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174Y1 -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인입 구조 - Google Patents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인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174Y1
KR200314174Y1 KR20-2003-0002856U KR20030002856U KR200314174Y1 KR 200314174 Y1 KR200314174 Y1 KR 200314174Y1 KR 20030002856 U KR20030002856 U KR 20030002856U KR 200314174 Y1 KR200314174 Y1 KR 200314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crew
tray
disc
withdrawal
disc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종
Original Assignee
오창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종 filed Critical 오창종
Priority to KR20-2003-0002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1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1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8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consecutive-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1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consecutive-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ith horizontal transfer to the turntable from a stack arranged with a vertical axis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디스크 트레이를 인출 및 인입 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우수한 성능의 인출 및 인입수단을 갖는 체인저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디스크 체인저 플레이어에서 디스크 트레이를 선택적으로 재생 가능한 위치로 인출시키거나 인출된 디스크 트레이를 트레이홀더 측으로 인입 시키기 위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ㆍ하 이송브라켓트 모듈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소정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고 그 축에는 구동워엄기어가 연동되게 결합된 모터부와, 일정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져 그 일측에는 상기 구동워엄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동워엄피니언기어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의 구동에 따라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그 타측은 상기 트레이홀더가 설치되는 공간부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되는 리드 스크류와,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전ㆍ후방향으로 이송되며 그 일측에는 디스크 트레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걸림편이 형성된 이송부재 및,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걸림편이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ㆍ하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IN/OUT STRUCTURE OF DISK-TRAY USING BY LEAD SCREW METHOD}
본 고안은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매의 컴팩트 디스크가 장전된 트레이홀더를 디스크 체인저 플레이어에 장착한 상태에서, 재생시키고자 하는 컴팩트 디스크의 선택시에 해당 컴팩트 디스크가 장전된 디스크 트레이를 리드 스크류에 의해 인출시켜 턴테이블에 로딩 시킬 수 있도록 한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 오디오 시스템 등에 보다 양질의 음을 연주할 수 있는 컴팩트 디스크(CD)를 사용하기 위한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를 설치함에 있어서, 최근에는 컴팩트 디스크를 다수매 장전한 트레이홀더를 장착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자동으로 해당 디스크를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크 체인저 플레이어가 실용화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디스크 체인저 플레이어는 메인샤시의 일측에 턴테이블과 픽업어셈블리를 설치하여 구동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매의컴팩트 디스크가 장전된 디스크 트레이를 장착하도록 이루어진 트레이홀더와, 상기 디스크 트레이의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턴테이블에 로딩 시키는 로딩어셈블리 및, 상기 로딩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구동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기술의 디스크 체인저 플레이어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수매의 컴팩트 디스크가 장전된 디스크 트레이가 각각 장착되는 트레이홀더가 메인샤시에 결합된 상태에서, 듣고자 하는 컴팩트 디스크에 대한 로딩명령이 인가되면 그 선택된 컴팩트 디스크가 있는 디스크 트레이의 위치에 픽업어셈블리가 위치되고, 소정의 인출수단에 의해 상기 컴팩트 디스크를 인출하여 턴테이블에 로딩 시킨 후 상기 컴팩트 디스크를 읽어 재생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종래 기술의 디스크 체인저 플레이어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해당 컴팩트 디스크가 장전된 디스크 트레이를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수단은 트레이홀더의 내부에 다수개의 디스크 트레이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 버튼 입력에 따라 해당 디스크 트레이가 회동하면서 상기 트레이홀더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거나, 한 쌍의 롤러가 구비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 버튼 입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이동하여 해당 디스크 트레이의 상ㆍ하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구동되어 상기 해당 디스크 트레이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인출되도록 하는 방법, 또는 메인샤시의 일측 내부에 랙기어를 형성하여 상기 랙기어의 동작에 따라 상기 해당 디스크 트레이가 인출되는 