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262Y1 - 렌티큘러 스크린를 구비한 학습용 카드 - Google Patents

렌티큘러 스크린를 구비한 학습용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262Y1
KR200194262Y1 KR2020000009870U KR20000009870U KR200194262Y1 KR 200194262 Y1 KR200194262 Y1 KR 200194262Y1 KR 2020000009870 U KR2020000009870 U KR 2020000009870U KR 20000009870 U KR20000009870 U KR 20000009870U KR 200194262 Y1 KR200194262 Y1 KR 200194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pattern
lenticular screen
foreign language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하
Original Assignee
정승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하 filed Critical 정승하
Priority to KR2020000009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2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4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displaying different signs depending upon the view-point of the ob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국어문자, 제2외국어문자 및 도안이 동시에 입체인쇄된 디스플레이판을 사용자의 투시각도에 따라 도안, 모국어문자 및 제2외국어문자를 순차적으로 보여줌에 따라 학습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비한 학습용 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다수의 볼록렌즈부(1)를 갖는 렌티큘러 스크린(10)과,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10) 이면에 부착되며, 상기 다수의 볼록렌즈부의 피치에 대응하여 소정간격 분할된 도안(31) 및 도안(31)에 대응하는 모국어문자 및 제2외국어문자(33,35)가 교대로 주기적으로 인쇄된 디스플레이판(20)으로 구성되며; 주시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판(20)에 표현된 도안, 모국어문자 및 제2외국어문자(31,33,35)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주시각도에 따라 도안 및 이 도안에 대응하는 한글문자, 영문자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디스플레이 되므로 어린이들의 단어학습시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도할 수 있고, 아울러 도안을 보면서 문자학습을 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학습능률 및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렌티큘러 스크린를 구비한 학습용 카드{Study Card having Lenticular Screen}
본 고안은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비한 학습용 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글, 영문자 및 도안이 동시에 입체인쇄된 디스플레이판을 사용자의 투시각도에 따라 도안, 모국어문자 및 제2외국어문자를 순차적으로 보여줌에 따라 학습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비한 학습용 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렌티큘러 스크린은 평면의 화상(畵像)을 원근감이 있고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입체사진 인쇄, 동화(動畵;애니메이션)사진 인쇄, 입체영상 표현 등에 이용되며, 이것은 하나하나의 단위가 반원형을 하고 있는 미세한 렌즈의 집합으로, 이것을 평행으로 나란히 놓아서 보면, 좌우 양쪽의 눈에서 보이는 2종류의 물체상이 다수의 선으로 인쇄되어 있는 판 위에 마치 물체가 공간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2종류의 상(像)을 보통의 시각거리에서 결합시켜보면 처음의 물체가 가까이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같은 방법으로 좌우의 눈을 움직일 때 볼 수 있는 조금씩 다른 물체상을 눈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약간 위치를 옮겨서 그에 따른 상들을 기록해 두면, 보다 현실에 가까운 입체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움직이는 어떤 물체상을 각 순간마다 정지한 형태의 상으로 만들어 이것을 순차적으로 인쇄·기록해 두면, 눈을 좌우로 움직이는 데 따라서 동화를 볼 수 있다.
한편 렌티큘러 스크린 이면에 부착하여 문자 또는 도안을 인쇄하는 렌티큘러판은 염화비닐수지나 아크릴수지 등의 얇은 판으로 형체를 만드는데, 이경우 얇을수록 인쇄물로서 취급하기는 쉽지만 제작을 하기에는 곤란하다. 두께는 보통 1mm 이하, 피치 0.5mm 이하의 것이 쓰이며 두께에 따라 판(板)의 위치가 달라지는데, 이때 이것의 가장 최적조건을 찾는 것, 피치와 렌즈의 형태가 매우 정확해야 하는 것 등의 어려움 때문에 보급이 더디었다.
