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390Y1 - 고강도 종이용기 - Google Patents

고강도 종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390Y1
KR200322390Y1 KR20-2003-0014426U KR20030014426U KR200322390Y1 KR 200322390 Y1 KR200322390 Y1 KR 200322390Y1 KR 20030014426 U KR20030014426 U KR 20030014426U KR 200322390 Y1 KR200322390 Y1 KR 200322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ntainer
disc
strength
side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권
박남우
Original Assignee
정용권
박남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권, 박남우 filed Critical 정용권
Priority to KR20-2003-0014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3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3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003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flattening or rim-rolling; Shaping by bending, folding or rim-rolling combined with joining; Apparatus therefor
    • B31F1/0006Bending or folding; Folding edges combined with joining; Reinforcing edges during the folding thereof
    • B31F1/0009Bending or folding; Folding edges combined with joining; Reinforcing edges during the folding thereof of plates, sheets or webs
    • B31F1/0012Bending or folding; Folding edges combined with joining; Reinforcing edges during the folding thereof of plates, sheets or webs combined with making folding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003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flattening or rim-rolling; Shaping by bending, folding or rim-rolling combined with joining; Apparatus therefor
    • B31F1/0006Bending or folding; Folding edges combined with joining; Reinforcing edges during the folding thereof
    • B31F1/0009Bending or folding; Folding edges combined with joining; Reinforcing edges during the folding thereof of plates, sheets or webs
    • B31F1/0016Folding edges; Folding edges combined with joining; Reinforcing edges during the folding thereof, e.g. by introducing a thread; Folding the edges of a shea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8Cre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5/00Attaching together sheets, strips or webs; Reinforcing edges
    • B31F5/005Attaching together sheets, strips or webs; Reinforcing edges by 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강도 종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으로 형성된 원판지를 각 모서리에 부채살 모양의 압축홈을 형성한 두장의 원판지를 프레스에 의하여 용기를 성형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내용물을 담거나 운반할 때 뒤틀리거나 찌그러짐이 없이 견고하고 안정된 형태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한 고강도 종이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환경친화적인 종이재질을 사용 제작하여 사용후에도 그대로 버려도 쉽게 분해되어 환경오염이 발생되지 않고 수거가 용이하고 경제성이 있어서 적극적으로 재활용이 된다.

Description

고강도 종이용기{height intensity paperware}
본 고안은 고강도 종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으로 형성된 원판지를 각 모서리에 부채살 모양의 압축홈을 형성한 두장의 원판지를 프레스에 의하여 용기를 성형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내용물을 담거나 운반할 때 뒤틀리거나 찌그러짐이 없이견고하고 안정된 형태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한 고강도 종이용기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환경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기후변화 협약과 국가마다의 환경보호를 이유로 한 통상압력 강화에 따라 환경친화적 경제,사회구조로의 전환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생존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식품용기등에 친환경적인 소재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최근 이에 대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점차 친환경적인 포장재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합성수지재 용기는 재활용이 어렵고 일회용의 속성상 한번 사용하면 폐기하게 되는데 이렇게 폐기된 용기는 매립시 오랜 세월이 흘러도 썩지 않고 소각시에는 다이옥신등의 유해물질이 배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오늘날 식품용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발포폴리스틸렌(PSP), 폴리프로필렌(PP),폴리스틸렌(PS),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같은 합성수지로 된 용기는 생산, 유통, 사용면에서 용이하고 유리한 것이 사실이나 위에서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이 제품들은 갖가지 독성과 유해물질로 인하여 결국 지구환경을 파괴시키게 된다
그 중 과일,야채,수산,정육등 농수축산물을 비롯한 받침제품이나 식품등을 수납하는 용기의 경우 그 정도가 매우 심각하여 각종 합성수지제품들이 범람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야기될 환경오염,환경파괴 현상은 범국가적으로 우리 모두 함께 해결해야 할 매우 심각한 과제인 것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환경오염이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친환경적 재질로 대체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용기의 재질로는 재활용이 가능하고 쓰레기로 매립시는 쉽게 썩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을 파괴시키지 말아야 하며 소각시에는 건강을 해치고 병들게 하는 독성 가스를 배출하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환경이나 인체에 해를 주지 않는 식물용기를 생각하게 되는데 그 중에서 종이제품을 들 수 있다.
종이제품은 생분해성이며 오존층 파괴에 관련되지 않을지라도 최근의 연구를 살펴보면 종이 제조시의 공해물질 배출이 발포폴리스티렌 제조의 경우보다도 공해물질 배출이 많다고 발표되고 있다.
