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791Y1 -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 - Google Patents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791Y1
KR200316791Y1 KR20-2003-0007435U KR20030007435U KR200316791Y1 KR 200316791 Y1 KR200316791 Y1 KR 200316791Y1 KR 20030007435 U KR20030007435 U KR 20030007435U KR 200316791 Y1 KR200316791 Y1 KR 200316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elding
spot welder
primary coil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동
Original Assignee
김현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동 filed Critical 김현동
Priority to KR20-2003-0007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7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7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열교정기구를 용접하는데 사용되는 스포트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부피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며, 출력전류와 전류공급시간이 일정하여 용접작업성능을 개선하고 균일한 품질을 획득할 수 있으며, 다수의 용접봉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확장 가능한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용접기는, 치열교정기구의 소정부분을 용접하기 위한 스포트 용접기에 있어서,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10,12)와, 소정의 권선비로 감겨지며 전원공급단자(10,12)에 연결되는 1차 코일(14)과 출력측의 2차 코일(16)를 가진 트랜스포머(18)와, 상기 전원공급단자(10,12)의 일측단자(12)와 상기 1차 코일(14)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전압강하용 저항(20)과 정류용 다이오드(22)와, 상기 다이오드(22)에 일측단자(a)가 연결되고 1차 코일(14)에 타측단자(b)가 연결되며 a, b 단자간의 스위치 절환에 의하여 콘덴서(26)가 충전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콘덴서(26)로부터 1차 코일(14)로 전원을 방전시키는 절환스위치(24)와, 상기 2차 코일(16)의 일측 출력단에 연결되는 용접봉(28)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Spot Welder for orthodontic correction materials}
본 고안은 치열교정기구를 용접하는데 사용되는 스포트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부피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며, 출력전류와 전류공급시간이 일정하여 용접작업성능을 개선하고 균일한 품질을 획득할 수 있으며, 다수의 용접봉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확장 가능한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치열의 교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치열교정기구나 보철기구들은 통상 금속재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금속재는 인체의 치열에 부착되어서 사용되기 때문에 입안에 수용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대형 금속재의 용접에 사용되는 산업용 용접기를 이용하여 가공이 불가능하므로 소형의 전용 용접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접기들은 또한 스포트 용접(spot welding)을 위하여 소형의 용접봉이 연결되어 있어서 치열교정용 링걸이나 크라운 브리지등의 용접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스포트 용접기들은 동일한 전류를 동일한 시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다시 말하여, 스포트 용접의 대상이 되는 치열교정기구나 보철기구들은 소형으로서 치열교정용 링걸이나 크라운 브리지 등과 같이 치열에 삽입하기 위한 동일한 형상이 연속되기 때문에 각각의 용접위치에 대하여 균일한 용접상태를 얻기 위해서는 용접대상에 관계없이 동일한 전류가 동일한 시간동안 지속되어야 한다.
이러한 동일 전류 및 동일 지속 시간을 얻기 위해서는 용접기의 제어회로가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서 용접기의 부피가 증가되며 또한 제어회로의 추가 등으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 사용되는 스포트 용접기는 하나의 용접봉만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용접작업조건을 가지는 링걸이와 같이 다수의 용접대상이 연결되어 있는 치열교정기구나 보철기구에 대하여 하나의 링걸이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피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며, 출력전류와 전류공급시간이 일정하여 용접작업성능을 개선하고 균일한 품질을 획득할 수 있는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용접작업조건을 가지는 다수의 기구에 대하여 동시에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용접봉의 갯수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스포트 용접기의 배선도,
도 2는 본 고안의 스포트 용접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스포트 용접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 전원공급단자 14 : 1차 코일