방법 등이 이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디스크 트레이 인출수단에 있어서 전자의경우에는 트레이홀더 내부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디스크 트레이가 설치되므로 상기 디스크 트레이의 회동 궤적에 따른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롤러의 구동을 위한 다수의 구성요소가 필요로 하게 되어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해짐과 더불어 잦은 고장을 유발하게 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디스크 트레이를 인출 및 인입 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우수한 성능의 인출 및 인입수단을 갖는 체인저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는 그 일측에는 다수매의 디스크 트레이가 장착된 트레이홀더가 설치되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에 장전된 컴팩트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로딩하여 이를 재생시키기 위한 상ㆍ하 이송브라켓트 모듈 및 재생모듈부가 설치된 메인샤시로 이루어진 디스크 체인저 플레이어에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를 선택적으로 상기 상ㆍ하 이송브라켓트 모듈 및 재생모듈부 측으로 인출시키거나 인출된 디스크 트레이를 상기 트레이홀더 측으로 인입 시키기 위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ㆍ하 이송브라켓트 모듈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소정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고 그 축에는 구동워엄기어가 연동되게 결합된 모터부와, 일정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져 그 일측에는 상기 구동워엄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동워엄피니언기어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의 구동에 따라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그 타측은 상기 트레이홀더가 설치되는 공간부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되는 리드 스크류와,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전ㆍ후방향으로 이송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걸림편이 형성된 이송부재 및,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걸림편이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ㆍ하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드 스크류의 전단부 측에는 상기 이송부재의 걸림편에 결합되어 이송된 상기 디스크 트레이를 일정 지점에 정지시키기 위한 멈춤부재 및 상기 정지된 디스크 트레이의 홀을 단속하여 고정시키도록 그 일측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탄성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ㆍ하가이드부재는 그 전단부 측이 제거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부재의 걸림편이 수평상태에서 일정 거리만큼 직선운동으로 디스크 트레이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킨 후에는 상기 상ㆍ하가이드부재에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된 걸림편유도부재에 가이드 되어 수직으로 변화되면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연동부재의 걸림돌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직선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재생모듈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연동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디스크 체인저 플레이어의 사용자가 해당 컴팩트 디스크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소정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상ㆍ하이송브라켓트 모듈이 해당 위치로 이동된 후 모터부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그 일측에 형성된 걸림편에 해당 디스크 트레이의 결합홈이 결합된 이송부재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그 디스크 트레이를 재생 가능한 위치로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가 적용된 체인저 디스크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가 적용된 체인저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트레이 인출 동작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가 적용된 체인저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트레이 인출 동작을 나타내는 도 1의 A부 확대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인샤시, 20: 트레이홀더,
22: 컴팩트 디스크, 24: 디스크 트레이,
26: 결합홈, 28: 홀,
29: 탄성부재, 30: 상ㆍ하이송브라켓트 모듈,
32: 연동부재, 34a,34b: 걸림돌기,
36: 재생모듈부, 40: 모터부,
42: 구동워엄기어, 50: 리드 스크류,
52: 피동워엄피니언기어, 60: 상ㆍ하가이드부재,
62: 멈춤부재, 64: 걸림편유도부재,
70: 이송부재, 72: 걸림편.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가 적용된 체인저 디스크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먼저 다수매의 컴팩트 디스크(22)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해당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디스크 체인저 플레이어의 메인샤시(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일측에는 상기 컴팩트 디스크(22)가 각각 장전된 다수개의 디스크 트레이가 장착되는 트레이홀더(20)가 설치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메인샤시(10)의 타측에는 상기 트레이홀더(20)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개의 디스크 트레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인출시켜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ㆍ하 이송브라켓트 모듈(30) 및 재생모듈부(36)가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샤시(10)의 공간부에 설치된 트레이홀더(20)로부터 사용자가 재생시키고자 하는 해당 디스크 트레이를 선택적으로 상기 상ㆍ하 이송브라켓트 모듈(30) 및 재생모듈부(36)가 위치된 지점으로 인출시키기 위해서는 본 고안에 따라 상기 