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056Y1 - 회전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회전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056Y1
KR200272056Y1 KR2020020002295U KR20020002295U KR200272056Y1 KR 200272056 Y1 KR200272056 Y1 KR 200272056Y1 KR 2020020002295 U KR2020020002295 U KR 2020020002295U KR 20020002295 U KR20020002295 U KR 20020002295U KR 200272056 Y1 KR200272056 Y1 KR 200272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fixing
slide
cov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친후
Original Assignee
힌즈 베이스스트롱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힌즈 베이스스트롱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힌즈 베이스스트롱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020002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0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056Y1/ko

Links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개폐기능을 갖는 회전축은 축부, 고정부, 슬라이드부 및 신장부와, 및/또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물체의 덮개가 회전할 때, 회전부에 회전돌출부들의 회전경사면들이 고정부와 슬라이드부 사이의 신장부를 압축하도록 끝단돌출부들을 따라 움직여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딩돌기들이 고정부의 고정돌기들을 따라 움직이게 한다. 덮개가 회전돌출부들이 끝단돌출부들에 면접촉하는 위치까지 회전할 때, 덮개는 정지위치에 위치된다. 회전경사면들이 끝단돌출부의 다른 쪽에서 각 끝단돌출부의 경사면으로 움직일 때, 신장부는 늘어나 슬라이드부가 축방향으로 뒤로 움직이게 하여 회전경사면들이 끝단경사면들을 따라 움직여 각각의 회전경사면들과 끝단경사면들 사이에 맞물림상태를 형성하면 덮개는 자동으로 완전히 열릴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축 어셈블리{Rotating shaft assembly}
본 고안은 회전축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각위치에서 물체를 열고 자동으로 물체를 닫는 기능을 제공하는 회전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동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tant) 등과 같은 소모성 전자제품에서 들리는 덮개(lid)는 주로 키보드가 부주의로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스크린을 보호하기 위하여 키보드 또는 스크린을 덮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시장에서 유용한 들리는 덮개 또는 활주식 덮개를 이동전화에 이용하려면, 덮개는 키보드가 작동되기 전에 완전히 들어 올려지거나 밀어 젖혀져야만 한다. 덮개는 이동전화의 본체의 하단가장자리에 축연결 또는 삽입체결(insert joint)에 의해 탑재되어 열리고 닫힐 수 있다. 그러나, 덮개와 본체 사이의 결합은 일정기간의 사용 후에 헐거워질 수 있다는 약간의 결함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 결점을 피하기 위하여, 요즘 사용되는 대부분의 이동전화 또는 PDA는 덮개들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은 종종 키보드가 부주의로 눌려지거나 스크린이 손상되는 결과를 낳는다. 그러므로, 덮개가 정지효과를 갖는 것과 헐거워지는 현상의 발생없이 반복적으로 작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은 극복해야할 어려운 문제이다.
본 고안자는 다년간 회전축의 연구개발에 노력을 기울여 미국특허 제5,996,179호를 취득하였으며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한 개폐기능을 갖는 신규한 회전축 어셈블리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축부, 고정부, 슬라이드부 및 신장부와 및/또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회전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축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축 어셈블리의, 도 1과는 다른 투사각에서 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 보여진 회전축 어셈블리의 조립된 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회전축 어셈블리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열리는 동안 다른 각위치들을 갖는, 물체 커버 뒤쪽에 탑재된 회전축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부 2 : 고정부
3 : 신장부 4 : 슬라이드부
5 ; 회전부 6 : 연결부
7 : 장식부 21, 41, 51, 61 : 구멍
22, 42 : 돌기 23, 43 : 챔버
24, 45, 53, 62 : 홈 25, 44, 52 : 돌출부
441, 521 : 경사면
물체의 덮개가 회전할 때, 회전부의 회전돌출부들의 회전경사면들은 슬라이드부의 끝단돌출부들을 따라 움직여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딩돌기가 고정부와 슬라이드부 사이의 신장부를 누르도록 고정부의 고정돌기들을 따라 움직이게 한다. 회전돌출부들이 끝단돌출부들과 면접촉할 때까지의 각만큼 회전하면, 덮개는 정지 상태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경사면들이 다른 쪽의 끝단돌출부의 경사면을 따라 움직일 때, 신장부는 늘어나 슬라이드부를 축방향으로 뒤로 움직이게 하여 회전경사면들이 끝단경사면들을 따라 움직여 각각의 회전경사면들 및 끝단경사들 사이에 맞물림 상태를 형성하여 덮개는 자동으로 완전히 열리게 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개폐기능을 갖는 회전축 어셈블리는 축부(1), 고정부(2), 신장부(3), 슬라이드부(4) 및 회전부(5)와 및/또는 연결부(6)를 포함한다.
