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920Y1 - 난연 알루미늄 원단 - Google Patents

난연 알루미늄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920Y1
KR200322920Y1 KR20-2003-0016682U KR20030016682U KR200322920Y1 KR 200322920 Y1 KR200322920 Y1 KR 200322920Y1 KR 20030016682 U KR20030016682 U KR 20030016682U KR 200322920 Y1 KR200322920 Y1 KR 200322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fabric
aluminum
nonwoven fabric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환
Original Assignee
황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환 filed Critical 황정환
Priority to KR20-2003-0016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9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9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14Corona, ionisation, electrical discharge, plasma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7/00Adhesives based on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난연 알루미늄 원단은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양면에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는 알루미늄 시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직포는 난연첨가물이 첨가된 폴리프로필렌이거나, 난연첨가물이 함유된 코팅층을 가진 폴리프로필렌이며, 상기 접착층은 열가소성 접착제로서 LDPE,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Description

난연 알루미늄 원단{flame retardant aluminium rolling film}
본 고안은 난연 알루미늄 원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닥트나 자동차 커버 등의 단열 소재로 사용되는 난연 알루미늄 원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자동차의 커버나 플럭서블 덕트의 단열재로 사용되던 것은 주로 타포린 또는 PET 필름 양면에 알루미늄이 피복된 알루미늄 시트였다.
상기 타포린은 PVC수지와 폴리에스터 직물의 합지로서 내구성이 우수한 제품이다. 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무거우면서 복원력이 좋지 않아 취급에 불편한 점이 많았다. 특히, 타포린의 주성분인 PVC는 단열성과 내열성이 취약하여, 화재 발생시 염산 등과 같은 유독가스를 방출하여 많은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알루미늄 시트는 타포린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가볍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PET 필름은 재활용이 용이하다는 특성상 불에 타기 쉬운 가연성이며, 인장강도가 낮아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PET 필름은 금속재인 알루미늄과 접착성은 우수하지만 보온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소정 두께이상으로 가공하지 않으면 금속재가 가지는 온도 민감성으로 인해 단열재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했다. 아울러, 두께로 인한 작업성도 좋지 않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두께가 얇아 경량이면서도 단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하며, 작업성이 좋고 가격이 저렴한 난연 알루미늄 원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 알루미늄 원단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 알루미늄 원단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연 알루미늄 원단의 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난연 알루미늄 원단은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양면에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는 알루미늄 시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직포는 난연첨가물이 첨가된 폴리프로필렌이거나 난연첨가물이 함유된 코팅층을 가진 폴리프로필렌이며, 접착층은 열가소성 접착제로서 LDPE,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양면에 형성되는 제 1, 2접착층 및 상기 제 1접착층에 접착되는 알루미늄 시트를 구비한 난연 알루미늄 원단이 제공되며, 이때 상기 제 2접착층은 코로나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 알루미늄 원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원단은 부직포(10)의 양면에 알루미늄 시트(20)를 접착한 적층 시트이다.
