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140Y1 - 회전축의 밀폐구조 - Google Patents

회전축의 밀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140Y1
KR200319140Y1 KR20-2003-0004390U KR20030004390U KR200319140Y1 KR 200319140 Y1 KR200319140 Y1 KR 200319140Y1 KR 20030004390 U KR20030004390 U KR 20030004390U KR 200319140 Y1 KR200319140 Y1 KR 200319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tanks
stirring blade
shaf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홍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4103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19140(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Priority to KR20-2003-0004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1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1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2035/35Use of other general mechanical engineering elements in mixing devices
    • B01F2035/351Seal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쓰레기, 공업용, 축산용 등의 각종 교반기, 발효조, 소멸조, 혼합조(이하 교반조라 함)등에서 교반물을 교반(攪拌)하기 위하여 회전되는 교반익의 교반익축과 교반조간의 밀폐를 이루기 위한 회전축의 밀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FRP 등의 교반조에 소정한 크기의 확대된 축공을 형성하고 이 축공에 끼워지는 외관과 교반익축이 관통되는 내관을 저면에서 일체로 형성하여 단면 "┗┛ "형상의 액수용실을 구성하는 케이싱을 구성하되 상기 케이싱의 상면단부에 외향으로 연장된 체결판을 구성함과,
상기 내관과 외관사이로 끼워지는 회전관의 상면 체결공에 교반익축을 관통시켜 회전관을 축봉의 커플링에 고정하도록 함으로서 교반조의 축공에 외관이 밀착되고 액수용실에 충진된 액 또는 물에 수용된 회전관이 밀폐되도록 함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고장이 없으며 제작이 용이한 밀폐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축의 밀폐구조{Airtight structure for axis of rotation}
본 고안은 음식쓰레기, 공업용, 축산용 등의 각종 교반기, 발효조, 소멸조, 혼합조(이하 교반조라 함)등에서 교반물을 교반(攪拌)하기 위하여 회전되는 교반익의 교반익축과 교반조간의 밀폐를 이루기 위한 회전축의 밀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폐수처리의 발효, 소멸 또는 건조공정과 교반 및 공업용으로의 교반, 혼합 등을 처리할 때에 금속, FRP, 콘크리트 등으로 구축된 교반조에 피교반물과 함께희석 등의 목적으로 혼합되는 약품 및 중화제를 첨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첨가물이 빠르게 중화되도록 이들을 교반시키고 있다.
이러한 교반조는 콘크리트나 FRP로 구성되고 있으며 또한 그 크기가 대형으로 구성되며 대개는 외부에 노출되어짐과 함께 교반물에 의한 악취와 가스 등이 발생되고 또는 필요에 따라 밀폐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교반조(100)에는 교반익축(200)을 관통시키기 위한 축공(101)을 형성하여 이 축공으로 교반익축(200)을 관통시켜 외부에 구성된 감속모터 등의 구동부로 하여금 교반익축을 회전시키므로 교반조 내의 교반익(202)이 회전되어 피교반물을 교반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교반익축이 통과되는 축공으로 교반조내의 악취가 새고 또는 교반익축이 회전에 의한 떨림에 의하여 마찰 등으로 교반익축의 파손이 발생되는 폐단과 함께 밀폐를 필요로 할 때에 상기 축공과 교반익축간의 밀폐구조가 복잡하여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서 밀폐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고장이 많은 단점 및 밀폐기능이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교반익축에 커플링을 구성하여 축공의 밀폐 및 고정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공개번호 1999-014083호에서는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체결된 교반익축에 교반익이 구성하되, 상기 교반조 상부로 축지지부를 형성시켜 축이 길게 관통됨으로서 축의 안정을 이루며 교반조의 통공에는 공지의 커플링을 단순히 밀폐 구성시켜 왔다.
이와 같이 축을 안정시킴으로 통공이 작고 또한 커플링만으로도 밀폐기능이향상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금속재 교반조에서는 일정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반면 콘크리트조 또는 FRP조에서는 이러한 밀폐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정밀구조를 이룰 수 없고 또한 오랜 사용에서는 밀폐기능이 크게 저하되는 등의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콘크리트, FRP 등의 교반조에 소정한 크기의 확대된 축공을 형성하고 이 축공에 끼워지는 외관과 교반익축이 관통되는 내관을 저면에서 일체로 형성하여 단면 "┗┛"형상의 액수용실을 구성하는 케이싱을 구성하되 상기 케이싱의 상면단부에 외향으로 연장된 체결판을 구성함과,
