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588Y1 -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588Y1
KR200319588Y1 KR20-2003-0011837U KR20030011837U KR200319588Y1 KR 200319588 Y1 KR200319588 Y1 KR 200319588Y1 KR 20030011837 U KR20030011837 U KR 20030011837U KR 200319588 Y1 KR200319588 Y1 KR 200319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pair
polygonal shaft
polygonal
g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헌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룸
Priority to KR20-2003-0011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5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5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등받이의 상단에 구비한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헤드레스트 커넥터(30)의 상측 좌우단 수납부(30a)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30b)속으로 회전 자유롭도록 삽입 관통되면서 그들 좌우단이 외부로 돌출되는 다각축(40)과, 상기 다각축(40)의 좌우단에 공회전되지 않게 각각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헤드레스트 커넥터(30)의 상단 좌우측 수납부(30a)에 일정깊이로 각각 회전 자유롭게 각각 삽입되면서 상기 수납부(30a)내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기어면(30c)과 서로 대응되게 측면이 서로 기어맞춤되도록 한쪽 측면에 기어면(50a)이 형성된 좌우 한쌍의 스톱퍼(50)와, 상기 다각축(40)의 좌우단에 각각 끼워져 상기 좌우 한쌍의 스톱퍼(50)를 헤드레스트 커넥터(30)측으로 각각 탄성을 가하는 좌우 한쌍의 탄발부재(60)와, 상기 다각축(40)의 좌우단에 공회전되지 않게 각각 끼워져 상기 좌우 한쌍의 탄발부재(60)를 각각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레스트 커넥터(30)의 수납부(30a)의 개구를 커버하면서 상기 좌우 한쌍의 스톱퍼(50)가 축방향으로 일정거리 유동되도록 좌우 한쌍의 헤드레스트 프레임(70)과, 상기 좌우 한쌍의 헤드레스트 프레임(70)의 외측에서 상기 다각축(40)의 좌우단에 각각 체결되어 헤드레스트 프레임(70)와 다각축(40)을 고정하는 좌우 한쌍의 고정볼트(90)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람(착석자)의 개개인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헤드레스트를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어 편안함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control apparatus for angle of a headrest}
본 고안은 의자에 적용되는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개개인의 신체조건에 따라 머리의 깊이 및 위치를 임의적으로 각도조절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에 앉았을 때의 자세에는 업무 자세와 쉬는 자세로 구별되며, 의자의 등받이는 착석자의 어깨부위에서 허리에 이르는 상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허리에 가해지는 상체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지지함과 아울러 편안한 착석자세를 유도하도록 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기능성 의자 등받이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한편, 대부분의 의자는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부와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 만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착석시 어깨부위에서 후두부로 이어지는 척추부위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함에 따라 착석자가 오랫동안 의자에 앉아 있거나 등받이에 기대어 휴식을 취할 때 목 또는 어깨가 결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바, 이러한 종래 의자의 일예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대표적인 의자의 형태가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에 의거하여 종래 의자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의자는 의자본체(1)를 지지하는 다리부(2)와, 다리부(2)의 상부에 지면과 일정한 높이로 수평상태를 이루어 결합된 