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612Y1 - 입체화면기능을 갖는 책 수납케이스 - Google Patents

입체화면기능을 갖는 책 수납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612Y1
KR200318612Y1 KR20-2003-0011598U KR20030011598U KR200318612Y1 KR 200318612 Y1 KR200318612 Y1 KR 200318612Y1 KR 20030011598 U KR20030011598 U KR 20030011598U KR 200318612 Y1 KR200318612 Y1 KR 200318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ase
printed
book
dimension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덕
안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20-2003-0011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6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6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체화면기능을 갖는 책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나 그림이 입체 인쇄된 책 케이스의 표면에 사용자의 투시각도에 따라 입체적으로 애니메이션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장식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비한 책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지 형상의 책 수납케이스를 구성하며 표면부에 다수의 볼록렌즈부를 갖는 렌티큘러 스크린과,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의 이면에 인쇄되며 다수의 볼록렌즈부의 피치에 대응하여 소정간격의 분할된 연속적인 장면을 나타낸 다수의 도안이나 문자가 교대로 주기적으로 인쇄되는 디스플레이판으로 구성되며 주시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판에 표현된 다수의 그림이 연속적인 동작을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화면기능을 갖는 책 수납케이스{The Book Case With 3-Dimension Image Function}
본 고안은 입체화면기능을 갖는 책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나그림이 입체 인쇄된 책 케이스의 표면에 사용자의 투시각도에 따라 입체적으로 애니메이션(Animation)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장식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비한 책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렌티큘러(Lenticular)란 평면적인 이미지를 3차원적 영상물로 재구성, 제작함으로서 종래의 평면적 인쇄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최첨단 입체물을 말한다.
원리는 인간이 입체감이나 원근감 등 거리를 느낄 수 있는 것은 두 개의 눈을 갖고 있으며, 사람의 눈과 눈 사이의 간격은 평균 6.3cm하는데, 어느 물체나 풍경을 볼 경우 좌우의 눈은 각각 다른 각도에서 같은 것을 보게 되어있으므로 보는 각도가 다른 만큼 오른쪽 눈으로 본 상과 왼쪽 눈으로 본 상이 다른데, 각각은 뇌의 움직임에 따라 하나로 결합되어 깊이 있는 상으로써 인식되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를 응용하여 인간이 좌우의 눈으로 본 것과 같이 복수의 화상을 만들어 인쇄하고, 오른쪽 눈으로 본 상은 오른쪽 눈, 왼쪽 눈으로 본 상은 왼쪽 눈으로 인식되기 위한 도구로서 렌티큘러가 만들어졌다.
렌티큘러는 투명한 플라스틱제로 하나 하나의 단위가 반원형을 하고 있는 미세한 렌즈의 집합으로, 아래 부분은 평평하게, 표면은 파형을 한 렌즈이며, 렌티큘러를 통해 화면변환, 입체감 이외에 이미지 이동, 애니메이션, 모핑(Morphing
: 한 물체가 서서히 다른 물체로 변화하는 효과)등의 효과를 낼 수 있다.
렌티큘러의 특성으로는 기존의 평면 인쇄물과는 상이한 입체적이고 생동감 있는 작품으로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특수 제작된 안경이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입체 영상을 연출할 수 있으며, 동일한 화면 속에 2내지 3배 이상의 정보를 내장함으로서 공간이용의 효율이 극대화된다.
일반적으로 렌티큘러 스크린은 평면의 화상(畵像)을 원근감이 있고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입체사진 인쇄, 동화(動畵애니메이션)사진 인쇄, 입체영상 표현 등에 이용되며, 이것은 하나 하나의 단위가 반원형을 하고 있는 미세한 렌즈의 집합으로, 이것을 평행으로 나란히 놓아서 보면, 좌우 양쪽의 눈에서 보이는 2종류의 물체상이 다수의 선으로 인쇄되어 있는 판 위에 마치 물체가 공간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2종류의 상(像)을 보통의 시각거리에서 결합시켜보면 처음의 물체가 가까이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같은 방법으로 좌우의 눈을 움직일 때 볼 수 있는 조금씩 다른 물체 상을 눈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약간 위치를 옮겨서 그에 따른 상들을 기록해 두면, 보다 현실에 가까운 입체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움직이는 어떤 물체 상을 각 순간마다 정지한 형태의 상으로 만들어 이것을 순차적으로 인쇄하면 두면, 눈을 좌우로 움직이는 데 따라서 동화를 볼 수 있다.
