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474Y1 -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474Y1
KR200319474Y1 KR20-2003-0008621U KR20030008621U KR200319474Y1 KR 200319474 Y1 KR200319474 Y1 KR 200319474Y1 KR 20030008621 U KR20030008621 U KR 20030008621U KR 200319474 Y1 KR200319474 Y1 KR 200319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angle
top plate
present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민
Original Assignee
임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민 filed Critical 임종민
Priority to KR20-2003-0008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4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4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47B2200/0043Inclination adjustable work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을 괘해정 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신속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이렇게 조절된 책상의 상판 각도를 괘해정 수단의 치합 상태로 견고히 괘정되도록 하므로 상판의 무단 회동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어 실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이고, 동작에 대한 신뢰성과 더불어 실사용상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판이 상하로 조절용될 수 있도록 된 책상에 있어서,
하부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된 상부는 책상 상판의 양측면 후방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하부에는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레버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괘해정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연결 링크와;
상기 책상을 구성하고 있는 측판의 외측면 일정 부위에 연결 설치되어 있되, 상기 괘해정부재와 삽입연결을 취할 수 있는 사각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고정 브라켓트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angle control apparatus of a face for table}
본 고안은 절단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는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을 괘해정 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신속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이렇게 조절된 책상의 상판 각도를 괘해정 수단의 치합 상태로 견고히 괘정되도록 하므로 상판의 무단 회동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어 실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이고, 동작에 대한 신뢰성과 더불어 실사용상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 사무용도의 조립식 책상의 구조는 상판은 측판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서 상판의 각도 조정이 불가능하게 되어 용도, 기능 등의 다양화를 추구할 수 없게 되어 사용효과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도용 등의 특수 목적의 책상에는 작업의 특수성상 상판의 각도 조정을 위한 구조가 있으나 이는 양측 다리 상단의 상판에 고정된 볼트를 끼워 회동 가능하게 설치시킨 뒤 별도의 노브를 이용하여 볼트를 조이거나 풀러 각도조정 및 위치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실사용시에는 노브의 조임력에만 의존하여 상판의 변경각도를 고정시키는 것이어서 사용중 신체를 접촉시킬 경우 체중에 의해 상판의 각도가 무단 변경될 우려가 있어 완벽한 위치고정 효과를 거둘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목적은,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을 괘해정 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신속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이렇게 조절된 책상의 상판 각도를 괘해정 수단의 치합 상태로 견고히 괘정되도록 하므로 상판의 무단 회동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어 실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이고, 동작에 대한 신뢰성과 더불어 실사용상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상판(up)이 상하로 조절될 수 있도록 된 책상에 있어서, 하부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된 상부는 책상 상판의 양측면 후방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하부에는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레버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괘해정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연결 링크와;
상기 책상을 구성하고 있는 측판의 외측면 일정 부위에 연결 설치되어 있되, 상기 괘해정부재와 삽입연결을 취할 수 있는 사각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고정 브라켓트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제시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의 외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의 요부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고안인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책상 2 : 상판
4 : 측판 6 : 굴곡 거치대
10 : 연결 링크 12 : 괘해정부재
14 : 랙기어 16 : 물림요홈
18 : 레버 20 : 고정브라켓트
22 : 사각돌기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의 외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의 요부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고안인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된 상부는 책상(1) 상판(2)의 양측면 후방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하부에는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레버(18)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괘해정부재(1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연결링크(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책상(1)을 구성하고 있는 측판(4)의 외측면 일정 부위에는 상기 괘해정부재(12)와 삽입 연결을 취할 수 있는 사각돌기(22)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고정 브라켓트(20)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괘해정부재(12)는 상기 고정 브라켓트(20)의 사각돌기(22)를 삽입 연결할 수 있도록 좌우가 관통되어 있되, 외주연에는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상기 레버(18)와 연결된 랙기어(14)가 형성되어 있고, 좌우로 관통된 내주연에는 상기 사각돌기(22)를 견고히 연결할 수 있는 물림요홈(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2)의 정면에 해당하는 면에는 각도 조절시 올려진 필기구 등의 떨어짐을 방질할 수 있는 굴곡 거치대(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은 본 고안인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는 원하는 각도만큼 상판(2)의 전방을 단순히 사용자가 후방으로 끌 듯이당겨주게 되면 각도조정이 완료되어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상판(2)이 당겨지게 되면 상기 상판(2)의 후방 측면과 측판(4)에 연결 설치된 고정 브라켓트(20)의 사각돌기(22)에 연결된 연결 링크(10)가 하부에 연결 설치된 괘해정부재(12)를 통해 고정 브라켓트(20)의 사각돌기(22)를 축으로 하여 원활한 회동이 취해짐과 동시에 사용자가 선택한 상판(2)의 각도 상태를 잠금 설정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판(2)의 원활한 회동과 더불어 잠금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괘해정부재(12)의 잠금은 인접되게 설치된 레버(18)에 의해 제어되게 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괘해정부재(12)는 레버()와 외주연에 형성된 랙기어(14)를 통해 일방향 회동만이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당기는 부위로 단계적인 회동은 가능하나 역회전은 차단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이 변형된 상판(2)의 각도를 원상태로 복원하려면 단순히 상기 레버(18)의 노출된 일측 부위를 누르면 원상태로 자동 복원되게 된다.