여기서, 축부(1)는 축어셈블리의 다른 부분들을 통과하는 기다란 로드(rod)이다.
고정부(2)는 축부(1)가 통과되는 축구멍(21)을 갖는 고리모양이고 두 개의 마주보는 고정돌기들(22)은 고정부(2)의 끝단쪽에서 연장되어 신장부(3)를 수납하는 연장챔버(23)를 형성한다. 고정돌기들은 슬라이드부(4)와 끼워 맞춰진다. 게다가, 장치의 본체와 같은 물체에 맞물리기 위하여, 고정부(2)는 그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오목부(24)가 마련되어 본체(미도시)에 배치된 연결부분의 포착부와 맞물린다. 또한, 축부(1)를 감추어 회전축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미감을 개선하는 데 사용되는 장식부(7)와 끼워 맞추기 위하여, 고정부(2)의 다른 끝단쪽은 축구멍(21)을 둘러싸는 고정돌출부(25)를 갖는다.
신장부(3)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편이고 슬라이드부(4)와 고정부(2) 사이에 배치되고 축부(1)가 통과하는 확장챔버(23) 및 슬라이드부(4)의 끝단챔버(43)에 수납된다.
슬라이드부(4)는 중앙에 축부(1)가 통과하는 슬라이딩구멍(41)을 갖는 고리모양이고 두 개의 마주보는 슬라이딩돌기들(42)은 고정돌기들(22) 사이의 두 개의 마주보는 공간들에 대응하는 그 끝단쪽에서 연장된다. 슬라이드부(4)의 챔버(43)는 슬라이딩돌기들(42)에 의해 형성된다. 고정부(2)가 슬라이드부(4)에 끼워 맞춰지면, 슬라이딩돌기들(42)은 고정돌기들(22) 근처에 배치되어 예를 들면, 원기둥모양을 형성한다. 게다가, 슬라이드부(4)의 다른 끝단쪽에서는 그 주변가장자리에 두 개의 마주보는 끝단돌출부들(44)이 연장되고, 각각의 끝단돌출부들(44)의 양측에는 경사면(441)이 마련된다. 또한, 적어도 슬라이드홈(45)은 물체에 탑재되는 동안 본체의 포착부를 통과하는 끼움오목부(24)와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슬라이드부(4)에 마련된다. 슬라이딩돌출부들은 실사용에서는 부채꼴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5)는 축부(1)가 통과하는 중앙회전구멍(51)을 갖는 링이고 축부(1)의자유단은 회전부(5)의 외측단에 리벳(rivet)되거나 나사끼워진다. 회전부(5)는 그 다른 끝단에 끝단돌출부들(44) 사이의 두 개의 공간에 대응하는 두 개의 회전돌출부들(52)이 마련되고 각 회전돌출부들(52)은 그 양 측면에 각각 회전경사면(521)이 있어 회전부(5)가 슬라이드부(4)에 끼워 맞춰질 때 회전경사면들(521)은 가장자리경사면(441)과 연결된다. 이것은 본체에 대하여 덮개가 완전히 열리거나 완전히 닫히는 작용을 한다. 또한, 회전부(5)는 그 주변에 적어도 슬라이딩홈(45)에 대응되고 본체의 포착부를 통과한 후에 덮개의 맞물림돌출부에 맞물리는 회전홈(53)을 제공하여 회전부(5)가 덮개와 함께 회전하여 슬라이드부(4)와 함께 개폐 및 정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회전부(5)와 덮개를 단단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부(6)는 축부(1)가 통과하는 중앙연결구멍(61)에 의해 회전부(5)에 부착된다. 