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967B1 - 기능성 의자 - Google Patents
기능성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7967B1 KR102527967B1 KR1020220156805A KR20220156805A KR102527967B1 KR 102527967 B1 KR102527967 B1 KR 102527967B1 KR 1020220156805 A KR1020220156805 A KR 1020220156805A KR 20220156805 A KR20220156805 A KR 20220156805A KR 102527967 B1 KR102527967 B1 KR 1025279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rotating body
- bearing cap
- waist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4 post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76 seden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2—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shell-shape seat and back-rest unit, e.g. having arm res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엉덩이측의 대퇴부보다는 엉덩이가 밀착되는 안착면이 일정 깊이로 하향 요입되도록 한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후방을 일정 높이로 상향 연장되게 하여 엉덩이의 뒷부분을 감싸면서 등쪽 허리에 밀착되도록 전방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허리를 받치도록 하는 허리 받침부와, 상기 허리 받침부를 상부로 연장하여 등 부위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등을 받치도록 하는 등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게 하면서 전방으로 휘어져 돌출되도록 하여 목 부위를 받치는 동시에 상단부는 후방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머리를 지지하도록 하는 머리 받침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시트본체; 상기 시트본체의 상기 시트부의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저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면서 상부면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시트본체와의 사이에는 고정 캡이 축 연결되는 구형의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하단부로부터 직경보다 상부를 감싸도록 하면서 상기 회전체에 접촉하는 면으로는 일정하게 베어링 볼이 배열되도록 베어링 캡을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 캡의 상단부에는 상기 회전체의 이탈이 방지되게 상기 고정 캡이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베어링 캡의 상단부는 외측으로 일정 두께와 면적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받침판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판의 상기 시트본체의 양측으로는 일정 높이로서 팔걸이가 고정 결합되는 회전체 수용구; 상기 회전체 수용구의 상기 베어링 캡의 하부에서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고정축의 하단부를 중앙에서 축지지하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한 복수의 브릿지에는 각 단부에 바퀴가 연결되도록 하는 다리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의 시트부를 전후방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최대한 편안한 자세로 작업과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면서 놀이를 제공하도록 하는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하는 가구의 일종이며, 사용 용도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즉, 통상적으로 의자에는 사람이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와 착석하는 시트부와 이 시트부를 받쳐주는 다리부로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등받이부가 없는 스툴이나 다리부가 없는 좌식형태의 의자 등과 같이 사용목적이나 환경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의 의자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우리나라가 좌식 문화였으므로 의자가 많이 사용되지 않았으나 현재는 대부분의 생활을 의자에서 할 정도로 대부분의 시간을 의자에서 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의자는 사용자의 등과 함께 엉덩이를 지지하면서 안전하고 편안하게 앉아 공부를 하던지 작업을 하던지 아니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만, 의자는 단순히 앉기 위한 용도 이상의 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0968026호(2010.06.28.)의 시트부의 요동 및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에서는 시트부의 하부에 제1안내돌기와 제2안내돌기가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요동프레임을 구비하고, 시트부와 다리부 사이에는 요동 프레임을 받쳐주는 받침판이 구비되도록 하며, 받침판의 좌우 양단에는 요동프레임의 제1안내돌기 및 제2안내돌기가 끼워져 요동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각각 상하 대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홀을 형성하는 가이드프레임을 구비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시트부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전후로 흔들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락함과 함께 의자에서 다양한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되는 안내홀을 따라 요동프레임의 제1안내돌기와 제2안내돌기가 상호 대칭이 되게 이동하도록 하다보면 제1안내돌기와 제2안내돌기가 안내홀측 가이드프레임과 지속적으로 마찰을 일으키게 되면서 대단히 시끄러운 소음 발생과 함께 심각한 마모를 유발하게 되어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등받이부와 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시트본체의 하부가 다리 상부에 연결되는 받침판에서 다양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착석한 자세에 따라 시트본체가 회전하면서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안락함과 함께 유흥을 즐길 수 있는 기능성 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는, 엉덩이측의 대퇴부보다는 엉덩이가 밀착되는 안착면이 일정 깊이로 하향 요입되도록 한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후방을 일정 높이로 상향 연장되게 하여 엉덩이의 뒷부분을 감싸면서 등쪽 허리에 밀착되도록 전방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허리를 받치도록 하는 허리 받침부와, 상기 허리 받침부를 상부로 연장하여 등 부위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등을 받치도록 하는 등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게 하면서 전방으로 휘어져 돌출되도록 하여 목 부위를 받치는 동시에 상단부는 후방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머리를 지지하도록 하는 머리 받침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시트본체; 상기 시트본체의 상기 시트부의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저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면서 상부면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시트본체와의 사이에는 고정 캡이 축 