종이 및 판지 제조에 사용되는 나무는 엄격하게 말해서 재생가능 하지만 이들의 넓은 지대 필요성과 신속한 고갈은 이러한 측면을 손상시킨다는 점에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그러나 종이는 자원순환형의 재생가능자원으로서 또한 종이제조시의 공해물질의 관리는 제어가능 하다는 점에서 최종적으로 폐기시에 광범위하게 버려지고 매립,소각되는 합성수지재질에 비해서 비교할 수 없는 친환경재질이라는 점에서 우위에 선다.
따라서 국내는 물론 외국에서도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사용되어 질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종이재질로 된 제품과 펄프몰드로 된 제품등 다양하게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종이재질이나 펄프몰드재질 용기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스티로폴 용기등 플라스틱재질용기보다 실용성이나 가격측면에서 떨어지지만 환경친화적이라는 점에서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는 점이다.
펄프몰드 용기란 용도에 따라 금형(몰드)을 제작 폐지,잡목등을 물에 대해 3~4%중량 정도로 분해시킨 펄프용액을 진공탈수성형 및 고열압착 시켜서 만든 성형품을 말한다.
펄프몰드 용기의 원료는 폐지와 잡목등을 원료로 사용해서 다양한 모양과 견고한 제품을 만들 수 있으나 장치산업으로서 설비비용 및 금형제작 비용이 매우 고가이고 제조공정의 복잡성과 성형시간이 오래 걸리고 금형제작 기간이 길며 또한 음식용 트레이 용기에 요구되는 충분한 내수성 및 내유성을 펄프몰드 용기에 부여하기가 어려워 별도의 내수,내유의 코팅제를 입혀야 된다.
따라서 생산되는 제품은 가격이 비싸다는 점이다.
펄프 몰드용기 이외에 종이로 주로 구성되는 성형가공 용기에는 주로 목재펄프로 구성되는 종이원단 시트가 가열하에 프레스 성형 가공되는 성형품이 있다.
이 프레스 성형가공 방법은 성형가공이 일회의 프레스 작동에 의해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높은 생산성을 가진다.
종이원단은 순수한 식물의 원료로 제작되어 지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목재등의 식물체를 기계적·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셀룰로오스 섬유를 분리하고 물에 현탁한 상태를 건조하여 만든 것으로 주로 목재펄프로 구성되는 원단시트로 우리 생활전반에 걸쳐 여러 분야에서 다방면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재료로서 매우 합당한 친환경 재질이라 할 수 있다.
종이재질은 펄프몰드에 비해 인쇄 및 디자인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과 재활용율의 경제성이 매우 우수한 반면 견고성을 요하는 농수축산물용의 받침접시나 각종 트레이류의 식품용기로의 사용에 제약받고 있다.
즉 종이재질용기는 강도가 근본적으로 약하고 얇은 평판일 수 밖에 없는 한계성 때문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굽힘이나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낮은 인장강도,낮은 신축성으로 인해 깊이를 요하는 용기의 제작이나 견고성을 요하는 용기에는 제약성이 따르나 즉석식품용이나 받침접시류(트레이)에는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공지된 종이트레이의 경우 종이 원지를 원하는 형상의 원판으로 재단하고, 내측에 주름 형성 수단을 갖는 프레스 금형에서 열을 가하여 압착하여 모서리에 주름을 잡고 고정시켜 주는 일련의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이트레이의 문제점과 종이재질의 특성상 평판으로 되어 있고 인장강도등이 약해서 각 모서리에 주름형상이 된 몰드에 의하여 압력을 줄시는 한꺼번에 많은 변형이 일어나므로 이때 생기는 급격한 변형응력에 의하여 용기모서리부분의 주름형상 부위가 약하거나 틈새가 터져 제작시의 불량률 발생률이 높고 내용물을 담거나 랩등으로 포장시에는 바닥부와 측벽 단부가 너무 약해 몹시 흐느적거리고 중심이 잡히지 않아 용기형체가 뒤틀리고 휘어지는 등 용기로서의 기능과 형태를 상실하므로 실용성이 떨어지고 수분이 있는 내용물의 경우에는 틈새를 통해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결점을 감안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종이재질의 원지의 일측 표면 전체에 폴리에틸렌 코팅된 사각으로 형성된 원판지를 각 모서리에 부채살 모양의 압축홈을 형성한 두장의 원판지를 겹쳐서 프레스에 의하여 용기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용기의 인장강도,결합강도,압축강도 및 파열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내수,내유성,보온,단열성을 향상시키며 내용물을 담아 포장하거나 운반할 때 뒤틀리기나 찌그러짐이 없이 견고하고 안정된 형태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환경친화적인 종이재질을 사용 제작하여 사용후에도 그대로 버려도 쉽게 분해되어 환경오염이 발생되지 않고 수거가 용이하고 경제성이 있어서 적극적으로 재활용이 된다.