좌판부(3)와, 상기 좌판부(3)의 후단부에 대략 수직으로 설치되는 등받이부(4)가 결합되어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다리부(2)는 좌판부(3)의 저면에 수직지지대(2a)가 고정되고, 그 하단부에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다수개의 다리(2b)가 형성되며, 상기 다리(2b)의 외측 하단부 각각에는 캐스터(2c)가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좌판부(3)는 착석자 둔부의 형상에 따라 중앙이 오목한 형태의 구조를 취하고, 좌판부(3)의 저면에는 등받이 지지대(5)가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 지지대(5)의 후단에는 상기 등받이(4)가 고정되어 착석자의 등부위를 밀착 지지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의자본체(1)는 착석초기에는 둔부 및 허리부분이 등받이(4)와 밀착 지지되어 안락하고 편안한 상태를 느끼게 되나, 착석자가 등받이(4)에 기대서 휴식을 취할 경우 또는 의자본체(1)에 앉은 채로 수면을 취할 경우에 더욱더 편안한 자세를 유지시켜 주기 위하여 헤드레스트를 부가적으로 장치하여 머리의 무게까지 지탱해 줄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4a)가 일체로 고정된다. 이러한 헤드레스트(4a)는 착석자의 신체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항상 일정한 높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4a)의 높낮이와 착석자(사람)의 머리가 서로 일치되지 않을 경우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없고 휴식후에 목부분의 피로감이 더하고 목이 결리는등의 통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특히, 사람은 머리의 형상, 머리의 크기(두께 및 폭), 뒤통수의 볼륨, 목의 길이 등이 개개인 마다 다르기 때문에 편안함을 최대한 보장해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등받이(4)의 형상에 대비해 상대적으로 헤드레스트(4a)의 높이와 깊이, 위치 및 면의 볼륨감 등을 바꾸어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상기 헤드레스트(4a)에서는 해소시켜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람(착석자)의 개개인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헤드레스트를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편안함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는 등받이의 상단에 구비한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헤드레스트 커넥터의 상측 좌우단 수납부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속으로 회전 자유롭도록 삽입 관통되면서 그들 좌우단이 외부로 돌출되는 다각축과, 상기 다각축의 좌우단에 공회전되지 않게 각각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헤드레스트 커넥터의 상단 좌우측 수납부에 일정깊이로 각각 회전 자유롭게 각각 삽입되면서 상기 수납부내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기어면과 서로 대응되게 측면이 서로 기어맞춤되도록 한쪽 측면에 기어면이 형성된 좌우 한쌍의 스톱퍼와, 상기 다각축의 좌우단에 각각 끼워져 상기 좌우 한쌍의 스톱퍼를 헤드레스트 커넥터측으로 각각 탄성을 가하는 좌우 한쌍의 탄발부재와, 상기다각축의 좌우단에 공회전되지 않게 각각 끼워져 상기 좌우 한쌍의 탄발부재를 각각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레스트 커넥터의 수납부의 개구를 커버하면서 상기 좌우 한쌍의 스톱퍼가 축방향으로 일정거리 유동되도록 좌우 한쌍의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상기 좌우 한쌍의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다각축의 좌우단에 각각 체결되어 헤드레스트 프레임와 다각축을 고정하는 좌우 한쌍의 고정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기어면은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돌기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좌우 한쌍의 스톱퍼는, 그 한쪽 측면에 상기 수납부내에 형성된 기어면과 서로 대응되게 기어맞춤되도록 각각 형성된 기어면과, 그 축방향측 내부 중앙에서 상기 기어면까지의 길이단에 형성되어 상기 다각축이 공회전되지 않게 삽입 관통되는 다각홀과, 그 축방향측 내부 중앙에서 상기 기어면과 반대되는 방향측의 길이단에 형성되어 상기 탄발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다각홀보다 큰 내경을 가진 삽입홀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좌우 한쌍의 헤드레스트 프레임은, 타원링형상의 좌우 한쌍의 몸체부와, 상기 좌우 한쌍의 몸체부의 외주에 대하여 일측면에 수평으로 각각 