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735Y1 - 낚싯줄관통공이 형성된 수초용낚시찌 - Google Patents

낚싯줄관통공이 형성된 수초용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735Y1
KR200318735Y1 KR20-2003-0011778U KR20030011778U KR200318735Y1 KR 200318735 Y1 KR200318735 Y1 KR 200318735Y1 KR 20030011778 U KR20030011778 U KR 20030011778U KR 200318735 Y1 KR200318735 Y1 KR 200318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shing line
bobber
saw
fishing bo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곤
Original Assignee
김갑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곤 filed Critical 김갑곤
Priority to KR20-2003-0011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7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7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초용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낚시찌가 수면아래로 입수시에 주변의 수초 또는 장애물등에 낚싯줄 또는 낚시찌가 엉킴 또는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낚시찌의 내측에 낚싯줄을 관통삽입시킬 수 있고, 낚시터의 깊이에 따라서 찌톱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싯줄관통구조를 갖는 수초용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내측에 관통공(11a)이 형성되어 상측에 위치되는 찌톱(11)과; 상기 찌톱(10)의 하측에 구성되며 부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찌몸체(13)와; 상기 찌몸체(13)의 내측에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이 돌출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찌톱(11)이 삽입되는 중공체(1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낚시찌를 수직방향으로 입수시킬때 부유물과 장애물이 많은 좁은 수초사이에서도 입수가 용이하고, 아울러 얕은 수심에도 찌톱의 관통공과 중공체를 이용하여 상기 찌톱의 길이와 스토퍼에 의하여 수면위에 노출높이를 조절하므로써 다수의 찌를 준비해야 하는 경비절감과 찌교환에 따른 불편과 시간절약을 도모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Description

낚싯줄관통공이 형성된 수초용낚시찌{Float having inner hole}
본 고안은 수초용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낚시찌가 수면아래로 입수시에 주변의 수초 또는 장애물등에 낚싯줄 또는 낚시찌가 엉킴 또는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낚시찌의 내측에 낚싯줄을 관통삽입시킬 수 있고, 낚시터의 깊이에 따라서 찌톱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싯줄관통구조를 갖는 수초용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할 때에는 수심에 따라서 낚싯줄의 일정길이 부분에 낚시찌를 연결고정하여 낚시바늘과 낚시찌를 입수시켜, 상기 낚시찌의 유동됨에 따라 물고기의 입질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낚시찌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낚시찌를 나타낸 실시도이다.
도면부호 1은 낚시찌, 1a는 찌톱, 1b는 찌몸통, 1c는 찌날라리, 1d는 낚싯줄연결구, 1e는 봉돌, 2는 낚시바늘, 3은 낚싯줄, 4는 낚싯대이다.
도 1에 도시된 낚시찌(1)는 상측에 물고기의 입질을 표시하는 찌톱(1a)이 형성되고, 그 하측으로 부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찌몸통(1b)과, 상기 찌몸통(1b)의 하측으로는 상기 찌몸통(1b)을 지지하는 찌날라리(1c)가 구성되며, 아울러 상기 찌날라리(1c)의 하측으로 감겨지는 낚싯줄을 고정시키는 낚싯줄연결구(1e)가 포함된다.
