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239Y1 - 클립펜의 뚜껑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클립펜의 뚜껑결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6239Y1 KR200316239Y1 KR20-2003-0006571U KR20030006571U KR200316239Y1 KR 200316239 Y1 KR200316239 Y1 KR 200316239Y1 KR 20030006571 U KR20030006571 U KR 20030006571U KR 200316239 Y1 KR200316239 Y1 KR 20031623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pen
- lid body
- fastening
- clip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문을 읽을 때 절첩부를 클림핑(cliping)하여 신문구독시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킨 신문용 클립펜 등의 펜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뚜껑본체(20)와, 이 뚜껑본체(20)의 외주면에 일측이 뚜껑본체의 밀폐단(22)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단(24)측으로 연장되는 헹거(30)를 갖추고, 상기 헹거(30)의 자유단 인접부에는 뚜껑본체(20)를 향해 결착잠금용 체결공(36)을 갖는 걸림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본체(20)개방단에는 상기 걸림부(34)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ㄷ"자형의 절취홈(26)이 형성되고, 클립펜본체(10)의 끼움개구(5)의 내단에는 절취홈(26)으로 진입한 상기 체결공(36)에 결합되어 뚜껑본체(20)의 축방향이동을 제한하는 체결돌기(14)가 형성되는 펜클립을 제공함으로써, 헹거만으로 멜빵 또는 목걸이 등에 견고하게 결착이 가능하게 되고, 분리 또한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되므로 매우 견고한 상태의 결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나아가서, 안전한 잠금을 위한 별도의 고리나 줄등 보조부착물을 필요로하지 않으므로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클립펜의 뚜껑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문을 읽을 때 절첩부를 클립핑(cliping)하여 신문을 구독할 때의 편리함을 대폭 증대시킨 신문용 클립펜의 뚜껑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출원인의 선출원인 실용신안 등록 제0285783호에서 클립펜에 이용되는 펜뚜껑에 대한 기술을 제시한 바 있다. 여기서 제시한 펜뚜껑구조에는 펜뚜껑을 멜빵이나 목걸이 등에 걸기위한 별도의 결합공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헹거만으로는 펜뚜껑을 포켓이나 멜빵 등에 견고하게 결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헹거의 상부에 별도로 결합공을 두어 결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펜뚜껑자체의 분리가 제한되는 번거로움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그로 인해 필기구로서 사용시 파지부의 확보를 위해 펜뚜껑을 클립펜본체의 후방에 결합하여 길이를 확장하고자 할 때 사용에 제약이 수반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한편, 본출원인은 위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0305444호 상으로 개량된 기술을 개시한 바 있으나, 이는 결착을 해제할 때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멜빵등의 띠가 걸림부에 의해 방해를 받는 등의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펜을 의류의 포켓 또는 휴대폰줄 등에 걸어 휴대할 때, 결착과 해제를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결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분리동작을 간편 한하게 이룰 수 있는 펜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클립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펜의 헹거의 구성을 발췌하여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클립펜의 체결홈의 구성을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
도 4A, 도4B, 도4C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클립펜본체 5: 끼움개구
14: 체결돌기 20: 뚜껑본체
22: 밀폐단 24: 개방단
26: 절취홈 30: 헹거
32: 자유단 34: 걸림부
36: 체결공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뚜껑본체와, 이 뚜껑본체의 외주면에 일측이 뚜껑본체의 밀폐단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단측으로 연장되는 헹거를 갖추고, 상기헹거의 자유단 인접부에는 뚜껑본체를 향해 결착잠금용 체결공을 갖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본체개방단에는 상기 걸림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ㄷ"자형의 절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펜본체의 끼움개구의 내단에는 절취홈으로 진입한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어 뚜껑본체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펜뚜껑 결합구조에 의해 달성 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은 절취홈을 통해 끼움개구로 진입된 상태에서 뚜껑본체 또는 클립펜본체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매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펜뚜껑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뚜껑본체(20)가 클립펜본체(10)등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외주면에 끼움개구(5)를 갖는 클립펜본체(10)와, 외주면에 행거(30)가 일체로 형성되며 밀폐단(22)과 개방단(24)을 갖는 원통형의 뚜껑본체(20)를 포함한다.
상기 헹거(30)는 뚜껑본체(20)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일측이 뚜껑본체의 밀폐단(22)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단(24)측으로 연장된다.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헹거(30)의 자유단 인접부에는 뚜껑본체(20)를 향해 결착잠금용 체결공(36)을 갖는 걸림부(34)가 돌출 구성되어 있다. 이 헹거(30)는 고정단을 기점으로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력은 재질을 합성수지 또는 탄성금속재로 제작하는 것에 의해 요구되는 탄성을 보유할수 있다. 또한, 뚜껑본체(20)개방단에는 상기 걸림부(34)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ㄷ"자형의 절취홈(26)이 형성된다. 절취홈(26)은 개방단(24)으로부터 밀폐단(22)을 향해 걸림부(34)의 진입을 허용하는 정도의 길이만큼 형성된다.