또한 0.5mm 정도의 피치 사이에서 몇 개의 선을 인쇄하는 데에는 정교한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같은 입체인쇄물을 제작하려면 우선 풍경이나 인물들의 입체사진을 찍는다. 이어서 렌티큘러판을 감광판(感光板) 앞에 놓고 원호(圓弧)상태로 회전하면서 몇 회 노출하여 각각의 각도에서 보는 상들을 다수의 선으로써 촬영하고, 다시 이것을 일반사진을 찍을 때 사용했던 방법으로 렌티큘러판과 바로 접합시켜서 입체사진을 만든다.
이와같이 렌티큘러 스크린을 이용한 분야는 그림엽서, 디스플레이 및 카탈로그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1999-11953호에 개제된 바와같이 '판촉 광고용 카드'에 적용된 바가 있으나, 이를 학습용 부교재에 사용된 예는 없었다.
본 고안에 따른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비한 학습용 카드는 모국어문자, 제2외국어문자 및 도안이 동시에 입체인쇄된 디스플레이판을 사용자의 투시각도에 따라 도안, 한글 및 영문자를 순차적으로 보여줌에 따라 학습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비한 학습용 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비한 학습용 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표시된 X-X선을 따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a, 3b 및 3c는 사용자의 투시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본 고안에 따른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비한 학습용 카드의 개략도이다.
*도면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볼록렌즈부 10: 렌티큘러 스크린
20: 디스플레이판 31: 도안
33: 한글문자 35: 영어문자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볼록렌즈부를 갖는 렌티큘러 스크린과,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 이면에 부착되며, 상기 다수의 볼록렌즈부의 피치에 대응하여 소정간격 분할된 도안 및 도안에 대응하는 모국어문자 및 제2외국어문자가 교대로 주기적으로 인쇄된 디스플레이판으로 구성되며; 주시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판에 표현된 도안, 모국어문자 및 제2외국어문자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비한 학습용 카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안은 모국어문자 및 제2외국어문자와 일정거리 떨어져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디스플레이판은 제2외국어에 이어서 제2외국어의 발음기호와 제3외국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투시각도에 따라 도안 및 이 도안에 대응하는 한글문자, 영문자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디스플레이 되므로 어린이들의 단어학습시 학습에 흥미를 유도할 수 있으며, 아울러 도안을 보면서 한글 및 영어 또는 기타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학습능률 및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실시예)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비한 학습용 카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표시된 X-X선을 따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3a, 3b 및 3c는 사용자의 투시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본 고안에 따른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비한 학습용 카드의 개략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비한 학습용 카드는 동일한 피치(pitch) 예를들면, 1mm의 두께를 갖고, 0.5mm의 피치를 갖는 다수의 볼록렌즈(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렌티큘러 스크린(10)과,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10) 이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판(20)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판(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다수의 볼록렌즈부(1)의 1피치에 대응하여 각각 소정간격으로 4분할된 도안(31), 한글문자(33) 및 영문자(35)가 교대로하여 주기적으로 인쇄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와 같이 사용자가 렌티큘러 스크린(10)을 통하여 다양한 각도로 상기 디스플레이 판(20)을 주시할 경우, 일각도에서 바라보면 a부분에 주기적으로 분할표시된 도안(31) 즉, 연필그림이 도 3a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며,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면 b부분에 주기적으로 분할표시된 한글문자(33) 즉, '연필'이 도 3b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며, 또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면 C방향에서 주시할 때는 c부분에 주기적으로 분할표시된 영문자(35) 즉, 'PENCIL'이 도 3c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 주시각도에 따라 도안(31), 한글문자(33) 및 영문자(35)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안, 한글문자 및 영문자는 학습시 기억을 돕기위하여 어린이들의 시각에 신선한 자극을 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영문자는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의 