한편 렌티큘러 스크린 이면에 부착하여 문자 또는 도안을 인쇄하는 렌티큘러 판은 염화비닐수지나 아크릴수지 등의 얇은 판으로 형체를 만드는데, 이 경우 얇을수록 인쇄물로서 취급하기는 쉽지만 제작을 하기에는 곤란하다. 두께는 보통 1mm 이하, 피치 0.5mm 이하의 것이 쓰이며 두께에 따라 판(板)의 위치가 달라지는데, 이때 이것의 가장 최적조건을 찾는 것, 피치와 렌즈의 형태가 매우 정확해야 하는것 등의 어려움 때문에 보급이 더디었다.
상기의 입체사진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신선한 미감과 호기심을 유발시킴은 물론 선전 광고(propaganda)하기 위한 문안 및 도안이 강하게 어필시켜 효율적인 광고를 위하여 판촉 홍보용 카탈로그 및 디스플레이 또는 유희용구 및 완구 등에 다양하게 실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를 책의 수납케이스에 사용된 예는 없었다.
한편, 도서의 판매에 있어 도서의 훼손방지와 보관의 편의성 등을 위해 수납케이스 내에 도서를 수납시킨 상태로 판매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상기의 책 수납케이스의 표면에 인쇄되는 내용은 도안 및 문안, 숫자 등의 인쇄내용을 입체적이 아닌 단순한 일반적인 1차원적 표현의 광고를 인쇄하므로 광고에 따른 홍보가 미약하고 호기심의 유발이나 이에 따른 구매의욕을 창출하기 어려워 제품의 판매를 촉진시키기에 한계가 있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문자나 도안이 입체 인쇄된 렌티큘러 스크린을 이용하여 책의 수납 케이스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인쇄된 내용이 사용자의 투시각도에 따라 입체적으로 애니메이션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식효과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고객들의 주목효과와 집중도를 높이고 호기심의 유발과 이에 따른 구매의욕의 창출을 극대화시켜광고에 따른 홍보 및 마케팅 효과를 향상할 수 있는 책 수납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입체화면기능을 갖는 책 수납케이스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렌티큘러 스크린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
도 3∼도 5는 사용자의 투시각도에 따라 다수의 그림이 애니메이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렌티큘러 스크린 11: 볼록렌즈부
20: 디스플레이판 30: 인쇄내용
C:책 수납 케이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지 형상의 책 수납케이스를 구성하며 표면부에 다수의 볼록렌즈부를 갖는 렌티큘러 스크린과,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의 이면에 인쇄되며 다수의 볼록렌즈부의 피치에 대응하여 소정간격의 분할된 연속적인 장면을 나타낸 다수의 도안이나 문자가 교대로 주기적으로 인쇄되는 디스플레이판으로 구성되며 주시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판에 표현된 다수의 그림이 연속적인 동작을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입체화면기능을 갖는 책 수납케이스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렌티큘러 스크린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사용자의 투시각도에 따라 다수의 그림이 애니메이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먼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입체화면기능을 갖는 책 수납케이스(C)는 동일한 피치(pitch) 예를 들면, 1mm의 두께를 갖고, 0.5mm의 피치를 갖는 다수의 볼록렌즈(1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렌티큘러 스크린(10)을 이용하여 절첩과 고주파 용접을 통하여 제조하게 되며 이 책 수납케이스(C)의 형태와 제조방식은 공지이다.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10)의 이면에는 디스플레이 판(20)이 인쇄상태로 구성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볼록렌즈부(11)의 1피치에 대응하여 각각 소정간격으로 3분할된 도안이나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 인쇄내용(30)이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각각 상이한 위치에 주기적으로 인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2와 같이 사용자가 렌티큘러 스크린(10)을 통하여 다양한 각도로 상기 디스플레이 판(20)을 주시할 경우, 다수의 인쇄내용(30)은 주시각도에 따라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연속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디스플레이 된다.
