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590Y1 - 대형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대형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590Y1
KR200322590Y1 KR20-2003-0010136U KR20030010136U KR200322590Y1 KR 200322590 Y1 KR200322590 Y1 KR 200322590Y1 KR 20030010136 U KR20030010136 U KR 20030010136U KR 200322590 Y1 KR200322590 Y1 KR 200322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gear
aerial platform
board
support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남
Original Assignee
김동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남 filed Critical 김동남
Priority to KR20-2003-0010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5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5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9Movable platforms, Load ramps, e.g.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사용되는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크레인의 신축붐 선단에 결합되는 대형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고소작업대는 공지된 크레인의 붐 포인트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측 모서리에 힌지 결합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저면과 지지체의 하부 사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수평유지수단과; 상기 승강판 위에 설치되고 유압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감속기어와 맞물려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저면 중심에서 수직하게 신장된 구동기어축과, 상기 구동기어축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회전수단과; 상기 구동기어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의 상면에 체결되고 그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모터와 유압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와, 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모터와 유압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탑승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형 고소작업대{Warking platform attached crane boom}
본 고안은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사용되는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크레인의 신축붐 선단에 결합되어 도로나 고속도로를 가로지르는 교량이나 터널 또는 고가도로 등과 같이 대형 구조물의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대형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대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높은 곳에서의 작업, 예를 들어, 건물의 외벽작업, 천정작업, 교량점검 및 유지보수작업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대과 이 탑승대를 오르내리는 승강장치(乘降裝置)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고소작업대는 탑승대의 승강 방법에 따라 씨저형, 관절형, 신축붐형 등으로 나누어 지며 승강장치의 이동방식에 따라 자주식, 견인식 및 차량탑제식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씨저형 고소작업대는 작업위치의 직하방에 승강장치가 설치되고 탑승대가 수직방향으로 승강하기 때문에 구조가 단순하고 안정적인 장점은 있으나 도로나 고속도로와 같이 차량 통행이 빈번한 경우에는 차량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그리고 관절형 고소작업대는 복잡한 공간에서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장치가 복잡하고 대형 탑승대를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반면에 신축붐형 고소작업대는 구조가 간단하고 경사방향으로 신축되므로 대형 고소작업대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로나 고속도로를 가로질러 설치된 교량이나 육교 또는 터널 등에서의 고소작업은 현장까지의 거리가 상당히 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중에도 이동하거나 작업위치를 수시로 변경하여야 하므로 견인식 고소작업대와 같은 고정식은 사용할 수 없고 자주식 고소작업대나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자주식 고소작업대는 일반적으로 도로나 고속도로를 주행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견인식 고소작업대와 마찬가지로 사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그러므로 현재까지는 주로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가 사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의 일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소작업대(100)는 신축붐(110) 끝단에 후크 형태의 장착홈(111)이 형성된 장착브라켓(112)이 장착되고, 이 장착브라켓(112)의 장착홈(111)에는 장착대(122)를 매개로 탑승대(124;bucket)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100)는 비교적 소형 신축붐(110)에 한 두 명의 작업자가 탈수 있는 소형 버킷이 설치되는 것이어서,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가로등이나 교통 표시판 또는 가로수 관리와 같이 비교적 소형 시설물 관리에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탑승대(124)는 힌지 방식으로 신축붐(11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유지가 어렵고 작업자가 탑승대(124)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도로나 고속도로에 가로질러 설치된 교량이나 고가도로 또는 터널과 같은 대형 시설물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5∼6명이상의 작업자가 작업도구와함께 동시에 탑승할 수 있고 작업자가 탑승대의 수평방향이나 회전방향을 스스로 제어할 수 있으며 대형 신축붐을 이용함으로써 가능한 한 교통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대형 고소작업대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다수의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으며 도로나 고속도로를 가로지르는 교량이나 고가도로 또는 터널 등에서 고소작업할 때 가능한 한 교통 흐름을 방해를 주지 않는 대형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작업자가 작업도구와 함께 동시에 탑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대의 수평 유지가 용이하고 작업자가 탑승대를 스스로 제어 할 수 있는 대형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차량에 탑재된 고소작업대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고소작업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고소작업대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고소작업대의 측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고소작업대의 평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탑승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신축붐 30 : 지지체
33 : 승강판 37 : 유압실린더
50 : 수평유지수단 61 : 유압모터(또는 전기모터)
63 : 구동기어 65 : 플랜지
70 : 회전수단 80 : 원격제어 콘트롤러
85 : 다리 90 : 탑승대
93 : 보관대 95 : H빔
96 : 유압펌프(또는 발전기) 99 : 엔진(또는 밧데리)
97 : 제어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고소작업대는 대형 크레인 신축붐의 선단에 형성된 붐 포인트에 설치된다. 이제까지 대형 크레인의 신축붐에 설치된 대형 고소작업대는 개시되지 않았다. 본 고안은 대형 크레인의 붐에 탑승대를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되는 지지체와 수평유지수단 그리고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고소작업대는 공지된 크레인의 붐 포인트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사각틀 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측 모서리에 힌지 결합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저면과 상기 지지체의 하부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승강판을 상하로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수평유지수단과;