16 : 2차 코일 18 : 트랜스포머
20 : 저항 22 : 다이오드
24 : 절환스위치 26 : 콘덴서
28 : 용접봉 30 : 케이스
32 : 치열교정용링 34 : 고정대
36 : 높이조절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는, 치열교정기구의 소정부분을 용접하기 위한 스포트 용접기에 있어서,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와, 소정의 권선비로 감겨지며 전원공급단자에 연결되는 1차 코일과 출력측의 2차 코일을 가진 트랜스포머와, 상기 전원공급단자의 일측단자와 상기 1차 코일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전압강하용 저항과 정류용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에 일측단자가 연결되고 1차 코일에 타측단자가 연결되며 a, b 단자간의 스위치 절환에 의하여 콘덴서가 충전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콘덴서로부터 1차 코일로 전원을방전시키는 절환스위치와, 상기 2차 코일의 일측 출력단에 연결되는 용접봉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스포트 용접기의 배선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10,12)와, 소정의 권선비로 감겨지며 전원공급단자(10,12)에 연결되는 1차 코일(14)과 출력측의 2차 코일(16)를 가진 트랜스포머(18)와, 상기 전원공급단자(10,12)의 일측단자(12)와 상기 1차 코일(14)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전압강하용 저항(20)과 정류용 다이오드(22)와, 상기 다이오드(22)에 일측단자(a)가 연결되고 1차 코일(14)에 타측단자(b)가 연결되며 a, b 단자간의 스위치 절환에 의하여 콘덴서(26)가 충전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콘덴서(26)로부터 1차 코일(14)로 전원을 방전시키는 절환스위치(24)와, 상기 2차 코일(16)의 일측 출력단에 연결되는 용접봉(28)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단자(10,12)는 스포트 용접기에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전원 플러그(미도시됨)에 연결되어서 전원 콘센트를 통하여 작동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단자(10,12)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용전원은 110V 또는 220V의 교류전압이 된다.
전원공급단자(10,12)는 트랜스포머(18)의 1차 코일(14)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트랜스포머(18)는 입력되는 전원을 1차 및 2차 코일(14,16)의 권선비에 따라서 변압하여 출력하게 되며, 트랜스포머(18)의 2차 코일(16)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압에 의하여 용접이 수행된다.
한편, 전원공급단자(12)와 1차 코일(14) 사이에는 순차적으로 저항(20)과, 다이오드(22)와, 절환스위치(24)가 연결되며, 또한 절환스위치(24)에는 콘덴서(26)와 1차 코일(14)이 병렬 연결되어 있다. 다이오드(22)는 절환스위치(24)의 일측단자(a)에 연결되며, 타측단자(b)에는 1차 코일(14)이 연결된다. 특히 콘덴서(26)는 (+),(-) 극성을 가지는 전해콘덴서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저항(20)은 입력되는 전원을 강하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다이오드(22)는 입력되는 교류전압중의 특정성분, 즉 (+) 전압성분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콘덴서(26)는 절환스위치(24)의 단자절환상태(a 또는 b)에 따라서 충전과 방전을 수행함으로서 출력전류와 전류공급시간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본 고안에 의한 스포트 용접기에서는 콘덴서(26)와 연결되어 있는 절환스위치(24)를 이용하여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절환스위치(24)는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3단자를 가진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토글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절환스위치에 의한 전원공급상태는 다음과 같다.
도 1에 표시된 것과 같이, 절환스위치(24)의 스위치가 일측단자(a)와 연결되면 공급되는 전원은 저항(20), 다이오드(22)를 거치면서 정류된 후에 콘덴서(26)에 공급된다. 전원공급에 의하여 콘덴서(26)가 충전된다.
소정시간이 경과하여 충전이 완료된 후에, 절환스위치(24)의 타측단자(b)로스위치를 절환하면, 콘덴서(26)에 충전되었던 전하가 방전되면서 1차 코일(14)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러한 전원공급에 의하여 2차 코일(16)에 전압이 발생되어서 용접봉(28)에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콘덴서(26)를 이용하여 전원을 충전, 방전시키므로 공급되는 전류치가 일정하고, 또한 전류공급시간이 일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류치와 전류공급시간은 콘덴서(26)의 용량을 변경함으로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전류공급시간은 용접대상이 되는 재질에 따라서 스포트 용접에 적합한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0.2~0.3초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스포트 용접기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므로 다수의 용접봉들을 병렬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여, 스포트 용접의 대상이 되는 치열교정용 링걸이의 경우에는 동일한 형태를 가진 다수의 링들이 인접하여 구비되며, 각 링들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의 용접이 요구된다.
