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152Y1 - 낚시찌 - Google Patents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152Y1
KR200456152Y1 KR2020110002127U KR20110002127U KR200456152Y1 KR 200456152 Y1 KR200456152 Y1 KR 200456152Y1 KR 2020110002127 U KR2020110002127 U KR 2020110002127U KR 20110002127 U KR20110002127 U KR 20110002127U KR 200456152 Y1 KR200456152 Y1 KR 2004561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slide
fishing
peg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신
Original Assignee
김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신 filed Critical 김유신
Priority to KR2020110002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1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1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1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돌 조절없이 부력을 조절할 수 있고, 수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한 낚시찌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체; 관형상을 가지고, 상기 부력체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찌톱부; 및 관형상을 가지고, 상기 찌톱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찌톱부의 상부로부터 결합되는 슬리이드 찌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찌{FISHING FLOAT}
본 고안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싯줄에 연결하여 물고기의 입질 확인에 사용할 수 있는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낚시도구를 구비해야 하는데, 이러한 낚시도구는 다루기 편리하고 기능성이 우수해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보다 우수한 소재를 바탕으로 한 가볍고 성능이 뛰어난 각종 낚시도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낚시 도구는 물가 또는 배에서 낚시꾼이 원하는 위치까지 적절히 접근하기 위한 낚싯대, 낚싯대의 단부에 연결되어 수중에 접근하기 위한 낚싯줄, 낚싯줄의 단부에 고정되어 물고기를 유도하기 위한 미끼 또는 실제로 물고기를 낚아채기 위한 낚시 바늘, 물고기가 미끼를 입질하거나 낚시 바늘을 물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낚시찌 및 낚시 바늘을 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위치시키기 위해 장착되는 봉돌 등이 있다.
상기의 낚시도구 중에서 기술적으로 개선해야 할 여러 관심분야가 많지만, 그 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낚시찌이다.
낚시꾼은 찌를 통해서 물 속 상태와 물고기의 입질 상황을 알게 되므로 좋은 찌는 낚시에 있어서 매우 중용하고, 특히 어자원이 점점 부족해지고 입질이 매우 까다로운 새로운 어종의 출현 등으로 좋은 찌에 대한 선호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좋은 찌의 조건은 입질을 즉시 전달할 수 있는 예민성, 입질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정직성, 입수시 찌의 자세가 기울지 않고 똑바로 서서 내려가는 직립성, 멀리 떨어져 있어도 잘 보이는 가시성(시인성), 쉽게 부러지거나 변형되지 않는 견고성과 내구성, 그리고 채비를 던져 넣을 때 잘 날아가는 투척성, 그리고 적절한 가격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의 조건들은 따로 우선순위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고 각자의 기호도와 낚시 여건에 따라 달라지나, 낚시찌가 챔질을 위한 유일한 신호기임을 감안하면, 물고기의 입질이 즉시 전달될 수 있는 예민성과 입질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가시성 등이 가장 중요한 인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예민성과 가시성은 찌의 부력 조절과 상당한 밀접성을 가지고 있는데(가시성은 투척거리와도 관련된다.), 낚시 환경에 따라 찌의 부력을 어떻게 조절하느냐에 따라 낚시의 성패가 좌우된다.
일반적인 낚시찌는 부력을 가지는 부력체, 수면 상에 노출되어 낚시꾼이 입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부력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찌톱, 봉돌, 도래 및 낚시 바늘 등이 결속된 낚싯줄 등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부력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물고기가 미끼를 입질하거나 섭취하는 경우 상기 낚시찌가 수면을 중심으로 상, 하 수직 운동하게 되고, 낚시꾼은 낚시찌의 수직 운동을 가시적으로 파악하여 적정 시기에 낚싯대를 낚아챔으로써 물고기를 잡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낚시찌의 수직 운동은 물고기의 미끼 섭취 형태, 수온, 주변 환경, 탁도, 밀도, 미끼의 종류, 배란 시기, 소음 및 빛 등과 같은 주변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낚시찌의 운동을 얼마나 정확하고 신속하게 인식 및 판단하느냐에 따라서 물고기를 많이 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낚시찌는 낚싯줄의 끝단에 매달린 봉돌 및 낚싯바늘의 무게와 상관관계를 갖는데, 낚시찌의 부력이 클수록 봉돌의 무게를 무겁게 하여 무중력상태를 유지하여야 물고기의 입질시 반응성이 좋아진다.
