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444Y1 - 펜뚜껑 - Google Patents

펜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444Y1
KR200305444Y1 KR20-2002-0034904U KR20020034904U KR200305444Y1 KR 200305444 Y1 KR200305444 Y1 KR 200305444Y1 KR 20020034904 U KR20020034904 U KR 20020034904U KR 200305444 Y1 KR200305444 Y1 KR 200305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lid body
hook
pen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9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신
Original Assignee
김중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신 filed Critical 김중신
Priority to KR20-2002-0034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4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4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43K23/126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with clip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문을 읽을 때 절첩부를 클립핑(cliping)하여 신문구독시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킨 신문용 클립펜 및 통상의 소형펜에 뚜겅을 사용될 수 있는 펜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신문용 클립펜(10)등을 수납보관하는 펜뚜껑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2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이 뚜껑본체의 밀폐단(22)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단(24)측으로 연장되는 헹거(30)를 갖추고, 상기 헹거(30)의 자유단이 뚜껑본체(20)의 개방단(24)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헹거(30)의 자유단으로부터 일정길이 내측에는 뚜껑본체(20)를 향해 결착잠금용 훅크(34)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본체(20)상에는 상기 훅크(34)와 결합하도록 개방단으로부터 일정깊이 내측을 향해 "ㄷ"자형으로 절취되는 잠금홈(26)이 형성되는 펜뚜껑을 제공하여, 헹거의 단부에 제공되는 혹크가 뚜껑본체에 직접 결착되므로 별도의 결합공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헹거만으로 멜빵 또는 목걸이등에 견고하게 결착이 가능하게 되고, 분리를 손쉽게 이룰수 있어 매우 견고한 상태의 결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안전잠금을위한 별도의 고리나 줄등 보조부착물을 괼요로하지 않으므로 전체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펜뚜껑{PEN CAP}
본 고안은 펜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문을 읽을 때 절첩부를 클립핑(cliping)하여 신문구독시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킨 신문용 클립펜 등의 펜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자는 본인의 실용신안 등록 제0285783호에서 클립펜에 이용되는 펜뚜껑에 대한 기술을 제시한바 있다. 여기서 펜뚜껑에는 펜뚜껑을 멜빵이나 목걸이 등에 걸기위한 별도의 결합공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헹거만으로는 펜뚜껑을 포켓이나 멜빵등에 견고하게 결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헹거의 상부에 별도로 결합공을 두어 결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펜뚜껑자체의 분리가 제한되는 번거로움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그로인해 볼펜으로 사용시와 같이 클립펜과 펜뚜껑과의 결합을 요구할 때 사용에 제약이 수반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펜을 의류 포켓이나 휴대폰 등에 걸어 휴대할 때, 결착과 해제를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결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펜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펜뚜껑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A 및 도2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있어서 고리의 작동상태를 보인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펜뚜껑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 있어서 고리의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펜뚜껑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 있어서 고리의 작동상태를 보인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클립펜 20: 뚜껑본체
22: 밀폐단 24: 개방단
26: 잠금홈 30: 헹거
32: 자유단 34: 훅크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통상의 신문용 클립펜 등을 수납보관하는 펜뚜껑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이 뚜껑 본체의 밀폐단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단측으로 연장되는 헹거를 갖추고, 상기 헹거의 자유단이 뚜껑본체의 개방단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헹거의 자유단으로부터 일정길이 내측에는 뚜껑본체를 향해 결착잠금용 훅크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본체상에는 상기 훅크와 결합하도록 개방단으로부터 일정깊이 내측을 향해 "ㄷ"자형으로 절취되는 잠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뚜껑.
