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757Y1 -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 - Google Patents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757Y1
KR200325757Y1 KR20-2003-0017415U KR20030017415U KR200325757Y1 KR 200325757 Y1 KR200325757 Y1 KR 200325757Y1 KR 20030017415 U KR20030017415 U KR 20030017415U KR 200325757 Y1 KR200325757 Y1 KR 200325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oor
slider
dead bol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주)모티스락
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티스락, 김종수 filed Critical (주)모티스락
Priority to KR20-2003-0017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7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7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에 따라 출몰되는 래칫볼트의 작동에 의하여 데드볼트측으로 각운동하는 잠금레버를 설치하므로서, 도어를 닫음과 동시에 이 잠금레버가 데드볼트를 자동적으로 잠글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도어의 잠금상태는 도어의 내측에 설치된 레버의 회전에 의해서만 해제되고 그 이외에는 열쇠에 의해서만 해제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별도의 잠금조작 없이 각종 도어의 잠금상태를 보다 간편하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한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은, 일측에 측판커버(12)가 조립되는 사각 형상의 케이스(11) 전방면에는 데드볼트(15)와 래칫볼트(16)가 출몰되는 케이스 플레이트(13)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는 데드볼트(15)와 연결되는 슬라이드판(20)이 구동레버(30)와 토션스프링(25)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판(20)의 상부에는 래칫볼트(16)가 그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후단부에는 토션스프링(47)이 일단이 탄력 지지되는 슬라이더(44)가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44)의 몸체 후면에는 그 몸체를 따라 돌출턱(46)이 "┘"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44)의 후방에는 케이스(11)에 삽입된 힌지핀(41)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잠금레버(40)가 그 선단 가이드핀(42)이 슬라이더(44)의 돌출턱(46) 전방면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잠금레버(40)의 선단 하측에는 슬라이더(44)가후방으로 밀려나간 상태에서 그 가이드핀(42)이 돌출턱(46)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데드볼트(15)의 후단부에 걸리게 되는 걸림단부(43)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잠금레버(40)의 몸체 후단부는 슬라이더(44)의 후방 이동시 그 하측면이 구동레버(30)의 구동암(32) 선단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Lever type door lock for automatic locking}
본 고안은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에 따라 출몰되는 래칫볼트의 작동에 의하여 데드볼트측으로 각운동하는 잠금레버를 설치하므로서, 도어를 닫음과 동시에 이 잠금레버가 데드볼트를 자동적으로 잠글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도어의 잠금상태는 도어의 내측에 설치된 레버의 회전에 의해서만 해제되고 그 이외에는 열쇠에 의해서만 해제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별도의 잠금조작 없이 각종 도어의 잠금상태를 보다 간편하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한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선실도어나 호텔의 객실도어 또는 가정의 현관문 등에 설치되는 레버형 도어록은 사각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의 전방면에 래칫과 데드볼트가 출몰되는 케이스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도어가 잠겨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레버의 회전에 따라 래칫을 케이스 플레이트의 전방면으로 출몰시키므로서 선실이나 객실 또는 현관문으로의 상시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폐장치와, 키홀을 구비하는 데드볼트 캠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를 