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599Y1 - 조립식 방음판넬 - Google Patents

조립식 방음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599Y1
KR200336599Y1 KR20-2003-0029322U KR20030029322U KR200336599Y1 KR 200336599 Y1 KR200336599 Y1 KR 200336599Y1 KR 20030029322 U KR20030029322 U KR 20030029322U KR 200336599 Y1 KR200336599 Y1 KR 2003365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guide member
fastened
soundproof panel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강건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강건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강건설산업
Priority to KR20-2003-0029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5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5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5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방음판넬에 관한 것으로, 전면은 개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공간부(110)가 형성된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공간부(1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가이드부재(200)와, 상기 가이드부재(200)에 체결 고정되며, 전면에는 다수의 흡음구멍(310)이 형성된 방음판(300)과, 상기 가이드부재(200)와 가이드부재(200) 사이의 공간부(110)에 매립된 흡음재(3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00)에 체결 고정되는 4개의 방음판(300)의 모서리부가 서로 모이는 중심부(C)마다 체결요소로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조립식 방음판넬(10)의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며, 장기간 사용에 의해 방음판(300)의 변형이 발생될 경우 4개의 방음판(300)의 모서리부가 모이는 중심부(C)마다 삽입 체결된 체결요소에 의해 그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써, 각종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분적인 방음판(300)의 훼손 및 파손이 발생할 경우 훼손된 방음판(300)만의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이에 따른 보수가 용이하며, 효과적인 소음의 흡음 및 진동의 차단을 통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방음판넬{Fabricated Soundproof Panel}
본 고안은 소음의 흡음 및 진동의 차단효과가 향상된 조립식 방음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간 사용에 의해 방음판과 방음판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각종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가와 인접한 도로나 철로 또는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각종 시설물 주변에는 방음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음구조물은 각종 소음을 흡음하고, 진동 등은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철근, 콘크리트재, 알루미늄, 철재 등으로 구성되어 상, 하로 적층되게 조립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음구조물은 일체형으로 강도 및 제작비가 비교적 저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었으나, 차체 하중이 높아 설치환경을 훼손시킬 우려가 있으며, 횡력과 충격에 쉽게 균열이 발생할 수 있어 도시미관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환경에 대한 인식도가 증가되면서, 소음제거 및 방음에 효과적이면서도 도시미관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는 조립식 방음판넬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조립식 방음판넬은 외부의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방음판과, 상기 방음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으로, 지면에 대해수직방향으로 프레임을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후 다수의 방음판을 상기프레임에 조립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결국,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조립식 방음판넬을 소음이 발생하는 각종 시설물 주변에 설치하여 이러한 시설물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조립식 방음판넬은, 소음이 발생하는 각종시설물 주변에 프레임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후 다수의 방음판을 상기 프레임에 조립하는 것으로 소음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졌으나, 장기간 사용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방음판과 방음판 사이가 쉽게 벌어져 소음의 흡음 및 진동의 차단효과가 저하되고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조립식 방음판넬은 프레임과 방음판 사이에 별도의 체결수단이 형성되어 있어 장기간 사용이 이루어져도 그 간격이 벌어지거나, 조립상태가 해제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으나, 방음판과 방음판은 그 단부가 서로 맞닿아 있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장기간 횡력 및 충격에 의해 방음판이 변형될 경우 그 부위가 쉽게 벌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방음판의 모서리부를 고정시키지 않고, 장기간 자유롭게 놓아둘 경우에는 파손 또는 변형 등이 쉽게 발생될 수 있어 교체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의 지출이 발생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방음판을 프레임에 일체형으로 고정시킨 방음판넬도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횡력 및 충격에 의해 방음판이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훼손 및 파손이 발생할 경우에는 보수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는 등의 폐단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각종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아울러, 파손에 따른 보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며, 장기간 사용에 의해 방음판의 변형이 발생할 경우에도 상기 방음판들의 모서리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각종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방음판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따른 목적은, 부분적인 방음판의 훼손 및 파손에 따른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방음판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효과적인 소음의 흡음 및 진동의 차단을 통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방음판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조립식 방음판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지지프레임과 방음판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지지프레임과 방음판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방음판의 모서리부가 모이는 중심부에 체결요소로 비스가 체결되는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비스를 통한 방음판의 단속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4개의 방음판의 모서리부가 서로 모이는 중심부마다 비스가 삽입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인 조립식 방음판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지프레임 110 - 공간부
