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411B1 - 도심 내 생태균형 보전을 위한 곤충 비오톱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심 내 생태균형 보전을 위한 곤충 비오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411B1
KR102557411B1 KR1020220077612A KR20220077612A KR102557411B1 KR 102557411 B1 KR102557411 B1 KR 102557411B1 KR 1020220077612 A KR1020220077612 A KR 1020220077612A KR 20220077612 A KR20220077612 A KR 20220077612A KR 102557411 B1 KR102557411 B1 KR 102557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opening
side wall
biotope system
biot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홍석
홍진표
주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신성엔지니어링
우영환경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엔지니어링, 우영환경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7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6Insects, e.g. Drosophila melanogaster, medf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양쪽 측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설치되는 측벽; 상기 측벽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수의 횡방향 구획판; 상기 횡방향 구획판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 구획판; 및 상기 횡방향 구획판 및 종방향 구획판으로 구획되는 격실 공간에 제공하는 채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곤충 비오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별도의 에너지 소비 없이 서식 곤충의 특성에 최적화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관리성이 향상된 곤충서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심 내 생태균형 보전을 위한 곤충 비오톱 시스템 {BIOTOPE SYSTEM OF INSECTS FOR BALANCED ECO CONSERVATION IN THE URBAN AREA}
본 발명은 도심 내 생태균형 보전을 위한 곤충 비오톱 시스템(Biotope System)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심화에 따라 감소되는 곤충 개체 보전을 위하여, 다양한 종의 곤충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도심 내에 곤충들의 서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곤충 비오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곤충이 환경지표, 환경정화, 천적자원 등으로 활용되고 유전자연구의 소재로 활용되는 등 활용범위가 넓어지면서 곤충사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함평 나비축제, 무주 반딧불축제 등 곤충을 소재로 한 지역특화프로그램을 주관하고 생태공원을 조성하는 등 곤충이 교육 및 관광 상품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지구 온난화에 따른 생태의 변화가 발생하고, 또한 무분별한 개발로 생태계가 변화하면서 생태계 파괴가 이루어지고 있어 특정 개체 수가 현저히 줄어들거나, 멸종 상황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체 수가 현저히 줄어든 곤충류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주거나, 나아가 생태계 전반에 걸쳐 다른 개체들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이들을 보호함과 동시에 멸종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공원이나 아파트 단지 등에 이러한 곤충들이 서식할 수 있도록, 소위 '곤충 호텔'을 여러 곳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곤충 호텔의 일 예를 보여주는 실제 사진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곤충 호텔들은 일률적으로 설계되고 제작되어, 다양한 서식 조건을 갖는 곤충들을 광범위하게 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설치 지역에 따른 다양한 지리적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96186호(2019.08.19)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3869호(2017.12.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곤충의 서식 조건 및 지리적 환경에 관계없이 범용성 있게 적용 가능한 곤충 비오톱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전기 등과 같은 2차 에너지를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원활한 운용이 가능한, 자연 친화적인 친환경 비오톱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은, 현저히 개체 수가 줄어든 곤충들의 최적화된 서식 환경을 구축하고, 이러한 서식 환경에서 곤충들의 개체 수를 증식함과 동시에 생태계 보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곤충 비오톱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지면과 접하거나 지면에서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양쪽 측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벽; 상기 한 쌍의 측벽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 상기 측벽 및 상기 지붕 사이의 공간을 복수의 층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수의 횡방향 구획판; 상기 횡방향 구획판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각 층의 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종방향 구획판; 및 상기 횡방향 구획판 및 종방향 구획판으로 구획되는 격실 공간에 수용되어 곤충의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채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벽 및 종방향 구획판에는, 상기 격실로의 채광과 통풍을 위한 개구창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비오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곤충 비오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구창은, 상기 측벽 및 종방향 구획판의 전방으로부터 개구창 형부 후단을 포함하도록, 상기 측벽 및 종방향 구획판 내부에 형성된 차폐 슬롯을 통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패널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의 개구창을 개폐하는 슬라이드 패널은, 채광 및 통풍을 동시에 차단하기 위하여, 불투명 재질의 판넬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의 개구창을 개폐하는 슬라이드 패널은, 채광은 허여하고 통풍은 차단하기 위하여, 투명 재질의 판넬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의 