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245Y1 -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 - Google Patents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245Y1
KR200314245Y1 KR20-2003-0005395U KR20030005395U KR200314245Y1 KR 200314245 Y1 KR200314245 Y1 KR 200314245Y1 KR 20030005395 U KR20030005395 U KR 20030005395U KR 200314245 Y1 KR200314245 Y1 KR 2003142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protrusions
extension
recesse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친후
Original Assignee
힌즈 베이스스트롱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힌즈 베이스스트롱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힌즈 베이스스트롱 컴패니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2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은 슬리브, 확장부, 슬라이드부 및 회전부를 포함한다. 슬리브에는 한쪽 끝단에 있는 끝단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연장날개들, 및 그 주변에는 제1물체와 결합하는 이음부가 구비된다. 연장부에는 한쪽 끝단은 슬리브 내에 수납되고 다른 한쪽 끝단은 슬리브의 다른 한쪽 끝단과 접촉된다. 슬라이드부에는 중앙축홀, 2개의 연장날개들 각각의 저면들에 접하는 2개의 대향하는 상측어깨들, 및 복수의 결합오목부들 및 결합돌출부들을 구비된다. 회전부에는, 그 한쪽에 마련된 복수의 끝단오목홈들 및 끝단돌출부들, 중앙축홀을 통하여 슬리브 내로 삽입되도록 연장된 축돌출머리, 및 다른 한쪽에는 제2물체와 결합되도록 연장된 결합부를 구비된다. 다른 물체가 회전하자마자, 끝단돌출부들은 결합돌출부들을 따라 위쪽으로 움직이고, 어깨들은 2개의 연장날개들을 따라 안쪽으로 움직여 확장부를 누르고; 끝단돌출부들가 결합돌출부를 지날 때, 연장부는 펴지고 슬라이드부는 축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움직여 끝단돌출부들 및 끝단오목부들이 결합오목부들 및 결합돌출부들과 맞물릴 때까지 끝단돌출부를 결합돌출부들의 다른 한쪽을 따라 아래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제2물체가 제1물체에 대하여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Description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Sleeve type lifted rotational shaft}
본 고안은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건을 열거나 덮는 기능을 갖는 회전축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휴대용 오디오-비디오플레이어와 같은 일반소비전자제품은, 버튼키들이 부주의하게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표시화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버튼키들 또는 표시화면을 덮는 여닫이덮개를 포함한다.
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힌지덮개의 핸드폰을 예로 들면, 핸드폰이 사용 중에 눌려질 수 있는 버튼키들 앞에 덮개를 완전히 열어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더하여, 덮개가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덮개는 축이음 또는 돌출부이음에 의해 주장치의 하부끝에 부착된다. 그러나, 상기 덮개는, 덮개와 주장치 사이의 마찰에 의해 낡기 대문에 일정한 사용기간 후에 쉽게 헐거워진다. 그러므로, 스태그네이션효과(effect of stagnation) 뿐만 아니라 반복동작에 의한 헐거워짐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우수한 회전축이 제공되어야만 한다. 또한, 자동적으로 열리고 닫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덮개는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다른 소비전자제품들에 대하여 극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열림 및 닫힘작동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 보통회전축은, 엇갈리는 돌출부 및 오목부에 의해 서로 접촉되어 맞물리는 회전부와 슬라이드부를 가져, 회전부의 돌출부들은 슬라이드부의 돌출부들상의 경사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어 회전부가 회전상태에 있는 동안 열림과 닫힘 작동을 수행한다. 축이음을 형성하기 위하여, 회전축은 각 부분을 통과하는 축스템(axial stem)을 대부분 포함하고 이 축스템은 회전축의 총길이를 결정하는 회전부의 외측에 고정된 가동단을 포함하여 슬라이드부가 측방향을 따라 앞뒤로 움직이는 기능을 갖도록 한다. 그러나, 다른 부분들을 통과하는 고정단을 갖는 축스템은 회전축을 조립하는 데 매우 많은 시간이 필요하므로 처리되고 개선될 가치가 있다.