도 1은 본 고안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용기의 두겹으로 접착된 종이원판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용기의 부채살 모양과 압축홈이 형성된 종이원판의 평면도
도4는 상,하부 몰드의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용기의 제조공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공정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강도종이용기 2; 주름살 3; 돌출테 4; 날개판 5; 바닥판
6; 측벽 7; 압축홈 8; 코팅층 9; 얇은 종이원판 10; 두꺼운 종이원판
10; 상부몰드 11; 하부몰드 12; 내열선 13; 냉각수순환부
14; 바닥판,측벽형성몰드부 15; 날개판형성몰드부 16; 꺽임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고강도 종이용기(1)는 단면에 폴리에틸렌 코팅된 사각으로 형성된 원판지(9,10)의 사면 모서리부위에 부채살 모양의 압축홈(7)를 형성한 두장의 원판지를 겹쳐서 상하부 몰드로 구성되어 있는 프레스에서 열에 의해서 가열압착에 의해서 용기가 형성되며 바닥판(5)과 이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된 측벽(6)들로 이뤄진 용기에 있어서, 상기 측벽 모서리부분(2)에는 주름살(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용기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용기의 두겹으로 접착된 종이원판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용기의 부채살 모양의 압축홈이 형성된 종이원판의 평면도이며 도4는 상,하부 몰드의 단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용기의 제조공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공정 블럭도이다.
도1에 따르면 본 고안용기(1)는 소정크기를 갖는 바닥판(5)과 이 바닥판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내부에 정배좌우의 측벽(6)들과 측벽사이의 코너는 주름형태(2)로 만곡되어 형성되고 측벽들에 연이어서 날개판(4)으로 이루어진다.
바닥판(5)에서 측벽(6)부위를 따라서 돌출테(3)가 여러줄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6)들의 외연부에는 절곡되어 통형의 보강테두리가 날개형태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날개판(4)의 중간부위를 따라 꺾임부(16)를 절곡해서 형성하고 이 보강테두리는 측벽 모서리를 돌아가며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닥판(5)에서 측벽(6)부위를 따라서 형성된 돌출테(3)와 날개형태의 보강테두리(4)에 의해서 바닥판과 측벽이 보강되어 강도가 증가하게 되고 성형성과 고급스러운 용기형상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본 용기(1)는 측벽(6)들을 잡고 용기(1)내에 내용물 예를 들어 음식물을 담을 때에 측벽이 흐느적거리거나 강도가 약해 처지는 등의 문제를 말끔히 해소할 수 있다.
즉 측벽들의 단부에 형성된 날개형태의 보강테두리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날개부와 측벽들을 잡고 음식을 담거나 운반할 때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잘 휘지 않아 본 용기를 매우 견고하게 지탱하여 주게 된다.
본 용기(1)는 특히 위로 올라갈수록 면적이 넓어지도록 그 측벽(6)들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여러개의 용기들을 쌓기도 용이하다.
도2에서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두장의 종이원판중 상부에 위치하는 원판의 두께를 하부원판보다 얇은 원판으로 두께를 차별화 하는 이유는 두께가 같은 원판을 가열 압착하는 것보다 상부 열선이 내장되어 있는 몰드가 가열 압착시에 열전이속도가 빠르고 접착성이 양호하게 되어 생산량의 증가 및 불량률의 최소화등 생산성에 있어서 매우 우수하다는 점에서다.
또한 프레스성형시에 하부몰드(12)위에 두장의 종이판(9,10)중 하측의 원판은 밑면에 코팅부위(8)의 일면이 위치하고 상면은 비코팅 부위가 위치하게 하고 상측의 원판은 밑면이 코팅부위의 면이 위치하고 상면은 비코팅 부위가 위치하게 놓는다.