개구창을 개폐하는 슬라이드 패널은, 채광은 차단하고 통풍은 허여하기 위하여, 격실 공간 측으로부터 측벽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갖는 관통공이 형성된 불투명 재질의 판넬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붕은, 측벽 상단부의 격실 공간 상부를 차폐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 상단에 구비되고, 상방이 개구되어 강수(우수 및 용융 강설)를 집수하는 집수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집수조는 기본적으로 배수판, 부직포를 설치한 후 토양을 충전한 후 초화류를 식재하여 나비 등의 곤충을 유인하도록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조의 다른 활용 방안으로는 집수조에서 강수를 집수하고,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상기 집수조에서 집수되는 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류조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집수조에 집수된 강수는, 상기 측벽 내측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배수관을 통해 상기 저류조로 이송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과 접하는 격실 중 일부 격실에는, 상기 바닥판의 소정 영역에 상기 저류조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강수 공급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저류조의 강수가 상기 강수 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격실 공간 내부로 지연 공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수 공급수단은, 상기 바닥판 전방으로부터 후단까지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크기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바닥판 슬롯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닥패널과; 상기 바닥패널에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삽입 설치되는 공급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급 카트리지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층의 본체 흡습포와; 상기 본체 프레임 하부에 일단이 상기 본체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 프레임; 그리고 상기 회동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동 프레임 회동시 타측이 상기 저류조 저류 공간으로 유입되는 이동 흡습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필요에 따라 집광판이 설치되어, 자연광을 통해 광에너지를 곤충 비오톱 시스템에 제공 집중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집수조 상부에는, 하부가 틸팅 가능하게 구성되어 태양광을 집수조 내로 반사시키는 집광판이 구비되어, 상기 집수조 내에 적치된 눈에 태양광을 조사시켜 용융시키도록 사용할 수도 있고, 한랭지역의 경우, 집광판을 통해 곤충 비오톱 내부의 온도가 높게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집광판은, 광 반사판과; 상기 광 반사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 반사판을 상기 지붕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 프레임과; 상기 광 반사판과 상기 고정 프레임을 틸팅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광 반사판이 상하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계절 및 지역에 따라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붕의 4 개의 모서리에는, 각각 상기 지지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프레임이 설치되어, 상기 집광판은 상기 곤충 비오톱 시스템의 설치 지점에 따라 위치를 달리하여 설치 가능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움재는, 통나무, 대나무, 나무껍질, 나뭇잎, 건초, 벽돌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실에는, 상기 채움재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선택적으로 채워지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움재는, 상기 곤충 비오톱 시스템의 설치 장소에 따라 구성을 달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곤충 비오톱 시스템은, 횡방향 구획판과 종방향 구획판에 의해 나눠지는 각각의 서식 공간에 채광 및 통풍,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서식 공간 별로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서 다양한 서식 조건의 곤충들을 폭 넓게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 및 강설을 집수하여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서식하는 곤충들의 서식 공간에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습도 조절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습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에너지 소비 없이 서식 곤충의 특성에 최적화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관리성이 향상된 곤충서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곤충 비오톱 시스템의 실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에에 따른 곤충 비오톱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에에 따른 곤충 비오톱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곤충 비오톱 시스템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판넬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곤충 비오톱 시스템에 설치되는 집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곤충 비오톱 시스템에 설치되는 강수 공급수단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도심화에 따라 감소되는 곤충 개체 보전을 위하여, 다양한 종의 곤충들이 보호될 수 있도록 도심 내에 곤충들의 서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곤충 비오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곤충 비오톱 시스템에 대하여, 바람직한 구현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에에 따른 곤충 비오톱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곤충 비오톱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곤충 비오톱 시스템(100)은, 크게 바닥판(10)과, 측벽(20)과, 지붕(30) 및 상기 바닥판(10)과 측벽(20) 및 지붕(30)으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횡방향 구획판(40) 및 종방향 구획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0)은 