연결되는 구형의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하단부로부터 직경보다 상부를 감싸도록 하면서 상기 회전체에 접촉하는 면으로는 일정하게 베어링 볼이 배열되도록 베어링 캡을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 캡의 상단부에는 상기 회전체의 이탈이 방지되게 상기 고정 캡이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베어링 캡의 상단부는 외측으로 일정 두께와 면적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받침판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판의 상기 시트본체의 양측으로는 일정 높이로서 팔걸이가 고정 결합되는 회전체 수용구; 상기 회전체 수용구의 상기 베어링 캡의 하부에서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고정축의 하단부를 중앙에서 축지지하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한 복수의 브릿지에는 각 단부에 바퀴가 연결되도록 하는 다리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베어링 캡에는 조절볼트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베어링 캡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베어링 캡의 내주면에는 전후방으로 일정 두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베어링 캡에 삽입되는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면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에 의하여 착석한 상태에서 허리를 강력하게 받쳐주도록 하면서 전방으로의 미끄러짐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석 상태에서도 다양한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세 변환이 용이하고, 앉아서도 다양한 운동과 재미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요부를 확대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에서 시트본체가 전후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요부를 확대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에서 시트본체가 전후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사용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시트본체(10)와 회전체(20)와 회전체 수용구(30) 및 다리(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시트본체(10)는 다시 시트부(11)와 허리 받침부(12)와 등 받침부(13)와 머리 받침부(13)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시트본체(10)에서 시트부(11)는 판면이 사용자의 엉덩이에 연결되는 대퇴부보다 엉덩이가 안착되는 안착면(110)이 일정 깊이로 하향 요입되게 형성되도록 하는 형상으로서, 착석 시 엉덩이 부위가 안착면(110)에 깊이 안착되도록 하면서 착석 이후의 자세 변화가 방지되도록 하며, 시트부(11)의 후방은 일정 높이가 상향 연장되게 하여 엉덩이의 뒷 부분을 감싸도록 한다.
시트부(11)의 후방에서 상향 연장되도록 한 부위는 전방으로 휘어지게 하여 등쪽 허리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등쪽 허리가 후방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허리 받침부(12)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허리 받침부(12)는 다시 등 부위를 따라 밀착되도록 상향 연장되게 하여 등 받침부(13)를 형성한다.
즉, 등 받침부(13)는 허리 받침부(12)의 상부에서 상향 연장되도록 하면서 수직보다는 일정 각도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등 받침부(13)는 상향 연장되도록 하면서 전방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목 부위를 받치도록 하는 동시에 상단부를 후방으로 휘어지게 하여 머리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머리 받침부(14)를 형성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시트본체(10)에서 시트부(11)의 하부로 요입되도록 하는 상부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패드(110)가 결합되게 할 수도 있고, 일정 두께의 쿠션이 부착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시트본체(10)는 일정 두께의 목재나 합성수지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외부는 가죽이나 섬유로 커버되도록 한다.
시트본체(10)에서 시트부(11)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저면에는 분리 가능하게 구형의 회전체(20)가 연결되도록 한다.
구형의 회전체(2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부의 일부가 시트부(11)의 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호 면밀착되면서 시트부(11)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회전체(20)의 결합을 위해서 시트부(11)의 상부면으로부터 볼트 체결에 의해서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트부(11)에 연결되는 회전체(20)의 상부에는 회전체(20)로부터 하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 캡(21)이 연결된다.
즉, 고정 캡(21)은 내경이 회전체(20)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하고, 외경은 회전체(2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회전체(20)의 상부에서 하향 이탈은 방지되고, 시트부(11)로부터 분리되어야만 상향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형의 회전체(20)는 하부에서 회전체 수용구(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한다.
회전체 수용구(30)는 다시 베어링 캡(31)과 받침판(32)과 팔걸이(33)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회전체 수용구(30)의 베어링 캡(31)은 내경이 회전체(20)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하고, 그 내부에는 베어링 볼(310)이 일정하게 배열되도록 한다.
이때, 회전체 수용구(30)의 베어링 캡(31)은 회전체(20)의 반구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회전체(20)의 구면과 베어링 캡(31)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 볼(310)이 베어링 캡(31)으로부터 이탈 방지되게 배열되도록 한다.
이러한 베어링 캡(31)의 상단부에는 시트부(11)와 회전체(20)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 캡(21)의 하단부가 나사결합되도록 하며, 나사결합부(311)의 하부에는 수평으로 일정 두께와 면적의 받침판(32)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받침판(32)은 베어링 캡(31)의 상단부에서 나사결합부(311)의 하부측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사이즈로서 연장되도록 하는 평판의 구성으로서, 받침판(32)은 시트부(11)의 전후방 길이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양측으로는 시트부(11)의 양측 단부로부터 일정 폭만큼 연장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시트부(11)보다 크게 형성되는 시트부(11) 양측의 받침판(32)에는 팔걸이(33)의 하단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팔걸이(33)는 받침판(32)에 고정되는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향 연장되게 하여 시트부(11)에 착석한 사용자의 팔 부위가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팔걸이(33)는 하단부가 받침판(32)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체 수용구(30)의 베어링 캡(31) 하부에는 일정 높이로서 고정축(34)이 형성되도록 한다.