200 - 가이드부재 300 - 방음판
310 - 흡음구멍 330 - 흡음재
400 - 비스 410 - 와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은 개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공간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체결 고정되며 전면에는 다수의 흡음구멍이 형성된 방음판과;
상기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부재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된 흡음재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 체결 고정되는 4개의 방음판의 모서리부가 서로 모이는 중심부마다 체결요소가 각각 체결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립식 방음판넬을 각종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는 시설물 주변에 설치하게 되면, 지지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된 방음판을 통하여 이러한 소음의 흡음 및 진동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방음판을 통하여 차단되지 않은 여진은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흡음재를 통하여 재차 차단되게 되어 각종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음판과 방음판 사이에 설치된 연결부재를 통하여 지지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된 방음판을 상호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단속하게 되므로, 그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에 따른 방음판의 변형에 의한 소음 및 진동 차단효과의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조립식 방음판넬의 형상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전면에 방음판이 착, 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방음판을 통하여 차단되는 않은 소음 및 진동을 추가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흡음재가 설치된 조립식 방음판넬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지지프레임과 방음판의 조립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지지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는 방음판의 설치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지지프레임과 방음판의 조립상태를 배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배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통하여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방음판의 설치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방음판의 모서리부가 모이는 중심부에 체결요소인 비스가 체결되는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4개의 방음판의 모서리부가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 상호 연결되는 중심부에 와셔와 비스가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5는 비스를 통한 방음판의 단속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중심부에 삽입 체결된 비스 및 와셔를 통하여 방음판의 모서리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단속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6은 4개의 방음판의 모서리부가 서로 모이는 중심부마다 비스가 삽입 체결된 상태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방음판의 모서리부를 단속하기 위하여 4개의 방음판의 모서리부들이 모이는 중심부마다 비스가 연속적으로 삽입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7은 본 고안인 조립식 방음판넬의 사용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각종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는 시설물 주변에 고정브라케트를 통하여 좌, 우로 연속되게 설치되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전면은 개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지지프레임(100)은 부식과 충격에 강하고 방음효과가 우수한 FRP 및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데, 내부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상, 하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이 적층될 경우 상호 맞닿아 체결되는 것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조립돌기(120) 및 조립홈(130)이 각각 돌출되거나 파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110)에는 후술될 방음판(3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20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일면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지지프레임(100)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부재(2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10)에 가이드부재(200)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후 리벳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고정구를 통하여 조립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100)과 가이드부재(200)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프레임(100)의 전면에는 각종 소음과 진동을 굴절시키기 위한 다수의 흡음구멍(310) 및 요철부가 전면에 형성된 방음판(300)이 가이드부재(200)를 통하여 체결 고정된다.
상기 방음판(300)은 볼트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고정구 등을 통하여 가이드부재(200)에 체결 고정되어도 무방하나, 본 고안에서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나타낸것과 같이, 가이드부재(200)에 조립부(210)를 형성하고, 방음판(300)에는 상기 조립부(210)에 끼워지는 결합돌기(320)를 배면에 형성하여 상기 조립부(210)에 결합돌기(310)를 끼움 고정하는 것으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음판(300)이 전면에 설치되기 전 지지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발포우레탄이나 스티로폼, 스폰지 등의 흡음요소로 이루어진 흡음재(330)가 가이드부재(200)와 가이드부재(200) 사이의 공간부(110)에 매립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음판(300)이 전면에 설치되고, 내부 공간부(110)에는 흡음재(330)가 매립된 본 고안인 조립식 방음판넬(10)을 각종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는 시설물 주변에 설치하게 되면, 상기 시설물에서 발생된 소음 및 진동은 방음판(300)에 형성되어 있는 흡음구멍(310)에 의해 흡입된 후 흡음재(330)에 의해 흡음되어 제거되거나, 요철부에 의해 굴절되면서 그 파장이 감소되게 된다.
또한, 여러 벌의 방음판(300)이 지지프레임(100)의 전면에 분할 설치되어 있어 강한 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도 횡력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재(200)에 체결 고정된 4개의 방음판(300)들이 상호 밀착되게 되면, 그 모서리부들은 하나의 중심을 향해 서로 모이게 되는데, 이 모서리부들이 모이는 중심부(C)에는 도 4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방음판(300)과 방음판(300)을 단속할 수 있도록 체결요소로써 비스(400)가 삽입 체결된다.
상기 비스(400)는 몸체가 방음판(300)의 모서리부가 모이는 중심부(C)를 관통한 후 그 머리부위가 방음판(300)의 전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방음판(300)들을 동시에 단속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음판(300)을 단속하고자 할 경우에는 비스(400)의 머리부위보다 큰 직경을 갖는 와셔(410)가 몸체에 결합된 상태로 모서리부들이 모이는 중심부(C)에 삽입 체결되게 된다.