축부(1)는 회전부(5)에 고정되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그 자유단이 연결부(6)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오목부(62)는 회전홈(53)과 대응되게 연결부(6)에 마련되어 덮개의 맞물림돌출부에 맞물려져 연결부(6)가 회전부(5)와 함께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연결부(6)는 그 외측단에 덮개의 맞물림구멍들(미도시)에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조(63; insert jaw)를 마련하여 회전축 어셈블리는 덮개 및 본체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고정부(2)의 돌출영역(25)은 시각적인 만족을 위하여 둘러싸는 장식커버(7)의 장식오목부(71)에 맞물린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회전축 어셈블리가 조립될 때, 연결부(6) 및 회전부(5)가 연결부들 사이 덮개축에 수납되어 위치되도록, 축부는본체 양측에 있는 두 개의 연결부들에 삽입된다. 이것은 본 고안의 회전축 어셈블리를 본체 및 덮개에 탑재하는 과정이다. 덮개가 열린 경우에, 회전부(5) 및 연결부(6)는 덮개를 들어올리는 힘을 받아 동시에 회전되도록, 덮개만 회전하는 것만이 수행된다. 이런 상황에서, 회전돌출부들(52)의 회전경사면들(521)은 끝단돌출부들(44)의 경사면(441)을 따라 위로 이동하고 그 결과 슬라이드부(4)의 슬라이딩돌기들(42)은 신장부(3)가 압축되도록 고정부(2)의 고정돌기들(22)을 따라 축방향으로 움직인다. 회전경사면들(521)이 경사면들(441)을 지나갈 때, 회전돌출부들(52)은 도 5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각"C"의 범위에서 끝단돌출부들(44)에 면접촉할 수 있다. 이 때, 덮개는 어떤 경사각에도 머물러 정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덮개가 좀더 회전되는 경우에, 회전경사면들(521)은 도 5에서 보여진 각"A"에서 끝단돌출부들(44)의 다른 쪽 경사면(441)에 닿을 수 있다. 회전경사면들(521)은 경사면들(441)을 따라 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이 때, 신장부(3)는 늘여진 상태이고 슬라이드부(4)는 덮개가 완전히 열리도록 회전부(5)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반대로, 덮개가 닫히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은 회전경사면들(521)을 도 5에서 보여진 각"B"에서 최초의 경사면들(441)까지 움직이도록 덮개를 역으로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 때, 회전부(4)의 회전경사면들(521)은 경사면들(441)을 따라 아래로 움직일 수 있어 덮개는 자동적으로 닫힐 수 있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본 고안의 정신에서 벗어남 없이 변형 및 변경이 용이하게 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로부터 본 고안에 따른 회전축 어셈블리에서, 덮개는 어떤 각에서도 자동으로 개폐기능 및 어떤 각에서도 용이하게 정기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게다가, 본 고안의 회전어셈블리는 물체의 본체의 연결부를 통하여 덮개와 결합될 수 있어 회전축 어셈블리는 덮개축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장식부가 마련되어 본체의 연결부를 차단하도록 마련되어 장식기능을 개선한다. 본 고안의 이 이점들은 종래기술에서는 효과적으로 달성하기가 어렵다.