본 고안은 상기 헹거는 일측이 뚜껑본체의 개방단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밀폐단측으로 연장구성되고, 헹거의 자유단으로부터 일정길이 내측에는 뚜껑본체를 향해 결착잠금용 훅크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본체상에는 상기 훅크와 결합하도록 잠금홀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즉, 헹거의 결착부가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켓등에 사용시 클립펜 등이 뚜껑으로부터 이탈될 염려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본고안은 상기 헹거는 일측이 뚜껑의 개방단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밀폐단측으로 연장구성되고, 헹거의 자유단으로부터 일정길이 내측에는 뚜껑본체를 향해 결착잠금용 훅크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본체상에는 상기 훅크와 결합하도록 길림턱을 갖는 잠금홈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즉, 뚜껑본체상에 구멍이 형성될 경우 클립펜의 잉크가 증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본체에 반원형 홈을형성하고 그 내단에 걸림턱을 구성함으로써 뚜껑본체에 구멍을 형성하지않고 훅크의 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과 도 2A 및 도2B에는 본 고안에 따른 펜뚜껑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1에는 뚜껑본체(20)가 클립펜(10)등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뚜껑은 뚜껑본체(20)와 헹거(30)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본체(20)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클립펜(10)이 출입하는 개방단(24)과 밀폐단(22)을 포함한다.
뚜껑본체(20)의 일측에는 헹거(30)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헹거(30)는 일측이 뚜껑본체(20)의 밀폐단(22)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단(24)측으로 연장되는 헹거(30)를 갖추고 있다. 이 헹거(30)는 충분한 탄성을 보유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재료 고유의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가 적합하며 가능한 뚜껑본체(20)의 재질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헹거(30)의 자유단은 뚜껑본체(20)의 개방단(24)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헹거(30)의 자유단(32)으로부터 일정길이 내측에는 뚜껑본체(20)를 향해 돌출되는 결착잠금용 훅크(34)가 형성된다. 그리고, 뚜껑본체(20)에는 상기 훅크(34)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방단(24)으로부터 일정깊이 내측을 향해 절치하여서 잠금홈(26)이 형성된다. 잠금홈(26)은 "ㄷ"자형으로 절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펜뚜껑은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상태에서는 훅크(34)가 잠금홈(26)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헹거(30)내로 멜빵 또는 목걸이등을 삽입하여 결착하기 위해서는 헹거(30)의 상면을 가압한다. 이때 가압위치는 훅크(34)가 형성된 위치보다 내측부분 즉, 대략 헹거(30)의 중앙부분을 가압하는 것이 좋다. 헹거(30)가 가압되면 훅크(34)는 잠금홈(26)의 상단에 걸리게 되고, 이상태에서 헹거(30)에 더욱 힘을 가하면 헹거(30) 및 훅크(34)가 변형하며 잠금홈(26)내로 진입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헹거(30)는 탄성복원하며 훅크(34)가 잠금홈(26)에 걸리게 되어 도2B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는 헹거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훅크(34)와 잠금홈(26)이 결합되는 소리 즉, 걸림음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헹거(3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헹거(30)의 내측이 있게 될 멜빵(1) 또는 목걸이는 헹거(30)를 벗어날 우려가 전혀없어 안전 결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헹거(30)는 초기상태에서 변형된 상태이므로 탄성복원력을 유지하고 있게 된다.
한편, 분리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헹거(30)의 자유단을 잡고 외측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훅크(34)가 잠금홈(26)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훅크(34)는 잠금홈(26)을 벗어나는 시점에서 상기 헹거(30)가 초기형태로 돌아가려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잠금홈으로부터 벗어나 다시 도2A의 상태와 같이 되어 멜빵 등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3에는 헹거의 고정부가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는 반대로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뚜껑본체(40)의 일측에는 헹거(50)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헹거(50)는 일측이 뚜껑본체(40)의 개방단(44)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밀폐단(42)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헹거(50)의 자유단(52)으로부터 일정길이 내측에는 뚜껑본체(40)를 향해 돌출되는 결착잠금용 훅크(54)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4에 확대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본체(40)에는 상기 훅크(54)와 대응하는 위치에 밀폐단(42)으로부터 일정깊이 내측을 향해 절취하여서 잠금홀(46)이 형성된다. 상기 헹거(50)의 자유단(52)은 잠금홀(46)보다 밀폐단(42)측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있다.
