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618Y1 - 휴대폰의 힌지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618Y1
KR200310618Y1 KR20-2003-0002643U KR20030002643U KR200310618Y1 KR 200310618 Y1 KR200310618 Y1 KR 200310618Y1 KR 20030002643 U KR20030002643 U KR 20030002643U KR 200310618 Y1 KR200310618 Y1 KR 200310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m
mobile phone
hing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춘근
남평우
Original Assignee
(주) 프렉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프렉코 filed Critical (주) 프렉코
Priority to KR20-2003-0002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6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6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플랜지가 형성된 샤프트에 고정캠, 회전캠, 탄성부재 및 슬리브를 순차적으로 결합하도록 하여 샤프트의 강도를 강화시킨 휴대폰 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일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체가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플랜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고정캠과, 상기 샤프트 상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캠의 돌기부에 일면이 접촉되어 회동되며, 휴대폰 커버가 개폐되는 캠선도를 갖는 회전캠과, 상기 샤프트의 걸림체와 결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와, 상기 회전캠과 슬리브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의 힌지{A HINGE OF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의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재의 샤프트에 고정캠, 회전캠, 탄성부재 및 슬리브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샤프트의 강도를 향상시킨 휴대폰의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록힌지는 고정축, 가동축, 용수철의 3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고, 용수철은 약간의 조임장치를 가지고 고정축, 가동축에 부착되어 있으며, 고정축을 고정하여 용수철을 되감기 방향으로 가동축을 돌릴 경우, 작은힘으로 돌릴 수 있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록힌지는 심플하고 고정이 적고, 각도조절이 용이하여 일반적인 개폐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형태 및 모양을 달리하여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가장 수요가 많은 휴대폰, 노트북컴퓨터 등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힌지장치는 편측 록힌지, 양측 록힌지 등과 같은 종류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힌지장치는 회전캠과 고정캠의 대응구조를 이용하여 커버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도 개폐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폰 힌지는 플랜지(1a)가 구비되어 있는 샤프트(1)에 고정캠(2), 회전캠(3), 스프링(4), 결합링(5)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고정캠(2)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2a)상에 상기 샤프트(1)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1b)를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힌지는 고정캠(2)에 형성된 결합홈(2a)에 샤프트(1)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b)가 결합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샤프트(1)의 결합돌기(1b)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져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샤프트(1)의 강도가 약해 휴대폰 커버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면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플랜지가 형성된 샤프트에 고정캠, 회전캠, 탄성부재 및 슬리브를 순차적으로 결합하도록 하여 샤프트의 강도를 강화시킨 휴대폰 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폰의 힌지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힌지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힌지구조를 나탄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힌지구조가 적용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샤프트 11: 플랜지
12: 걸림체 20: 고정캠
21: 결합홈 22: 결합돌기
30: 회전캠 40: 슬리브
41: 걸림턱 50: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체가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플랜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고정캠과, 상기 샤프트 상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캠의 돌기부에 일면이 접촉되어 회동되며, 휴대폰 커버가 개폐되는 캠선도를 갖는 회전캠과, 상기 샤프트의 걸림체와 결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와, 상기 회전캠과 슬리브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샤프트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힌지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힌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부호 100은 휴대폰 힌지 전체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의 힌지구조는 샤프트(10), 고정캠(20),회전캠(30), 슬리브(40) 및 탄성부재(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10)는 일측에 플랜지(11)가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체(12)가 형성되며,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캠(20)은 샤프트(10)의 플랜지(11)가 결합되는 결합홈(21)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캠(30)은 샤프트(14) 상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캠(10)의 돌기부(12)에 일면이 접촉되어 회동되며, 휴대폰 커버가 개폐되는 캠선도를 갖는 것이다.
상기 캠선도는 본 고안에서는 요지가 않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슬리브(40)는 샤프트(10)의 걸림체(12)와 결합되는 걸림턱(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샤프트(10) 상에 결합되어진 고정캠(20), 회전캠(30) 및 탄성부재(5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캠(20), 회전캠(30), 슬리브(40) 등은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고, 샤프트(10)를 금속재로 성형하여 결합시킴으로서, 샤프트(10)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회전캠(30)과 슬리브(4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캠(30)이 돌기부(12)에 접면되어 회동될 때 일정하게 탄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미설명 부호 60은 고정캠(20), 회전캠(30) 및 탄성부재(50)을 보호하는 하우징을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휴대폰 힌지는 금속재의 샤프트(10)에 고정캠(20), 회전캠(30), 탄성부재(50) 및 하우징(60)을 순차적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걸림턱(41)이 형성된 슬리브(40)를 고정캠(10)의 걸림체(11)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샤프트(10)의 플랜지(11)는 고정캠(20)의 결합홈(21)에 결합되어 결합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의 힌지부(200)에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힌지(100)를 결합하게 되면 고정캠(20)과 회전캠(30)의 동작에 의해 일정한 캠선도를 형성하면서 휴대폰 커버를 개폐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샤프트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샤프트에 고정캠, 회전캠, 탄성부재 및 슬리브를 결합하도록 함으로서, 샤프트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2)

  1. 일단에 플랜지(11)가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체(12)가 형성된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의 플랜지(11)가 결합되는 결합홈(21)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돌기(12)가 형성된 고정캠(20)과,
    상기 샤프트(10) 상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캠(20)의 돌기부(21)에 일면이 접촉되어 회동되며, 휴대폰 커버가 개폐되는 캠선도를 갖는 회전캠(30)과,
    상기 샤프트(10)의 걸림체(12)와 결합되는 걸림턱(41)이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40)와,
    상기 회전캠(30)과 슬리브(4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0)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힌지.
KR20-2003-0002643U 2003-01-28 2003-01-28 휴대폰의 힌지 KR200310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643U KR200310618Y1 (ko) 2003-01-28 2003-01-28 휴대폰의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643U KR200310618Y1 (ko) 2003-01-28 2003-01-28 휴대폰의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618Y1 true KR200310618Y1 (ko) 2003-04-18

Family

ID=49332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643U KR200310618Y1 (ko) 2003-01-28 2003-01-28 휴대폰의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6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9833B2 (en) Washer for hinge assembly
US8432677B2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112516A1 (en)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036186B2 (en) Swing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US20060117527A1 (en) Hinge mechanism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373692B2 (en) Parallel plane rotation hinge for a portable device
US7926146B2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s
US6630878B2 (en) Magnetic rotating apparatus
US20100050385A1 (en)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00180401A1 (en) Hinge housing for hinge assembly
US7404235B2 (en)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334294B2 (en) Hing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hinge
US20060123596A1 (en) Hinge assembly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0310618Y1 (ko) 휴대폰의 힌지
KR200254504Y1 (ko) 휴대폰의 힌지구조
KR20040035064A (ko) 휴대폰 힌지구조
KR100374969B1 (ko) 휴대폰 힌지장치
US20100122432A1 (en)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463912B2 (en) Flip-flop mobile phone
KR200261269Y1 (ko) 휴대폰의 클릭·프리스탑 힌지구조
US20100071158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s
KR200222454Y1 (ko) 휴대폰 힌지장치
US8593794B2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100064478A1 (en)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30017385A (ko) 휴대폰의 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