Claims (6)

  1. 기다란 로드인 축부;
    축부에 의해 통과되는 축고정구멍이 마련되고, 그 끝단에는 적어도 두 개의 마주보는 고정돌기들이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고정챔버를 형성하며, 그 외주변에는 물체의 본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오목부를 갖는 고정부;
    축부에 의해 통과되는 중앙슬라이딩구멍이 마련되고, 그 끝단에는 상기 고정돌기들 근처에 끝단돌기들이 배치되는 방식으로 고정부와 끼워 맞춰지도록 상기 각 고정돌기들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돌기가 연장되고, 그 다른 끝단에는 양쪽에 끝단경사면이 각각 마련된 적어도 두 개의 끝단돌출부들이 마련되며, 그 외주변에는 고정부의 고정오목부와 대응되는 슬라이딩홈이 마련된 슬라이드부;
    고정부와 슬라이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축부에 의해 통과되는 신장부; 및
    축부에 의해 통과되는 중앙회전구멍이 마련되고, 끝단돌출부들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는 회전돌출부들이 마련되고 회전돌출부들의 양측에는 덮개와 결합되는 슬라이딩홈에 대응하는 회전경사면을 갖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덮개가 회전할 때, 회전돌출부들의 회전경사면들이 고정부와 슬라이드부 사이의 신장부를 압축하도록 끝단돌출부들을 따라 움직여 끝단돌출부들이 고정돌기들을 따라 움직이게 하며;
    덮개가 회전돌출부들이 끝단돌출부들에 면접촉하는 위치로 회전할 때, 덮개는 어떤 정지 각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회전경사면들이 각 끝단돌출부의 다른 쪽에 있는 다른쪽 경사면으로 움직일 때, 신장부는 펴져서 슬라이드부가 축방향에서 반대로 움직일 수 있도록 늘어나 회전경사면들이 끝단경사면들을 따라 움직여 각각의 회전경사면들과 끝단경사면들 사이에 맞물림상태를 형성하고 덮개는 자동으로 완전히 열릴 수 있게 하는 회전축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고정돌기들이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딩돌기에 엇갈리게 배치되어, 고정부가 슬라이드부에 끼워 맞춰지면 고정돌기들 및 슬라이딩돌기들이 원기둥모양을 형성할 수 있는 회전축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부의 끝단돌출부들 및 회전부의 회전돌출부들은 각각 부채꼴모양으로 마련되고 슬라이드부가 회전부에 끼워 맞춰지면 끝단돌출부들은 회전돌출부들 사이에 엇갈리게 배치되어 원기둥모양을 형성하는 회전축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그 끝단이 회전부의 다른 끝단과 면하게 회전부 근처에 배치되며, 축부에 의해 통과되어 축부와 고정되게 부착되는 중앙연결구멍을 가지고, 덮개와 결합되는 각각의 슬라이딩홈과 대응되는 연결오목부가 있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회전부와 함께 움직이고 연결부의 다른 끝단에는 축방향으로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에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조가 마련되는 회전축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 근처에 배치되고, 본체의 연결부를 막도록 고정부의 돌출부영역과 맞물리는 미리 조절된 커버오목부를 갖는 장식커버를 더 포함하는 회전축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부는 스프링인 회전축 어셈블리.
KR2020020002295U 2002-01-24 2002-01-24 회전축 어셈블리 KR200272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295U KR200272056Y1 (ko) 2002-01-24 2002-01-24 회전축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295U KR200272056Y1 (ko) 2002-01-24 2002-01-24 회전축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056Y1 true KR200272056Y1 (ko) 2002-04-13

Family

ID=7307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295U KR200272056Y1 (ko) 2002-01-24 2002-01-24 회전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0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7331U (ja) 回転シャフト・アセンブリ
US7603747B2 (en) Rotating shaft structure with automatic locking mechanism
KR101403295B1 (ko) 잠금 메커니즘을 위한 복귀 스프링 조립체
US7083354B2 (en) Cosmetics case having receipt drawing toilet set
US20090178242A1 (en) Hinge assembly
EP1316875A3 (en) Hinge device
EP0959399A3 (en) Dual function hinge assembly housing with an access door
KR200272056Y1 (ko) 회전축 어셈블리
US20110154615A1 (en) Hinge
US6469249B2 (en) Hinge cover for electrical devices, and electrical device provided therewith
US5505505A (en) Device for securing a closure such as a window
RU2443839C2 (ru) Поворотная опора для прижимного механизма закры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JP3408460B2 (ja) 携帯端末
US6985580B2 (en) Auto-released hinge for a mobile phone
US20070234514A1 (en) Hinge with a multi-stage positioning function
US20030159249A1 (en) Hinge device
CN108713977B (zh) 电饭煲
KR200314245Y1 (ko) 슬리브형 여닫이회전축
US8593794B2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116216A1 (en) Electronic device
KR200184257Y1 (ko) 경첩장치
CN219875128U (zh) 一种旋转翻盖结构及移动电源
KR20050018836A (ko) 문 손 끼임 방지구
KR200337136Y1 (ko) 경첩
KR200422895Y1 (ko) 핸드폰 힌지장치의 단속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