이 경우 상기 인쇄내용(30)을 구성하는 다수의 도안(31)(32)(33)은 예를 들어, 각 도안사이에 연속동작을 이루는 장면을 더 첨가하여 부드러운 애니메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 예에서는 렌티큘러 스크린(10) 자체를 이용하여 책 수납 케이스(C)를 구성하여만 렌티큘러 스크린(10)을 평판 상으로 구성하고 이를 책 수납케이스의 어느 한쪽이나 전 후면 등에 일체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종이 재질로만 이루어진 일반적인 책 수납 케이스에 비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렌티큘러 스크린으로 구성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어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문자나 도안이 입체 인쇄된 렌티큘러 스크린를 이용하여 책의 수납 케이스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인쇄된 내용이 사용자의 투시각도에 따라 입체적으로 애니메이션할 수 있어 장식효과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고객들의 주목효과와 집중도를 높이고 호기심의 유발과 이에 따른 구매의욕의 창출을 극대화시켜 광고에 따른 홍보 및 마케팅 효과를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공지 형상의 책 수납케이스(C)를 구성하며 표면부에 다수의 볼록렌즈부(11)를 갖는 렌티큘러 스크린(10)과;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10)의 이면에 인쇄되며 다수의 볼록렌즈부(11)의 피치에 대응하여 소정간격의 분할된 연속적인 장면을 나타내는 도안이나 문자 등의 다수의 인쇄내용(30)이 주기적으로 교호로 인쇄되는 디스플레이판(20)으로 구성되며 주시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판(20)에 표현된 다수의 인쇄 내용(30)이 연속적인 동작을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화면기능을 갖는 책 수납케이스.
KR20-2003-0011598U 2003-04-15 2003-04-15 입체화면기능을 갖는 책 수납케이스 KR200318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598U KR200318612Y1 (ko) 2003-04-15 2003-04-15 입체화면기능을 갖는 책 수납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598U KR200318612Y1 (ko) 2003-04-15 2003-04-15 입체화면기능을 갖는 책 수납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612Y1 true KR200318612Y1 (ko) 2003-06-28

Family

ID=4941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598U KR200318612Y1 (ko) 2003-04-15 2003-04-15 입체화면기능을 갖는 책 수납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6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809B1 (ko) 2008-08-25 2010-08-20 (주)에스에이치씨앤아이 렌티큘러 광고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809B1 (ko) 2008-08-25 2010-08-20 (주)에스에이치씨앤아이 렌티큘러 광고장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chin et al. Doing visual analysis: From theory to practice
US6226907B1 (en) Display having combination of visually moveable and stationary element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EP1120719A3 (en) Browser for hierarchical structures
CN1866328A (zh) 具有广告装置的笔
Pettersson Image design
KR200318612Y1 (ko) 입체화면기능을 갖는 책 수납케이스
US20060098282A1 (en) Visual media
Graham et al. Imagine: Visual design in first-year composition
Hallett The Medley Print in Early Eighteenth–Century London
Stephens Modality and space in picture book art
KR200196048Y1 (ko) 입체화면기능을 갖는 북 커버
KR200187780Y1 (ko) 절첩식 입체 영상광고경
KR200359561Y1 (ko) 렌티큘러시트를 포함하는 입체광고패드
JP2006276772A (ja) 広告ボード
KR200317903Y1 (ko) 렌티큘러시트에 의한 입체 광고패드를 갖는 탁상용 고무판
JP3009929U (ja) レンチキュラー印刷物
TWI220972B (en) Label
KR19990011953U (ko) 판촉 광고용 카드
Anderson et al. The Graphic Design Idea Book: Inspiration from 50 Masters
JP2004318853A (ja) 平面画像の5感情報の立体化画像情報関連物
KR200179190Y1 (ko) 광고 퍼즐
JP2004318853A5 (ko)
KR200360172Y1 (ko) 탁상용 달력
KR200366771Y1 (ko) 렌티굴러판을 이용한 간판
KR200194262Y1 (ko) 렌티큘러 스크린를 구비한 학습용 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