상기 내관과 외관사이로 끼워지는 회전관의 상면 체결공에 교반익축을 관통시켜 회전관을 축봉의 커플링에 고정하도록 함으로서 교반조의 축공에 외관이 밀착되고 액수용실에 충진된 액 또는 물에 수용된 회전관이 밀폐되도록 함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고장이 없으며 제작이 용이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케이싱 11;외관 12;내관
13;액수용실 14;체결판 20;회전관
21;체결공 30;오일 100;교반조
101;축공 200;교반익축 201;커플링 202;교반익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교반조의 축공에 밀착되어 체결되는 외관과 교반익축이 관통되는 내관을 저면에서 일체로 형성하여 액수용실을 구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내관과 외관사이로 끼워지는 회전관을 교반익축에 구성시켜 회전관이 액수용실에 충진된 액 또는 물에 삽입으로 밀폐 및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축구성에서의 밀폐효과를 발휘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조(100)에 형성된 축공(101)에 밀폐되어 끼워지는 외관(11)과 교반익축(200)이 관통되는 내관(12)을 저면에서 일체로 형성하여 단면 "┗┛"형상의 액수용실(13)을 구성하는 케이싱(10)을 구성하되,
상기 케이싱(10)의 외관(11) 상단부에 외향으로 연장된 체결판(14)을 구성함과,
상기 내관(12)과 외관(11)사이의 액수용실(13)에 끼워지고 상면 체결공(21)에 교반익축(200)이 관통되어 커플링(201)에 고정되는 회전관(20)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액수용실(13)에는 물 또는 오일(30)등을 충진시켜 회전관(20)과 내관(12)의 밀폐를 이루도록 하였다.
미설명부호 15는 체결용 볼트공이며 202는 교반익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그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을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교반조(100)는 콘크리트, 금속, FRP 등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교반조(100)에 교반익축(200)을 관통하기 위한 축공(101)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축공(101)은 공지에서 보다 크게 구성하고 이에 본 고안의 케이싱(10)을 끼워 체결한다.
이때에 케이싱(10)의 외관(11)과 축공(101)은 패킹이나 접착재 등을 이용하여 밀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밀폐 상태에서 외관(11)에 형성된 체결판(14)을 교반조(100)에 볼트 등으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공지와 같이 교반조(100)상에 모터 등으로 구동되는 교반익축(200)을 설치하되, 상기 교반익축(200)에는 공지의 커플링(201)과 이 커플링(201)과 밀폐 가능하도록 본 고안의 회전관(20)을 체결시키며 상기 체결은 상하 커플링 또는 볼트체결 등이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체결된 회전관(20)이 내, 외관 사이에 형성된 액수용실(13)에 수용되고 교반익축(200)은 교반조(100)내로 수용되며 상기 교반익축(200)에는 교반익(202)을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과 함과 함께 상기 액수용실(13)에 물 또는 오일(30)을 충진시킨다.
그리고 공지와 같이 모터를 작동시키면 구동축은 커플링과 교반익축(200)을 회전시키고 교반조(100)내의 교반익(202)을 회전시킴으로서 교반조내의 피교반물을 혼합, 교반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때에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교반익축(200)에 밀폐되어 고정된 회전관(20)은 액수용실(13)의 오일(20)에 일정한 깊이로 수장됨으로 교반조(100)내측과 밀폐되며 회전가능하고 또한 외부의 충격, 마모 등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또한 밀폐효과가 매우 높아 사용효과를 증대하며 고장이 없어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교반조의 축공에 밀착되어 체결되는 외관과 교반익축이 관통되는 내관을 저면에서 일체로 형성하여 액수용실을 구성함과 상기 액수용실에 오일 등을 충진한 상태에서 교반익축에 체결된 회전관이 오일에 수용되어 교반조 내, 외간을 밀폐함으로서 밀폐효과의 증대와 마찰, 마모를 방지하는 특징으로 공업용, 음식물 소멸조, 농업용 등의 혼합, 교반조 등에 매우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는 특징과 그 구성이 간단하고 고장이 없으며 제작이 용이하여 산업발전에 기여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교반조(100)에 형성된 축공(101)에 밀폐되어 끼워지는 교반익축을 커플링으로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체결판(14)을 형성한 외관(11)과 교반익축(200)이 관통되는 내관(12)을 저면에서 일체로 형성하여 "┗┛"형상의 액수용실(13)을 구성하는 케이싱(10)과,
    상기 내관(12)과 외관(11)사이의 액수용실(13)에 끼워지고 상면 체결공(21)에 교반익축(200)이 관통되어 커플링(201)에 고정되는 회전관(20)을 구성시켜 액수용실(13)의 오일(30)에 수장된 회전관(20)의 밀폐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의 밀폐구조.
KR20-2003-0004390U 2003-02-14 2003-02-14 회전축의 밀폐구조 KR200319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390U KR200319140Y1 (ko) 2003-02-14 2003-02-14 회전축의 밀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390U KR200319140Y1 (ko) 2003-02-14 2003-02-14 회전축의 밀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140Y1 true KR200319140Y1 (ko) 2003-07-07