곤충 비오톱 시스템(100)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면과 접하거나 지면에서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판(10)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20)은, 지붕(30)을 지지하고 곤충 비오톱 시스템의 외부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10)의 양쪽 측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한 쌍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측벽(20) 상부에는 지붕(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벽(20) 및 상기 지붕(30) 사이의 공간에는, 측벽(20) 및 지붕(30) 사이의 공간을 복수의 층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측벽(20) 사이를 가로질러 복수의 횡방향 구휙(4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방향 구획판(40) 사이에는, 각 층의 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횡방향 구획판(40)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가로질러 다수의 종방향 구획판(5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곤충 비오톱 시스템 내부가 상기 횡방향 구획판(40) 및 종방향 구획판(50)으로 구획되는 다수의 격실(80)로 구성되어, 각각 서식 환경이 다른 여러 종류의 곤충들이 자신의 서식 환경에 적합한 격실(80)을 선택하여 그 내부에서 서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격실(80) 내부에는 곤충들의 서식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채움재(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채움재의 예로는, 통나무, 대나무, 나무껍질, 나뭇잎, 건초, 벽돌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곤충 비오톱 시스템(100)의 설치 장소의 지리적 특성, 곤충들의 종류 및 서식 환경, 서식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채움재를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선택적으로 채워지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층 격실에는 무당벌레와 애벌레가 몸을 숨기면서 진딧물을 먹고 살기 좋은 나무껍질과 나뭇잎을 채워 넣고, 2층에는 갑각류 등 나무에 구멍을 뚫으며 사는 곤충이 서식할 수 있도록 통나무형 자재를 채워 넣을 수 있다. 또한, 꼭대기인 3층에는 꿀벌이 대피할 수 있는 대나무 봉을 채워 넣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곤충 비오톱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측벽(20) 및 종방향 구획판(50)에는, 상기 격실(80) 공간으로 채광과 통풍을 위하여 일정 영역이 오픈된 창문, 즉 개구창(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창(60)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패널(2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측벽(20) 및 종방향 구획판(50)의 내측에는, 상기 슬라이드 패널(22)이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부터 개구창(60) 형부 후단을 포함하는 지점까지 내부에 공간이 확보되는 차폐 슬롯(21)이 형성되게 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패널(22)은 상기 차폐 슬롯(21)을 통하여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개구창(6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한편, 전 지구상에 서식하는 곤충의 종류는 수십만 종에 이르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곤충의 종류만 하여도 수만종에 이른다. 따라서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곤충들을 최대한 많이 포섭하기 위하여는 다양한 조건의 서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격실(80) 공간의 조도 및 습도 등을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곤충들이 자신의 서식 특성에 적합한 객실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
즉,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측벽(20)의 개구창(60)을 개폐하는 슬라이드 패널(22)은, 채광 및 통풍을 동시에 차단하기 위하여, 불투명 재질의 판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구현예의 슬라이드 패널(22)이 적용되는 객실은 조도가 낮고 습도도 높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애벌레 등과 같은 곤충의 유충들이 서식하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 패널(22)은, 채광은 허여하고 통풍은 차단하기 위하여, 투명 재질의 판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 패널(22)은, 채광은 차단하고 통풍은 허여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실(80) 공간 측으로부터 측벽(20)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갖는 관통공(23)이 형성된 불투명 재질의 판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구현예의 슬라이드 패널(22)이 적용되는 격실(80)은, 관통공(23)에 의해 통풍이 유지되어 격실(60) 공간의 습도는 낮게 유지되나, 관통공(23)이 격실(80) 공간 측으로부터 측벽(20)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태양광을 차단하여 낮은 조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구현예의 경우 장수하늘소, 풍뎅이 등과 같이 빛을 싫어하는 곤충들이 서식하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격실(80)에 채광 및 통풍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각각의 결실 별로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서식 조건의 곤충들을 폭넓게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곤충 비오톱 시스템(100)의 지붕(30) 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붕(30)은, 측벽(20) 상단부의 격실 공간 상부를 차폐하는 상판(31)과, 상기 상판(31)의 4곳 모서리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차단판(33)과, 상방이 개구되어 강수(우수 및 용융 강설)를 상기 집수하는 집수조(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판(10)의 하부에는 상기 집수조(32)에서 집수되는 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류조(7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측벽(20)에는 집수조(32)와 저류조(70)를 연통하는 배수관(미도시)이 측벽(20) 내측을 관통하여 구비되는데, 이에 의하여 집수조(32)에서 집수되는 빗물이나 눈 녹은 물은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아래쪽의 저류조(70)에 저장되게 된다.