종래의 낚시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찌톱(1a)과 찌몸체(1b), 찌날라리(1c), 그리고 낚싯줄연결구(1d)로 구성되며, 상기 낚싯대(4)의 일정개소에 고정된 낚싯줄(3)은 상기 낚싯줄연결구(1d)에 의해 상기 낚시찌(1)에 고정되며, 상기 낚싯줄(3)의 하측에는 낚시바늘(2)과 봉돌(1e)이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심이 얕고, 수면의 부유물 및 수초가 무성한 저수지등에 낚시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구성 및 결합된 낚싯대를 조정하여 수면위의 부유물 또는 수초를 피해서 미끼가 걸린 낚시바늘(2)을 조심스럽게 입수시키게 된다. 이때 낚시찌(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입수하게 되므로 처음에는 수면에 수평으로 부유하다가 봉돌(1e)의 무게에 의해 점차 수면아래로 입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낚시찌(1)는 수면위에 수평으로 부유하다가 찌톱(1)이 상측으로 직립되면서 상기 찌날라리(1c)부터 수면 아래로 입수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 깊이로 입수후, 상기 낚시찌(1)는 자체 부력에 의해 수면위로 상승하고, 낚싯바늘(2)은 봉돌(1e)의 무게에 의해 바닥 또는 바닥면에 근접하게 위치됨에 따라 상기 낚시찌(1)와 낚시바늘(2) 사이의 낚싯줄(3)은 긴장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낚시찌는 찌날라리의 하측에서 상기 낚싯줄연결구에 낚싯줄에 고정됨에 따라 입수시에는 찌톱이 아래로 향하게 된 상태로 수면에 도달하게 되므로 입수위치의 선정에 어려움이 있고, 또는 입수시에도 부근의 장애물과 걸림이 발생되며, 수면위에서 장애물과 접촉이 없다하더라도 이후에 봉돌의 무게에 의해 상기 찌톱이 상측에 위치되어 직립되도록 회전해야 되므로 근처의 부유물과 접촉되어 낚시찌의 회전이 방해받을 수 있어 상기 낚시찌가 수직으로 위치되지 못하므로 사용자는 입수된 낚시찌를 다시 건져 재입수시켜야 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낚시찌는 수초사이의 틈새로 낚시바늘 및 낚시찌를 입수시키기 위하여 낚시바늘을 서서히 내리게 될때, 바람의 영향과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한 낚시대의 유동으로 인하여 그 하부에 연결된 봉돌 및 채비등에 흔들림이 전달되어 낚시바늘을 정확환 위치에 입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은 내측에 중공체를 형성하여 낚싯줄을 삽입관통시켜 낚시찌가 하단부로 이동하여 봉돌과 밀착된 상태로 직립시키므로 채비의 무게중심이 하단부에 일치되여 바람의 영향과 낚싯대의 흔들림에 도 밀생수초, 부유물 또는 기타 장애물에 낚시찌가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수면위에서의 입수과정에 채비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채비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낚시찌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수초낚시의 특성상 얕은 수심대에 채비를 안착해야 하므로 수심에 따라서 물고기의 입질표시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절첩이 가능한 찌톱을 제공하여 기존 낚시찌의 단점인 수심변화에 대응키위해 여러개의 낚시찌를 준비해야 하는 비용과 채비교환에 따른 시간적 손실과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낚시찌의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
도 4는 본고안에 따른 낚싯줄관통공이 형성된 수초용낚시찌의 사시도,
도 5는 수초용낚시찌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타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낚시찌 11 : 찌톱
11a : 관통공 11c : 삽입구
12 : 중공체 12a : 중공
13 : 찌몸체 14 : 스토퍼
20 : 낚시바늘 21 : 봉돌
30 : 낚싯줄 40 : 낚싯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부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된 낚시찌(10)와, 상기 낚시찌(10)에 연결되는 낚싯줄(30)과, 상기 낚싯줄(30)의 종측에 연결되는 낚시바늘(20)과, 상기 낚싯줄(30)이 고정되는 낚싯대(40)를 포함하는 낚시도구에 있어서, 상기 낚시찌(10)는 내측에 관통공(11a)이 형성되어 상측에 위치되는 찌톱(11)과; 상기 찌톱(10)의 하측에 구성되며 부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찌몸체(13)와; 상기 찌몸체(13)의 내측에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이 돌출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찌톱(11)이 삽입되는 중공체(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낚싯줄(30)에 착탈가능토록 구성되어 부력에 의한 상기 찌톱(10)의 상승높이를 조절하는 스토퍼(14)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일측 외주면에 상기 낚싯줄(30)이 삽입되는 삽입구(11c)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낚싯줄을 상기 삽입구(11c)를 통해 측면으로 관통삽입시킴이 바람직하다.