기타 외국어로 대체하여 다양한 외국어 학습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따라서 어린이의 문자 및 단어학습시 어린이가 지루함을 느끼지 못하도록 생동감있는 입체영상을 사용하여 어린이의 호기심을 충분히 유발시켜 학습 집중력을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의 도안, 한글문자 및 영문자를 디스플레이판에 인쇄하여 어린이의 학습기억을 도와줌에 따라 학습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판에 도안(31)을 한글문자 및 영문자(33,35)와 소정간격으로 분리한 상태로 각각 다른 영역에 다수 분할인쇄하여 사용하였으나, 도안, 한글문자 및 영문자를 한 영역에 다수 분할인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판이 다수로 분할되어 제2외국어에 부가하여 제3, 제4외국어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부가하여 각 외국어의 발음기호를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주시각도에 따라 도안 및 이 도안에 대응하는 한글문자, 영문자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디스플레이 되므로 어린이들의 단어학습시 호기심을 유발시켜 지루함을 없애며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도할 수 있고, 아울러 도안을 보면서 모국어문자 및 기타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학습능률 및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다수의 볼록렌즈부(1)를 갖는 렌티큘러 스크린(10)과,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10) 이면에 부착되며, 상기 다수의 볼록렌즈부의 피치에 대응하여 소정간격 분할된 도안(31) 및 도안(31)에 대응하는 모국어문자 및 제2외국어문자(33,35)가 교대로 주기적으로 인쇄된 디스플레이판(20)으로 구성되며;
    주시각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판(20)에 표현된 도안, 모국어문자 및 제2외국어문자(31,33,35)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비한 학습용 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안(31)은 모국어문자 및 제2외국어문자(33,35)와 일정거리 떨어져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비한 학습용 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판(20)은 제2외국어에 이어서 제2외국어의 발음기호와 제3외국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비한 학습용 카드.
KR2020000009870U 2000-04-07 2000-04-07 렌티큘러 스크린를 구비한 학습용 카드 KR200194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870U KR200194262Y1 (ko) 2000-04-07 2000-04-07 렌티큘러 스크린를 구비한 학습용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870U KR200194262Y1 (ko) 2000-04-07 2000-04-07 렌티큘러 스크린를 구비한 학습용 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262Y1 true KR200194262Y1 (ko) 2000-09-01

Family

ID=19650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870U KR200194262Y1 (ko) 2000-04-07 2000-04-07 렌티큘러 스크린를 구비한 학습용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2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7413B2 (ja) 文字練習教材
CN208208121U (zh) 一种终端、终端配件及增强现实显示系统
KR200194262Y1 (ko) 렌티큘러 스크린를 구비한 학습용 카드
US20070111171A1 (en) Lenticular teaching and greeting card apparatus
CA2639655A1 (en) Color coded letter guide
US20150356882A1 (en) Learning system using nfc chart
KR200425615Y1 (ko) 퍼즐 학습구
KR20130101226A (ko)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Pettersson ID concepts
KR200196048Y1 (ko) 입체화면기능을 갖는 북 커버
US6176704B1 (en) Children's learning toy
KR100468557B1 (ko) 문장잇기 영어학습교구
EP3893227A1 (en) Device for creating spatial visualisations of pictures and graphs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KR19990035097U (ko) 학습기능을갖는종이접기용종이
KR200318612Y1 (ko) 입체화면기능을 갖는 책 수납케이스
CN2574143Y (zh) 英语学习游戏牌
KR19980057633U (ko) 어학 교습구
KR200331796Y1 (ko) 시선 집중력을 높이는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
KR100557003B1 (ko) 학습구
RU5041U1 (ru) Учебное устройство
Kitchel et al. Language of Maps for Blind and Partially Sighted People: Expressive and Perceptive Skills
KR200455607Y1 (ko) 게임 기능을 갖는 입체 단어 노트
Marcus Diagrammatic visible language: An investigation of visual logic
JP2580446Y2 (ja) 漢字ドリル
KR200274516Y1 (ko) 놀이용 딱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