본 고안용기는 두장의 원판지(9,10)를 접착 구성함에 있어서 한장의 원판지의 일면에 폴리에틸렌 코팅제를 도포하여 접착에 의해서 사용시에는 강도가 향상되고 내유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폴리에틸렌코팅제는 접착에 의한 강도향상 효과외에 지질의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동일한 강도의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 지질이 낮거나 혹은 중량이 가벼운 종이('얇은 종이'를 뜻함)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강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경제성과 원가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즉 합지를 통해서 한장의 원판지로 만드는 것보다 두장의 종이로 프레스로 가압 성형시키는 것이 구조학상으로 더 견고하다.
접착되어 지는 어느 한면에만 폴리에틸렌 코팅층(8)이 형성되고 또한 다른 한쪽의 종이원판은 비코팅이 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폴리에틸렌 코팅제는 점착성이 좋은 열가소성수지로서 프레스에 의한 가열압착에 의해서 비코팅된 원지에 형성되어 있는 공극 사이에 유입되어 결합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접착된 후에는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3에서와 같이 미리 부채살 모양의 압축홈(7)을 주는 이유는 공지되어 있는 종이트레이의 제작시에 프레스 금형의 각 모서리부분에 주름살(2)을 형성해서 가압시에는 한꺼번에 주어지는 변형압력에 의해서 주름지는 홈부위가 약해져서 불량률의 발생이 높아 진다는 점이다.
이에 전단계에서 부채살 모양의 양,음각의 상하몰드로 구성된 프레스에 의해서 압축홈(7)을 형성해서 용기를 성형하는 프레스로 가압시에 변형성을 최소화하고 압축홈 부위가 터지는 현상이 최소화 된다.
또한 두장을 겹친 종이판(9,10)을 프레스로 가열과 압축에 의해서 접착과 동시에 성형에 의해서 압축 홈부위는 터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4에서와 같이 몰드는 성형하고자 하는 용기 성형부를 갖는 볼록형과 오목형으로 일치될 수 있는 한쌍의 상,하부 몰드(11,12)로 이루어 져 있다.
상부몰드(11)는 오목 형상이고 얻고자 하는 성형가공의 외부 표면에 상응하는 형상이며 하부몰드(12)는 볼록 형상이고 얻고자 하는 성형가공의 내부 표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몰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몰드는 용기성형부의 내부 중간에 위치되는 성형용 원판에 열을 가하기 위한 가열용 열선(13)이 내장되어 있고 상하로 이동되게 설치되어 있다.
하부몰드(12)는 바닥판(5)과 연이어진 측벽(6)들로 성형할 수 있는 몰드는 고정되어 있고 측벽들에 연이어져 절곡되며 형성되는 날개판(4)을 형성시키는 몰드는 용기 바닥판(5)에서 측벽(6)의 높이만큼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스프링을 설치 하부몰드(12)의 가장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날개판(4)을 형성하는 몰드에 별도의 스프링장치를 주는 이유는 하부몰드(12)가 고정된 상태에서 압착시에는 두장의 종이판(9)을 상하몰드(11,12) 사이에 놓고 가열 압착시에는 성형되는 용기 측벽모서리의 주름살이 몰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하부몰드 내부에는 공간을 두어 일측면에 유입구와 내부 맞은편의 배출구를 설치해 몰드외부로 연결된 파이프를 통하여 유입장치와 배출장치를 설치 냉각수를 순환할 수 있게 구성(14)되어 있다.
상부몰드(11)는 성형되는 용기의 오목형으로 상하몰드 사이에 두장의 종이원판을 놓고 두몰드 사이에서 종이가 가열,압착되어 상부몰드 내측의 본열 히터(13)에 의해 가열하여 폴리에틸렌 코팅층(8)을 반 용융 상태로 하여 원활히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몰드는 코팅된 부위가 열에 의해서 몰드에 들러 붙지 않게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통과 순환되게 하여 밑면 폴리에틸렌 코팅부위가 하부몰드에 들러붙지 않게 한다.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 코팅된 두장의 원판을 프레스에 의해서 가압시킬 때에는 하부몰드쪽에서 형성되는 용기 내면에 위치하는 부위의 폴리에틸렌 코팅부위가 몰드에 들러붙는 일이 매우 적지만 세장이상으로 가압시에는 해터온도를 높이거나 가압시간을 늘리는 작업에 의해서 하부몰드에 뜨거운 히터열이 전이되어 들러붙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하부몰드는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통과 순환(14)되게 하여 열에 의하여 하부종이원판의 밑면 폴리에틸렌 코팅부위가 하부몰드에 들러붙지 않게 한다.
성형가공 단계에서의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80도에서 200도의 범위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몰드는 유압 또는 공압프레스에 의해서 조절가능하나 유압프레스가 바람직하다.
