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100Y1 - 납골묘 - Google Patents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100Y1
KR200320100Y1 KR20-2003-0011719U KR20030011719U KR200320100Y1 KR 200320100 Y1 KR200320100 Y1 KR 200320100Y1 KR 20030011719 U KR20030011719 U KR 20030011719U KR 200320100 Y1 KR200320100 Y1 KR 200320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crypt
circulat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김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진 filed Critical 김우진
Priority to KR20-2003-0011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1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1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재로 구축되는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납골묘의 벽체부 내측에 측면통풍로를 형성하고 납골묘의 바닥부 내측에는 상기 측면통풍로와 연통되는 하부통풍로를 형성하여 상기 측면통풍로와 하부통풍로를 통해 납골묘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어 환기됨과 동시에 벽체부 내측면의 결로현상으로 발생된 수분은 배수관을 통해 납골묘 외부로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납골묘의 채광부에는 다수개의 반사경이 구비되어 있어 납골묘 내부로 고르게 채광이 이루어져 납골묘 내부에 습기나 결로현상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납골묘{A charnel house}
본 고안은 석재로 구축되는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납골묘의 벽체부 내측에 측면통풍로를 형성하고 납골묘의 바닥부 내측에는 상기 측면통풍로와 연통되는 하부통풍로를 형성하여 상기 측면통풍로와 하부통풍로를 통해 납골묘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어 환기됨과 동시에 벽체부 내측면의 결로현상으로 발생된 수분은 배수관을 통해 납골묘 외부로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납골묘의 채광부에는 다수개의 반사경이 구비되어 있어 납골묘 내부로 고르게 채광이 이루어져 납골묘 내부에 습기나 결로현상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유교식 장묘제도에 의해 시신을 관에 넣은 후 땅에 매장하고 그 위에 봉분을 형성하는 형태로 묘지를 형성하였으나, 묘지의 형성과 관리에 많은 비용부담이 발생하고, 또 여러 대(代)를 거치면서 묘지의 관리소홀로 인하여 무연고 묘가 됨으로써 국토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등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전통적인 장묘제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시신을 화장한 후 생성되는 유골분말을 유골함에 넣어 납골묘에 보관하는 장묘제도가 사회 경제적으로 적극 권장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납골묘는 석재를 가공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바닥재와, 이 바닥재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사방 벽면을 형성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상면부에 올려지는 지붕재와, 상기 지붕재에 구비되어 납골묘 내부로 채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채광장치와, 정면 벽체에 설치되는 출입문과, 벽체 내부에 구비되어 유골함이 보관되도록 하는 유골선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납골묘의 상부에 흙을 덮어 봉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통상의 납골묘는 거의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채광장치가 납골묘의 내부 전체를 고르게 채광하지 못하고, 특히 태양빛이 강한 오후나 하절기에 외부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지붕재의 복사열이 납골묘 내부로 전달되어 내부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나 두꺼운 흙속에 덮여진 벽체는 납골묘 내부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납골묘 내부와 벽체의 온도 차이로 벽체의 내측면에 습기와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납골묘 내부에는 습기로 인한 곰팡이와 심한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납골묘 내부의 공기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순환하여 환기되면서 납골묘 내부에 습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벽체 내면의 결로현상으로 발생된 수분이 외부로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납골묘 내부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채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납골묘의 벽체부 내측에 측면통풍로를 형성하고 납골묘의 바닥부 내측에는 상기 측면통풍로와 연통되는 하부통풍로를 형성하여 상기 측면통풍로와 하부통풍로를 통해 납골묘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어 환기됨과 동시에 벽체 내면의 결로현상으로 발생된 수분은 배수관을 통해 납골묘 외부로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납골묘 상부의 채광부에는 다수개의 반사경이 구비되어 있어 납골묘 내부로 고르게 채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지붕석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채광부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벽체부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의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를 봉분한 상태의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의 받침석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납골묘 2. 바닥부
3. 벽체부 4. 천정부
5. 채광부 6. 선반
7. 저면판 8. 바닥판
9. 받침석 10. 하부통풍로
11. 통기공 12. 측면통풍로
13. 기둥부재 14. 전면판
15. 외측면판 16. 내측면판
17. 간격유지부재 18. 출입문
19. 외측면판삽입홈 20. 내측면판삽입홈
21. 출입구 22. 배수관
23. 하부철망 24. 서까래
25. 대들보 26. 지붕석
27. 공간부 28a, 28b, 28c, 28d. 채광부측면판
29a, 29b. 반사경 30a, 30b. 통풍관
31a, 31b. 통풍구 32. 채광부덮개
33a, 33b. 상부철망 34. 투명판