고정축(34)은 수직의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도록 할 수도 있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쇽업소버로서 구비되게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고정축(34)은 외부를 축 홀더(미도시)에 의해 커버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베어링 캡(31)에는 조절볼트(312)가 연결되도록 하여 베어링 캡(31)의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체(20)의 회전이 방지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조절볼트(312)는 베어링 캡(31)에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면서 단부가 베어링 캡(31)을 관통하여 회전체(20)의 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삽입되도록 하며, 단면은 회전체(20)의 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단면으로 미끄럼 방지가 가능한 패킹이 일체로 고정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체 수용구(30)의 베어링 캡(31)에 상단부가 축고정되는 고정축(34)의 하단부는 다리(4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다리(40)는 고정축(34)의 하단부가 중앙에서 축지지되도록 하면서 중앙의 축지지부로부터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브릿지(41)들이 일체로 연장되도록 하고, 이들 각 브릿지(41)의 단부에는 바퀴(42)가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다리(40)는 종전과 대동소이하다.
한편, 시트본체(10)는 전후방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서 도 4에서와 같이 베어링 캡(31)의 내주면에는 전후방으로 일정 두께의 가이드 돌기(313)가 형성되도록 하고, 베어링 캡(313)에 삽입되는 회전체(2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돌기(313)와 대응되는 면으로 가이드 홈(22)이 형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구성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의자에 의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자는 바른 착석 자세를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도록 시트본체(10)를 형성하면서 이 시트본체(10)는 회전체 수용구(30)를 축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 시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면(110)에 깊게 밀착되게 함으로써 시트본체(10)에 착석하는 것만으로도 허리와 등과 목과 머리가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을 착석하게 되더라도 피로감이나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통상 의자에 장시간을 착석하게 되면 자세가 점차 흐트러지게 되나 본 발명의 의자는 허리와 등 및 목과 머리를 받치는 구성들에 의해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면서 바른 자세로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척추 상태가 바르지 않았더라도 장시간의 착석만으로도 척추가 바르게 정렬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는 회전체 수용구(30)에 결합된 조절볼트(312)에 의해 시트본체(10)는 고정되어 있게 되므로 그 상태에서 공부를 하거나 일을 하게 되므로 피로감을 최소화하게 되므로 공부나 일의 능률은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조절볼트(312)를 풀게 되면 베어링 캡(31)에 삽입되는 회전체(20)가 결속상태가 해제되면서 도 5에서와 같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렇게 회전체(20)를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면 의자에 앉아서도 팔걸이(33)에 의지하고 이리저리 다양한 방향으로 시트본체(10)를 회전시키면서 몸을 풀어주기도 하여 긴장감을 완화시키기도 하고, 재미를 제공할 수도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자를 사용하게 되면 일을 하거나 공부를 할 때에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자세 교정과 함께 공부 또는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조절볼트(312)를 조작하여 시트본체(10)를 회전시키면서 간단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놀이 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시트본체
11 : 시트부 110 : 안착면
12 : 허리 받침부 13 : 등 받침부
14 : 머리 받침부
20 : 회전체
21 : 고정 캡 22 : 가이드 홈
30 : 회전체 수용구
31 : 베어링 캡 310 : 베어링 볼
311 : 나사결합부 312 : 조절볼트
32 : 받침판 33 : 팔걸이
34 : 고정축
40 : 다리
41 : 브릿지 42 : 바퀴
11 : 시트부 110 : 안착면
12 : 허리 받침부 13 : 등 받침부
14 : 머리 받침부
20 : 회전체
21 : 고정 캡 22 : 가이드 홈
30 : 회전체 수용구
31 : 베어링 캡 310 : 베어링 볼
311 : 나사결합부 312 : 조절볼트
32 : 받침판 33 : 팔걸이
34 : 고정축
40 : 다리
41 : 브릿지 42 : 바퀴
Claims (3)
- 엉덩이측의 대퇴부보다는 엉덩이가 밀착되는 안착면이 일정 깊이로 하향 요입되도록 한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후방을 일정 높이로 상향 연장되게 하여 엉덩이의 뒷부분을 감싸면서 등쪽 허리에 밀착되도록 전방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허리를 받치도록 하는 허리 받침부와, 상기 허리 받침부를 상부로 연장하여 등 부위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등을 받치도록 하는 등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게 하면서 전방으로 휘어져 돌출되도록 하여 목 부위를 받치는 동시에 상단부는 후방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머리를 지지하도록 하는 머리 받침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시트본체;