프레스 성형가공에서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1,000-1,500 kgf/㎠ 의 범위이다.
1,000 kgf/㎠ 보다 더 작을 경우 압축변형이 불충분하고, 반대로 1,500 kgf/㎠ 을 초과하는 경우 접힌 주름살(2)이 파손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프레스 성형가공 단계에서의 프레스 시간은 성형가공성과 작업성의 관점에서 1.5 내지 3초 이내이다.
도5에 도시한 바에 의해 상술한 본 고안용기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종이용기(1)는 롤 형태로 권취된 하나의 종이원단이 일측을 향하여 수평으로 공급되면 종이원단의 단면에 폴리에틸렌필름을 접착하는 표면코팅 공정을 시행한다.
이어서 표면코팅이 완료된 원단은 필요시에는 인쇄부의 가압로울러와 인쇄로울러 사이를 통과시켜 단면에 선, 문자, 도형 등을 연속적으로 인쇄한다.
상기와 같이 인쇄가 종료된 롤로 권취된 종이원단은 용기의 생산이 용이하도록 소정의 넓이로 절단한다.
이어서 소정 넓이로 절단된 종이원단(9,10)은 부채살 모양의 양각과 음각이 형성된 프레스에 의하여 일정간격으로 압축하여 부채살 모양의 압축홈(7)이 일정규격의 사면 모서리 부분에 각인된다.
이어서 일정한 규격으로 롤톰슨기에서 절단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일정한 규격의 용기를 성형할 수 있는 용기성형용 종이원판(9,10)이 완성된다.
이어서 종이원판을 프레스 성형기의 하부몰드 위에 두장의 종이판중 하측의 원판은 두께가 두꺼운 쪽의 원판으로서 밑면에 코팅부위의 일면이 위치하고 상면은 비코팅 부위가 위치하게 하고 상측의 원판은 하측에 놓여지는 원판보다 1/2정도의 얇은 원판으로서 밑면이 코팅부위의 면이 위치하고 상면은 비코팅부위가 위치하게 겹쳐 놓는다.
이어서 두몰드 사이에서 종이원판이 가압 압착되어 상부몰드 내측과 본열 히터에 의해 가열하여 폴리에틸렌 코팅층을 반 용융 상태로 하여 원활히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본 고안의 종이용기가 성형된다 .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고강도 종이용기가 완성된다.
본 고안용기의 제조공정은 통상적으로 제지공장에서 원단을 원하는 규격의원단을 구입 코팅공장에서 단면을 폴리에틸렌 코팅을 해서 필요시에는 인쇄공장에서 그라비아 및 옵셋인쇄로 원하는 디자인을 인쇄해서 입고에 의해서 그 다음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조공정은 수동과 자동으로 가능하며 조작이 용이하여 비숙련공이 작업하기가 편리하며 생산성이 높아 경제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실시예의 본 고안용기(1)는 내측의 바닥판(5)과 측벽(6)부위로 돌출테(3)를 형성하는 것과 날개판에 형성된 꺾임부(17)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과 미리 형성한 압축홈(7)이 사면 모서리부분에 주름살형태(2)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두장의 종이원판(9,10)의 사이에 폴리에틸렌 코팅층을 열에 의하여 반용융하여 일체화로 넓게 접착함으로 인하여 성형성이 향상되고 종래와 같이 성형시 주름부위가 터지는 일이 없어 제작시 불량품의 발생률이 최소화되며 내용물을 랩등으로 포장시나 사용자가 용기를 손으로 잡았을 때 휨이나 변형도 작아지게 되며 누수의 원인도 줄어들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이겹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이겹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용기의 규격이 커지거나 더 강한 강도가 필요할 시에는 3겹이상으로 형성하여 용기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안에 의해 용기재료로서 각광을 받지 못하던 0.2∼0.3mm정도의 평판 종이원단으로도 실용에 적합한 견고한 용기의 제작이 가능하다.