상기 승강판 위에 설치되고 유압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감속기어와 맞물려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저면 중심에서 수직하게 신장된 구동기어축과, 상기 구동기어축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으로 구성된 회전수단과;
상기 구동기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저면에는 상기 유압모터와 유압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가 설치되며, 내부 일측에는 상기 유압모터 및 유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압유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된 사각형상의 탑승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기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의 상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탑승대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H빔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승대의 저면에는 접철가능하도록 4개의 다리가 설치되고 상기 탑승대의 상부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와이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설치된 상기 유압모터와 유압펌프는 전기모터와 발전기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고소작업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고소작업대의 사시도이고, 도3은 수평유지수단의 작용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4는 회전수단의 작용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고소작업대의 특장점을 보여주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고소작업대는 크게 공지된 크레인의 붐 포인트(21)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지지체(30)와, 상기 지지체(30)에 설치된 수평유지수단(50)과, 상기 수평유지수단(50)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수단(70)과, 상기 회전수단(7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사각형상의 탑승대(9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체(30)는 대략 사각형 틀체로서 일측에는 크레인의 신축붐(20)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다수의 볼트구멍(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30)의 상측에는 승강판(33)이 회동가능하게 힌지(35)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판(33)의 저면과 지지체(30)의 하부 사이에는 승강판(33)을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37)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신축붐(20)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37)의 로드가 신축되어 승강판(33)을 회동시킴으로써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33) 위에는 유압모터(6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압모터(61)에 의해 구동되는 감속기어(62)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기어(63)가 맞물려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63)의 상면에는 탑승대(90)가 결합되는 플랜지(65)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저면 중심에서는 소정 길이의 구동기어축(67)이 수직하게 신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축(67)의 외주에는 베어링(69)이 설치되어 구동기어(6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유압모터(61)가 작동되면 구동기어(63)가 회전되어 플랜지(56)에 체결되어 있는 탑승대(9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미설명 부호 68은 구동기어(63)와 베이링(68) 등이 설치되어 있는 기어박스이다.
이어 상기한 플랜지(65)에는 사각형상의 탑승대(90)가 볼트 체결된다. 상기 탑승대(90)는 적어도 5∼6명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한 작업도구를 가지고 탑승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다수의 가로 및 세로 지지대(91)와 철망(94)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탑승대(90)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사각형상의 탑승대(90)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탑승대(90)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H빔(95)이 설치되어 플랜지(56)와의 결합을 좋게 한다.
한편, 상기 탑승대(90)의 저면 일측에는 상기 유압모터(61)와 유압실린더(37)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96)와 상기 유압펌프(96)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99)이 설치된 사각형상의 보관대(9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탑승대(90)의 내부에는 상기 엔진(99) 및 유압모터(61)와 유압실린더(37)로 공급되는 압유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97)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탑승대(90)에 탑승한 상태로 탑승대(90)의 수평과 회전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97)에는 별도의 원격제어 콘트롤러(80)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손쉽게 탑승대(90)의 수평과 회전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고소작업대는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로나 고속도로를 가로질러 설치된 교량이나 고가도로 또는 터널 등와 같은 대규모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도로의 일측에 대형 크레인(1)을 설치하고 그 신축붐(20)의 선단에 본 발명에 따른 탑승대(90)를 설치함으로써 가능한 한 차량 흐름을 방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수의 작업자가 탑승대(90)에 탑승하여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65)의 상면에는 탑승대(90)의 저면에 설치된 H빔(95)의 날개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홈(6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홈(66)에 H빔(95)의 날개를 삽입한 후 볼트로 체결하면 탑승대(90)의 결합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대(90)의 저면에는 접철가능하고 그 하단에는 바퀴(86)가 설치된 4개의 다리(8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탑승대(90)를 이동시키거나 크레인의 붐 선단에 탑승대(90)를 설치할 때는 상기 다리(85)를 펼쳐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하부에 소정의 공간를 확보하여 지지체(30) 등의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탑승대(90)의 지지대(91)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와이어(92)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탑승대(90) 저면에 설치된 보관대(93)에는 유압펌프(96) 대신에 도시되지 않은 발전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유압모터(61) 대신에 도시되지 않은 전기모터를 구동시켜 탑승대(90)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고소작업대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탑승대(90)는 일반 트럭을 이용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현장으로 이동된 크레인(1)의 신축붐(20) 선단에 결합된다. 이어 탑승대(90)의 결합이 완료되면 탑승대(90)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 위치로 접근한다. 이때 탑승대(90)의높이와 거리는 크레인의 신축붐(20)에 의해 조절된다.