본 고안자는 수년동안 회전축들의 생산 및 설계에 노력을 기울였고, 회전축에 관하여 미국특허출원 제5,996,179 및 10/040,626호를 출원하였다. 본 고안은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에 관하여 더욱 개선시킨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조립 후 도 1에서 보여준 여닫이회전축의 단면도,
도 3a 및 3b는 작동 중에 그 2개의 상태들에서 본 고안의 여닫이회전축을 보여주는 도면들,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회전축의 조립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리브 2 : 확장부
3 : 슬라이드부 4 : 회전부
11 : 좌측단홀 12 : 우측단돌기
13 : 정상개방부 14 : 연장날개
15 : 이음부 31 : 키실린더부
32 : 통과축홀 33 : 어깨들
34 : 중앙목부 35 : 결합오목부
36 : 결합돌출부 41 : 끝단오목부
42 : 끝단돌출부 43 : 중앙축돌출머리
44 : 결합부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리브, 확장부, 슬라이드부 및 회전부를 포함하는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을 제공하는 것이다.
슬리브에는 한쪽 끝단에 있는 끝단홀, 끝단홀 가까이에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연장날개들, 및 그 주변에는 제1물체와 결합하는 이음부가 구비된다. 연장부에는 한쪽 끝단은 슬리브내에 수납되고 다른 한쪽 끝단은 상기 슬리브의 다른 한쪽 끝단과 접촉된다. 슬라이드부에는 중앙축홀, 상기 2개의 연장날개들 각각의 저면들에 접하는 2개의 대향하는 상측어깨들, 및 서로 번갈아 배치된 복수의 결합오목부들 및 결합돌출부들을 구비된다. 회전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기 결합오목부들 및 결합돌출부들에 결합되도록 그 한쪽에 마련된 복수의 끝단오목홈들 및 끝단돌출부들, 중앙축홀을 통하여 슬리브내로 삽입되도록 연장된 축돌출머리, 및 다른 한 쪽에 상기 끝단홀을 통과하여 제2물체와 결합되도록 연장된 결합부를 구비된다. 다른 물체가 회전하자마자, 상기 끝단돌출부들은 상기 결합돌출부들을 따라 위쪽으로 움직이고, 상기 어깨들은 상기 2개의 연장날개들을 따라 안쪽으로 움직여 확장부를 누르고; 상기 끝단돌출부들가 상기 결합돌출부를 지날 때, 상기 연장부는 펴지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축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움직여 끝단돌출부들 및 끝단오목부들이 결합오목부들 및 결합돌출부들과 맞물릴 때까지 끝단돌출부를 상기 결합돌출부들의 다른 한쪽을 따라 아래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제2물체가 제1물체에 대하여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들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기본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은 슬리브(1), 확장부(2), 슬라이드부(3) 및 회전부(4)를 포함한다.
여기서, 슬리브(1)는 정상개방부(13), 좌측단홀(11) 및 우측단돌기(12)를 갖는 가로방향의 실린더이다. 좌측단홀(11) 가까이에 슬리브(1)의 정상개방부(13)는 두개의 대향하는 연장날개들(14; elongated wings)을 가져 슬라이드부(3) 및 회전부(4)가 정상개방부(13)를 통하여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정할 수 있고 슬라이드부(3)는 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슬리브(1)의 표면에는 이음부(15)가 마련되어 물체, 예를 들면 주장치에 고정된다. 도 1에서, 이음부(15)가 정상개방부(13)의 가장자리에서 밀링표면(milled surface)을 갖는 것을 보여주지만 이것은 하나의 예이고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밀링표면은, 배치에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다각형의 표면 또는 이중 밀링표면으로 바뀔 수 있다.
연장부(2)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이고, 우측단돌기(12)와 슬라이드부(3)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드부(3)를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한다.
