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045Y1 -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045Y1
KR200323045Y1 KR20-2003-0014194U KR20030014194U KR200323045Y1 KR 200323045 Y1 KR200323045 Y1 KR 200323045Y1 KR 20030014194 U KR20030014194 U KR 20030014194U KR 200323045 Y1 KR200323045 Y1 KR 200323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orting
stone
uni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훈일
Original Assignee
박훈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훈일 filed Critical 박훈일
Priority to KR20-2003-0014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0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0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2차 파쇄된 중,소입자의 석재가 선별부를 통과할 경우 입자가 큰 석재는 콘크러셔로 재파쇄하여 선별부로 재이송하고, 선별부를 거친 각 석재는 컨베이어식 집수조를 통해 물과 토사 배출슈트가 형성되어 있는 이송 컨베이어로 분리 이송시킴으로써, 최소한의 용적율로 석재의 선별 정밀도를 최대화시켜 폐기물의 재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1차 선별부, 2차 선별부, 1,2차 파쇄부, 3차 선별부, 3차 파쇄부, 수처리부, 석재 유출부의 조합으로 형성된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The sorting system of construction waste}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2차 파쇄된 중,소입자의 석재가 선별부를 통과할 경우 입자가 큰 석재는 콘크러셔로 재파쇄하여 선별부로 재이송하고, 선별부를 거친 각 석재는 컨베이어식 집수조를 통해 물과 토사 배출슈트가 형성되어 있는 이송 컨베이어로 분리 이송시킴으로써, 최소한의 용적율로 석재의 선별 정밀도를 최대화시켜 폐기물의 재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는 다양한 건축구조물을 재건축하는데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그 용도나 크기에 따라 토사, 자갈 등으로 폐기물을 분리하여 선별하며, 폐기물속에 혼재된 철근, 비닐, 스티로폼 등의 이물질은 분리 제거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은 조크러셔(Jaw Crusher), 콘크러셔(Cone Crusher), 스크린, 집수조 등을 이송 컨베이어로 연결하여 구성되는데, 먼저 원석이 조크러셔에 투입되어 1차적으로 파쇄되고, 1차 파쇄된 석재는 콘크러셔에 투입되어 2차적으로 파쇄된다. 상기에서 파쇄된 석재는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다공망체로 형성된 스크린에 투입되어 그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리 선별된 후 수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집수조를 통해 각 석재에 흡착되어 있는 토사가 세척 분리되는 동시에 석재에 혼재된 이물질이 선별 제거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석재는 2차 파쇄단계를 거치게 되지만 그 파쇄효율정도가 낮고 이로 인하여 선별 정밀도도 감소되었다. 즉, 상기의 집수조에 투입된 석재 및 자갈은 집수조에서 토사를 선별해 내지 못함으로 인하여 토사와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이송컨베이어를 통한 이송시에도 석재에 물과 토사가 혼재된 상태에서 이송되므로 선별 정밀도 감소의 주원인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집수조에 투입된 석재 및 자갈에는 이물질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나 이를 수작업으로 제거함으로써 이물질의 완전한 제거가 불가능하여 선별 정밀도를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근래들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력분리수단이나 샌드밀을 이용하여 선별 정밀도를 증대시키고, 파쇄시 발생하는 비산을 감소시키고자 한 것(실용신안등록제 302005 호)가 있으나 이는 용적율이 높고,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샌드밀을 이용한 분쇄로 파쇄효율이 감소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데 있는 것으로, 제 1,2 조크러셔, 콘크러셔, 다공망체로 형성된 제 1,2 스크린, 이물질 차단가이드와 토사선별기가 형성되어 있는 집수조, 표면에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는 안내슈트가 형성되어 있는 유출컨베이어를 조합시켜 1차 선별단계, 1~2차 파쇄단계, 2차 선별단계, 3차 선별단계, 3차 파쇄단계, 수처리단계, 환원단계를 거쳐서 선별함으로써, 폐기물 선별의 정밀도를 최대화시켜 재활용 효율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의 용적율은 최소화시킬 수 있는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을 제공코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a 내지 3c는 본 고안의 수처리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2: 이송컨베이어 3-3,3'-3: 토사 배출컨베이어
