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795B1 -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795B1
KR100267795B1 KR1019970062019A KR19970062019A KR100267795B1 KR 100267795 B1 KR100267795 B1 KR 100267795B1 KR 1019970062019 A KR1019970062019 A KR 1019970062019A KR 19970062019 A KR19970062019 A KR 19970062019A KR 100267795 B1 KR100267795 B1 KR 100267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c
guide
transfer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434A (ko
Inventor
박찬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62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7795B1/ko
Publication of KR1999004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5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modular arrangements, arrays of disc drives
    • G11B33/127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 G11B33/128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of the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disk drives, onto a chass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n containers or t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41Details
    • G11B23/047Guiding means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매의 디스크가 장전된 마가진을 매체기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주하고자 하는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기록매체기에 자동로딩시켜 연주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다수매의 트레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재를 구비한 오토체인저 플레이어의 재생부재 어셈블리가 승하강장치에 의해 직접 업/다운하여 그 위치에서 디스크 이송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 다수매 광기록매체 오토체인저 플레이어로, 상기 승하강장치(700)는 메인샤시(1)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판(710)과; 이 가이드판(710)에 계단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구멍(711)과; 이 가이드구멍(711)에 삽입되어 단계적으로 승강하기 위해 가이드하우징부(100)의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핀(110)과; 상기 가이드판(710)의 일단에 형성되는 기어부(711)와; 이 기어부(711)와 연동되게 기어물림 된 승강구동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본 발명은 다수매의 디스크가 장전된 마가진을 매체기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주하고자 하는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기록매체기에 자동로딩시켜 연주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다수매의 트레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재를 구비한 오토체인저 플레이어의 재생부재 어셈블리가 승하강장치에 의해 직접 업/다운하여 그 위치에서 광기록 매체 이송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오디오 시스템 등에 보다 양질의 음을 연주할 수 있는 디스크를 다수매 장전하기 위한 마가진을 장착하여,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자동적으로 곡을 선택하여 연주하도록 한 오토체인저 플레이어가 실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오토체인저 플레이어의 구조를 국내출원 제93-8742호에 개재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샤시(1)의 일측에 턴테이블(11)과 픽업어셈블리(12)를 설치하여 구동하는 연주부(이하 재생부라 함)(10)와; 상기 재생부(10)의 일측에 설치하여 다수매의 디스크가 내장된 트레이(도시생략)를 장착하도록 된 마가진(20)과; 상기 트레이의 디스크를 턴테이블(11)에 로딩시키는 로딩어셈블리(30)와; 이 로딩어셈블리(3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동작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딩어셈블리는 마가진 내에 장전된 디스크(D)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수단(60)과 취출된 디스크(D)를 턴테이블(11)에 이동시켜 로딩시키는 로딩수단(50)으로 구성되며, 취출수단(60)은 모터(M)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피니온(61)에 치합되는 랙(62)이 형성되며, 선단에는 절곡된 텐숀 걸림부를 형성한 링크플레이트(63)로 구성되는 한편, 로딩수단(50)은 상기 모터(M)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한쌍의 이송롤러(51)와, 이 이송롤러(51)에 의하여 이송되는 디스크(D)를 안내하는 가이드(5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오토체인저 플레이어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수매의 디스크가 장착된 트레이를 마가진에 장착한후, 로딩모드를 주면, 동력장치의 모터가 구동하면서, 로딩어셈블리(30)가 최하의 위치에서부터 순차로 상승하면서, 마가진에 장전된 디스크를 확인한 다음, 하강 동작시 선택된 디스크를 취출하여서 턴테이블에 로딩시켜 연주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오토체인저 플레이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첫째, 메인샤시 상을 대략 2등분하여 한쪽 부분에 다수매의 트레이가 장착된 트레이홀더를 설치하고, 다른 쪽에 대해서는 로딩시 상기 마가진에 내장된 디스크를 연주하기 위한 연주부를 설치함으로서, 오토체인저 플레이어의 크기가 대형화되었다.
둘째, 트레이 및 디스크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로울러와, 디스크를 재생부로 이송하기 위한 로딩어셈블리 및 이 이송부를 고정된 재생부로 업/다운시켜 플레이하기 위한 업/다운부재 등의 설치에 의한 구조의 복잡성 및 생산단가의 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매의 트레이를 구비한 오토체인저 플레이어의 재생부 어셈블리가 승하강장치에 의해 직접 업/다운하여 그 위치에서 디스크 이송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디스크가 완전히 취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재생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재생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신뢰성향상 및 원가절감을 도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샤시와; 이 메인샤시의 일측에 턴테이블과 픽업부를 설치하여 구동하는 재생부와; 다수매의 트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에 의해 타측에 설치된 다수매의 트레이를 재생부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모드절환되는 절환수단과; 상기 절환수단에 의해 재생부를 승강하기 위한 재생부승강부와; 이들을 포함하는 가이드하우징부와; 상기 가이드하우징부 자체를 승강하기 위한 승하강장치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장치는 메인샤시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판과; 이 가이드판에 계단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구멍과; 이 가이드구멍에 삽입되어 단계적으로 승강하기 위해 하우징부의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판의 일단에 형성되는 기어부와; 이 기어부와 연동되게 기어물림 된 승강구동부로 구성된다.