도5 및 도 6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헹거(70)의 자유단(72)으로부터 일정길이 내측에는 뚜껑본체(60)를 향해 돌출되는 결착 잠금용 훅크(74)가 형성된다. 뚜껑본체(60)에는 상기 훅크(74)와 대응하는 위치에 밀폐단(62)으로부터 일정깊이 내측을 향해 절취하여서 반원형의 잠금홈(66)이 형성된다. 잠금홈(66)의 내단에는 걸림턱(6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헹거(70)의 자유단(72)은 걸림턱(68)보다 밀폐단(62)측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뚜껑본체(60)의 내부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클립펜(10)등에 사용되는 잉크의 증발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는 잉크액으로 묽은 잉크 또는 매직잉크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펜뚜껑은 헹거의 단부에 제공되는 훅크가 뚜껑본체에 직접 결착되므로 별도의 결합공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헹거만으로 멜빵 또는 목걸이등에 견고하게 결착이 가능하게 되고, 분리 또한 손쉽게 이룰수 있게 되므로 매우 견고한 상태의 결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나아가서, 안전잠금을위한 별도의 고리나 줄등 보조부착물을 필요로하지 않으므로 전체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뚜껑본체(20)와, 이 뚜껑본체(2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이 뚜껑본체의 밀폐단(22)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단(24)측으로 연장되는 헹거(30)를 갖추고, 상기 헹거(30)의 자유단이 뚜껑본체(20)의 개방단(24)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헹거(30)의 자유단으로부터 일정길이 내측에는 뚜껑본체(20)를 향해 결착잠금용 훅크(34)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본체(20)상에는 상기 훅크(34)와 결합하도록 개방단으로부터 일정깊이 내측을 향해 "ㄷ"자형으로 절취되는 잠금홈(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뚜껑.
  2. 뚜껑본체(40)와, 이 뚜껑본체(4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이 뚜껑의 개방단(44)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밀폐단(42)측으로 연장되는 헹거(50)를 갖추고, 상기 헹거(50)의 자유단(52)으로부터 일정길이 내측에는 뚜껑본체(40)를 향해 결착잠금용 훅크(54)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본체(40)상에는 상기 훅크(54)와 결합하도록 잠금홈(4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뚜껑.
  3. 뚜껑본체(60)와, 뚜껑본체(6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이 뚜껑의 개방단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밀폐단(62)측으로 연장되는 헹거(70)를 갖추고, 상기 헹거(70)의 자유단(72)으로부터 일정길이 내측에는 뚜껑본체(60)를 향해 결착잠금용 훅크(74)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본체(60)상에는 상기 훅크(74)와 결합하도록 걸림턱(68)을 갖는 반원형의 잠금홈(6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뚜껑.
KR20-2002-0034904U 2002-11-21 2002-11-21 펜뚜껑 KR200305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904U KR200305444Y1 (ko) 2002-11-21 2002-11-21 펜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904U KR200305444Y1 (ko) 2002-11-21 2002-11-21 펜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444Y1 true KR200305444Y1 (ko) 2003-02-26

Family

ID=4940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904U KR200305444Y1 (ko) 2002-11-21 2002-11-21 펜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4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1373Y2 (ko)
KR200305444Y1 (ko) 펜뚜껑
KR940015139A (ko) 키이 안전장치
JP5795855B2 (ja) 係止機構付きスナップファスナ
KR200451037Y1 (ko) 문서 보관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홀더화일
USD440715S1 (en) Hair adornment
JPH11208A (ja) 携帯品の落下防止具
KR200318819Y1 (ko) 클립펜의 뚜껑결합구조
KR100912433B1 (ko) 터치펜
KR200316239Y1 (ko) 클립펜의 뚜껑결합구조
JP2006288993A (ja) 三角釦
KR200247215Y1 (ko) 열쇠케이스
KR200189037Y1 (ko) 타월의 걸이구조
KR200174955Y1 (ko) 다용도 클립형 고리
KR200268728Y1 (ko) 열쇠고리
KR200221890Y1 (ko) 신문철
KR200437509Y1 (ko) 넥타이핀 겸용 필기구
JP3166288U (ja) 紛失防止筆記具
KR200261380Y1 (ko) 수첩과 걸이끈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KR200164109Y1 (ko) 키홀더
USD446933S1 (en) Portion of a card holder
JP2009143619A (ja) ロック解除可能なアタッチ部材
JP2004041386A (ja) ストラップ
JP2006205569A (ja) 書類ホルダー
KR200255128Y1 (ko) 헤어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