더욱이 용기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작은 것에서 큰 것에 이르기까지 자유자재로 용도에 맞춰 제작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 용기는 앞 실시예에서 기설명한 사각형태의 용기 외에도 원형,타원형,삼각형,육각형,팔각형 및 기타 다각형태등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받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용기는 두장의 원판을 접착과 동시에 바닥부로부터 측벽에 돌출테를 형성하고 보강테두리를 일체로 연장형성함으로써 그들 통형의 강력한 힘에 의하여 안밖으로 휘어지고 틀어지며 흐느적거리는 종이재질의 약점이 말끔히 해소될 뿐만 아니라 견고성을 요하는 식품용기로 사용하기에도 전혀 문제가 없는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종이재질로 성형함으로서 깨끗한 용기의 형상과 모서리를 둥근 곡면으로 처리함으로써 실용면에서 더 여유있고 편리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다양한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어 시각적으로도 고급스러운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용기는 입수가 용이한 단면이 15 ∼30㎛의 폴리에틸렌 코팅된 종이원단으로 제작공정이 매우 단순하고 제조설비 비용이 매우 저렴하게 설치 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본 고안용기는 종이재질로 제작되므로 사용후 재활용이 되며 소각이나매립시에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고 용이하게 썩어 자연 보호에도 기여를 할 수 있다.

Claims (6)

  1. 바닥판과 이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된 측벽들로 이뤄진 일체형의 종이용기에 있어서 소정크기를 갖는 사각형태의 종이원판(9,10)의 각 모서리부분에 부채살 모양의 압축홈(7)을 형성하는 것과 두장의 종이원판을 접착하여 형성하는 것과 바닥판(5)과 바닥판으로부터 정배좌우의 상부로 연장되어 세워지게 측벽(6)들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과 바닥판에서 측벽부위를 따라서 돌출테(3)가 여러줄로 형성되는 것과 측벽(6)과 측벽사이의 모서리는 주름형태(2)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과 측벽들은 위쪽으로 갈수록 비스듬히 외쪽으로 경사각을 이루워 세워지게 형성하는 것과 측벽들에 연이어서 외연부로 보강테두리가 일체로 모서리를 돌아가며 연장되어 날개판(4)을 형성되는 것과 날개판의 중간에 절곡하여 꺽임부(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종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두장의 종이원판은 상부에 위치하는 원판의 두께를 하부원판보다 얇은 원판으로 두께를 차별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종이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용기 형상은 사각형,원형,타원형,육각형,팔각형태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종이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종이 원판은 이겹,삼겹,사겹중 어느하나로 선택되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종이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종이원판은 단면에 폴리에틸렌코팅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종이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두장의 종이원판의 접착은 폴리에틸렌 코팅제가 도포된 종이원판의 일면과 비코팅되어 있는 타측 종이원판의 일면을 대항되게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종이용기.
KR20-2003-0014426U 2003-05-09 2003-05-09 고강도 종이용기 KR200322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426U KR200322390Y1 (ko) 2003-05-09 2003-05-09 고강도 종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426U KR200322390Y1 (ko) 2003-05-09 2003-05-09 고강도 종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390Y1 true KR200322390Y1 (ko) 2003-08-09

Family

ID=4941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426U KR200322390Y1 (ko) 2003-05-09 2003-05-09 고강도 종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3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41267A1 (en) Corrugated wood sheets and articles having a multi-ply panel wall structure comprising same
US8172106B2 (en) Laminated pulp disposable paint tray
CA2751742C (en) Composites for packaging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AU2017327693B2 (en) Improved pulp disposable tray
KR20100059875A (ko) 물품들을 포장하기 위한 복합체들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WO2012158400A1 (en) Disposable food tray
EP1023992A2 (en) Method for forming corrugated paper container and container made therefrom
JP2007039093A (ja) 容器用紙蓋
US20070087089A1 (en) Bacon package and foam stiffner for use therein
KR200312935Y1 (ko) 고강도 종이용기
KR200322390Y1 (ko) 고강도 종이용기
KR200312932Y1 (ko) 고강도 종이용기
KR102243619B1 (ko) 재활용이 용이한 에어캡 백 및 그 제조장치
KR200312936Y1 (ko) 고강도 종이용기
KR20040065127A (ko) 고강도 종이용기
JPH09328170A (ja) 紙製緩衝材の乾式製造方法
KR100890552B1 (ko) 다각형 지기 성형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다각형 지기의제조방법
JPH07315356A (ja) 容器とその製造方法
JP2004131091A (ja) 絞り成型前駆体および絞り成型体
CN100509583C (zh) 塑胶包装盒
EP4335771A1 (en) Tray for packaging fresh food, particularly food capable of releasing liquids
JP3013069B2 (ja) 成形用原紙または成形用パルプ原紙を素材とする深絞り成形品の製造方法
WO2010111735A1 (en) Flexible material
KR200346639Y1 (ko) 골판지를 소재로 한 비틀림 방지 및 강도향상을 갖는케익용 받침판
JP3116832U (ja) パン又は菓子の焼成用トレー、焼成型及び焼成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