한편 상기 집수조(32) 상부에는, 태양광을 집수조(32) 내로 반사시켜 집수조(32) 내에 적치된 눈에 태양광을 조사시켜 용융시키는 집광판(2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집광판(200)은,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광 반사판(210)과, 상기 광 반사판(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광 반사판(210)을 지붕(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 프레임(220)과, 광 반사판(210)과 고정 프레임(220)을 틸팅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구(230)는, 광 반사판(210)이 상하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계절 및 지역에 따라 광 반사판(210)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즉, 여름철에는 태양의 남중 고도가 높으며 겨울철에는 태양의 남중 고도가 낮게 된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광 반사판(210)의 설치 각도를 태양 고도에 맞추어 크게 조절하고, 겨울철에는 낮게 조절함으로써 계절에 관계없이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태양의 남중 고도는 설치 지역의 위도에 따라서도 변화하게 된다. 즉, 북쪽 지방일수록 태양의 남중 고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북쪽 지방일수록 광 반사판(210)의 설치 각도를 낮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 지붕(30)의 4 개의 모서리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22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프레임(240)이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집광판(200)을 곤충 비오톱 시스템의 설치 지점에 따라 태양이 뜨는 위치를 고려하여 동서남북 방향을 달리하여 설치함으로써 설치 위치에 관계 없이 태양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류조(70)에 저장된 물은 강수 공급수단(300)을 통하여 아래층에 위치하는 격실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도 6은 상기 강수 공급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바닥판(10)과 접하는 격실(80) 중 일부 격실에는 바닥판(10)의 소정 영역에 저류조(70)와 연통하는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2)에는 강수 공급수단(300)이 개구부(320)의 크기에 맞추어 설치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저류조(70)에 저장된 강수가 강수 공급수단(300)에 의해 격실(80) 공간 내부로 지속적으로 지연 공급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강수 공급수단(300)은, 크게 바닥패널(310)과 공급 카트리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판(10)에는, 상기 바닥패널(310)이 바닥판(10) 내측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닥판(10) 전방으로부터 후단까지 바닥판(10) 내부를 관통되어 바닥패널(310)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바닥판 슬롯(11)이 형성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바닥패널(310)은 바닥판 슬롯(11)을 통해 바닥판(10) 내부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 카트리지(330)는 상기 바닥패널(310)에 상기 바닥판(10)의 개구부(12(에 대응하는 형태로 삽입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 카트리지(330)는, 상기 바닥판(10)의 개구부(12)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프레임(331)과, 상기 본체 프레임(331)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층의 본체 흡습포(332)와, 상기 본체 프레임(331) 하부에 일단이 상기 본체 프레임(331)과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 프레임(333)과, 상기 회동 프레임(33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동 프레임(333) 회동시 타측이 상기 저류조(70) 저류 공간으로 유입되는 이동 흡습포(3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패널(310)을 바닥판 슬롯(11)을 통해 바닥판(10) 내측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공급 카트리지(330)가 상기 바닥판(10)의 개구부(12)와 일치하는 지점에서, 상기 회동 프레임(333)이 저류조(70) 쪽으로 회동 낙하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회동 프레임(333)의 이동 흡습포(334)가 저류조(70)의 물을 흡수하게 되고, 이동 흡습포(334)의 물은 본체 흡습포(332)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본체 흡습포(332)의 물이 지속적으로 증발하게 됨으로써, 격실(80) 공간의 습도를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 및 강설을 집수하여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서식하는 곤충들의 서식 공간에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습도 조절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습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전기 등과 같은 2차 에너지 소비 없이 서식 곤충의 특성에 최적화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도심화에 따라 감소되는 곤충 개체 보전을 위하여, 다양한 종의 곤충들이 보호될 수 있도록 도심 내에 곤충들의 서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곤충 비오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에너지 소비 없이 서식 곤충의 특성에 최적화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관리성이 향상된 곤충서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바닥판 11 : 바닥판 슬롯