즉, 외측으로 노출된 레버(18)를 눌러 하향 조정하면 상기 괘해정부재(12)의 랙기어(14)를 누르고 있던 레버(18)의 일측이 랙기어(14)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책상(1)의 상판(2) 각도를 신속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에 따른 실사용상의 편의성 향상과 더불어 각도 변경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괘해정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어 동작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 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을 괘해정 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신속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이렇게 조절된 책상의 상판 각도를 괘해정 수단의 치합 상태로 견고히 괘정되도록 하므로 상판의 무단 회동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어 실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이고, 동작에 대한 신뢰성과 더불어 실사용상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하부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된 상부는 책상(1) 상판(2)의 양측면 후방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하부에는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레버(18)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괘해정부재(1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연결링크(10)와;
    상기, 책상(1)을 구성하고 있는 측판(4)의 외측면 일정 부위에 연결 설치되어 있되, 상기 괘해정부재(12)와 삽입 연결을 취할 수 있는 사각돌기(22)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고정 브라켓트(20)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괘해정부재(12)는 상기 고정 브라켓트(20)의 사각돌기(22)를 삽입 연결할 수 있도록 좌우가 관통되어 있되, 외주연에는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상기 레버(18)와 연결된 랙기어(14)가 형성되어 있고, 좌우로 관통된 내주연에는 상기 사각돌기(22)를 견고히 연결할 수 있는 물림요홈(1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
KR20-2003-0008621U 2003-03-22 2003-03-22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 KR200319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621U KR200319474Y1 (ko) 2003-03-22 2003-03-22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621U KR200319474Y1 (ko) 2003-03-22 2003-03-22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474Y1 true KR200319474Y1 (ko) 2003-07-12

Family

ID=4941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621U KR200319474Y1 (ko) 2003-03-22 2003-03-22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4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0440B2 (en) Adjustable support frame for a display screen
CA2590535C (en) Safety cutter knife
US7444913B2 (en) Parallel fences
EP0653694A1 (en) Pedals for automobiles
EP1696169B1 (en) Adjustable support frame for a display screen
GB2352284A (en) Clamping device for a steering column
JPH0121028B2 (ko)
JP2004208720A (ja) アームレストの高さ調節装置
US6330843B1 (en) Ratchet screwdriver with rotation control mechanism
KR200319474Y1 (ko) 책상용 상판 각도 조절장치
CA2245284A1 (en) Chair with tilt limiter
JP2004003103A (ja) オートバイドライバー用ヘルメットキャップにバイザー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US7246444B2 (en) Cutting tool with guide member clamping means
JP3546471B2 (ja) 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装置
JPS59179452A (ja) 車両用テイ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2989581B1 (ja) 移動机
JPH09209620A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3103767B2 (ja) 椅子の肘掛け構造
JPH1042999A (ja) 椅子の肘掛け構造
JP4733487B2 (ja) フットレストの接続部材
JPH021143Y2 (ko)
CN219728160U (zh) 一种残疾人使用的汽车手驾
JPH031687Y2 (ko)
JP4084134B2 (ja) ラチェット金具及び座椅子
JP3645837B2 (ja) 開閉体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