연장 돌설되어 그 끝단이 상기 헤드레스트 커넥터측 좌우 한쌍의 수납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후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연결부에는 그 끝단에서 길이단 중간까지의 사이에 상기 다각축의 끝단이 공회전되지 않게 삽입되도록 다각홀이 형성되고, 이 다각홀의 바깥단에는상기 고정볼트가 와셔를 개재하여 삽입된 후 상기 다각축의 끝단에 형성된 나사홈에 체결됨으로써 다각축과 연결부를 고정하도록 다각홀보다 작은 통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스톱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의 사용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헤드레스트 커넥터 30a : 수납부
30b : 관통홀 30c : 기어면
40 : 다각축 40a : 나사홈
50 : 스톱퍼 50a : 기어면
50b : 다각홀 50c : 삽입홀
60 : 탄발부재 70 : 헤드레스트 프레임
72 : 몸체부 74 : 연결부
74a : 다각홀 74b : 통과홀
80 : 와셔 90 : 고정볼트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는 도 2 내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미도시)의 상부 중앙에 고정되는 헤드레스트 커넥터(30)와, 상기 헤드레스트 커넥터(30)의 상측 좌우단 수납부(30a)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30b)속으로 회전 자유롭도록 삽입 관통되면서 그들 좌우단이 외부로 돌출되는 다각축(40)과, 상기 다각축(40)의 좌우단에 공회전되지 않게 각각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헤드레스트 커넥터(30)의 상단 좌우측 수납부(30a)에 일정깊이로 각각 회전 자유롭게 각각 삽입되면서 상기 수납부(30a)내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기어면(30c)과 서로 대응되게 측면이 서로 기어맞춤되도록 한쪽 측면에 기어면(50a)이 형성된 좌우 한쌍의 스톱퍼(50)와, 상기 다각축(40)의 좌우단에 각각 끼워져 상기 좌우 한쌍의 스톱퍼(50)를 헤드레스트 커넥터(30)측으로 각각 탄성을 가하는 좌우 한쌍의 탄발부재(60)와, 상기 다각축(40)의 좌우단에 공회전되지 않게 각각 끼워져 상기 좌우 한쌍의 탄발부재(60)를 각각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레스트 커넥터(30)의 수납부(30a)의 개구를 커버하면서 상기 좌우 한쌍의 스톱퍼(50)가 축방향으로 일정거리 유동되도록 둘레에 쿠션부재(미도시)가 씌워지는 좌우 한쌍의 헤드레스트프레임(70)과, 상기 좌우 한쌍의 헤드레스트 프레임(70)의 외측에서 상기 다각축(40)의 좌우단에 와셔(80)를 매개로 각각 체결되어 헤드레스트 프레임(70)와 다각축(40)을 고정하는 좌우 한쌍의 고정볼트(9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헤드레스트 커넥터(30)는 티자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부측 좌우단에 상기 좌우 한쌍의 스톱퍼(50)가 각각 삽입되도록 수납부(30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 한쌍의 수납부(30a)의 측면 중앙에는 상기 다각축(40)이 회전 자유롭게 관통되도록 관통홀(30b)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수납부(30a)와 우측 수납부(30a)가 접하는 내부 중앙측 양벽면에는 상기 스톱퍼(50)의 기어면(50a)과 서로 대응되게 기어맞춤되도록 각각 기어면(30c)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기어면(30c)(50a)은 예를 들어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삼각돌기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다각축(40)은 예를 들어 육각봉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양쪽 단부면에 상기 고정볼트(90)가 각각 체결되도록 나사홈(4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한쌍의 스톱퍼(50)는 상기 헤드레스트 커넥터(30)의 수납부(30a)에 헐겁게 삽입되도록 예를 들어 원봉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한쪽 측면에 상기 수납부(30a)내에 형성된 기어면(30c)과 서로 대응되게 기어맞춤되도록 기어면(50a)이 각각 형성되고, 그 축방향측 내부 중앙에서 상기 기어면(50a)까지의 길이단에는 상기 다각축(40)이 공회전되지 않게 삽입 관통되도록 다각홀(50b)이 형성되며, 그 축방향측 내부 중앙에서 상기 기어면(50a)과 반대되는 방향측의 길이단에는 상기 탄발부재(60)가 삽입되도록 상기 다각홀(50b)보다 큰 내경의 삽입홀(50c)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좌우 한쌍의 탄발부재(60)는 예를 들어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좌우 한쌍의 헤드레스트 프레임(70)은 예를 들어 타원링형상의 좌우 한쌍의 몸체부(72)와, 상기 좌우 한쌍의 몸체부(72)의 외주에 대하여 일측면에 