상기 부직포(10)는 본 적층 시트에 인장강도, 보온성 및 난연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그 원료로는 면, 마, 양모, 석면, 유리섬유, 아세테이트 등과 폴리에스터, 비스코스레이온,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등 천연섬유로부터 화학섬유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채용가능하다. 상기 원료의 선택은 부직포의 용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본 고안에서 요구되는 난연성 원료로서는 폴리프로필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장섬유 부직포로서,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이루어진 스테이플 화이버를 웹(web)으로 엮고 니들 펀치(needle punch)를 이용하여 포(fabric)로 형성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테이플 화이버 제조시 상기 폴리프로필렌에 공지의 난연첨가물을 추가로 첨가하거나, 난연 첨가물을 함유하는 코팅층을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위에 코팅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의 난연성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시트(20, 20')는 본 적층 시트의 단열보온재로 이용되는 것으로, 상기 부직포(10)의 양면에 접착제에 의해 적층된다. 알루미늄은 고온에서의 복사열 반사 특성은 우수한 반면에 저온에서 냉기를 빨리 흡수하는 단점이 있지만, 상기 부직포(10)를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서 외관이 미려해지며, 보온성을 향상시켜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시트(20, 20')로는 압연 가공된 수 마이크로미터의 박막을 이용한다.
상기 부직포(10)와 알루미늄 시트(20, 20') 사이에는 접착층(30, 3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층(30, 30')은 열가소성 접착제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lene ; 이하 LDPE),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LDPE이다. 상기 LDPE는 내열성 및 가격이 저렴하며,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파열강도가 우수하여 사출성형에 적합하고 스트레스와 크랙성이 좋아 작업성이 우수하다. 특히, LDPE는 핫 멜팅(hot melting) 접착성을 가지기 때문에, 열경화성 접착제와는 달리 고체의 시트 형상으로 라미네이팅 공정에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난연 알루미늄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원단 공급롤러(100)에 감겨진 폴리프로필렌 부직포(10)는 선처리부재 (110)를 통과하면서 가열 가압되어, 유동상태로 피딩롤러(120)를 거쳐 압출룰러 (130)에 인입된다. 마찬가지로, 제 2공급롤러(140)에 감겨진 알루미늄 시트(20)도T다이(150)를 통해 공급되는 접착제와 함께 압출롤러(130)에 인입된다. 이때, 상기 접착제로 쓰이는 LDPE는 고상의 접착 시트(32)로 공급된다.
이어서, 상기 한 쌍의 압출롤러(130)에서는 상기 선처리부재(110)를 통과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10)와 상기 접착 시트(32) 및 알루미늄 시트(20)가 냉각되면서 라미네이팅된다. 그리고, 압출롤러(130)를 통과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10)와 알루미늄 시트(20)의 적층시트(40)는 후처리부재(160)에서 트리밍되면서 권취롤러 (170)에 감기게 된다.
상기 공정에 따라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10)의 일면에 알루미늄 시트(20)가 적층된 적층시트(40)가 제조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권취롤러(170)에 감긴 상기 적층시트(40)를 상기 원단 공급롤러(100)에 다시 감고 상기 공정을 반복실시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부직포(10)의 양면에 알루미늄 시트(20, 20')가 적층된 난연 알루미늄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난연 알루미늄 원단은 종래의 PET계 알루미늄 시트에 사용되는 PET 수지보다 상대적으로 얇으면서도 동일한 보온 효과를 가지는 부직포 (10)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트의 두께가 얇아지면서도 보온 효과가 뛰어나며, 두께의 감소로 인해 작업성도 향상된다. 또한, 상기 부직포(10)는 PET 수지와 같은 직물이 아니기 때문에 인장강도가 높아 잘 찢어지지 않는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연 알루미늄 원단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11)의 일면에는 제 1접착층(33)을 설치한 후 알루미늄 시트(21)를 접착하였고, 타면에는 제 2접착층(34)을 설치한 후코로나 방전처리하였다. 코로나 방전처리란 방전으로 대상체에 물리적인 표면개질과 극성관능기 생성에 의한 화학적인 표면개질의 상승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방전 대상체의 젖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제 2접착층(34)을 코로나 방전처리함으로써 접착층으로 쓰이는 LDPE의 접착성을 향상시켜, 닥트 등과 같은 피가공체의 단열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원단을 이용하여 닥트의 표면을 둘러쌀 때, 겹쳐지는 최상층의 상기 알루미늄 시트(21)와 최하층의 상기 제 2접착층(34)이 상기 제 2접착층(34)의 젖음성으로 인해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로나 방전처리는 상술한 난연 알루미늄 원단 제조 공정 중 선처리부재(110)에 실시된다. 선처리부재(110)는 미도시된 한 쌍의 압출롤러와 외에 열처리부재와 고주파 전극을 구비함으로써, 코로나 방전처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접착층(34)의 표면에는 접착제의 자연 건조를 막기 위해 합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보호층(미도시)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난연 알루미늄 원단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난연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알루미늄 시트를 피복하였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며 불에 쉽게 타지 않는다.
둘째, 종래의 PET계 알루미늄 시트보다 얇은 두께로 동일한 단열 및 보온 효과를 가진다.
셋째, 경량이며 얇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며, 가격이 다른 제품에 비해 저렴하다.