3-4~7:이송컨베이어 4,4': 유입컨베이어 5,5': 유출컨베이어
6: 안내슈트 7: 배출공 10: 원석투입구
11: 선별대 20: 제 1 조크러셔 20': 제 2 조크러셔
21: 조 30: 콘크러셔 31: 콘맨틀헤드
32: 콘케이브볼 40: 제 1 스크린 40': 제 2 스크린
41: 다공망체 50: 집수조 60: 이물질선별기
61: 송풍기 62: 이물질 차단가이드 63: 이물질 배출컨베이어
80: 토사선별기 81: 와이퍼 82: 이송컨베이어
83: 토사적재함 100: 1차 선별부 200: 2차 선별부
300: 1~2차 파쇄부 400: 3차 선별부 500: 3차 파쇄부
600: 수처리부 700: 석재 배출부 S1: 1차 선별단계
S1': 2차 선별단계 S1": 3차 선별단계 S2: 1차 파쇄단계
S2': 2차 파쇄단계 S2": 3차 파쇄단계 S3: 수처리단계
S4: 환원단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a 내지 3c는 본 고안의 수처리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원석투입호퍼(10)의 일측 저면으로 조(21)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조크러셔(20), 콘 맨틀헤드(31)와 콘 케이브볼(32)로 형성되어 있는 콘크러셔(30), 상이한 크기의 다공망체(41)(41')로 형성된 제 1,2 스크린(40)(40'), 석재 유입컨베이어(4)(4')와 석재 유출컨베이어(5)(5')가 형성되어 있는 집수조(50), 송풍기(61)가 형성되어 있는 이물질선별기(60), 이송컨베이어의 조합으로 형성된통상의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석투입호퍼(10)의 저면으로 다수개의 선별대(11)가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1차 선별부(100);와 이송컨베이어(3-1)를 통해 원석투입호퍼(10)의 일측으로 제 1 스크린(4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스크린(40)의 일측으로 이송컨베이어(3-2)가, 하측으로는 토사 배출컨베이어(3-3)가 형성되어 있는 2차 선별부(200);와 이송컨베이어(3-4)(3-5)를 통해 원석투입호퍼(10)의 타측으로 제 1,2 조크러셔(20)(20')가 연결되어 있는 1,2차 파쇄부(300);와 1,2차 파쇄부(300)의 이송컨베이어(3-5)와 2차 선별부(200)의 이송컨베이어(3-2)가 제 2스크린(40')의 일측으로 연결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2스크린(40')의 하측에는 토사 배출컨베이어(3'-3)와 유입컨베이어(4)가, 일측에는 유입컨베이어(4')가 장착되어 있는 3차 선별부(400);와 이송컨베이어(3-6)를 통해 3차 선별부(400)의 일측으로 콘크러셔(3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콘크러셔(30)의 일측으로는 이송컨베이어(3-7)가 연결되어 있는 3차 파쇄부(500); 3차 선별부(400) 하측과 일측의 유입컨베이어(4)(4')가 집수조(50)에 연결되어 있되, 상기 집수조(50) 내부에는 와이퍼(81)가 형성된 이송컨베이어(82)를 통해 토사를 선별해 내는 토사선별기(80)가 장착되어 있고, 상측으로는 이물질 차단 가이드(62), 송풍기(61), 이물질 배출컨베이어(63)로 구성된 이물질 선별기(60)가 장착되어 있는 수처리부(600);와 수처리부(600) 일측에 석재 유출컨베이어(5)(5')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유출컨베이어(5)(5')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토사 및 물 배출공(7)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는 토사 및 물 안내슈트(6)가 형성되어 있는 석재 유출부(700);의 조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에서 선별시스템의 장착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석투입호퍼(10)의 저면으로는 선별대(11)를 형성하고, 일측으로는 제 1 조크러셔(20)를 장착하며, 하측으로는 이송컨베이어(3-1)를 장착하여 다단 다공망체(42)(42')로 형성된 제 1 스크린(40)과 연결한다.
상기 제 1 조크러셔(20)의 일측에 이송컨베이어(3-4)를 장착하여 제 2 조크러셔(20')와 연결하고, 제 2 조크러셔(20')의 일측에는 이송컨베이어(3-5)를 장착하는데, 상기 각 이송컨베이어(3-1)(3-4)(3-5)상에는 통상의 자력선별기(90)가 장착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크린(40) 하단의 다공망체(42') 하측으로는 토사 배출컨베이어(3-3)를, 상단 다공망체(42)와 하단 다공망체(42')의 일측에는 이송컨베이어(3-2)를 장착한다.