Family

ID=4941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390U KR200319140Y1 (ko) 2003-02-14 2003-02-14 회전축의 밀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1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915B1 (ko) * 2008-12-23 2009-07-1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친환경 완전혼합다단반응조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의 고효율 바이오 에너지화장치
KR101079831B1 (ko) 2008-07-30 2011-11-03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기계식 교반장치를 구비한 소화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831B1 (ko) 2008-07-30 2011-11-03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기계식 교반장치를 구비한 소화조
KR100907915B1 (ko) * 2008-12-23 2009-07-1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친환경 완전혼합다단반응조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의 고효율 바이오 에너지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2837A (en) Integrated dual mixing action stirring blender
KR200319140Y1 (ko) 회전축의 밀폐구조
CN116553648A (zh) 一种化工污水加药搅拌净化装置
KR101105239B1 (ko) 교반장치
CN205672919U (zh) 一种用气流进行搅拌的反应釜
CN107879463A (zh) 一种曝气池
CN209406185U (zh) 一种行星式混合机
CN210584587U (zh) 一种多功能搅拌机
KR101157936B1 (ko) 마그네틱 교반기의 믹서구조
ATE391550T1 (de) Planetenmischer mit feststehendem behälter in welchem das rührwerk eine mitdrehende abdekung über der drehachse aufweist.
CN207929113U (zh) 一种快速搅拌混合干燥机
DE602006018841D1 (de) Behälter für flüssige Stoff, wobei der Behälter als Rührbehälter ausgestattet ist
CN201161175Y (zh) 搅拌装置
KR100537072B1 (ko) 그라우트용 믹서기
JP2006263728A (ja) 高粘度・非ニュートン流体用竪型攪拌装置
KR200325092Y1 (ko) 혐기성 소화조의 교반기
CN208229729U (zh) 一种安全搅拌机
CN218981189U (zh) 一种双转动搅拌机
CN207413412U (zh) 丙烯酸树脂合成装置
CN201115821Y (zh) 乳化机
CN220077403U (zh) 一种封堵剂用双液存储罐
CN216172249U (zh) 一种基于化学废料处理的化工反应釜
CN217568540U (zh) 一种有机肥料生产用肥料搅拌装置
KR200380639Y1 (ko) 전기 믹서기
CN219631157U (zh) 一种全密封无自转轴芯的搅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324

Effective date: 20090925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324

Effective date: 20090925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