이 때 스포트 용접기의 출력전류와 전류공급시간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기 용이하게 때문에 동시에 다수의 링들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용접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다수의 용접봉들을 동시에 사용할 때 하나의 공통 절환스위치를 이용하여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스포트 용접기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실제 스포트 용접기는 종래의 것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내부 회로는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매우 간단하게 구성됨으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공급전압과 공급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스포트 용접기는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케이스(30)에 내장될 수 있다. 케이스(30)의 정면에는 치열교정기구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봉(28)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부표면에는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절환스위치(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포트 용접기는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용접봉(28)은 용접기의 정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용접봉(28)의 하단부에 용접대상이 되는 치열교정기구용 링(32)이 고정대(34)에 고정되어 있다. 링걸이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이거나 또는 다수의 링들이 연결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링걸이에 대하여 수행되는 용접은 종래의 용접기에서의 작동상태와 같다. 미설명부호 36은 높이조절봉으로서 고정대(34)의 높이를 조정하여 링(32)의 높낮이를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링걸이 또는 크라운만을 용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케이스의 크기를 증가시켜 다수의 용접봉을 구비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링을 동시에 용접하는 것도 가능함은 명백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부피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며, 출력전류와 전류 공급시간이 일정하여 용접작업성능을 개선하고 균일한 품질을 획득할 수 있으며, 동일한 용접작업조건을 가지는 다수의 기구에 대하여 동시에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용접봉의 갯수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치열교정기구의 소정부분을 용접하기 위한 스포트 용접기에 있어서,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10,12)와, 소정의 권선비로 감겨지며 전원공급단자(10,12)에 연결되는 1차 코일(14)과 출력측의 2차 코일(16)를 가진 트랜스포머(18)와, 상기 전원공급단자(10,12)의 일측단자(12)와 상기 1차 코일(14)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전압강하용 저항(20)과 정류용 다이오드(22)와, 상기 다이오드(22)에 일측단자(a)가 연결되고 1차 코일(14)에 타측단자(b)가 연결되며 a, b 단자간의 스위치 절환에 의하여 콘덴서(26)가 충전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콘덴서(26)로부터 1차 코일(14)로 전원을 방전시키는 절환스위치(24)와, 상기 2차 코일(16)의 일측 출력단에 연결되는 용접봉(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26)의 정전용량을 조정하여 출력전류치와 전류출력시간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트 용접기의 용접시간이 0.2~0.3초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
KR20-2003-0007435U 2003-03-07 2003-03-07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 KR200316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435U KR200316791Y1 (ko) 2003-03-07 2003-03-07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435U KR200316791Y1 (ko) 2003-03-07 2003-03-07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484A Division KR100537754B1 (ko) 2003-07-08 2003-07-08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791Y1 true KR200316791Y1 (ko) 2003-06-18

Family

ID=4940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435U KR200316791Y1 (ko) 2003-03-07 2003-03-07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7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704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энергии, а также св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JPH0831357B2 (ja) 放電ランプの光度調整用回路
CA2675975C (en) Capacitive discharge welding power supply and capacitive discharge welder using the same
RU249573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энергии, а также св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EP0947278A2 (en) Resistance welding control apparatus
KR100537754B1 (ko)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
KR200316791Y1 (ko) 치열교정기구용 스포트 용접기
US6825435B1 (en) Power supply and control equipment for a resistance welding machine
JP5372333B2 (ja) 交直両用アーク溶接機
JP4420537B2 (ja) 抵抗溶接電源装置
JPS6224877A (ja) コンデンサ式スポツト溶接機
US7041934B2 (en) Micro-welder
EP3812073A3 (en)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and control method
RU2392099C2 (ru) Способ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итания сварочного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однофазных контактных машин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WO2013105596A1 (ja) コンデンサ式溶接機及びその充電方法
WO2021251267A1 (ja) 溶接装置
JP2698969B2 (ja) コンデンサブースト式スポット溶接機
JP7147338B2 (ja) 被覆アーク溶接システム、および、被覆アーク溶接用の溶接電源装置
JPH0386377A (ja) ワイヤ通電式ティグ溶接装置
US11203077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C weld current by means of an arc igniter
RU2056242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дуговой и контактной сварки
JPS62134182A (ja) 歯科技術用点溶接装置
JP7142313B2 (ja) 溶接電源装置
RU33727U1 (ru) Однофазный сварочный выпрямитель
JP2010240682A (ja) 交流溶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