이어서, 탑승대에 탑승한 작업자는 필요시 제어부(97)의 레버를 조작하거나 또는 원격제어 콘트롤러(80)를 조작하여 유압실린더(37) 로드의 신축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탑승대(90)의 수평을 유지시키거나, 유압모터(61)를 구동시켜 탑승대(90)를 원하는 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고소작업대는 대형 크레인에 설치되어 다수의 작업자와 필요한 작업장비가 모두 탑재될 수 있기 때문에 교량이나 고가도로와 같이 대규모의 고소작업을 수행하는데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대형 고소작업대는 탑승대에 탑승한 작업자가 스스로 수평을 조절할 수 있고 탑승대의 회전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고소작업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또한 크레인의 이동성과 대형 신축붐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도로나 고속도로와 같이 교통의 흐름이 중요한 고소작업에서 교통 흐름을 가능한 한 방해하지 않으면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공지된 크레인의 붐 포인트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측 모서리에 힌지 결합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저면과 상기 지지체의 하부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을 상하로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수평유지수단과;
    상기 승강판 위에 설치되고 유압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감속기어와 맞물려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저면 중심에서 수직하게 신장된 구동기어축과, 상기 구동기어축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회전수단과;
    상기 구동기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의 상면에 볼트 체결되고 그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모터와 유압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와, 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모터와 유압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사각형상의 탑승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고소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대의 저면에 발전기와 전기모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고소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의 상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탑승대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H빔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고소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대의 저면에는 바퀴가 설치되고 접철가능한 4개의 다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고소작업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원격제어용 콘트롤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고소작업대.
KR20-2003-0010136U 2003-04-03 2003-04-03 대형 고소작업대 KR200322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136U KR200322590Y1 (ko) 2003-04-03 2003-04-03 대형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136U KR200322590Y1 (ko) 2003-04-03 2003-04-03 대형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590Y1 true KR200322590Y1 (ko) 2003-08-09

Family

ID=49412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136U KR200322590Y1 (ko) 2003-04-03 2003-04-03 대형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5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419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temporary spread footing
WO2022037081A1 (zh) 一种水平结构的拆除清运方法
KR100907727B1 (ko) 송전탑 설치용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JP3923033B2 (ja) 橋梁の施工方法および橋梁の上部工
JPH10231505A (ja) 交通情報表示板の支持装置
CN109798136A (zh) 隧道支护车
EP0392310B1 (en) A machine for pile-driving, a method for transport and erection of a machine for piledriving, and a method for establishement of foundations beside rails
KR200322590Y1 (ko) 대형 고소작업대
CN110846955A (zh) 一种隧道铺轨机以及铺轨机用液压缸支臂
JP2004175545A (ja) 橋形クレーン
KR20200077088A (ko) 올인원 포트 홀 보수 차량
CN114776332A (zh) 一种既有隧道病害整治维修列车组
CN210684651U (zh) 一种土木工程用土钉顶入装置
JP2004176486A (ja) 作業台車
CN211446416U (zh) 一种隧道铺轨机以及铺轨机用液压缸支臂
CN211113081U (zh) 一种公路施工用防尘式路面切槽装置
CN210310099U (zh) 一种地下工程施工用多功能作业车
CN109838255B (zh) 一种临时防护滑动系统及其施工方法
JPH10196097A (ja) 移動支柱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仮設構造物の構築方法
JP2003239697A (ja) トンネル内装作業装置
CN219795265U (zh) 一种仰拱边墙移动式伸缩臂防水板铺挂作业平台
CN216665500U (zh) 一种煤矿用胶轮锚杆锚索钻车
JP2004263498A (ja) 防護柵の施工方法及び施工装置
CN221032749U (zh) 一种用于隧道建设及病害整治的修复结构
CN220184572U (zh) 一种建筑工程中的工人安全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