찌톱을 통한 물고기의 입질 여부를 먼 거리에서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우에, 즉 낚시찌의 식별성을 높이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찌톱의 외형이 굵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찌톱의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부력 역시 커져 봉돌의 무게를 증가시켜야 하고, 결과적으로 낚시채비(낚시찌, 봉돌, 낚싯바늘 등)의 전체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생명이라 할 수 있는 예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낚시찌 및 봉돌이 달린 낚싯줄 상호간의 예민성뿐만 아니라 봉돌의 무게 및 부피의 증가로 인하여 입질시 고기가 빨리 이질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낚시찌의 상승 시 증가된 봉돌 무게로 인하여 고기가 더욱 이질감을 느끼게 되므로 먹이를 뱉어 버리게 되고, 부상 작용이 느려지게 되기 때문에 입질에 대한 반응성이 떨어져므로 낚시꾼이 챔질 타이밍을 놓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상기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찌톱의 외형을 가늘게 하는 경우에, 낚시채비 전체의 무게를 감소시켜 민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물고기의 입질시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찌톱이 가늘기 때문에 낚시꾼이 원거리에서 찌톱의 움직임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없는 식별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낚시찌는 부력체의 크기 및 형태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부력 조절이 불가능하고, 낚싯줄에 결속되는 봉돌의 부력에 맞는 각각의 낚시찌를 구비하거나, 고정부에 고정되는 낚싯줄의 봉돌을 절단하는 식으로 부력을 조절하여 사용하므로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시간이 소요되며, 낚시찌의 부력 조절을 납편이 버려지므로 대지 및 수질이 납의 독성에 의해 심각하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낚시찌는 수면과 수직으로 부상하지 않고 기울어지므로 낚시찌와 낚시 바늘의 위치가 서로 틀려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물고기의 입질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낚시찌는 낚시꾼과의 거리에 무관하게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원거리에서는 낚시찌의 움직임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어려우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봉돌의 무게를 줄여 찌톱을 수면으로부터 높게 돌출시키는 경우에는 낚시찌가 기울어지는 등 자세 불량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낚시찌는 대략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는데, 이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고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물속에서 좌우로 요동을 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입수 시에 바로 서는데 걸리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호수의 낚시찌라 하여도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인하여 부력이 약간씩 다를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봉돌 등을 조절하여 무게 오차를 조정하여야 하고, 더하여 무게 오차의 조정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낚시찌의 예민성을 확보하면서, 어류의 종류에 따라 또는 낚시하는 사람의 기호, 낚시 상황 등에 따라 찌톱의 높이와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면 대단히 유용할 것이다
본 고안은 봉돌 조절없이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확실하게 부상함으로써 입질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가 용이한 낚시찌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입수 시에 신속하게 바른 자세로 위치할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체; 관형상을 가지고, 상기 부력체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찌톱부; 및 관형상을 가지고, 상기 찌톱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찌톱부의 상부로부터 결합되는 슬리이드 찌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형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의 상부로부터 결합되는 원거리 찌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찌톱부와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찌톱부와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를 지지하기 위한 관형상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상기 찌톱부와 상기 슬리이드 찌톱부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한 분리를 방지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와 상기 원거리 찌톱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와 상기 원거리 찌톱부를 지지하기 위한 관형상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와 상기 원거리 찌톱부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한 분리를 방지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형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 짜톱부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원거리 찌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찌톱부와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와 상기 원거리 찌톱부의 결합 부분 원주 방향으로부터 감쌈으로써, 상기 찌톱부와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와 상기 원거리 찌톱부 사이의 결합을 단단하게 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낚시찌에 따르면, 낚시 환경에 따라 봉돌 조절없이 부력을 조절할 수 있고, 수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수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확실하게 부상함으로써 입질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최적의 낚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입수 시에 신속하게 바른 자세로 위치할 수 있고, 봉돌의 손실이 없어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찌의 단면의 부분 확대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찌의 길이 신장 및 단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의 부분 확대도,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의 단면의 부분 확대도, 및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찌의 단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찌는 부력부(100), 슬라이드 찌톱부(300), 및 찌톱부(200)를 포함한다.
부력부(100)는 수중에서 부력을 받을 수 있고, 봉돌, 낚시줄 등을 체결하기 위한 고리부(110)가 부력 부의 하단에 고정 결합된다.