즉, 본고안은 관통공(11a)이 형성된 찌톱(11)을 상기 찌몸체(13)에 삽입된 중공체(12)에 삽입시키고, 상기 찌톱(11)과 중공체(12)의 내측으로 낚싯줄(30)을 삽입시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낚싯줄(30)이 수면위 또는 수면아래의 수초등의 장애물에 의해 엉킴이나 걸림이 예방되고, 입수시에 낚시찌와 봉돌이 하단에 밀착되므로써 낚시대의 흔들림과 바람에 의한 진동이 전달되어도 상기 봉돌의 무게로 인하여 그 흔들림이 최소화되는 것을 주요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이다.
도면부호 10은 낚시찌, 14는 스토퍼, 20은 낚시바늘, 21은 봉돌, 30은 낚싯줄, 40은 낚싯대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내측에 낚싯줄연결구조가 형성된 낚시찌(10)는 낚싯대(40)의 종단에 고정된 낚싯줄(30)을 스토퍼(14)를 통해 낚시찌(10)의 내측으로 관통삽입시키고, 상기 낚시찌(10)를 관통하여 인출된 낚싯줄(30)에 낚시바늘(20)과 봉돌(21)을 연결한다.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낚시찌(10)와 낚시바늘(20)을 수면위의 부유물과 장애물을 피해 일정영역에서 수직으로 낚시바늘(20)과 낚시찌(10)를 입수시킨다. 여기서 상기 낚시찌(10)는 상기 낚시줄(30)이 외측에 연결되지 않고, 내측에 관통삽입되므로써 찌톱(도 4참조)이 상측, 찌날라리(도 4참조)가 하측을 향한 직립형상으로 입수된다. 또한, 상기 낚시찌(10)는 낚시줄이 관통삽입되므로써 수초사이의 좁은영역에 입수시에는 상기 봉돌(21)과 낚시바늘(20)이 상기 낚시찌(10)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입수된다.
상기 낚시찌가 수면위에 도달하면, 낚시찌(10)는 수면위에 부유하며, 낚시바늘(20)과 봉돌(21)은 상기 낚시대(40)를 하측으로 조정함에 따라 낚시줄(30)이 상기 낚시찌(10)를 관통되어 계속 하강함에 따라 상기 낚시바늘(20)과 봉돌(21)은 계속하강한다. 이후, 상기 낚시줄(30)의 일정길이에 고정된 스토퍼(14)가 상기 낚시찌(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므로써 상기 낚시줄(30)의 하강이 정지되므로 상기 낚시바늘(20)과 봉돌(21)역시 하강이 정지된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14)는 상측에서 상기 낚시찌(10)를 가압하므로서 수면위로부터 일정높이이상 상기 낚시찌(10)의 찌톱(도 4참조)이 노출됨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고안에 따른 낚싯줄관통공이 형성된 수초용낚시찌는 종래와 같이 일정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입수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입수가 되므로 종래와 같이 입수시 또는 입수후 회전시에 부근의 장애물과의 걸림이 발생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낚시찌가 직립된 상태에서 입수되므로 바람과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한 낚시대의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직립된 형상에서 하단의 봉돌과 밀착된 상태로 입수되기 때문에 상기 봉돌의 무게로 인하여 종래와 같은 낚시찌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므로 사용자의 의도되는 위치에 낚시바늘이 정확히 입수될 수있다.
그리고, 수심이 얕은 경우에는 낚시찌(10)가 충분한 부력을 받을 수 있을 정도로 몸체가 수면속에 잠길 수 없게 되어 길이가 긴 낚시찌(10)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낚시찌(1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얕은 수심에서도 낚시찌(10)가 충분한 부력을 받을 수 있도록 찌톱(11)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하기의 도 4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줄관통공이 형성된 수초용낚시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부호 10은 낚시찌, 11은 찌톱, 11a는 관통공, 12는 중공체, 12a 중공, 13은 찌몸체, 14는 스토퍼이다.