상기 제 2 조크러셔(20')와 제 1 스크린(40)에 장착된 이송컨베이어(3-5)(3-2)는 제 2 스크린(40')과 연결하는데, 상기 제 2 스크린(40')은 제 1 스크린(40)에서와 같이 다단 다공망체(43)(43')로 형성하되, 하단의 다공망체(43')는 망구조가 조밀하게 구성된 제 1 다공망체(43'-1)와 상기 제 1 다공망체(43'-1) 보다는 덜 조밀하게 구성된 제 2 다공망체(43'-2)로 형성한다. 상기 제 2 스크린(40')의 제 1 다공망체(43'-1) 하측으로는 토사 배출컨베이어(3'-3)를 장착하고, 제 2 다공망체(43'-2) 하측과 일측으로는 유입컨베이어(4)(4')를 장착하며, 상단의 다공망체(43) 일측으로는 이송컨베이어(3-6)를 장착하여 콘크러셔(30)와 연결한다. 상기 콘크러셔(30)의 하측에는 다시 이송컨베이어(3-7)를 연결하여 제 2 조크러셔(20')와 제 2 스크린(40')을 연결하는 이송컨베이어(3-5)에 재연결한다.
그리고 유입컨베이어(4)(4') 일측으로는 유출컨베이어(5)(5')가 장착된 집수조(50)를 형성하는데, 도 3a 내지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수조(50) 일측으로는 이물질 배출컨베이어(63)를 장착하고, 타측으로는 토사적층함(83)을 장착한다. 또한 그 내부에는 와이퍼(81)가 형성된 토사 이송컨베이어(82)를 장착하고, 중심으로는 이물질이 유출컨베이어(5)(5')에 혼재된 상태로 이송되지 않도록 이물질 차단 가이드(62)와 송풍기(61)을 형성한다.
상기 유출컨베이어(5)(5')에는 표면으로 토사 및 물을 배출하는 배출공(7)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상기 배출공(7)을 통해 배출되는 토사 및 물을 집수조(50)로 환원시키기 위한 안내슈트(6)를 장착하여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선별시스템으로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선별 시스템을 통해 건축폐기물을 선별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1차 선별단계(S1)에서는 원석투입호퍼(10)에 원석폐기물을 투입하여 원석에 혼재된 중,소입자의 재활용 석재와 토사를 선별대(11)를 통해 별도로 선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선별대(11)를 통과하지 못한 입자가 큰 원석은 제 1 조크러셔(20)로 바로 투입되고, 선별대(11)를 통과한 중,소입자 석재와 토사는 원석투입호퍼(10) 하측의 이송컨베이어(3-1)를 통해 제 1 스크린(40)으로 이송하게 된다.
2차 파쇄단계(S2)에서는 상기 1차 선별단계(S1)를 통해 선별된 원석 중 입자의 크기가 큰 원석이 제 1 조크러셔(20)에 투입되어 파쇄되고, 상기 파쇄물은 다시 제 2 조크러셔(20')를 통해 재파쇄되어 원석의 입자가 축소시키게 되며, 이어 제 2 스크린(40)으로 유입된다.
2차 선별단계(S1')에서는 상기 1차 선별단계(S1)를 통해 선별된 원석 중 중,소입자 석재와 토사를 제 1 스크린(40)으로 재선별하게 되는데, 이때 제 1 스크린(40)의 다공망체(41)가 다단으로 형성된 상,하단 다공망체(42)(42')로 형성되어 있어, 입자의 크기에 따라 3가지 종류로 분리 선별하게 된다. 즉, 제 1 스크린(40)의 상,하단 다공망체(42)(42')를 모두 통과한 토사는 토사 배출컨베이어(3-3)를 통해 이송되고, 상단 다공망체(42)를 통과하지 못한 중입자의 석재와 하단 다공망체(42')를 통과하지 못한 소입자의 석재는 하나로 합쳐진 후 이송컨베이어(3-2)를 통해 제 2 스크린(40')으로 유입된다.
3차 선별단계(S1")에서는 상기 2차 선별단계(S1')를 거친 파쇄물 중 토사는 제 1 스크린(40) 하측의 토사 배출컨베이어(3-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입자가 작은 석재와 2차 파쇄단계(S2')를 거친 파쇄물은 이송컨베이어(3-5)를 통해 제 2 스크린(40')으로 유입되어 분리 선별하는데, 이때 파쇄물은 제 2 스크린(40')의 상단 다공망체(43)를 통과한 입자와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분리되며, 통과한 입자는 다시 하측 다공망체(43')를 통과하면서 하단 다공망체(43')를 통과한 입자와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분리된다. 또한 하단 다공망체(43')에서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제 1 다공망체(43'-1)를 통과한 토사와, 제 2 다공망체(43'-2)를 통과한 자갈로 선별되는데, 즉 상단 다공망체(43)와 제 1 다공망체(43'-1)를 통과한 토사는 제 1 스크린(40)의 토사 배출컨베이어(3-3)와 합쳐져 배출되고, 상단 다공망체(43)를 통과하지 못한 중입자의 석재는 이송컨베이어(3-6)를 통해 콘크러셔(3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단 다공망체(43)와 제 2 다공망체(43'-2)를 통과한 자갈은 유입컨베이어(4)를 통해 집수조(50)로 유입되고, 제 1,2 다공망체(43'-1)(43'-2)를 모두 통과하지 못한 소입자 석재는 제 2 스크린(40') 일측의 유입컨베이어(4')를 통해 집수조(50)로 유입되는 것이다.