Claims (4)

  1.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양면에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는 알루미늄 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알루미늄 원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난연첨가물이 첨가된 폴리프로필렌이거나, 난연첨가물이 함유된 코팅층을 가진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알루미늄 원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열가소성 접착제로서 LDPE,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알루미늄 원단.
  4.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양면에 형성되는 제 1, 2접착층; 및
    상기 제 1접착층에 접착되는 알루미늄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접착층은 코로나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알루미늄 원단.
KR20-2003-0016682U 2003-05-28 2003-05-28 난연 알루미늄 원단 KR200322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682U KR200322920Y1 (ko) 2003-05-28 2003-05-28 난연 알루미늄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682U KR200322920Y1 (ko) 2003-05-28 2003-05-28 난연 알루미늄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920Y1 true KR200322920Y1 (ko) 2003-08-14

Family

ID=4941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682U KR200322920Y1 (ko) 2003-05-28 2003-05-28 난연 알루미늄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92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23B1 (ko) * 2008-05-02 2010-11-23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난연 스크린
KR101207291B1 (ko) 2012-06-26 2012-12-03 김영웅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1394871B1 (ko) * 2013-11-20 2014-05-27 삼아알미늄 (주) 진공단열재용 복합강화 난연성 외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KR101550138B1 (ko) 2014-04-11 2015-09-04 삼아알미늄 (주) 진공단열재용 복합강화 난연성 외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23B1 (ko) * 2008-05-02 2010-11-23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난연 스크린
KR101207291B1 (ko) 2012-06-26 2012-12-03 김영웅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1394871B1 (ko) * 2013-11-20 2014-05-27 삼아알미늄 (주) 진공단열재용 복합강화 난연성 외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KR101550138B1 (ko) 2014-04-11 2015-09-04 삼아알미늄 (주) 진공단열재용 복합강화 난연성 외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5312B1 (en) Thermal bondable film for insulation fac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6788891B2 (ja) 粘着テープ及び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US4054710A (en) Laminated insulation blanket
US20130291990A1 (en) Duct insulation laminat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RU2011103698A (ru) Материал, защищающий от колющего и баллистического ударов,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190070835A1 (en) Multi-layered flame retardant and chemical resistant composit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190062275A (ko) 성형용 기재 부직포 및 이에 의해 얻어지는 성형체
KR200322920Y1 (ko) 난연 알루미늄 원단
KR101038192B1 (ko) 열차폐성 및 투습방수성이 우수한 다기능성 하우스 랩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678639A (zh) 层压电气绝缘零件
US6855404B2 (en) Inorganic sheet laminate
US20220165243A1 (en) Laminated sound absorbing material
US8986815B2 (en) Flame retardant polymer jacket
JP2007301774A (ja) 自動車内装材用基材及び自動車内装材
US20030082369A1 (en) Insulation facing material
US20230060951A1 (en) High Temperature Polymer Adhesive and Laminate Using the Adhesive
US20100129635A1 (en) Faced insula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EP3611296A2 (en) Non-woven fabric improved in weight reduction and sound absorp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203194B2 (en) Fire resistant composite
CN112223876B (zh) 一种复合片材和复合片材生产系统
JP6033539B2 (ja) 農畜産用の断熱パネル
CN111201140A (zh) 化学品和燃烧阻抑性织物接缝带
JP4879676B2 (ja) 塗装ブース用フィルタ
JP2002361803A (ja) 自動車内装材用基材及び自動車内装材
WO2017187631A1 (ja) 遮熱性シート材、遮熱性内装材及び遮熱性シート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