상기 시트본체의 상기 시트부의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저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상부의 일부가 상기 시트부의 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부면이 분리 가능하도록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 체결되도록 하고, 시트본체와의 사이에는 하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 캡이 축 연결되는 구형의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하단부로부터 직경보다 상부를 감싸도록 하면서 상기 회전체에 접촉하는 면으로는 일정하게 베어링 볼이 배열되도록 베어링 캡을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 캡의 상단부에는 상기 회전체의 이탈이 방지되게 상기 고정 캡이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베어링 캡의 상단부는 외측으로 일정 두께와 면적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받침판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판의 상기 시트본체의 양측으로는 일정 높이로서 팔걸이가 고정 결합되는 회전체 수용구;
상기 회전체 수용구의 상기 베어링 캡의 하부에서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고정축의 하단부를 중앙에서 축지지하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한 복수의 브릿지에는 각 단부에 바퀴가 연결되도록 하는 다리;
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상기 베어링 캡의 내주면에는 전후방으로 일정 두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베어링 캡에 삽입되는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면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체가 전후방의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베어링 캡에는 조절볼트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베어링 캡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회전체가 일정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성 의자.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6805A KR102527967B1 (ko) | 2022-11-21 | 2022-11-21 | 기능성 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6805A KR102527967B1 (ko) | 2022-11-21 | 2022-11-21 | 기능성 의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7967B1 true KR102527967B1 (ko) | 2023-05-02 |
Family
ID=8638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6805A KR102527967B1 (ko) | 2022-11-21 | 2022-11-21 | 기능성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7967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9505Y1 (ko) * | 2003-07-16 | 2003-10-10 | 노우근 | 안락의자 |
KR100968026B1 (ko) | 2009-11-23 | 2010-07-07 | 이장근 | 시트부의 요동 및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
KR20120101931A (ko) * | 2011-03-07 | 2012-09-17 | 정진구 | 자세교정용 의자 |
KR20190004112A (ko) * | 2017-07-03 | 2019-01-11 | 윤대원 | 가이드 홈을 따라 운동되는 볼 조인트 유닛 |
KR102165225B1 (ko) * | 2020-05-25 | 2020-10-13 | 이미영 | 관절 브라켓 |
-
2022
- 2022-11-21 KR KR1020220156805A patent/KR1025279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9505Y1 (ko) * | 2003-07-16 | 2003-10-10 | 노우근 | 안락의자 |
KR100968026B1 (ko) | 2009-11-23 | 2010-07-07 | 이장근 | 시트부의 요동 및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
KR20120101931A (ko) * | 2011-03-07 | 2012-09-17 | 정진구 | 자세교정용 의자 |
KR20190004112A (ko) * | 2017-07-03 | 2019-01-11 | 윤대원 | 가이드 홈을 따라 운동되는 볼 조인트 유닛 |
KR102165225B1 (ko) * | 2020-05-25 | 2020-10-13 | 이미영 | 관절 브라켓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등록의장공보 제30-0343008호(2004.0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295177B2 (ja) | 姿勢保持具 | |
US4529247A (en) | One-piece shell chair | |
US10595640B2 (en) | Activating platform | |
US4500137A (en) | Physiological chair | |
JP2009540871A (ja) | 腰の強化に使用される椅子 | |
JP2017533069A (ja) | 着座者の閾下運動を生じさせるための事務用、作業用、及びレジャー用椅子、及び椅子又は座部面用後付けキット | |
JPH0568965B2 (ko) | ||
JP2014516748A (ja) | 座部 | |
JPH07506502A (ja) | 能動型動的シート装置 | |
KR101135969B1 (ko) | 의자용 등받이 | |
JP2024518059A (ja) | 人間工学的モーションチェア | |
KR102527967B1 (ko) | 기능성 의자 | |
KR102138836B1 (ko) |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 |
KR100942429B1 (ko) |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 |
US20070096524A1 (en) | Corrective chair | |
KR100355031B1 (ko) | 다기능 의자 | |
KR102082352B1 (ko) | 의자의 전방위 탄성지지 기구 | |
US20190387886A1 (en) | Physical Motion Device | |
KR19990046590A (ko) | 의자등받이 | |
JPH11239526A (ja) | 角度調節できる椅子用クッション | |
KR100734166B1 (ko) | 체형에 따라 조절 가능한 의자 | |
KR102506195B1 (ko) | 3d 탄력구조의 일체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 |
KR200401558Y1 (ko) | 척추 교정용 의자 등받이 | |
AU2004100725A4 (en) | A seat | |
CN218484111U (zh) | 改进头枕舒适度的座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