찌톱부(200)는 내부가 빈 관형상을 가지고 부력부(10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다. 슬라이드 찌톱부(300)는 찌톱부(200)의 상단으로부터 찌톱부(200)에 삽입 결합되고, 찌톱부(200)의 상부 내면에는 소정 높이로 지지부(210)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210)는 찌톱부(200)의 내주연을 따라 돌출되어 찌톱부(200)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슬라이드 찌톱부(300)를 지지한다. 슬라이드 찌톱부(300)의 하단에는 단턱부(310)가 형성되는데, 슬라이드 찌톱부(300)가 찌톱부(200) 내를 슬라이딩 이동할 때 단턱부(310)가 지지부(210)에 의해 걸림으로써 슬라이드 찌톱부(300)가 찌톱부(200)로부터 이탈하여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210)와 단턱부(310)는 각각 찌톱부(200)와 슬라이드 찌톱부(300)에 고주파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확실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는 어떠한 결합 수단이라도 가능하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찌의 길이 신장 및 단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슬라이드 찌톱부(30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낚시찌 전체의 길이 신축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낚시찌에 따르면, 낚시 환경에 따라 부력을 조절함에 있어서, 슬라이드 찌톱부(30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한 낚시찌 전체의 길이 신축에 의해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낚시찌와 달리 봉돌을 조절하는 것이 불필요하므로 부력 조절이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봉돌의 손실로 인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낚시찌 전체의 길이 신축 수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확실하게 부상할 수 있고, 낚시찌 투척에 의해 입수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바른 자세로 위치할 수 있으며, 입질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최적의 낚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길이 단축이 가능하므로 휴대가 매우 편리하고, 휴대 시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의 부분 확대도,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의 단면의 부분 확대도로서, 보강부(500)는 중앙에 슬라이드 찌톱부(300)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찌톱부(200)의 상단 외주연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찌톱부(300)는 슬라이딩 이동시에 보강부(500)에 의해 더욱 안정적이고 튼튼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의 사시도로서, 슬라이드 찌톱부(300)의 상단에 원통형상의 원거리 찌톱부(400)를 결합하고, 보강부에 의해 슬라이드 찌톱부(300)와 원거리 찌톱부(400)를 더욱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보강부는 슬라이드 찌톱부(300)와 원거리 찌톱부(400) 모두에 접착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원거리 찌톱부(400)에 의해 낚시찌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찌톱부(200) 또는 원거리 찌톱부(400)에 발광 수단(미도시)을 구비하는 경우에 야간 및 원거리에서의 관찰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찌톱부(300)와 원거리 찌톱부(400)의 사이는 고정되지 않고, 보강부는 원거리 찌톱부에만 고정 결합되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부와 단턱부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찌톱부(200)와 슬라이드 찌톱부(300)의 사이, 그리고 원거리 찌톱부(400)와 슬라이드 찌톱부(300)의 사이 모두에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부력부 110: 고리부
200: 찌톱부 210: 지지부
300: 슬라이드 찌톱부 310: 단턱부
400: 원거리 찌톱부 500: 보강부

Claims (6)

  1.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부(100);
    관형상을 가지고, 상기 부력부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찌톱부(200);
    관형상을 가지고, 상기 찌톱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찌톱부의 상부로부터 결합되는 슬라이드 찌톱부(300);
    관형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의 상부로부터 결합되는 원거리 찌톱부(400);
    상기 찌톱부와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찌톱부와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를 지지하기 위한 관형상의 지지부(210);
    상기 지지부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상기 찌톱부와 상기 슬리이드 찌톱부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한 분리를 방지하는 단턱부(310); 및
    상기 찌톱부와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와 상기 원거리 찌톱부의 결합 부분을 원주 방향으로부터 감싸, 상기 찌톱부와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와 상기 원거리 찌톱부 사이의 결합을 단단하게 하는 보강부(500)
    를 포함하는 낚시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와 상기 원거리 찌톱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와 상기 원거리 찌톱부를 지지하기 위한 관형상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찌톱부와 상기 원거리 찌톱부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한 분리를 방지하는 단턱부
    를 더 포함하는 낚시찌.
  5. 삭제
  6. 삭제
KR2020110002127U 2011-03-15 2011-03-15 낚시찌 KR2004561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127U KR200456152Y1 (ko) 2011-03-15 2011-03-15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127U KR200456152Y1 (ko) 2011-03-15 2011-03-15 낚시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152Y1 true KR200456152Y1 (ko) 2011-10-17

Family

ID=5367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127U KR200456152Y1 (ko) 2011-03-15 2011-03-15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1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4127A (en) Device for a casting float
KR200456152Y1 (ko) 낚시찌
US3190029A (en) Fishing device
US20120030991A1 (en) Floating fishing lure supporting a dancing bait on the water surface
US20040088899A1 (en) Fish strike indicator
KR101022490B1 (ko) 낚시찌
KR200381813Y1 (ko) 낚시용 찌
KR200391787Y1 (ko) 낚시찌
KR200399569Y1 (ko) 낚시용 찌
KR20090095152A (ko) 낚시찌
KR200279469Y1 (ko) 릴낚시용 구멍찌
KR200381287Y1 (ko) 속이 비어있는 낚시용 막대찌
KR200354251Y1 (ko) 낚시줄 유동방지용 낚시찌
KR100677935B1 (ko) 무게모멘트 중심과 부력모멘트 중심을 일치시킨 낚시용 찌
KR200347609Y1 (ko) 부력조절용낚시찌
KR200318735Y1 (ko) 낚싯줄관통공이 형성된 수초용낚시찌
KR200217442Y1 (ko) 낚시 찌
US20180064086A1 (en) Pole for use to pull in a jug or noodle while fishing
RU154530U1 (ru) Рыболовная удочка
KR200302108Y1 (ko) 민물낚시용 쌍 바늘채비
KR970007302B1 (ko) 수중찌
KR20050082444A (ko) 다기능 수초낚시찌
KR200379255Y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465542Y1 (ko) 낚시찌용 유동 방지 링
JP3042944U (ja) 浮 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