3차 파쇄단계(S2")에서는 상기 3차 선별단계(S1")에서 제 2 스크린(40')의 상단 다공망체(43)를 통과하지 못한 중입자의 석재를 제 2 스크린(40')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이송컨베이어(3-6)를 통해 콘크러셔(30)로 이송하여 소입자 내지 자갈로 파쇄하고, 파쇄된 석재는 이송컨베이어(3-7)를 통해 제 2 조크러셔(20')와 제 2 스크린(40')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이송컨베이어(3-5)에 연결하여 제 2 스크린(40')으로 재유입시킨다.
수처리단계(S3)에서는 도 3a 내지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스크린(40')을 통해 선별된 각 석재와 자갈을 제 2 스크린(40') 하측과 일측의 각 유입컨베이어(4)(4')를 통해 집수조(50)로 유입시키는데, 이때 유입된 각 석재에는 토사 뿐만 아니라 비닐, 스티로폼 등의 이물질이 혼재되어 있다. 여기서 토사는 비중이 높아 집수조(50) 저면으로 침전하게 되는데, 침전된 토사는 집수조(50) 저면부에 장착되어져 있는 이송컨베이어(82)의 와이퍼(81)로 긁어서 토사적층함(83)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비중이 낮은 이물질은 부유하게 되는데, 먼저 1차적으로 부유 이물질이 집수조(50) 일측으로 장착된 이물질 차단 가이드(62)에 의해 유출컨베이어(5)(5')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2차적으로 집수조(50) 일측에 장착된 송풍기(61)를 통해 부유 이물질을 한쪽으로 모으며. 마직막으로 3차적으로 모인 부유 이물질을 이물질 배출컨베이어(63)로 배출시킨다.
환원단계(S4)에서는 집수조(50)를 통해 수처리된 소입자의 석재 및 자갈을 유출컨베이어(5)(5')로 이송할 경우 유출컨베이어(5)(5')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배출공(7)을 통해 석재 및 자갈에 흡착되거나 첨가되어 있는 토사와 물을 유출컨베이어(5)(5') 하측의 안내슈트(6)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안내슈트(6)는 집수조(50)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출된 토사와 물은 집수조(50)로 환원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통상의 선별시스템과는 달리 원석폐기물을 파쇄하기 전에 원석폐기물에 혼합되어 있는 중,소입자의 석재와 토사를 먼저 선별하여 파쇄 효율을 증대시키고, 집수조(50)를 통한 토사선별시 선별 효율도 증대시켰다. 또한 통상의 스크린을 통한 선별시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폐기물은 3차적으로 파쇄시킴으로써 파쇄 효율 증대와 동시에 선별 정밀도를 증대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수처리부(600)에서는 토사선별을 위해 와이퍼(81)가 장착된 이송컨베이어(82)를 장착함으로써 수자원의 낭비를 절감하게 되고, 집수조(50)의 일측에 이물질 차단가이드(62)를 형성하고 유출컨베이어(5)(5')에 배출공(7)과 안내슈트(6)를 형성함으로써, 재활 폐기물의 선별 정밀도를 더욱 증대시켰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1차 선별단계와 3차 파쇄단계를 추가하기 위하여 1차 선별부와 3차 선별부를 형성하고, 폐기물에서 토사와 이물질을 명확하게 선별해 내기 위해서 집수조 내부에 와이퍼가 장착된 컨베이어식 토사선별기와 이물질 차단가이드를 형성하며, 유출컨베이어는 표면으로 다수개의 배출공을, 하측으로는 토사 및 물 안내슈트를 형성함으로써, 폐기물의 파쇄효율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선별 정밀도를 확연히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기존의 선별시스템에 비해 용적율를 낮은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원석투입호퍼(10)의 일측 저면으로 조(21)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조크러셔(20), 콘 맨틀헤드(31)와 콘 케이브볼(32)로 형성되어 있는 콘크러셔(30), 상이한 크기의 다공망체(41)(41')로 형성된 제 1,2 스크린(40)(40'), 석재 유입컨베이어(4)(4')와 석재 유출컨베이어(5)(5')가 형성되어 있는 집수조(50), 송풍기(61)가 형성되어 있는 이물질선별기(60), 이송컨베이어의 조합으로 형성된 통상의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석투입호퍼(10)의 저면으로 다수개의 선별대(11)가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1차 선별부(100);와 이송컨베이어(3-1)를 통해 원석투입호퍼(10)의 일측으로 제 1 스크린(4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스크린(40)의 일측으로 이송컨베이어(3-2)가, 하측으로는 토사 배출컨베이어(3-3)가 형성되어 있는 2차 선별부(200);와 이송컨베이어(3-4)(3-5)를 통해 원석투입호퍼(10)의 타측으로 제 1,2 조크러셔(20)(20')가 연결되어 있는 1,2차 파쇄부(300);와 1,2차 파쇄부(300)의 이송컨베이어(3-5)와 2차 선별부(200)의 이송컨베이어(3-2)가 제 2스크린(40')의 일측으로 연결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2스크린(40')의 하측에는 토사 배출컨베이어(3-3)와 유입컨베이어(4)가, 일측에는 유입컨베이어(4')가 장착되어 있는 3차 선별부(400);와 이송컨베이어(3-6)를 통해 