케이스 플레이트의 전방면으로 출몰시키므로서 도어의 잠금상태와 열림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레버형 도어록 이외에도 선박의 선실도어나 호텔의 객실도어에 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래칫에는 별도의 레버가 연결되지 않고 상기 데드볼트에만 레버가 연결되므로서, 레버를 회전시킬 경우 래칫과 데드볼트가 동시에 출몰되도록 한 도어록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도어록의 경우에는 레버조작에 의하여 선실이나 객실로의 상시 출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도어의 잠금조작을 수행하는 것은 레버와 별도로 작동되는 잠금장치가 도어의 내외측에 설치되는 키홀과 연결되어 상기 키홀에 열쇠를 삽입하여 도어의 잠금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각종 레버형 도어록은 선실이나 객실 또는 현관문으로의 상시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레버와 도어를 잠금상태로 조작하는 잠금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를 조작하여 도어를 닫은 다음 열쇠를 사용하여 도어를 잠그는 번거러운 절차를 거쳐야 할 뿐만 아니라, 도어를 닫은 후 도어를 잠그는 것을 쉽게 잊어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도어를 잠그지 않은 상태로 장시간 동안 자리를 비우게 되므로서 사생활의 침해 뿐만 아니라 실내에 비치된 물품의 도난우려 또한 매우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선박의 선실이나 호텔의 객실과 같은 장소는 각각의 독립적인 공간으로 형성되어 승선자나 투숙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주목적으로 하게 되는 데, 승선자나 투숙자들이 여행물품이나 각종 서류 및 귀중품들을 선실이나 객실에 둔 상태에서 식사나 야외활동을 할 경우, 선박이나 호텔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부주의가 아닌 승선자나 투숙자 자신의 부주의로 인하여 도어를 잠그지 못하므로서 사생활의 침해나 물품의 도난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그러한 사실이 결국에는 선박이나 호텔의 서비스질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의 내측에만 데드볼트를 출몰시키는 레버를 설치하고 도어의 외측에는 데드볼트의 출몰과는 무관한 도어용 손잡이를 고정시키므로서, 열쇠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선실이나 객실 또는 현관문의 외부에서 데드볼트를 출몰시키지 못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잠금장치를 사용하여 도어를 완전히 잠그지 않을 경우에는 각종 도구를 문틈 사이로 밀어 넣어 데드볼트를 후방으로 밀어내게 되면, 데드볼트가 후방으로 용이하게 밀리면서 도어가 열리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출몰되는 래칫볼트의 작동에 의하여 데드볼트측으로 각운동하는 잠금레버를 설치하므로서, 도어를 닫음과 동시에 이 잠금레버가 데드볼트를 자동적으로 잠글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도어의 잠금상태는 도어의 내측에 설치된 레버의 회전에 의해서만 해제되고 그 이외에는 열쇠에 의해서만 해제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별도의 잠금조작 없이 각종 도어의 잠금상태를 보다 간편하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에 측판커버가 조립되는 사각 형상의 케이스 전방면에는 데드볼트와 래칫볼트가 출몰되는 케이스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데드볼트와 연결되는 슬라이드판이 구동레버와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부에는 래칫볼트가 그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후단부에는 토션스프링이 일단이 탄력 지지되는 슬라이더가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몸체 후면에는 그 몸체를 따라 돌출턱이 "┘"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에는 케이스에 삽입된 힌지핀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잠금레버가 그 선단 가이드핀이 슬라이더의 돌출턱 전방면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잠금레버의 선단 하측에는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밀려나간 상태에서 그 가이드핀이 돌출턱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데드볼트의 후단부에 걸리게 되는 걸림단부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잠금레버의 몸체 후단부는 슬라이더의 후방 이동시 그 하측면이 구동레버의 구동암 선단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도어록에 의한 도어의 닫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도어록에 의한 도어의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버형 도어록 11 : 케이스 12 : 측판커버
