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414Y1 -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414Y1
KR200314414Y1 KR20-2003-0004296U KR20030004296U KR200314414Y1 KR 200314414 Y1 KR200314414 Y1 KR 200314414Y1 KR 20030004296 U KR20030004296 U KR 20030004296U KR 200314414 Y1 KR200314414 Y1 KR 2003144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bar
plate
soundproof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성
Original Assignee
박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성 filed Critical 박기성
Priority to KR20-2003-0004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4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4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4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52Grate-style, e.g. as wall f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음 막대를 별도의 상, 하 고정 프레임에 원하는 형상에 따라 볼트 조립한 후, 방음판에 고정(방음판 전면의 상, 하 절곡부 또는 상, 하 프레임의 양측 상, 하단의 절곡부에 고정)하도록 하여, 방음막대를 방음판에 용이하게 탈, 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 작업 또는 방음 막대의 파손 등으로 인한 교체 작업 시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방음판에 충격을 주지 않고 방음판 본체와 방음 막대의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 시 내부 흡음재의 입자가 공기 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금속제 판체가 상, 하부면이 구분되도록 2단으로 절곡지되, 상, 하부면 중 어느 한쪽에 다수개의 통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프레임을 상, 하 한쌍으로 구비시키고, 방음막대를 상, 하 고정프레임의 통공이 형성된 부분에 위치시켜 볼트 결합한 후, 고정프레임과 방음막대 단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방음판의 전면 상, 하 절곡부를 억지 끼움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Coupling structure of soundproofing panel and soundproofing bar using fixing frames}
본 고안은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음 막대를 별도의 상, 하 고정 프레임에 원하는 형상에 따라 볼트 조립한 후, 방음판에 고정(방음판 전면의 상, 하 절곡부 또는 상, 하 프레임의 양측 상, 하단의 절곡부에 고정)하도록 하여, 방음막대를 방음판에 용이하게 탈, 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 작업 또는 방음 막대의 파손 등으로 인한 교체 작업 시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방음판에 충격을 주지 않고 방음판 본체와 방음 막대의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 시 내부 흡음재의 입자가 공기 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판은 소음 다발 지역에서 소음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소음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경우, 소음을 반사시켜 차단하는 차음형 방음판과 소음을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흡음형 방음판으로 나누어진다.
이와 같은 일반 방음판 중 전면 또는 후면에 방음 막대가 고정되는 구조의 방음판은 방음판에 방음 막대를 고정하기 위해 리벳팅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리벳팅에 의한 방음판과 방음 막대의 고정 구조는 리벳팅의 특성상 한번 고정하게 되면 분리 작업이 매우 불편하여 시공 작업 중의 과실, 또는 시공 후, 방음 막대의 파손 등에 의한 재시공 또는 교체 작업이 매우 난해한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리벳팅의 경우 리벳을 강타하여 방음판에 방음 막대를 고정하게 되므로, 방음판 내부에 삽입된 유리 섬유재로 된 흡음재의 입자가 날려 공기 중으로 확산되어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방음막대가 외부로부터 볼트에 의한 나사 결합 또는 리벳팅에 의해 방음판에 고정되므로, 볼트 또는 리벳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방음판 자체의 자연미가 저하될 뿐 아니라, 지저분한 외형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방음 막대를 별도의 상, 하 고정 프레임에 원하는 형상에 따라 볼트 조립한 후, 방음판에 고정(방음판 전면의 상, 하 절곡부 또는 상, 하 프레임의 양측 상, 하단의 절곡부에 고정)하도록 하여, 방음막대를 방음판에 용이하게 탈, 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 작업 또는 방음 막대의 파손 등으로 인한 교체 작업 시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방음판에 충격을 주지 않고 방음판 본체와 방음 막대의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 시 내부 흡음재의 입자가 공기 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금속제 판체가 상, 하부면이 구분되도록 2단으로 절곡지되, 상, 하부면 중어느 한쪽에 다수개의 통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프레임을 상, 하 한쌍으로 구비시키고, 방음막대를 상, 하 고정프레임의 통공이 형성된 부분에 위치시켜 볼트 결합한 후, 고정프레임과 방음막대 단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방음판의 전면 상, 하 절곡부를 억지 끼움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방음판의 외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방음 막대 고정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방음 막대 고정프레임에 방음막대가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방음 막대 고정프레임에 방음막대가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방음 막대 고정프레임에 방음막대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방음 막대 고정프레임에 방음막대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10': 고정프레임(상, 하) 11 : 상부면
12 : 하부면 13 : 통공
20 : 방음판 21 : 절곡부
22 : 상부 프레임 23 : 하부 프레임
B : 볼트 S : 공간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참고가 되는 첨부 도면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방음판의 외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방음 막대 고정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방음 막대 고정프레임에 방음막대가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방음 막대 고정프레임에 방음막대가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방음 막대 고정프레임에 방음막대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인 방음 막대 고정프레임에 방음막대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부분 단면도로서, 이중 도면 부호 10은 본 고안인 방음막대의 고정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음판(20)과 방음막대(30)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금속제 판체가 상, 하부면(11),(12)으로 구분되도록 2단 절곡지되, 상, 하부면(11),(12) 중 어느 한쪽에 다수개의 통공(13)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프레임(10)을 상, 하 한쌍(10),(10')으로 구비시키고, 방음막대(30)를 상, 하 고정프레임(10),(10')의 통공(13)이 형성된 부분에 위치시켜 볼트(B) 결합한 후, 고정프레임(10),(10')과 방음막대(30) 단부에 형성되는공간부(S)에 방음판(20)의 전면 상, 하 절곡부(21)를 억지 끼움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의 통공(13)이 형성된 부분 즉, 하부면(12)에 방음막대(30)를 고정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방음막대(30)와 고정프레임(10)의 고정은 볼트(B)에 의해 이루어지며, 미도시되었으나 하부 고정프레임(10') 역시 방음막대(30)의 타측 단에 상부 고정프레임(10)과 대칭으로 동일하게 설치된다.
상기 방음막대(30)는 상, 하부 고정프레임(10),(10')에 다양한 형상으로 배열 설치(설치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수직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또는 설치 간격에 따라 차음형 또는 흡음형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음막대(30)를 볼트(B)로 고정하기 위한 통공(13)의 위치 및 개수 역시 변화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프레임(10),(10')에 방음막대(30)가 고정되면 방음막대(30) 양단에는 고정프레임(10),(10')과 유격이 발생하여 공간부(S)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S)에 첨부 도면4 내지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판체로 이루어진 방음판(20)의 상, 하 절곡부(21)가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상기 공간부(S)와 방음판(20)판의 전면 절곡부(21)와의 결합은 억지 끼움결합도 가능하나, 방음판(20) 일측으로부터 슬라이드식으로 밀어 넣어서 결합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음판(20)을 구성하는 상, 하부 프레임(22),(23)의 양단에 형성된 절곡부(24)를 고정프레임(10),(10')과 방음막대(30) 사이의 공간부(S)에 끼워서 고정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되면 방음막대(30)를 전, 후면에 설치하게 되어 양면 방음판(20)이 조립 완성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 하 고정프레임(10),(10')의 재질을 금속제로 하였으나, 사출 성형 가능한 합성수지를 이용하는 것도 상, 하 고정프레임(10),(10') 자체 제조 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경량이므로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바람직할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방음 막대를 별도의 상, 하 고정 프레임에 원하는 형상에 따라 볼트 조립한 후, 방음판에 고정(방음판 전면의 상, 하 절곡부 또는 상, 하 프레임의 양측 상, 하단의 절곡부에 고정)하도록 하여, 방음막대를 방음판에 용이하게 탈, 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 작업 또는 방음 막대의 파손 등으로 인한 교체 작업 시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방음판에 충격을 주지 않고 방음판 본체와 방음 막대의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 시 내부 흡음재의 입자가 공기 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방음막대 외부로 볼트 또는 리벳의 일부분이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방음판 자체의 자연미를 최대한 살릴 수 있을 뿐 아니라, 깔끔한 외형을 갖게 되는 등 방음판 자체의 미감 향상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3)