35. 봉분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납골묘(1)는 전체적으로 가공된 석재를 이용하여 구축되며, 바닥부(2)와 벽체부(3)와 천정부(4)와 채광부(5)와 선반(6)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부(2)는 도 4, 5,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골묘(1)의 바닥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저면판(7)과 바닥판(8) 사이에 다수개의 받침석(9)이 삽입되어 있어 상기 저면판(7)과 바닥판(8) 사이로 공기가 순환되는 하부통풍로(10)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저면판(7)은 지면의 상부에 놓여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으로 그 상면부에는 다수개의 받침석(9)이 길이방향으로 놓여져 있고 이 저면판(7)의 외측면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사방의 외측벽면을 구성하는 외측면판(15)이 구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받침석(9)은 긴 막대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통기공(11)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는데, 이 다수개의 통기공(11)을 통해 상기 저면판(7)과 바닥판(8) 사이에 형성된 하부통풍로(10)가 연통되도록 되어 있어 바닥부(2)의 공기가 원활히 순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8)은 받침석(9)의 상부에 놓여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으로서 납골묘(1) 내부의 바닥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바닥판(8)의 외측면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내측벽면을 구성하는 내측면판(16)이 구비되도록 되어 있다.
벽체부(3)는 도 1,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골묘(1)의 사방 벽면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외측면판(15)과 내측면판(16) 사이로 공기가 순환되는 측면통풍로(12)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둥부재(13)와 전면판(14)과 외측면판(15)과 내측면판(16)과 간격유지부재(17)와 출입문(18)으로 되어 있다.
상기 측면통풍로(12)는 외측면판(15)과 내측면판(16)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상기 하부통풍로(10)와 서로 연통되어 있어 납골묘(1) 내부의 공기가 전체적으로 순환하면서 자연스럽게 환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둥부재(13)는 긴 막대형의 기둥으로서 양측면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외측면판삽입홈(19)과 내측면판삽입홈(20)이 형성되어 있어 다수개의 기둥부재(13)들 사이에 외측면판(15)과 내측면판(16)이 각각 용이하게 삽입되어 끼워짐으로써 벽체부(3)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 구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14)은 납골묘(1)의 전면을 구성하는 판으로서 출입문(18)과 연설되어 사용자가 출입되도록 출입구(2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판(16)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측면통풍로(12)가 형성되어 있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외측면판(15)은 납골묘(1)의 외측 벽면을 구성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판으로서 납골묘(1)의 좌우측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기둥부재(13)에 형성된 외측면판삽입홈(19)에 삽입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하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관(2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수관(22)은 바닥부(2)의 하부통풍로(10)와 동일한 높이에 구비되어 있고 납골묘(1) 외측에 형성되는 봉분(35)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이 배수관(22)을 통해 하부통풍로(10) 및 측면통풍로(12)로 외부의 공기가 납골묘(1) 내부로 유통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납골묘(1) 내부와 외측면판(15)의 온도차이에 의한 결로현상으로 외측면판(15)의 내측면에 발생되는 수분이 흘러내려 배수관(22)을 통해 납골묘(1)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수관(22)의 선단부에는 하부철망(23)이 구비되어 있어 납골묘(1) 외부로부터 작은 짐승들이나 곤충들이 납골묘(1) 내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내측면판(16)은 납골묘(1)의 내측 벽면을 구성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판으로서 납골묘(1)의 좌우측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외측면판(15)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다수개의 기둥부재(13)에 형성된 내측면판삽입홈(20)에 삽입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17)는 외측면판(15)과 내측면판(16) 사이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짧은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외측면판(15)과 내측면판(16) 사이에 다수개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삽입되어 석재용 접착제로 외측면판(15)과 내측면판(16) 사이에 고정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천정부(4)는 서까래(24)와 대들보(25)와 지붕석(26)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기둥부재(13)들 사이에 다수개의 서까래(24)를 횡방향으로 설치하고, 그 상부에 대들보(25)가 위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대들보(25) 상부에는 지붕석(26)이 구비되어 천정부(4)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대들보(25)의 가운데 부분에는 채광부(5)를 통해 납골묘(1) 내부로 채광이 이루어지도록 공간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채광부(5)는 도 1, 2,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골묘(1) 내부로 전체적으로 채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대들보(25)의 공간부(27)가 형성된 상부에 구비되며, 채광부측면판(28a)(28b)(28c)(28d)과 반사경(29a)(29b)과 통풍관(30a)(30b)과 채광부덮개(32)로 구성되어 있다.