13 : 케이스 플레이트 14 : 레버 15 : 데드볼트
16 : 래칫볼트 17 : 힌지레버 18 : 고정볼트
20 : 슬라이드판 21 : 가이드공 22 : 구동핀
23,26,48 : 지지핀 24 : 방향전환핀 25,47 : 토션스프링
30 : 구동레버 31 : 레버공 32 : 구동암
33 : 스토퍼 34 : 멈춤핀 35 : 받침판
36 : 코일스프링 37 : 지지대 40 : 잠금레버
41 : 힌지핀 42 : 가이드핀 43 : 걸림단부
44 : 슬라이더 45 : 슬라이드핀 46 : 돌출턱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도어록에 의한 도어의 닫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도어록에 의한 도어의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중 미설명된 부호 11a,11b,12a는 가이드공, 15a는 핀공, 17a는 핀지지부, 19는 도어용 프레임, 19a는 삽입공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 형태의 몸체를 가지는 케이스(11)의 일측에는 측판커버(12)가 조립되고, 상기 케이스(11)의 전방면에는 데드볼트(15)와 래칫볼트(16)가 출몰되는 케이스 플레이트(13)가 설치되며, 상기 데드볼트(15)측에 해당하는 측판커버(12)의 외측면에는 데드볼트(15)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힌지레버(17)가 고정볼트(18)에 의하여 체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데드볼트(15)는 케이스(11)의 내부로 삽입된 슬라이드판(20)의 선단부에 해당 핀공(15a)을 통하여 삽입되는 방향전환핀(24)에 의하여 슬라이드판(20)과 연결 설치되는 데, 상기 방향전환핀(24)은 고정볼트(18)를 풀어내어 힌지레버(17)를 젖히게 되면 측판커버(12)를 통하여 케이스(11)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어 있으므로 측판커버(12)를 케이스(11)로부터 분리하지 않더라도 데드볼트(15)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힌지레버(17)에는 방향전환핀(24)을 지지함과 동시에 힌지레버(17)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측판커버(12)로 삽입되는 핀지지부(17a)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데드볼트(15)가 연결되는 슬라이드판(20)은 그 몸체의 중앙부에 가이드공(21)이 절개 형성되어 케이스(11)와 측판커버(12)의 사이에 고정되는 지지핀(23)에 삽입되고, 상기 슬라이드판(20)의 후단부에는 슬라이드판(20)을 관통하는 구동핀(22)이 고정 설치되어 그 양단부가 케이스(11)와 측판커버(12)에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공(11a)(12a)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판(20)의 하부에는 케이스(11)와 측판커버(12)의 사이에 고정되는 지지핀(26)과 받침판(35)이 설치되어, 그 지지핀(26)에 삽입되는 토션스프링(25)의 일단이 데드볼트(15)의 후단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그 받침판(35)이 슬라이드판(20)을 케이스(11)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키도록 지지하므로서, 상기 슬라이드판(20)이 각각의 가이드공(11a)(12a)(21)과 구동핀(22)에 의하여 데드볼트(15)와 함께 케이스(11)의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래칫 형태의 데드볼트(15) 이외에도 막대 형상의 데드볼트를 슬라이드판(2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판(20)의 전,후방 이동을 위하여 케이스(11)와 측판커버(12)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레버(30)는, 그 몸체의 중앙부에 케이스(11)와 측판커버(12)를 통하여 노출되는 레버공(31)이 형성되어 도어의 외측으로는 상기 레버공(31)을 통하여 열쇠가 삽입되고 도어의 내측으로는 상기 레버공(31)을 통하여 레버(14)가 연결 설치되며, 그 상부측으로는 상기 슬라이드판(20)의 구동핀(22) 전방에 위치하는 구동암(32)이 연장 형성되고 그 하부측으로는 케이스(11)와 측판커버(12) 사이에 고정되는 멈춤핀(34)의 전방에 위치하여 구동레버(30)의 회전각도를 단속하기 위한 스토퍼(33)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1)의 바닥면으로부터 슬라이드판(20)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받침판(35)과 상기 구동레버(30)의 스토퍼(33) 사이에는 막대 형상의 몸체 선단부가 받침판(35)으로 관통되고 그 타측 머리부가 스토퍼(33)의 전방에서 지지되는 지지대(37)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37)의 머리부와 받침판(35)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36)이 지지대(37)의 몸체를 통하여 삽입 설치되므로서 구동레버(30)의 회전과 그 복원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로서, 상기 래칫볼트(16)가 그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후방측에는 