수평으로 각각 연장 돌설되어 그 끝단이 상기 헤드레스트 커넥터(30)측 좌우 한쌍의 수납부(30a)에 각각 연결되도록 후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연결부(74)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74)에는 그 끝단에서 길이단 중간까지의 사이에 상기 다각축(40)의 끝단이 공회전되지 않게 삽입되도록 다각홀(74a)이 형성되고, 이 다각홀(74a)의 바깥단에는 상기 고정볼트(90)가 와셔(80)를 개재하여 삽입된 후 상기 다각축(40)의 끝단에 형성된 나사홈(40a)에 체결됨으로써 다각축(40)과 연결부(74)를 고정하도록 다각홀(74a)보다 작은 통과홀(74b)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7a와 같이 도시한 상태에서 착석자가 의자에 앉아있는 채로 머리 뒤로 손을 들어 올려 헤드레스트 프레임(70)을 잡은 후, 도 7b와 같이 헤드레스트 프레임(70)을 위쪽 또는 도 7c와 같이 헤드레스트 프레임(70)을 아래쪽으로 꺽어서 원하는 소정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즉, 헤드레스트 프레임(70)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꺽으면, 이 헤드레스트 프레임(70)에 고정볼트(90)에 의해 고정됨과 동시에 헤드레스트 프레임(70)의 연결부(74)에 형성된 다각홀(74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된 다각축(40)이 동시 같은 방향 및 같은 속도로 회전되고, 이 다각축(40)은 회전될 때 그 외주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워진 스톱퍼(50)를 동시 같은 방향 및 같은 속도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 스톱퍼(50)는 회전될 때 그 한쪽 측면에 형성된 기어면(50a)이 헤드레스트 커넥터(30)의 수납부(30a)내에 형성된 기어면(30c)으로부터 비틀림 응력(힘)을 받으면서 빗면을 타고 회전할려는 작용에 의해 상기 기어면(30c)과 기어면(50a)의 기어맞춤에 의한 로크(Lock)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스톱퍼(50)는 도 6b와 같이 헤드레스트 커넥터(30)의 수납부(30a)내에서 바깥방향, 즉 헤드레스트 프레임(70)측으로 밀려나가면서 탄발부재(60)를 압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계속해서 스톱퍼(50)를 회전시키면 스톱퍼(50)의 기어면(50a)과 헤드레스트 커넥터(30)측 수납부(30a)내의 기어면(30c)의 기어맞춤상태가 서로 걸렸다(Lock-on) 풀렸다(Lock-off)하게 되고, 헤드레스트 프레임(70)을 회전시키던 손을 놓으면 탄발부재(60)의 탄성에 의해 스톱퍼(50)가 안쪽으로 밀리면서 그 기어면(50a)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30a)내의 기어면(30c)과 자동으로 걸림으로써 스톱퍼(50)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스톱퍼(50)와 연결된 다각축(40) 및 헤드레스트 프레임(70)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는 등받이에 고정된 헤드레스트 커넥터측 기어면과 헤드레스트 프레임에 다각축을 매개로연결된 스톱퍼측 기어면이 탄발부재의 탄성에 의해 서로 기어맞춤된 상태에서 헤드레스트 프레임을 회전시킬 때 상기 기어면이 서로 걸렸다 풀렸다 하면서 사용자(착석자)가 원하는 각도로 헤드레스트를 상하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를 사람(착석자)의 개개인의 신체조건에 적합한 임의의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편안함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등받이의 상단에 구비한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헤드레스트 커넥터(30)의 상측 좌우단 수납부(30a)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30b)속으로 회전 자유롭도록 삽입 관통되면서 그들 좌우단이 외부로 돌출되는 다각축(40)과,
    상기 다각축(40)의 좌우단에 공회전되지 않게 각각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헤드레스트 커넥터(30)의 상단 좌우측 수납부(30a)에 일정깊이로 각각 회전 자유롭게 각각 삽입되면서 상기 수납부(30a)내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기어면(30c)과 서로 대응되게 측면이 서로 기어맞춤되도록 한쪽 측면에 기어면(50a)이 형성된 좌우 한쌍의 스톱퍼(50)와,
    상기 다각축(40)의 좌우단에 각각 끼워져 상기 좌우 한쌍의 스톱퍼(50)를 헤드레스트 커넥터(30)측으로 각각 탄성을 가하는 좌우 한쌍의 탄발부재(60)와,
    상기 다각축(40)의 좌우단에 공회전되지 않게 각각 끼워져 상기 좌우 한쌍의 탄발부재(60)를 각각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레스트 커넥터(30)의 수납부(30a)의 개구를 커버하면서 상기 좌우 한쌍의 스톱퍼(50)가 축방향으로 일정거리 유동되도록 좌우 한쌍의 헤드레스트 프레임(70)과,
