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005Y1 - 직기용 템풀 - Google Patents

직기용 템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005Y1
KR200324005Y1 KR20-2003-0014651U KR20030014651U KR200324005Y1 KR 200324005 Y1 KR200324005 Y1 KR 200324005Y1 KR 20030014651 U KR20030014651 U KR 20030014651U KR 200324005 Y1 KR200324005 Y1 KR 200324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temple
temporal
present
l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용천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용천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용천정공
Priority to KR20-2003-0014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0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0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22Temples
    • D03J1/223Temples acting on the full width of cloth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6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fabr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기용 템풀(templ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규격화된 제품을 저렴한 경비로 양산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개로 분할구성 된 슬라이드 금형을 이용하여 템풀본체(20)를 사출성형하되, 다수개의 핀공(21) 및 관통공(22)이 일체로 구성되게 하고, 상기 핀공(21) 및 관통공(22)에 금속핀(23)과 지지관체(30)를 끼워 결합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직기용 템풀{Temple for loom}
본 고안은 직기를 이용한 직물의 제직시 제직된 직물의 양측부를 당겨주는 역할을 하는 템풀(templ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조가 신속용이하면서 저렴한 제작경비로 템풀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템풀은 직기를 이용한 직물의 제직시 경위사가 교차되어 직물상태가 되는 직전(cloth fell)부분에 장치하여 직축현상, 즉 경위사가 교차되므로 인하여 제직된 직물의 폭이 통경폭(바디에 끼워진 경사의 폭)보다 줄어드는 현상을최소화하여 바디에 끼워진 양측 변사의 마찰을 줄여 손상을 방지토록 하므로서 원활한 제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링템풀(Ring temple)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금속소재로 구성된 링형상의 템풀본체상에 다수개의 금속핀을 결합 구성하여 템풀본체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구성되게 하고, 템풀본체 내면에는 지지관체를 끼워 결합하되 템풀본체 외형은 일측 외경이 타측 외경보다 크게 구성하여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링템풀 제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합금으로 된 금속소재의 재료를 전용기와 같은 절삭가공기를 이용하여 템풀본체 형상으로 1차 가공하고, 1차 가공 된 템풀본체 외면에 금속핀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핀공을 드릴링작업으로 구멍을 뚫는다.
상기에서와 같이 템풀 본체에 구성되는 핀공의 드릴작업이 완료되면 거칠어진 템풀본체의 표면을 매끈하게 2차 가공한 다음 템풀본체에 뚫린 핀공에 침상형의 금속핀을 결합하여 침부가 템풀본체 외면으로 돌출구성되게 한 다음 템풀본체 중앙에 뚫린 관통공에 지지관체를 결합고정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템풀의 경우 템풀본체의 소재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용기와 같은 절삭가공기를 이용하여 절삭가공하는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특히 템풀본체 상에 다수개의 핀공을 작업자가 하나하나 드릴작업으로 뚫어야 하므로 핀공 드릴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템풀의 제작에 많은 시간(1일 생산량 50개정도)과 인력이 낭비될 뿐아니라 소재의 비용이 고가이므로 생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와 함께 규격화 된 제품의 양산이 곤란한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직기용 템풀의 제작이 신속용이하게 하여 양산이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1일 생산량 470개 정도) 재료비용도 저렴하게 하여 개당 비용이 종래의 1/10정도 경비로 템풀 제품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양질의 균일한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직기용 템풀본체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되, 슬라이드 작동하는 분할금형으로 성형되게 하여 템풀본체의 성형과 동시에 핀공이 일체로 성형되게 하고, 상기 핀공에 금속핀을 결합한 다음 템풀본체에 구성된 관통공에 지지관체를 끼워 결합하므로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템풀의 제작이 완료되게 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 템풀의 평면구성도.
도 2 : 본 고안 템풀의 단면구성도.
도 3 : 본 고안 템풀의 단면상태분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템풀 (20)--템풀본체
(21)--핀공 (22)--관통공
(23)--금속핀 (30)--지지관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템풀(10)의 정면구성도이고, 도2 및 도3은 단면상태도 및 분해구성로서 크게 템풀본체(20)와 지지관체(30)로 구성된다.
상기 템풀본체(2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며 사출성형에 사용되는 금형은 여러 개로 분리구성된 분할 슬라이드금형을 이용하여 성형되게 하되, 템풀본체(20)상에는 다수개의 핀공(21)이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관통공(22)이 구성되게 한다.
템풀본체(20)상에 뚫려지는 핀공(21)은 분할슬라이드 금형에 구성된 경사핀에 의해 템풀본체(20)의 제작과 동시에 뚫려지게 된다.
이때 템풀본체(20)에 뚫려지는 핀공(21)은 제작하고자 하는 템풀의 사양에 따라 갯수가 조정된다.
상기 템풀본체(20)에 뚫린 핀공(21)에 침상형의 금속핀(23)을 끼워 결합하되 금속핀(23)의 침상형 단부가 템풀본체(20)외면으로 둘출되게 구성한다.
템풀본체(20)의 핀공(21)에 금속핀(23)의 결합이 완료되면 템풀본체(20) 중앙에 구성된 관통공(22)에 합성수지로 구성된 지지관체(30)를 끼워 핀공(21)에 끼워진 금속핀(23)의 하단부가 지지관체(30) 외면에 접하게 하여 사용 중 금속핀(23)이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는 현상을 방지케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템풀(10)을 직기를 이용한 직물의 제직시 제직된 직물의 양측부에 장치하여 잡아당겨주는 역할을 하여 직물이 줄어드는 현상을 방지케 하므로서 원활한 제직이 이루어지게 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에서 사용되는 템풀(10)의 제작이 신속용이할뿐 아니라 규격화된 제품을 저렴한비용으로 양산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템풀(10)은 템풀(10)을 구성하는 템풀본체 (20)를 분할슬라이드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되게 하되 다수개의 핀공(21)를 템풀본체(20)의 성형과 동시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하므로서 템풀본체(20)의 제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템풀본체(20)제작시 사용되는 소재도 일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므로 재료비용이 매우 저렴하게 되고, 따라서 제작경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여 템풀본체(20)를 성형제작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 후가공의 필요성이 없게 되므로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직기용 템풀을 구성함에 있어서 템풀본체를 다수개로 분할 구성된 슬라이드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되게 하되, 템풀본체의 성형시 핀공과 관통공이 일체로 성형되게 하므로서 템풀본체의 제작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동시에 핀공과 관통공에 금속핀과 지지관체를 끼워 결합하면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템풀의 제작이 완료되므로 규격화된 제품을 저렴한 경비로 양산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직기용 템풀(temple)을 구성함에 있어서, 템풀본체(20)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되, 템풀본체(20)상에 다수개의 핀공(21)과 관통공(22)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하고, 상기 핀공(21) 및 관통공(22)에 통상의 금속핀(23) 및 지지관체(30)를 끼워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템풀.
KR20-2003-0014651U 2003-05-13 2003-05-13 직기용 템풀 KR200324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651U KR200324005Y1 (ko) 2003-05-13 2003-05-13 직기용 템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651U KR200324005Y1 (ko) 2003-05-13 2003-05-13 직기용 템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005Y1 true KR200324005Y1 (ko) 2003-08-21