상ㆍ하 이송브라켓트 모듈(30)에는 외부로부터 소정 전원을 공급받아구동되는 모터부(40)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부(40)의 축에는 상기 모터부(40) 축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구동워엄기어(42)가 일체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워엄기어(42)에는 상기 구동워엄기어(42)의 회전력을 인가 받아 연동되는 피동워엄피니언기어(52)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피동워엄피니언기어(52)는 일정 길이를 갖는 리드 스크류(5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그 회전력을 상기 리드 스크류(5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드 스크류(50)의 타측 단부는 상기 메인샤시(10)의 공간부 내에 설치된 트레이홀더(20)와 인접한 지점에 고정부재를 통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리드 스크류(50)에는 상기 리드 스크류(50)의 일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리드 스크류(50)의 외주면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이송부재(7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재(70)의 일측에는 걸림편(72)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72)이 상기 상ㆍ하 이송브라켓트 모듈(30)의 이동에 따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해당 디스크 트레이에 형성된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리드 스크류(50)의 인접한 일측에는 상기 리드 스크류(50)와 일정 간격을 갖도록 평행한 상태로 상ㆍ하가이드부재(60)가 형성되어 상기 리스 스크류(50)의 회전시에 상기 이송부재(70)의 걸림편(72)이 상기 상ㆍ하가이드부재 (60)의 사이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이송부재(7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상ㆍ하가이드부재(70)는 그 전단부 측이 제거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상ㆍ하가이드부재(60)를 따라 수평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된 상기 이송부재(70)의 걸림편(72)이 상기 제거된 부분에서 그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편유도부재(64)에 가이드 되면서 수직상태로 회동 변환되면서 상기 연동부재(32)의 걸림돌기(34a)에 결합된 후, 상기 걸림편(72)이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이송부재(70)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리드 스크류(5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이송부재 (70)는 상기 리드 스크류(50)의 회전방향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상기 이송부재(70)의 걸림편(72)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성질을 이용하여 상기 걸림편(72)이 상기 상ㆍ하가이드부재(60)에 단속되어 이동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리드 스크류(50)와 인접한 위치의 상기 메인샤시(10) 내측면에는 선택적으로 재생모듈부(36)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연동부재(32)가 탄성지게 결합 형성되어, 상기 수직상태의 걸림편(72)이 상기 연동부재(32)의 걸림돌기(34a)에 단속되어 상기 연동부재(32)를 일체로 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연동부재(32)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상기 재생모듈부(36)가 상기와 같이 인출된 컴팩트 디스크(20) 측으로 접근하여 해당 디스크를 재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리드 스크류(50)의 전단부 측과 인접한 지점에는 멈춤부재(62)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재(70)의 걸림편(72)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인출된 상기 디스크 트레이의 걸림홈 전단부 측이 상기 멈춤부재(62)에 밀착되어 정지되도록 함과아울러, 상기 디스크 트레이의 일측에 천공된 홀은 상기 멈춤부재(62) 주위에 형성된 탄성부재(29)의 걸림돌기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디스크 트레이가 재생을 위한 해당 지점에 일정하게 인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가 적용된 체인저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트레이 인출 동작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가 적용된 체인저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트레이 인출 동작을 나타내는 도 1의 A부 확대사시도로서, 먼저 다수매의 컴팩트 디스크(22)가 장착된 상기 트레이홀더(20)를 상기 메인샤시(10)의 공간부 내에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청취하고자 하는 컴팩트 디스크(22)를 재생시키기 위한 해당 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상ㆍ하이송브라켓트 모듈(30)는 상기 버튼 조작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해당 컴팩트 디스크(22)가 장전된 디스크 트레이(24)의 인출 위치에 정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재(70)의 걸림편(72)은 해당 디스크 트레이(24)의 걸림홈에(26)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재(70)의 걸림편(72)이 해당 디스크 트레이(24)의 걸림홈(26)에 결합된 후 상기 모터부(40)가 구동되면서 그 축에 결합된 구동워엄기어(42)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워엄기어(42)와 맞물린 피동워엄피니언기어(52)는 그 구동력을 전달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피동워엄피니언기어(52)에 결합된 리드 스크류(50)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드 스크류(50)에 구비된 이송부재(70)는 상기 리드 스크류 (50)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송부재(70)에 형성된 걸림편(72)은 상기 상ㆍ하가이드부재(60)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재(70)는 상기 리드 스크류(50)의 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이송부재(70)의 걸림편(72)에 결합홈(26)이 결합된 해당 디스크 트레이(24)는 상기 걸림편(72)에 단속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재생이 가능한 해당 지점으로 인출된다.