    상기 좌우 한쌍의 헤드레스트 프레임(70)의 외측에서 상기 다각축(40)의 좌우단에 각각 체결되어 헤드레스트 프레임(70)와 다각축(40)을 고정하는 좌우 한쌍의 고정볼트(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면(30c)(50a)은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돌기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의 스톱퍼(50)는,
    그 한쪽 측면에 상기 수납부(30a)내에 형성된 기어면(30c)과 서로 대응되게 기어맞춤되도록 각각 형성된 기어면(50a)과,
    그 축방향측 내부 중앙에서 상기 기어면(50a)까지의 길이단에 형성되어 상기 다각축(40)이 공회전되지 않게 삽입 관통되는 다각홀(50b)과,
    그 축방향측 내부 중앙에서 상기 기어면(50a)과 반대되는 방향측의 길이단에 형성되어 상기 탄발부재(60)가 삽입되도록 상기 다각홀(50b)보다 큰 내경을 가진 삽입홀(50c)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의 헤드레스트 프레임(70)은,
    타원링형상의 좌우 한쌍의 몸체부(72)와,
    상기 좌우 한쌍의 몸체부(72)의 외주에 대하여 일측면에 수평으로 각각 연장 돌설되어 그 끝단이 상기 헤드레스트 커넥터(30)측 좌우 한쌍의 수납부(30a)에 각각 연결되도록 후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연결부(7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74)에는 그 끝단에서 길이단 중간까지의 사이에 상기 다각축(40)의 끝단이 공회전되지 않게 삽입되도록 다각홀(74a)이 형성되고, 이 다각홀(74a)의 바깥단에는 상기 고정볼트(90)가 와셔(80)를 개재하여 삽입된 후 상기 다각축(40)의 끝단에 형성된 나사홈(40a)에 체결됨으로써 다각축(40)과 연결부(74)를 고정하도록 다각홀(74a)보다 작은 통과홀(7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KR20-2003-0011837U 2003-04-17 2003-04-17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KR200319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837U KR200319588Y1 (ko) 2003-04-17 2003-04-17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837U KR200319588Y1 (ko) 2003-04-17 2003-04-17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588Y1 true KR200319588Y1 (ko) 2003-07-12

Family

ID=49335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837U KR200319588Y1 (ko) 2003-04-17 2003-04-17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5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1625A (en) Mounting structure for cycle seat
US20030034682A1 (en) Support assembly for a seating structure
JP2003521956A (ja) 椅子機構
KR101143619B1 (ko)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200319588Y1 (ko)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KR100722991B1 (ko)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KR102210240B1 (ko) 탄성력 조절이 가능한 의자 등받이 경사 조절기구
US10702066B2 (en) Office chair
KR100526444B1 (ko) 의자 등받이 및 좌판의 탄성 결합 구조
KR200314480Y1 (ko) 전후 회전 머리받침
CN215959083U (zh) 一种多方位支撑的多功能学习椅
KR200443595Y1 (ko) 각도조절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CN213429250U (zh) 椅背进给及微调机构
CN218484111U (zh) 改进头枕舒适度的座椅
JP2020058759A (ja) 椅子
KR102391758B1 (ko)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 장치
CN217243378U (zh) 一种腰靠转动安装结构
KR20100120438A (ko) 등받이 회전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자
CN219699441U (zh) 一种跪坐姿切换的椅子
KR102527967B1 (ko) 기능성 의자
KR101912911B1 (ko) 등받이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377433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등받이
KR20130008184A (ko) 좌판이 기울어지는 의자
KR200253650Y1 (ko)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KR101975760B1 (ko) 등판 틸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