12 : 바닥판 개구부 20 : 측벽
21 : 차폐 슬롯 22 : 슬라이드 패널
30 : 지붕 31 : 상판
32 : 집수조 40 : 횡방향 구획판
50 : 종방향 구획판 60 : 개구창
70 : 저류조 80 : 격실
100 : 곤충 비오톱 시스템 200 : 집광판
210 : 광 반사판 220 : 지지 프레임
230 : 체결구 240 : 고정 프레임
300 : 강수 공급수단 310 : 바닥패널
320 : 개구부 330 : 공급 카트리지
331 : 본체 프레임 332 : 본체 흡습포
333 : 회동 프레임 334 : 이동 흡습포

Claims (11)

  1. 지면과 접하거나 지면에서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양쪽 측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벽;
    상기 한 쌍의 측벽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
    상기 측벽 및 상기 지붕 사이의 공간을 복수의 층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수의 횡방향 구획판;
    상기 횡방향 구획판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각 층의 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종방향 구획판; 및
    상기 횡방향 구획판 및 종방향 구획판으로 구획되는 격실 공간에 수용되어 곤충의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채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벽 및 종방향 구획판에는,
    상기 격실로의 채광과 통풍을 위한 개구창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창은,
    상기 측벽 및 종방향 구획판의 전방으로부터 개구창 형부 후단을 포함하도록, 상기 측벽 및 종방향 구획판 내부에 형성된 차폐 슬롯을 통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패널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상기 측벽의 개구창을 개폐하는 슬라이드 패널은,
    채광은 차단하고 통풍은 허여하기 위하여, 격실 공간 측으로부터 측벽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갖는 관통공이 형성된 불투명 재질의 판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비오톱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개구창을 개폐하는 슬라이드 패널은,
    채광 및 통풍을 동시에 차단하기 위하여, 불투명 재질의 판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비오톱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개구창을 개폐하는 슬라이드 패널은,
    채광은 허여하고 통풍은 차단하기 위하여, 투명 재질의 판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비오톱 시스템.
  5. 삭제
  6.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은,
    측벽 상단부의 격실 공간 상부를 차폐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 상단에 구비되고, 상방이 개구되어 강수(우수 및 용융 강설)를 집수하는 집수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는 상기 집수조에서 집수되는 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류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비오톱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에 집수된 강수는,
    상기 측벽 내측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배수관을 통해 상기 저류조로 이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비오톱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접하는 격실 중 일부 격실에는,
    상기 바닥판의 소정 영역에 상기 저류조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강수 공급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저류조의 강수가 상기 강수 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격실 공간 내부로 지연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비오톱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는,
    통나무, 대나무, 나무껍질, 나뭇잎, 건초, 벽돌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비오톱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에는,
    상기 채움재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선택적으로 채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비오톱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는,
    상기 곤충 비오톱 시스템의 설치 장소에 따라 구성을 달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비오톱 시스템.