한편, 상기 걸림편(72)을 따라 인출된 해당 디스크 트레이(24)는 그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26)의 전단부가 그 전방에 형성된 멈춤부재(62)에 밀착된 상태가 됨과 아울러 해당 디스크 트레이(24)의 일측에 천공된 홀(28)이 탄성부재(29)의 걸림돌기에 결합됨에 따라 재생이 가능한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상태로 이동된 이송부재(70)의 걸림편(72)은 상기 상ㆍ하가이드부재(60)의 제거된 부분을 통하여 이탈된 상태에서 걸림편유도부재(64)에 가이드 되어 수직상태로 변환된 후, 상기 리드 스크류(50)와 인접한 위치의 상기 메인샤시(10) 내측면에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 연동부재(32)의 걸림돌기(34a)에 밀착되어 일정 거리만큼 상기 연동부재(32)와 일체로 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동부재(32)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상기 재생모듈부(36)는상기 컴팩트 디스크(22)에 기록된 기록을 읽을 수 있는 해당 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컴팩트 디스크(22)를 재생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통하여 인출된 상기 디스크 트레이(24)를 사용자의 해당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트레이홀더(20) 내부로 인입 시킬 시에는 상기 모터부(4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모터부(40)에 구동워엄기어(42) 및 피동워엄피니언기어(52)를 통하여 연결된 상기 리드 스크류(50)도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드 스크류(50)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재(70)의 걸림편(72)은 상기 연동부재(32)의 걸림돌기(34b)에 밀착되어 상기 연동부재(32)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재생모듈부(36)를 원위치 시킨 후, 인출시의 경로와 대응되는 역경로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송부재(70)의 걸림편(72)에 결합홈(26)을 통하여 결합된 상기 디스크트레이(24)를 상기 트레이홀더(20) 내부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디스크 체인저 플레이어에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를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하여 구성하므로서, 메인샤시 내부의 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음과 더불어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성능이 우수한 디스크 체인저 플레이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 체인저 플레이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은 물론,고품질의 디스크 체인저 플레이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Claims (3)

  1. 그 일측에는 다수매의 디스크 트레이가 장착된 트레이홀더가 설치되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에 장전된 컴팩트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로딩하여 이를 재생시키기 위한 상ㆍ하 이송브라켓트 모듈 및 재생모듈부가 설치된 메인샤시로 이루어진 디스크 체인저 플레이어에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를 선택적으로 상기 상ㆍ하 이송브라켓트 모듈 및 재생모듈부 측으로 인출시키거나 인출된 디스크 트레이를 상기 트레이홀더 측으로 인입 시키기 위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ㆍ하 이송브라켓트 모듈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소정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고 그 축에는 구동워엄기어가 연동되게 결합된 모터부와,
    일정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져 그 일측에는 상기 구동워엄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동워엄피니언기어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의 구동에 따라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그 타측은 상기 트레이홀더가 설치되는 공간부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되는 리드 스크류와,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전ㆍ후방향으로 이송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걸림편이 형성된 이송부재 및,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걸림편이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ㆍ하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스크류의 전단부 측에는 상기 이송부재의 걸림편에 결합되어 이송된 상기 디스크 트레이를 일정 지점에 정지시키기 위한 멈춤부재 및 상기 정지된 디스크 트레이의 홀을 단속하여 고정시키도록 그 일측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탄성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ㆍ하가이드부재는 그 전단부 측이 제거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부재의 걸림편이 수평상태에서 일정 거리만큼 직선운동으로 디스크 트레이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킨 후에는 상기 상ㆍ하가이드부재에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된 걸림편유도부재에 가이드 되어 수직으로 변화되면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연동부재의 걸림돌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직선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재생모듈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연동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 인입 구조.
KR20-2003-0002856U 2003-01-29 2003-01-29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인입 구조 KR200314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856U KR200314174Y1 (ko) 2003-01-29 2003-01-29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인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856U KR200314174Y1 (ko) 2003-01-29 2003-01-29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인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174Y1 true KR200314174Y1 (ko) 2003-05-23

Family

ID=49407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856U KR200314174Y1 (ko) 2003-01-29 2003-01-29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인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1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7412A (en) Continuous playing apparatus for use in disc player
US5572498A (en) Disc player that loads both compact disc and mini-disc
JP2882989B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550066B2 (ko)
KR200314174Y1 (ko) 리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디스크 트레이의 인출 및인입 구조
US6041032A (en) Disk changer with trays movable between retaining and drawn-out positions
KR200314175Y1 (ko) 디스크 체인저 플레이어의 재생모듈 이동 장치
KR200314176Y1 (ko) 디스크 체인저 플레이어의 로딩어셈블리 승강 제어장치
JP2812840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S63302479A (ja) ピックアップ移送装置
JPH0584573B2 (ko)
JP2006228399A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のディスク収納部の分割装置
KR960011290B1 (ko) 멀티디스크 플레이어
JP3441688B2 (ja) ディスク状記録担体の再生装置
JPH0210615Y2 (ko)
KR100267794B1 (ko) 광기록 매체 오토체인저 플레이어
JP3493360B1 (ja) ディスク状記録担体再生装置
KR0166871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JP3677178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762274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JPH06195849A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
JP3662947B2 (ja) 自動交換式ディスク装置
KR100245591B1 (ko) 다수매의 광기록 매체가 장전된 마가진장치
KR100267795B1 (ko)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JP3924553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におけるディスク選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