슬라이드부(3)는 연장부의 끝단에 닿는 일측을 갖는 원통체이여서 연장부(2)의 양단들이 슬라이드부(3)와 우측단돌기(12)에 대하여 바이어스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3)는 통과축홀(32)을 갖는 키실린더부(31)를 갖고 중앙목부(34)를 갖는 2개의 대향하는 상측어깨들(33)을 갖고, 2개의 어깨들(33)은 연장날개들(14)의 저면측들에 접하여 압착되고 중앙목부(34)는 2개의 연장날개들(14) 사이에 배치되어 축방향위치변환이 가능하다. 다른 쪽의 슬라이드부(3)는 회전부(4)와 결합하기 위하여 엇갈리게 배치된 결합오목부(35) 및 결합돌출부(36)를 갖는다.
회전부(4)도, 결합오목부(36)와 결합돌출부(36)와 결합되게 엇갈리게 배치된 끝단오목부(41) 및 끝단돌출부(42)를 갖는 끝단을 갖는 원통체이다. 중앙축돌출머리(43)는 끝단오목부(41)로부터 연장되어 축조인트로서 축홀(32) 안으로 삽입된다. 회전부(4)의 다른 끝단에는 덮개와 같은 다른 물건에 단단히 결합되기 위한 소형결합부(44)가 연장된다. 이와 같이, 특히, 결합부(44)가 다른 물건에 단단히 결합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결합부(44)는 밀링면, 이중밀링면들 또는 다각형기둥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이 조립되는 중에 먼저 일체로서, 회전부(4)가 슬라이드부(3)에 축적으로 결합된다. 다음에, 이 일체는 상부개구(13)를 통하여 슬리브(1)안에 배치되고 연장날개들(14)의 저면에 접하여 어깨들(33)이 눌려져 축적으로 움직여 중앙목부(34)가 2개의 연장날개들(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44)는 끝단홀(11)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마지막으로, 연장부(2)는 실린더부(31) 및 우측단돌기(12) 사이에 배치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동작 중에, 슬라이드부(3)는, 끝단오목부들(41) 및 끝단볼록부들(42)과 맞물리는 결합볼록부들(36) 및 결합오목부들(35)에 의해 서로 부트(butt)결합될 수 있고, 이것은, 예를 들면 주장치가 뚜껑몸체로 덮여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뚜껑몸체가 들리는 경우에, 2개의 끝단돌출부들(42)은 결합오목부들(35)로부터 이탈되어 각 결합돌출부들(36)의 측면을 따라 위로 움직여서, 슬라이드부(3)가 회전부(4)의 축스러스트(axial thrust)를 받아 어깨들(33)을 확장날개들(14)을 따라 안쪽으로 움직이게 하며 확장부(2)에 대하여 바이어스되게 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끝단돌출부들(42)이 결합돌출부들(36)의 정상부 위를 통과하는 동안 확장부(2)가 서서히 펴져 슬라이드부(3)가 바깥쪽으로 움직여 끝단돌출부들(42)이 결합돌출부들의 양측들을 따라 아래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2개의 끝단돌출부들(42)이 180°회전하여 결합오목부들(35)에 다시 맞물린다. 이것은, 뚜껑몸체가 주장치에 대하여 열려진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뚜껑몸체로 주몸체를 덮으려고 한다면, 역작동을 수행하면 된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에서 벗어남 없이 변경들 또는 변형들이 용이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고안에 따른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는, 회전부의 결합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모든 부품들이 슬리브내에 수납되어 어떤 다른 연장축도 부품들을 통과하지 않고 부품들을 고정시키거나 결합시키기 위하여 어떤 다른 노력도 필요치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슬리브의 개방정상면에 2개의 연장날개들을 포함하여 슬라이드레일으로서 역할을 하며 회전부 및 슬라이드부가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슬라이드부가 축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 뚜껑몸체가 어떤 각 범위내에서 자동적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리부의 연결부와 회전부의 결합부가 주장치 및 뚜껑몸체에 빠르게 조립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어 나사조임의 과정이 필요치 않다. 이에 더하여, 본 고안의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은 간단하고 빠르게 조립되면서도 소정의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5)

  1. 한쪽 끝단에 있는 끝단홀, 끝단홀 가까이에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연장날개들, 및 그 주변에는 제1물체와 결합하는 이음부가 구비된 슬리브;
    한쪽 끝단은 슬리브내에 수납되고 다른 한쪽 끝단은 상기 슬리브의 다른 한쪽 끝단과 접촉되는 연장부;