몸체의 후면을 따라 돌출턱(46)이 "┘" 형태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더(44)가 그 하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드판(20)의 선단 돌출부에 걸려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44)의 바닥면에는 케이스(11)에 형성된 가이드공(11b)으로 그 단부측이 삽입되어 슬라이더(44)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핀(45)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44)의 몸체 자체는 래칫볼트(16)와 돌출턱(46)으로부터 바닥부를 향하여 낮게 단지도록 형성되므로서 하기에 설명되는 잠금레버(40)의 가이드핀(42)을 선택적으로 수납시킬 수 있는 공간이 래칫볼트(16)와 돌출턱(46)의 사이에 형성되며, 슬라이더(44)의 몸체 후면에는 케이스(11)에 고정되는 지지핀(48)에 삽입되어 슬라이더(44)의 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47)의 일단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잠금레버(40)는 케이스(11)와 측판커버(12)의 사이에서 고정되는 힌지핀(41)에 그 후단부가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그 선단부에는 슬라이더(44)의 래칫볼트(16)와 돌출턱(46)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돌출턱(46)의 전방면에 걸리게 되는 가이드핀(42)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레버(40)의 선단 하측에는 슬라이더(44)가 후방으로 밀려나간 상태에서 그 가이드핀(42)이 돌출턱(46)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데드볼트(15)의 후단부에 걸리게 되는 걸림단부(43)가 절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잠금레버(40)의 몸체 후단부는 구동레버(30)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더(44)가 슬라이드판(2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할 시 그 하측면이 구동레버(30)의 구동암(32) 선단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데, 구동레버(30)의 회전에 따른 잠금레버(40)의 상승폭을 일정한 수준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구동암(32)과 접촉되는 부분으로부터 그 후방으로 갈수록 잠금레버(40)의 몸체가 상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의 작용관계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고안의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어의 내측, 즉 실내측에만 데드볼트(15)를 출몰시키기 위한 레버(14)가 설치되고 도어의 외측, 즉 실외측에는 데드볼트(15)의 출몰과는 무관한 도어용 손잡이가 고정 설치된 선실이나 객실 또는 현관문 도어에 본 고안의 도어록을 설치한 것으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도어가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레버(14)를 회전시키지 않은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드볼트(15)와 래칫볼트(16)가 토션스프링(25)(47)의 탄성력에 의하여 케이스 플레이트(13)의 전방면으로 모두 돌출됨과 동시에 잠금레버(40)의 가이드핀(42)이 슬라이더(44)의 돌출턱(46) 전방면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닫기 위하여 실내측에서 레버(14)를 회전시키게 되면, 레버(14)의 회전에 따른 구동레버(30)의 연동 회전으로 구동암(32)이 구동핀(22)을 후방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슬라이드판(20)이 슬라이더(44)와 함께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므로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드볼트(15)와 래칫볼트(16)가 케이스 플레이트(13)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레버(14)를 회전시켜 슬라이드판(20)을 슬라이더(44)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시키므로서 데드볼트(15)와 래칫볼트(16)가 케이스 플레이트(13)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면, 잠금레버(40)의 가이드핀(42)이 래칫볼트(16)와 돌출턱(46) 사이의 공간에서 돌출턱(46)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됨과 동시에 잠금레버(40)가 힌지핀(41)을 중심으로 하부로 각운동을 하려고 하지만, 슬라이드판(20)의 선단 돌출부가 슬라이더(44)의 몸체 하부에 걸려 슬라이더(44)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잠금레버(40)가 하부로 각운동하지 못하고 데드볼트(15)의 상면에 올려지는 식으로 