찌톱(11)은 물고기의 입질을 표시하고, 관통공(11a)은 낚싯줄(30)이 삽입되며, 찌몸체(13)는 일정부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중공체(12)는 내측에 상기 찌톱(11)과 낚싯줄(30)이 중공(12a)을 통해 삽입되고, 스토퍼(14)는 상기 낚시줄(30)을 고정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찌(10)는 상기 찌톱(11)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공(11a)이 상기 찌몸체(11)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중공체(12)의 중공(12a)에 삽입되며, 수심에 따라서 상기 중공체(12)와의 삽입길이를 조정하므로써 노출되는 찌톱(11)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낚시줄(30)은 상기 찌톱(11)의 상측에 위치되는 스토퍼(14)를 통해 상기 찌톱(11)의 관통공(11a)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4)는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관통되는 상기 낚싯줄을 자체 탄성으로 상기 낚싯줄을 고정한다. 그러므로 상기 낚싯줄(30)은 상기 중공체(12)의 끝단으로 관통되어 인출되며, 상기 스토퍼(14)는 상기 찌톱(11)의 상측에 위치된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상기 스토퍼(14)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일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자의 응용에 의해 상기 낚싯줄(30)에 착탈가능토록 집게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찌톱(11)의 상측에서 상기 낚싯줄(30)에 고정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찌톱(11)은 내측에 관통공(11a)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체(12)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삽입되고, 상기 중공체(12)는 상기 찌몸체(13)의 내측에서 상, 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내측의 중공(12a)에 상기 찌톱(11)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낚시줄(30)은 상기 찌톱(11)에서 상측의 관통공(11a)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중공체(12)의 하측단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출된 낚싯줄(30)에 봉돌(21)과 낚시바늘(20)을 연결하고, 상기 중공체(12)에 삽입된 상기 찌톱의 길이를 수심에 맞도록 조절하여 상기 낚시찌(10)를 입수시킨다.
도 6은 본 고안의 타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부호 11은 찌톱, 11a는 관통공, 11c는 삽입구이다.
본 고안의 타실시예는 상술한 도 5에 비하여 상기 찌톱(11)의 외주면에 삽입구(11c)를 형성한다. 즉, 상술한 도 5에서는 상기 찌톱(11)의 상측과 하측이 관통된 관통공(11a)이 형성되어 상기 낚싯줄(30)이 상기 관통공(11a)의 상측을 통하여 삽입됨에 비하여 도 6의 타실시예는 상기 찌톱(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구(11c)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중공체(12)의 중공(12a)의 하측을 통해 인출된다.
또한, 상기의 타실시예를 응용함에 있어서, 상기 찌톱(11)의 관통공(11a)을 상측으로 개방시켜 형성하는 대신 찌톱(11)의 상측외주면에 삽입구(11c)를 형성 할 수 도 있을 뿐만아니라 이외에도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중 일부로서 사용자의 응용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즉, 찌톱(11) 상부끝단에 발광부재를 삽입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삽입구(11c)를 찌톱(11)의 상측외주면에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싯줄관통공이 형성된 수초용낚시찌는 내측에 낚싯줄을 관통삽입시켜 낚시바늘과 봉돌을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낚시찌가 입수시에 수직방향으로 입수되므로 부유물과 장애물이 많은 수면위에서도 입수가 용이하고, 종래와 같이 입수후 낚시찌의 회전이 없으므로 부유물에 의한 낚시찌의 걸림으로 인하여 재입수시켜야 되는 불편함이 개선되었으며, 아울러 수심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찌톱을 구성하고, 스토퍼에 의하여 상기 찌톱이 일정높이 수면위에 노출됨을 방지하므로써 기존 낚시터의 수심변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서로다른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낚시찌를 준비해야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낚시찌가 직립형상에서 입수되므로, 입수전 낚시터에 부는 바람이 가해지는 면적이 최소화되므로써 바람에 의한 흔들림이 적게 되고, 낚시찌의 무게중심을 역할을 하는 봉돌이 입수시에 상기 낚시찌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로 입수되므로 흔들림이 최소화되므로 사용자가 의도하는 위치에 입수될 수 있다.