    중앙축홀, 상기 2개의 연장날개들 각각의 저면들에 접하는 2개의 대향하는 상측어깨들, 및 서로 번갈아 배치된 복수의 결합오목부들 및 결합돌출부들을 구비한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기 결합오목부들 및 결합돌출부들에 결합되도록 그 한쪽에 마련된 복수의 끝단오목홈들 및 끝단돌출부들, 중앙축홀을 통하여 슬리브내로 삽입되도록 연장된 축돌출머리, 및 다른 한 쪽에 상기 끝단홀을 통과하여 제2물체와 결합되도록 연장된 결합부를 구비한 회전부를 포함하고,
    다른 물체가 회전하자마자, 상기 끝단돌출부들은 상기 결합돌출부들을 따라 위쪽으로 움직이고, 상기 어깨들은 상기 2개의 연장날개들을 따라 안쪽으로 움직여 확장부를 누르고;
    상기 끝단돌출부들가 상기 결합돌출부를 지날 때, 상기 연장부는 펴지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축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움직여 끝단돌출부들 및 끝단오목부들이 결합오목부들 및 결합돌출부들과 맞물릴 때까지 끝단돌출부를 상기 결합돌출부들의 다른 한쪽을 따라 아래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제2물체가 제1물체에 대하여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들은 중앙목부를 연장하는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 및 상기 결합부는 단일밀링면, 이중밀링면들 또는 다각기둥을 갖는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스프링인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다른 한쪽 끝단에는 끝단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한쪽 끝단에는 통과축홀을 갖는 키실린더부가 마련되어 연장부가 상기 끝단돌기와 상기 키실린더부 사이에 배치되어 위치되는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
KR20-2003-0005395U 2002-11-12 2003-02-24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 KR20031424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1218097 2002-11-12
TW091218097U TW542293U (en) 2002-11-12 2002-11-12 Lifting revolving axis of sleeve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245Y1 true KR200314245Y1 (ko) 2003-05-23

Family

ID=29581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395U KR200314245Y1 (ko) 2002-11-12 2003-02-24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094597U (ko)
KR (1) KR200314245Y1 (ko)
TW (1) TW54229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0429B2 (ja) * 2011-05-09 2014-11-05 株式会社クローバー ダイヤル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94597U (ja) 2003-06-27
TW542293U (en) 200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2779B1 (en) Hinge with an anti-bump feature
US8074322B2 (en)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70101543A1 (en) Hinge
US6658699B2 (en) Rotating shaft assembly
TWM335120U (en) Pivot structure
US20070214605A1 (en) Sleeve joint type hinge
JP2003028138A (ja) 移動通信端末機のカバー開閉装置
US7614119B2 (en) Hinge to improve panel stability
US7712188B2 (en) Hinge for portable computer
KR200314245Y1 (ko)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
US7165291B2 (en)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9249332U (zh) 旋钮式开关
KR20040035064A (ko) 휴대폰 힌지구조
US6985580B2 (en) Auto-released hinge for a mobile phone
US20090320238A1 (en) Cam interference assembly of hinge and foldable device
US7093320B2 (en) Pin-less locks for sliding members
JP3094360U (ja) さや筒式開閉回転軸
KR200272056Y1 (ko) 회전축 어셈블리
KR200198287Y1 (ko) 휴대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커버
KR100656392B1 (ko) 스위블힌지장치
JP2002366299A (ja) マウス
KR200310618Y1 (ko) 휴대폰의 힌지
KR200348124Y1 (ko) 힌지 장치
KR200284698Y1 (ko) 우산의 잠금장치
KR200301198Y1 (ko) 휴대폰 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