놓여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잠금레버(40)의 선단 하측에 형성된 걸림단부(43)가 데드볼트(15)의 후면에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레버(14)를 회전시켜 데드볼트(15)와 래칫볼트(16)가 케이스 플레이트(13)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한 상태에서 도어를 닫고 레버(14)를 놓게 되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드볼트(15)의 후면에 걸려 있는 토션스프링(25)과 구동레버(30)의 스토퍼(33)를 지지하고 있던 코일스프링(36)의 복원력에 의하여 슬라이드판(20)이 전방으로 밀리게 됨과 동시에 구동레버(30)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고, 이로 인하여 데드볼트(15)가 도어용 프레임(19)에 형성된 삽입공(19a)으로 삽입되므로서 도어가 완전히 닫히게 되며, 래칫볼트(16) 자체는 도어용 프레임(19)에 의하여 지지되므로서 후방으로 밀려나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를 닫고 레버(14)를 놓으므로서 데드볼트(15)가 전방으로 밀려나게 되면, 슬라이더(44)의 래칫볼트(16)와 돌출턱(46) 사이의 공간에서 그 가이드핀(42)이 돌출턱(46)으로부터 빠져 나온 상태로 유지되던 구동레버(40)가 그자중에 의하여 힌지핀(41)을 중심으로 하부로 각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그 선단 하측에 형성된 걸림단부(43)가 데드볼트(15)의 후면에 자동적으로 걸리게 되므로서 도어를 닫음과 동시에 잠금레버(40)에 의하여 도어의 잠금상태가 자동적으로 세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어를 닫음과 동시에 도어의 잠금상태가 자동적으로 세팅되므로서, 레버(14)를 회전시켜 도어를 닫은 다음 열쇠를 사용하여 도어를 잠그는 번거러운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도어의 잠금조작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잠금상태로 세팅된 도어의 문틈 사이로 각종 도구를 밀어 넣어 데드볼트(15)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려 하더라도 데드볼트(15)가 잠금레버(40)의 걸림단부(43)에 걸려 이동이 불가능한 안전한 잠금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선박의 선실이나 호텔의 객실 또는 일반 주택의 출입문에 설치되었던 종래의 도어록에 비하여 승선자나 투숙자 및 출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도어를 잠그는 것을 잊어버리므로서 발생하는 사생활의 침해 및 각종 물품의 도난우려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세팅된 도어의 잠금상태는 도어의 외측에서는 구동레버(30)의 레버공(31)을 통하여 삽입되는 열쇠에 의해서만 해제되고, 도어의 내측에서는 레버(14)의 회전에 의하여 해제되는 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가 잠금상태로 세팅되어 잠금레버(40)의 몸체 후단부가 구동레버(30)의 구동암(32) 선단부에 놓여져 있는 상태에서 열쇠나 레버(14)를 사용하여 구동레버(30)를 회전시키게 되면, 구동레버(30)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판(20)이데드볼트(15)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구동레버(30)의 초기 회전 시점에서 구동암(32)의 선단부가 잠금레버(40)의 몸체 후단부를 밀어올리면서 잠금레버(40)의 선단부를 일정폭만큼 상부로 들어올려 주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드볼트(15)가 잠금레버(40)의 걸림단부(43)에 걸리지 않고 구동레버(30)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판(2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여 케이스 플레이트(13)의 내부로 들어가게 됨과 동시에 잠금레버(40)의 몸체 후방면이 구동레버(30)의 구동암(32) 회전각도에 맞도록 상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그 선단 가이드핀(42)의 상승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서 잠금레버(40)의 가이드핀(42)이 슬라이더(44)의 래칫볼트(16)와 돌출부(46)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시켜 레버(14)를 놓게 되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드볼트(15)와 래칫볼트(16)가 토션스프링(25)(47)의 탄성력에 의하여 케이스 플레이트(13)의 전방면으로 모두 돌출됨과 동시에 구동레버(30)의 스토퍼(33)를 지지하는 코일스프링(36)의 복원력에 의하여 구동레버(30)가 원위치로 복원되고, 이 과정에서 잠금레버(40)의 가이드핀(42)이 슬라이더(44)의 돌출턱(46) 전방면에 걸리게 되므로서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의 초기상태(즉, 도어의 개방 및 잠금해제상태)로 복원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에 설명되어진 바와 같은 방식으로 도어를 닫게 되면 도어의 잠금상태가 자동적으로 다시 세팅되는 것이다.