한편, 상기 클립펜본체(10)의 끼움개구(5)의 적어도 어느 일측의 내면에는 상기 체결공(36)과 결합하여 뚜껑본체(20)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체결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돌기(14)는 깨움개구(5)의 내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펜클립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포켓등에 사용할 경우에는 통상의 헹거와 동일한 형태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핸드폰줄 또는 멜빵 등의 띠(이하, "체결띠"라고 통칭함)에 체결할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상태에서는 헹거(30)와 클립펜본체(10)사이가 이격되어 있으므로 체결띠를 헹거(30)에 끼운다. 이때 뚜껑본체(20)는 클립펜 본체(10)에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분리상태로 있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헹거(30)의 자유단을 반경방향 내측(화살표방향)으로 누르면, 걸림부(34)가 뚜껑본체(20)의 절취홈(26)을 통해 끼움개구(5)로 삽입된다. 이러서, 사용자는 헹거(30)를 가압한 상태로 도면상 시계방향(화살표방향)으로 뚜껑본체(20)를 회전시키면 체결공(36)이 체결돌기(14)에 끼워진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손을 떼면 헹거(30)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하는탄성복원력을 갖게되나 체결돌기(14)에 걸려 있으므로 복귀하지 못하고, 동시에 뚜껑본체(20)는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뚜껑본체(20)는 물론 클립펜본체(10)또한 체결띠에 견고하게 결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도 4C에서의 작용에 있어서는 뚜껑본체(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고, 헹거를 누른상태로 클립펜본체(10)를 반시계방향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시키는 것도 동일한 작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헹거(30)로부터 체결띠를 분리하고자 할때에는 도4C와는 반대방향으로 뚜껑본체(20)를 회전시키게되면, 걸림부(34)가 끼움개구(5)로 진입하는 시점에서 체결공(36)이 체결돌기(14)에서 이탈되고 동시에 헹거(3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도4A와 같은 상태로 되므로 체결띠는 손쉽게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고안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의 필요한 부가 및 한정 또는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체결돌기(14)는 끼움개구(5)은 양측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뚜껑의 회전방향이 어느 쪽으로 되더라도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회전방향을 잘못선택함으로 인한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펜뚜껑은 헹거의 단부에 제공되는 체결공이 클립펜본체의 체결돌기와 결합하여 뚜껑본체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별도의 결합공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멜빵 또는 목걸이 등에 견고하게 결착이 가능하게 되고, 분리 또한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되므로 매우 견고한 상태의 결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나아가서, 안전한 잠금을 위한 별도의 고리나 줄등 보조부착물을 필요로하지 않으므로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 뚜껑본체(20)와, 이 뚜껑본체(20)의 외주면에 일측이 뚜껑본체의 밀폐단(22)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단(24)측으로 연장되는 헹거(30)를 갖추고, 상기 헹거(30)의 자유단 인접부에는 뚜껑본체(20)를 향해 결착잠금용 체결공(36)을 갖는 걸림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본체(20)개방단에는 상기 걸림부(34)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ㄷ"자형의 절취홈(26)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펜본체(10)의 끼움개구(5)의 내단에는 절취홈(26)으로 진입한 상기 체결공(36)에 결합되어 뚜껑본체(20)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체결돌기(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뚜껑.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36)은 절취홈(26)을 통해 끼움개구(5)로 진입된 상태에서 뚜껑본체(20)또는 클립펜본체(1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체결돌기(14)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뚜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6571U KR200316239Y1 (ko) | 2003-03-05 | 2003-03-05 | 클립펜의 뚜껑결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6571U KR200316239Y1 (ko) | 2003-03-05 | 2003-03-05 | 클립펜의 뚜껑결합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6239Y1 true KR200316239Y1 (ko) | 2003-06-12 |
Family
ID=49334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6571U KR200316239Y1 (ko) | 2003-03-05 | 2003-03-05 | 클립펜의 뚜껑결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6239Y1 (ko) |
-
2003
- 2003-03-05 KR KR20-2003-0006571U patent/KR20031623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139449Y2 (ko) | ||
KR100742665B1 (ko) | 파우치 및 유사한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클립 | |
US20180168259A1 (en) | Strap fastening device | |
WO2007131159A2 (en) | Fastening device for articles of clothing | |
JPH041373Y2 (ko) | ||
KR200316239Y1 (ko) | 클립펜의 뚜껑결합구조 | |
EP1648263A1 (en) | Carabiner writing instrument | |
KR200318819Y1 (ko) | 클립펜의 뚜껑결합구조 | |
JP4866766B2 (ja) | フック | |
JP3132847U (ja) | 留め具 | |
CN210120933U (zh) | 一种手镯 | |
KR200305444Y1 (ko) | 펜뚜껑 | |
US6223399B1 (en) | Adornment clamping device | |
KR200268728Y1 (ko) | 열쇠고리 | |
JPH0742323Y2 (ja) | 係止部付き紐留具 | |
KR200326822Y1 (ko) | 휴대폰 걸이핀 | |
JP6731653B2 (ja) | 補聴器 | |
CN208114138U (zh) | 一种钥匙扣 | |
KR200190617Y1 (ko) | 벨트용 버클 | |
JP4384805B2 (ja) | 掛け止め具 | |
JP2004044671A (ja) | クリップ | |
JP4401509B2 (ja) | 筆記具 | |
KR20090007816U (ko) | 바인더 | |
JPH0450154Y2 (ko) | ||
KR200201865Y1 (ko) | 벨트용 버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