Family

ID=49337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651U KR200324005Y1 (ko) 2003-05-13 2003-05-13 직기용 템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0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9003A (zh) * 2012-03-21 2012-08-01 绍兴越红纺研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纬纱强收缩型织物的阶梯式边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9003A (zh) * 2012-03-21 2012-08-01 绍兴越红纺研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纬纱强收缩型织物的阶梯式边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4342B2 (en) Flexible knitting pin
KR100616204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스트링거 및 그 제조방법
US20180078881A1 (en) Mesh filter
KR200324005Y1 (ko) 직기용 템풀
US20180229158A1 (en) Tubular mesh filter
ES2371731A1 (es) Molde para piezas inyectadas con contrasalidas internas.
US10299539B2 (en) Connectable drawstrings with insertion tool
US20050238844A1 (en) Non-sewn adhesive tape and the manufacture thereof
US2443540A (en) Knitting pin
JP2016199035A (ja) 樹脂成形品、そ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337770A (en) Bobbin
CS244400B1 (en) All-plastic screen and mould for its production
US2333340A (en) Method of making bobbins
JPH09291447A (ja) 手編み具およびその構成部品
KR100302268B1 (ko) 스텐트 제작용 지그
EP2035607B1 (en) A wear resistive device for forming a leno weave
KR20080020828A (ko)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US2658533A (en) Weaving shuttle of molded material having embedded tip-anchoring means
CN211439130U (zh) 一种方便更换的数控机床夹头
KR200279041Y1 (ko) 직기용 종광
KR100353970B1 (ko) 단추 성형용 코아 및 그 제조방법
JP2001022275A (ja) フィラメント部に糸条体を使用した係止片とその製造方法
KR200478364Y1 (ko) 자카드직기용 종광
KR100540312B1 (ko) 비닐지퍼백용 원단 제조방법 및 그 제조금형
CN213307748U (zh) 一种拼装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