상기에 기재되어진 본 고안의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어의 내측에서 레버(14)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과정을 대표적인 작용관계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도어의 외측에서 도어를 개폐시키는 것 또한 레버(14) 대신에 열쇠를 사용하여 구동레버(30)를 작동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에 설명되어진 것과 동일한 작용관계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출몰되는 래칫볼트의 작동에 의하여 데드볼트측으로 각운동하는 잠금레버를 설치하므로서, 도어를 닫음과 동시에 이 잠금레버가 데드볼트를 자동적으로 잠글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도어의 잠금상태는 도어의 내측에 설치된 레버의 회전에 의해서만 해제되고 그 이외에는 열쇠에 의해서만 해제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별도의 잠금조작 없이 각종 도어의 잠금상태를 보다 간편하게 세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도어를 잠그는 것을 잊어버리므로서 발생하는 사생활의 침해 및 각종 물품의 도난우려 또한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측에 측판커버(12)가 조립되는 사각 형상의 케이스(11) 전방면에는 데드볼트(15)와 래칫볼트(16)가 출몰되는 케이스 플레이트(13)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는 데드볼트(15)와 연결되는 슬라이드판(20)이 구동레버(30)와 토션스프링(25)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판(20)의 상부에는 래칫볼트(16)가 그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후단부에는 토션스프링(47)이 일단이 탄력 지지되는 슬라이더(44)가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44)의 몸체 후면에는 그 몸체를 따라 돌출턱(46)이 "┘"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44)의 후방에는 케이스(11)에 삽입된 힌지핀(41)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잠금레버(40)가 그 선단 가이드핀(42)이 슬라이더(44)의 돌출턱(46) 전방면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잠금레버(40)의 선단 하측에는 슬라이더(44)가 후방으로 밀려나간 상태에서 그 가이드핀(42)이 돌출턱(46)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데드볼트(15)의 후단부에 걸리게 되는 걸림단부(43)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잠금레버(40)의 몸체 후단부는 슬라이더(44)의 후방 이동시 그 하측면이 구동레버(30)의 구동암(32) 선단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
KR20-2003-0017415U 2003-06-03 2003-06-03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 KR200325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415U KR200325757Y1 (ko) 2003-06-03 2003-06-03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415U KR200325757Y1 (ko) 2003-06-03 2003-06-03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438A Division KR100530698B1 (ko) 2003-06-02 2003-06-02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757Y1 true KR200325757Y1 (ko) 2003-09-13

Family

ID=4941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415U KR200325757Y1 (ko) 2003-06-03 2003-06-03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7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0969A (zh) * 2019-10-09 2020-01-10 浙江美亿德装饰五金有限公司 一种新型无声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0969A (zh) * 2019-10-09 2020-01-10 浙江美亿德装饰五金有限公司 一种新型无声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26418B2 (en) Gate latch assembly
JP5069680B2 (ja) 入り口バリアのための保安システム
JP3087485U (ja) 安全遮蔽扉
US8136300B2 (en) Window or door frame having brace device
KR100530698B1 (ko)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
KR200325757Y1 (ko)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
US6629441B2 (en) Door unlocking system
JP4384579B2 (ja) ドアガード
US4332407A (en) Automatically locking crossbolt deadlock
JP3753001B2 (ja) シャッターの施錠装置
GB2523429A (en) Door stop
JP4216972B2 (ja) 引違い障子用の換気ロック装置
JP4263319B2 (ja) 錠付ドアガード
JP3169743B2 (ja) 用心錠
JP4279419B2 (ja) 引戸用ガードアーム錠
JPH0720296Y2 (ja) 内蔵型引き戸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200298383Y1 (ko)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AU771114B2 (en) Door lock assembly
JPH08289821A (ja) キャビネット
JP2004099299A (ja) エレベータドアのアンロック装置
JP4251381B2 (ja) 引戸錠
KR200153744Y1 (ko) 출입문 잠금장치
JP4702681B2 (ja) 錠装置
KR200302612Y1 (ko)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CA2357097C (en) Door unloc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