KR1020220077612A 2022-06-24 2022-06-24 도심 내 생태균형 보전을 위한 곤충 비오톱 시스템 KR102557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612A KR102557411B1 (ko) 2022-06-24 2022-06-24 도심 내 생태균형 보전을 위한 곤충 비오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612A KR102557411B1 (ko) 2022-06-24 2022-06-24 도심 내 생태균형 보전을 위한 곤충 비오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411B1 true KR102557411B1 (ko) 2023-07-20

Family

ID=87426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612A KR102557411B1 (ko) 2022-06-24 2022-06-24 도심 내 생태균형 보전을 위한 곤충 비오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4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5714A (ja) * 2008-10-17 2009-01-15 Takatsuna Senba 多様な生態に対応する生物飼育容器の蓋
KR101813869B1 (ko) 2016-08-16 2018-01-04 유남재 곤충 서식 구조체 및 곤충용 사육상자
KR20190026304A (ko) * 2017-09-05 2019-03-13 농업회사법인 귀뚜람푸드 주식회사 귀뚜라미 사육장치
KR20190037756A (ko) * 2017-09-29 2019-04-0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친환경 파고라
KR20190096186A (ko) 2018-02-08 2019-08-19 최민관 곤충 대량사육장치와 설비
KR20220060432A (ko) * 2020-11-04 2022-05-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모듈형 버그 하우스 및 이를 위한 수분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5714A (ja) * 2008-10-17 2009-01-15 Takatsuna Senba 多様な生態に対応する生物飼育容器の蓋
KR101813869B1 (ko) 2016-08-16 2018-01-04 유남재 곤충 서식 구조체 및 곤충용 사육상자
KR20190026304A (ko) * 2017-09-05 2019-03-13 농업회사법인 귀뚜람푸드 주식회사 귀뚜라미 사육장치
KR20190037756A (ko) * 2017-09-29 2019-04-0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친환경 파고라
KR20190096186A (ko) 2018-02-08 2019-08-19 최민관 곤충 대량사육장치와 설비
KR20220060432A (ko) * 2020-11-04 2022-05-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모듈형 버그 하우스 및 이를 위한 수분 공급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곤충들의 겨울나기 곤충 호텔 비오톱.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9년 1월 6일, [2022년 7월 5일 검색],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cjmmedia/221433994704>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pkins et al. Living architecture: green roofs and walls
Meagher et al. Yellowstone and the Biology of Time: Photographs across a Century
Vlieghe et al. Herbivory by subterranean termite colonies and the development of fairy circles in SW N amibia
Richards An ecological study of the cavernicolous fauna of the Nullarbor Plain Southern Australia
CN1465242A (zh) 光诱除蚊装置
KR102557411B1 (ko) 도심 내 생태균형 보전을 위한 곤충 비오톱 시스템
Ziegler et al. Building up of keeping facilities and breeding projects for frogs, newts and lizards at the Me Linh Station for Biodiversity in northern Vietnam, including improvement of housing conditions for confiscated reptiles and primates
KR20090024044A (ko) 양서류 양식장의 구조와 시설과 먹이용 곤충 배양비닐하우스
Warner Nature Based Solutions for Water Management in England: Contribution to Biodiversity Net Gain in Urban Areas
Shroff Snakes in an urban environment: a follow up on patterns of snake occurrences in western Ahmedabad after a gap of 15 years
Crane Wall hives and wall beekeeping
CN213939235U (zh) 小熊猫住所
Nash The Role of Maize in Low-Level Food Production among Northern Peripheral Fremont Groups in the Northeastern Uinta Mountains of Utah
US6530344B2 (en) Nesting structure for northern rough-winged swallows
Boiko et al. Glade farming as a product and a factor in the formation of landscape (using the example of the Boikivshchyna region in the Ukrainian Carpathians)
Olaifa et al. Incorporating Rain Water Harvesting into the Green house Farming
Vosloo Living walls and green facades: a case study of the UP Plant Sciences vegetated wall
CN208317620U (zh) 一种适合于海岛种菜的日光温室
Gladbach Terrarium Tales
Thompson New Jersey Poultry Houses
WO2023084224A1 (en) Vertically-integrated combined farming and food-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Roaf et al. The adaptive potential of traditional buildings and cities
KR20150009124A (ko) 말의 생육 조건을 고려한 개량형 마사
Yang Biointegration of architecture and ecology system
Ammari et al. Vernacular culture and its contribution to the identity of Auresian houses in Alg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