  1. 방음판(20)과 방음막대(30)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금속제 판체가 상, 하부면(11),(12)으로 구분되도록 2단 절곡지되, 상, 하부면(11),(12) 중 어느 한쪽에 다수개의 통공(13)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프레임(10)을 상, 하 한쌍(10),(10')으로 구비시키고, 방음막대(30)를 상, 하 고정프레임(10),(10')의 통공(13)이 형성된 부분에 위치시켜 볼트(B) 결합한 후, 고정프레임(10),(10')과 방음막대(30) 단부에 형성되는 공간부(S)에 방음판(20)의 전면 상, 하 절곡부(21)를 억지 끼움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프레임(10),(10')이 사출 성형 가능하도록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고정프레임(10),(10')과 방음막대(30)의 공간부(S)에 방음판(20)의 상, 하부 프레임(22),(23)을 억지 끼움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KR20-2003-0004296U 2003-02-13 2003-02-13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KR2003144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296U KR200314414Y1 (ko) 2003-02-13 2003-02-13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296U KR200314414Y1 (ko) 2003-02-13 2003-02-13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558A Division KR20040073235A (ko) 2003-02-14 2003-02-14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414Y1 true KR200314414Y1 (ko) 2003-05-27

Family

ID=4933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296U KR200314414Y1 (ko) 2003-02-13 2003-02-13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4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984B1 (ko) 방음벽
KR200314414Y1 (ko)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DE102008045487A1 (de) Rahmen eines Schallabsorbers und Schallabsorber
KR100747744B1 (ko) 간섭슬릿이 구비된 흡음형 방음판
KR200313301Y1 (ko) 방음판 고정장치
KR20040073235A (ko)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KR200317412Y1 (ko) 고정클립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KR101936931B1 (ko) 목재로 만들어진 흡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
KR20040073236A (ko) 고정클립을 이용한 방음판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JP6088569B2 (ja) 透光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材
KR100497932B1 (ko) 방음판용 프레임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JP3983168B2 (ja) 吸音パネル
KR100352824B1 (ko) 날개부착형 방음 방화문
KR200336599Y1 (ko) 조립식 방음판넬
KR200419654Y1 (ko)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립식 방음판
KR200401647Y1 (ko) 모빌랙용 전면 판넬
KR101394374B1 (ko) 투명방음판 유지보수 방법
KR20050109035A (ko) 방음벽
KR100707277B1 (ko) 방음루버
KR200265851Y1 (ko)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KR102453593B1 (ko) 헬름홀츠 공명원리를 이용한 천정방음패널
KR100600422B1 (ko) 반원통형 방음판
JP3922168B2 (ja) 壁面の吸音構造
KR200265870Y1 (ko) 방음판과 방음 막대의 고정 구조
JP4198546B2 (ja) 遮音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