채광부측면판(28a)(28b)(28c)(28d)은 채광부(5)의 사방 벽면을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판으로서 좌우측면에 구비된 채광부측면판(28b)(28d)에는 반사경(29a)(29b)이 각각 고정 부착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납골묘(1) 내부로 유입되는 빛이 상기 반사경(29a)(29b)에 의해 고르게 퍼져나가면서 납골묘(1) 내부를 전체적으로 채광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경(29a)(29b)이 고정 부착된 채광부측면판(28b)(28d) 상부에는 통풍관(30a)(30b)이 연설되는 통풍구(31a)(31b)가 천공되어 있어 이 통풍구(31a)(31b)를 통해 납골묘(1) 내부의 더운 공기와 하부통풍로(10) 및 측면통풍로(12)를 통한 납골묘(1) 내부의 공기가 통풍관(30a)(30b)을 통해 지속적으로 순환되면서 환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반사경(29a)(29b)은 다각도로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볼록거울이나 평면거울 또는 매끄럽게 연마 처리되어 빛이 반사될 수 있는 석재 등을 사용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채광부측면판(28a)(28b)(28c)(28d) 전체에 상기 반사경(29a)(29b)을 고정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통풍관(30a)(30b)은 통풍구(31a)(31b)와 연설되어 있으며 소정의 형상으로 굴곡진 상태로 일측 끝단이 납골묘(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고 납골묘(1) 외측에 형성되는 봉분(35) 외부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어 납골묘(1) 내부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순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통풍구(31a)(31b)에는 상부철망(33a)(33b)이 삽입 고정되어 있어 납골묘(1) 외부로부터 작은 짐승들이나 곤충들이 납골묘(1) 내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채광부덮개(32)는 중앙에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는 투명판(34)이 구비되어 있어 납골묘(1) 내부로 자연채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선반(6)은 납골묘(1) 내부에 구비되어 유골이 담겨진 유골함이 올려지는 것으로 내측면판(16)의 내주면을 따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다수개가 조립 설치되어 여러층으로 구성되어 다수개의 유골함이 보관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태양빛이 강한 오후나 하절기에 외부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지붕석(26)에 가해진 복사열이 납골묘(1) 내부로 전달되어 납골묘(1)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 두꺼운 흙속에 덮여진 벽체부(3)는 납골묘(1) 내부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하게 되어 납골묘(1) 내부와 벽체부(3)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벽체부(3)의 외측면판(15) 내측면에 습기와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납골묘(1) 내부의 더운 공기는 대류현상에 의해 상승되어 채광부(5)에 연설된 통풍관(30a)(30b)을 통해 외부로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벽체부(3)의 외측면판(15) 내측면에 발생된 습기와 결로현상은 하부통풍로(10) 및 측면통풍로(12)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기가 순환되면서 습기가 제거되고, 결로현상에 의해 외측면판(15)에 발생된 수분은 외측면판(15) 하부로 흘러내려 배수관(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납골묘(1) 내부는 습기가 거의 없는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채광부(5)에 구비된 반사경(29a)(29b)에 의해 납골묘(1) 내부가 고르게 채광되면서 전체적으로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각종 곰팡이나 세균 등이 번식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납골묘의 벽체부 내측에 형성된 측면통풍로와 납골묘의 바닥부 내측에 상기 측면통풍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하부통풍로에 의해 납골묘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어 환기됨과 동시에 벽체 내면의 결로현상으로 발생된 수분은 측면통풍로와 하부통풍로를 통해 배수관으로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어 납골묘 내부의 공기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순환되면서 환기되어 납골묘 내부에 습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납골묘 