3차 선별부(400)의 일측으로 콘크러셔(3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콘크러셔(30)의 일측으로는 이송컨베이어(3-7)가 연결되어 있는 3차 파쇄부(500); 3차 선별부(400) 하측과 일측의 유입컨베이어(4)(4')가 집수조(50)에 연결되어 있되, 상기집수조(50) 내부에는 와이퍼(81)가 형성된 이송컨베이어(82)를 통해 토사를 선별해 내는 토사선별기(80)가 장착되어 있고, 상측으로는 이물질 차단 가이드(62), 송풍기(61), 이물질 배출컨베이어(63)로 구성된 이물질 선별기(60)가 장착되어 있는 수처리부(600);와 수처리부(600) 일측에 석재 유출컨베이어(5)(5')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유출컨베이어(5)(5')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토사 및 물 배출공(7)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는 토사 및 물 안내슈트(6)가 형성되어 있는 석재 유출부(700);의 조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
KR20-2003-0014194U 2003-05-07 2003-05-07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 KR200323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194U KR200323045Y1 (ko) 2003-05-07 2003-05-07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194U KR200323045Y1 (ko) 2003-05-07 2003-05-07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104A Division KR100487089B1 (ko) 2003-05-07 2003-05-07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045Y1 true KR200323045Y1 (ko) 2003-08-14

Family

ID=4941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194U KR200323045Y1 (ko) 2003-05-07 2003-05-07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0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019B1 (ko) 2006-02-17 2007-08-02 주식회사 선영테크 이물질을 중앙 집중식으로 포집하는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
KR101069627B1 (ko) 2009-02-09 2011-10-05 서봉원 차량용 골재스크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019B1 (ko) 2006-02-17 2007-08-02 주식회사 선영테크 이물질을 중앙 집중식으로 포집하는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
KR101069627B1 (ko) 2009-02-09 2011-10-05 서봉원 차량용 골재스크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75B1 (ko)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KR100529690B1 (ko)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CN204294609U (zh) 一种固定式建筑垃圾处理生产线
KR100487089B1 (ko)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50435B1 (ko) 석재 및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골재 제조장치
KR20100110051A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JP3342851B2 (ja) 混合廃棄物の分別処理システム
KR20020050185A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부순모래 제조방법
KR101785001B1 (ko)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KR100574675B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선별방법
KR200323045Y1 (ko)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
KR100434799B1 (ko)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KR100633765B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선별방법
KR100404147B1 (ko) 쓰레기 분리용 선별장치
KR200343964Y1 (ko) 농지 객토를 위한 토사선별시스템
CN206692537U (zh) 污泥处理系统
CN105798002A (zh) 建筑垃圾处理生产线的分类装置
JPS63218264A (ja) 砂利選別装置
KR200302027Y1 (ko)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
KR20120056396A (ko) 폐콘크리트 재활용 골재 및 파쇄석 골재 생산 시스템
CN214765657U (zh) 一种混凝土再生骨料破碎筛选生产线
CN110340009A (zh) 一种多功能建筑垃圾筛分机
CN117696215B (zh) 一种垃圾焚烧炉渣的分选回收系统
CN202318640U (zh) 一种聚乙烯管材破碎料或落地料分拣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