러로 이루어진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게 설치되는 제1, 제2롤러 중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이 후면에 밀착되는 제2롤러는 상기 제1롤러의 하측으로 위치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롤러와 제3롤러는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2003-0017042U 2003-05-30 2003-05-30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259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042U KR200325903Y1 (ko) 2003-05-30 2003-05-30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042U KR200325903Y1 (ko) 2003-05-30 2003-05-30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903Y1 true KR200325903Y1 (ko) 2003-09-13

Family

ID=49337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042U KR200325903Y1 (ko) 2003-05-30 2003-05-30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9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280B1 (ko) 2008-07-04 2010-08-31 김춘규 선반 높이 조절 구조
KR101029355B1 (ko) * 2010-08-04 2011-04-13 김찬 승강장치
KR20190084557A (ko) 2018-01-08 2019-07-17 (주) 이지웰 다용도 선반이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280B1 (ko) 2008-07-04 2010-08-31 김춘규 선반 높이 조절 구조
KR101029355B1 (ko) * 2010-08-04 2011-04-13 김찬 승강장치
KR20190084557A (ko) 2018-01-08 2019-07-17 (주) 이지웰 다용도 선반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7185B1 (en) Slidable unit for modular shelving system
US7014282B2 (en) Pull-out guide for drawers
US5302015A (en) Adjustable keyboard drawer
US6540093B1 (en) Window shelf system
HUP0201507A2 (hu) Vezetőszerkezet fiókhoz
CN205432678U (zh) 多层式桌子
KR200325903Y1 (ko) 책상용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
ES2423761T3 (es) Instalación de ajuste para la alineación de una pieza de mueble
JP2017079978A (ja) 天板付き家具
KR200457813Y1 (ko) 가변식 선반이 구비된 서가
CN101444370A (zh) 橱柜拉出体
JP4551188B2 (ja) 傾斜可能な棚板を備えた棚装置
JP2005035163A (ja) 黒板装置
JP4765603B2 (ja) 学習机の机上棚
JP4616508B2 (ja) 横桟への棚板支持装置
JP3162109U (ja) 書見台
KR200484949Y1 (ko) 수평 또는 경사 상태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독서실용 책상
JP3427773B2 (ja) コンピュータ用デスク
JP4582924B2 (ja) アジャスタ機構
JP2563027Y2 (ja) 陳列棚の棚板昇降装置
CN111096544A (zh) 桌子
JP2001161464A (ja) 書 架
JP3370270B2 (ja) キーボードの引き出し装置
JP3929542B2 (ja) 棚における仕切部材取付装置
JP2012135429A (ja) 転倒防止家具および転倒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