상부의 채광부에는 다수개의 반사경이 구비되어 있어 납골묘 내부로 고르게 채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납골묘 내부가 밝고 곰팡이나 각종 세균 등이 번식하지 못하게 되고, 납골묘의 조립 구축시 기둥에 형성된 내측면판삽입홈과 외측면판삽입홈에 외측면판과 내측면판을 간단하게 끼워 조립하여 무거운 벽체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출입문과 바닥부와 벽체부와 천정부와 채광부로 구성되어 있는 납골묘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2)는 저면판(7)과 바닥판(8) 사이에 다수개의 통기공(11)이 천공된 받침석(9)이 다수개 삽입되어 있어 상기 저면판(7)과 바닥판(8) 사이로 공기가 순환되는 하부통풍로(10)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벽체부(3)는 기둥부재(13)와 전면판(14)과 외측면판(15)과 내측면판(16)과 간격유지부재(17)으로 되어 있고, 외측면판(15)과 내측면판(16) 사이로 공기가 순환되는 측면통풍로(12)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되 이 측면통풍로(12)는 상기 하부통풍로(10)와 서로 연통되어 있어 공기가 전체적으로 순환하면서 환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외측면판(15) 하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통되며 납골묘(1) 내부의 수분이 배출되는 다수개의 배수관(2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채광부(5)는 채광부측면판(28a)(28b)(28c)(28d)과 반사경(29a)(29b)과 통풍관(30a)(30b)과 채광부덮개(32)로 되어 있으며, 채광부측면판(28b)(28d)에는 반사경(29a)(29b)이 각각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반사경(29a)(29b)이 고정 부착된 채광부측면판(28b)(28d) 상부에는 통풍관(30a)(30b)이 연설되는 통풍구(31a)(31b)가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3)의 기둥부재(13)는 긴 막대형의 기둥으로서양측면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외측면판삽입홈(19)과 내측면판삽입홈(20)이 형성되어 있어 다수개의 기둥부재(13)들 사이에 외측면판(15)과 내측면판(16)이 각각 용이하게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광부(5)의 반사경(29a)(29b)은 다각도로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볼록거울 또는 평면거울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
  4. 삭제
KR20-2003-0011719U 2003-04-16 2003-04-16 납골묘 KR200320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719U KR200320100Y1 (ko) 2003-04-16 2003-04-16 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719U KR200320100Y1 (ko) 2003-04-16 2003-04-16 납골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100Y1 true KR200320100Y1 (ko) 2003-07-12

Family

ID=49410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719U KR200320100Y1 (ko) 2003-04-16 2003-04-16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1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138865A (ja) ビル施設
US20150250134A1 (en) Closed system vivarium for use with an aquarium
KR101378226B1 (ko) 다층 온실 시스템
US4122800A (en) Self-contained vivarium habitat
KR200320100Y1 (ko) 납골묘
KR20190001877U (ko) 빛 투과형 컨테이너
KR20160134420A (ko) 조립 및 이동식 가옥을 구비한 온돌식 난방구조
KR200329524Y1 (ko) 납골묘
KR200383875Y1 (ko) 납골묘
KR200383855Y1 (ko) 납골묘
KR102557411B1 (ko) 도심 내 생태균형 보전을 위한 곤충 비오톱 시스템
JPH059245U (ja) ミニ温室鑑賞容器
JP3194023U (ja) 墓の納骨室の換気構造
KR102447523B1 (ko)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
KR20120058647A (ko) 친환경 담장과 벽체.
KR200382820Y1 (ko) 습기 및 결로 방지형 가족 납골묘
KR100306307B1 (ko) 납골묘
KR200242628Y1 (ko) 봉분형 납골묘의 채광장치
JPS6329808Y2 (ko)
KR100337370B1 (ko) 봉분식 납골묘
JP2592782B2 (ja) 玄関ドアユニット
KR200244912Y1 (ko) 봉분식 납골묘
KR200304427Y1 (ko) 납골묘의 은폐형 통풍장치
KR200186542Y1 (ko) 조립식 풍란재배용 보습하우징
KR100578563B1 (ko) 식생벽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