즉, 상기 와셔(410)가 비스(400)에 결합된 상태에서 4개의 방음판(300)의 모서리부가 모이는 중심부(C)에 상기 비스(400)의 단부를 위치시킨 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 비스(400)의 단부는 방음판(300)의 모서리부들을 내측으로 약간 절곡시키면서 삽입되게 되고, 타측의 머리부위는 와셔(410)를 통하여 방음판(30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4개의 방음판(300)의 모서리부들이 모이는 중심부(C)마다 비스(400)를 삽입 체결한 후 별도의 고정브라케트(20)를 이용하여 각종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는 시설물 주변에 좌, 우로 연속되게 설치하게 되면, 상기 시설물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흡음 및 진동의 파장을 굴절시켜 차단하게 된다.
또한, 장기간 설치에 따른 방음판(300)의 형상이 변형될 경우 모서리부가 모이는 중심부(C)에 체결 고정된 비스(400)를 통하여 그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방음판(300)의 훼손에 의한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훼손된 방음판(300)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소음의 흡음 및 진동의 차단을 통하여 주거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며, 장기간 사용에 의해 방음판의 변형이 발생될 경우 4개의 방음판의 모서리부가 모이는 중심부에 삽입 체결된 체결요소를 통하여 그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써, 각종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분적인 방음판의 훼손 및 파손이 발생할 경우 훼손된 방음판만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어 이에 따른 보수가 용이하며, 효과적인 소음의 흡음 및 진동의 차단을 통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전면은 개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공간부(110)가 형성된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공간부(1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가이드부재(200)와;
    상기 가이드부재(200)에 체결 고정되며, 전면에는 다수의 흡음구멍(310)이 형성된 방음판(300)과;
    상기 가이드부재(200)와 가이드부재(200) 사이의 공간부(110)에 매립된 흡음재(3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00)에 체결 고정되는 4개의 방음판(300)의 모서리부가 서로 모이는 중심부(C)마다 체결요소가 각각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음판넬.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요소는 비스(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음판넬.
  3.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400)에는 비스(400)의 머리부위보다 큰 직경을 갖는 와셔(410)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음판넬.
KR20-2003-0029322U 2003-09-16 2003-09-16 조립식 방음판넬 KR2003365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322U KR200336599Y1 (ko) 2003-09-16 2003-09-16 조립식 방음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322U KR200336599Y1 (ko) 2003-09-16 2003-09-16 조립식 방음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599Y1 true KR200336599Y1 (ko) 2003-12-18

Family

ID=4942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322U KR200336599Y1 (ko) 2003-09-16 2003-09-16 조립식 방음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5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863B1 (ko) 2007-01-11 2007-09-18 박종영 유지 보수형 방음벽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1409661B1 (ko) 2013-04-05 2014-06-18 김태환 퍼즐형 방음판 설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863B1 (ko) 2007-01-11 2007-09-18 박종영 유지 보수형 방음벽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1409661B1 (ko) 2013-04-05 2014-06-18 김태환 퍼즐형 방음판 설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826Y1 (ko) 반사형 방음벽의 탈,부착식 방음판 및 방음패널 결합구조
KR200336599Y1 (ko) 조립식 방음판넬
KR100989890B1 (ko) 방음판
KR101271706B1 (ko) 합성목재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 조립구조
KR200293166Y1 (ko) 조립식 방음판넬
KR100507751B1 (ko) 방음판 고정장치
KR100990354B1 (ko) 방음벽용 방음패널
KR100520212B1 (ko) 조립식 방음판넬
KR101102189B1 (ko) 소음 흡수 효과가 뛰어난 방음패널
KR101263206B1 (ko) 소음 차단용 지주 방음덮개
KR101419264B1 (ko) 경사 방향 결합용 방음판을 갖는 방음벽
KR100679932B1 (ko) 플라스틱 청정 방음패널 구조 및 시공방법
KR101244154B1 (ko) 조립식 방음벽용 합성목재 방음패널 설치구조
KR200307676Y1 (ko) 방음벽용 분리형 방음판의 이음 구조물
KR200313305Y1 (ko) 방음판 고정장치
KR100979552B1 (ko) 방음벽용 방음판 체결장치
KR101255216B1 (ko) 방음블럭 연결구조
KR101394374B1 (ko) 투명방음판 유지보수 방법
KR100974128B1 (ko) 흡음패널
KR101042326B1 (ko) 방음패널
KR20090011141A (ko) 방음판넬
KR100741557B1 (ko) 방음벽
KR101050503B1 (ko) 혼합형 방음벽구조
KR100505844B1 (ko) 방음패널
KR100497932B1 (ko) 방음판용 프레임과 방음막대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