Claims (3)

  1. 부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된 낚시찌(10)와, 상기 낚시찌(10)에 연결되는 낚싯줄(30)과, 상기 낚싯줄(30)의 종측에 연결되는 낚시바늘(20)과, 상기 낚싯줄(30)이 고정되는 낚싯대(40)를 포함하는 낚시도구에 있어서, 상기 낚시찌(10)는
    내측에 관통공(11a)이 형성되어 상측에 위치되는 찌톱(11)과;
    상기 찌톱(10)의 하측에 구성되며 부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찌몸체(13)와;
    상기 찌몸체(13)의 내측에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이 돌출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찌톱(11)이 삽입되는 중공체(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관통공이 형성된 수초용낚시찌.
  2. 제 1 항에 있어서,
    착탈가능토록 구성되어 상기 찌톱(10)의 상측에서 상기 낚싯줄(30)에 고정되므로써 부력에 의한 상기 찌톱(10)의 상승높이를 조절하는 스토퍼(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관통공이 형성된 수초용낚시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찌톱(11)은
    일측 외주면에 상기 낚싯줄(30)이 삽입되는 삽입구(11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관통공이 형성된 수초용낚시찌.
KR20-2003-0011778U 2003-04-16 2003-04-16 낚싯줄관통공이 형성된 수초용낚시찌 KR200318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778U KR200318735Y1 (ko) 2003-04-16 2003-04-16 낚싯줄관통공이 형성된 수초용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778U KR200318735Y1 (ko) 2003-04-16 2003-04-16 낚싯줄관통공이 형성된 수초용낚시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735Y1 true KR200318735Y1 (ko) 2003-07-02

Family

ID=4941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778U KR200318735Y1 (ko) 2003-04-16 2003-04-16 낚싯줄관통공이 형성된 수초용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7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49Y1 (ko) 2010-06-21 2012-11-30 박관호 개량낚시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49Y1 (ko) 2010-06-21 2012-11-30 박관호 개량낚시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18735Y1 (ko) 낚싯줄관통공이 형성된 수초용낚시찌
US5797209A (en) Anchored, retrievable multi-line fish catching device
KR20220124362A (ko) 막대찌
KR20110089930A (ko) 이단자립 낚시찌
KR200381813Y1 (ko) 낚시용 찌
KR200318734Y1 (ko) 낚시찌
KR200391787Y1 (ko) 낚시찌
KR200384445Y1 (ko) 사출형 구멍찌
KR200361713Y1 (ko)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KR200227016Y1 (ko) 조립식 낚시용 찌
KR20030013511A (ko) 낚시용 구멍찌
KR100975663B1 (ko) 낚시채비
JP3127262U (ja) 万能コマセ篭
KR960008700Y1 (ko) 낚시용 유동찌 홀더
KR200302109Y1 (ko) 자동수위조절전유동낚시찌
JP4073122B2 (ja) 釣り具
KR200276745Y1 (ko) 낚시찌 채비용 시험관
KR200456152Y1 (ko) 낚시찌
KR200354251Y1 (ko) 낚시줄 유동방지용 낚시찌
KR200202741Y1 (ko) 바다낚시찌
KR200344522Y1 (ko) 수초제거 기능을 가지는 낚시용 밑밥공급기
KR960008699Y1 (ko) 낚시용 유동찌 홀더
KR200328771Y1 (ko) 낚시용 찌맞춤통
SU1438674A1 (ru) Плавуча жерлица
KR200381287Y1 (ko) 속이 비어있는 낚시용 막대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