제1도는 종래 광기록 매체 오토체인저 플레이어를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 광기록 매체 오토체인저 플레이어를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 복수매 광기록 매체 재생부가 설치된 가이드하우징 자체를 승강하기 위한 승강장치의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 복수매 광기록 매체를 일부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5a 내지 5c도는 제2도의 A부의 요부확대 도로써,
제5a도는 본 발명 트레이가 로딩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제5b도는 본 발명 트레이가 로딩 중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제5c도는 본 발명 트레이가 언로딩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 복수매 광기록 매체 로딩 중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샤시 2 : 클램프
10 : 재생부 10a : 가이드경사홈
100 : 가이드하우징 200 : 구동수단
210 : 구동모터 300 : 마가진
310 : 트레이 311 : 이송부
311a : 기어부 400 : 이송수단
500 : 모드절환수단 510 : 워엄기어
511 : 체인지기어 512 : 클러치기어
513 : 종동기어 520 : 변환레버
530 : 불연속기어 600 : 재생부승강부
700 : 가이드하우징 승하강장치 710 : 가이드판
711 : 가이드구멍 712 : 기어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광기록 매체 오토체인저 플레이어를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복수매 광기록 매체를 일부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모드교환장치만 일부 발췌하여 트레이가 로딩 또는 언로딩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이다.
먼저 본 발명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메인샤시(1)의 일측에 턴테이블(11)과 픽업부(12)를 갖는 재생부(10)가 설치되고, 이 재생부(10)의 일부에 타측에 설치된 다수매의 트레이(3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200)설치되며, 이 구동수단(200)에 의해 상기 트레이(310) 중 선택된 어느 하나만의 트레이(310)를 재생부(10)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400)과 상기 이송수단(400)에 의해 모드절환되는 절환수단(500)이 상기 구동수단(200)의 근접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모드절환수단(500)에 의해 재생부(10)를 승강하기 위한 재생부승강부(600)와; 이들이 설치되는 가이드하우징부(100)가 승하강장치(700)에 의해 자체 승하강되도록 함에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이 부여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하우징 승하강장치(7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샤시(1)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판(710)과; 이 가이드판(710)에 계단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구멍(711)과; 이 가이드구멍(711)에 삽입되어 단계적으로 승강하기위해 가이드하우징부(100)의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핀(110)과; 상기 가이드핀(710)의 일단에 형성되는 기어부(711)와; 이 기어부(711)와 연동되게 기어물림 된 승강구동부(도시생략)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수단(400)은 트레이(3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캠부(312)와, 트레이(310)의 이송부(311)에 형성된 기어부(311a)와, 이 기어부(311a)와 기어물림 되는 체인지기어(513)로 구성된다.
상기 모드절환수단(500)은 도 4 또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200)인 구동모터(210)의 일단에 형성되는 피니언기어(211)와; 이 피니언기어(211)와 연동되게 기어물림 된 워엄기어(510)와; 이 워엄기어(510)와 기어물림 된 클러치기어(511)와; 이 클러치기어(511)에 설치된 회동축(P1)을 지지점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편(512)과; 이 회동편(512)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310)의 기어부(311a)와 연동되게 기어물림 된 체인지기어(513)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동편(512)은 일부가 회동축(P1)에 의해 상기 클러치기어(51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체인지기어(513)가 회동축(P2)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다음 상기 체인지기어(513)가 설치된 회동편(512)의 일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절곡된 스톱퍼(512a)가 형성되고, 이 스톱퍼(512a)는 트레이(310)의 이송부(311)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드 작동되는 변환레버(520)에 형성된 개구홈(521)을 통하여 자유회전하며, 상기 변환레버(520)의 몸체에 의해 회동이 제어된다.
다음 상기 체인지기어(513)의 구동에 의해 클러치기어(511) 및 종동기어(514)가 회동되고, 상기 종동기어(514)와 기어물림 된 불연속기어(530)가 가이드하우징부(100)에 형성된 가이드구멍(101)(101')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된다.
다음 상기 재생부승강부(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기어(530)의 일측단에는 가이드핀(531)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핀(531)은 재생부(1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경사홈(10a)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가이드핀(531)의 움직임에 따라 재생부(10)가 승강되도록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는 디스크(D)를 잡기 위한 클램프이고, 13은 트레이(310)가 재생부(10)쪽으로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복수매 디스크의 절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가진(300) 내에 적층 형성된 다수매의 트레이(310)에 각각의 디스크(D)를 장착하여, 메인샤시(1)에 형성된 트레이장착부에 삽입한다.
다음 디스크 매체어 로딩모드를 주면, 도시생략 된 구동수단의 구동모터가 동작하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부(10)를 설치한 가이드하우징(100)이 메인샤시(1)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판(710)의 가이드구멍(711)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 정지한다.
이때, 상기 모드절환수단ㄷ(500)의 체인지기어(513)는 가이드하우징부(100)가 승강 중일 때에는 상기 트레이(310)로부터 도피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다음 트레이 구동수단(200)이 작동함과 동시에, 이 구동수단(200)의 모터(210)의 축에 설치된 피니언기어(211)가 회전되고, 이 피니언기어(211)의 회전력은 클러치기어(511) 및 이 클러치기어(511)와 연동되게 기어물림 된 체인지기어(513)에 전달되고, 이 체인지기어(513)의 회전력은 이 체인지기어(513)와 기어물림 된 트레이 이송부(311)의 트레이기어(311a)에 전달됨에 따라 트레이(310)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부(10) 쪽으로 이동한다.
다음 상기 트레이(310)의 이송부(311)가 변환레버(520)를 도 5a에 도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 밀어냄과 동시에 상기 트레이기어(311a)에 기어물림 된 체인지기어(513)가 회동축(P1)을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된다(도 5b참조).
다음 상기 체인지기어(513)의 회전력은 다시 클러치기어(511)와 종동기어(513)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종동기어(513)에 의해 불연속기어(530)가 도 5b의 화살표 C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재생부(10)가 승강된다.
이때, 트레이(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부(10)의 턴테이블(11)에 얹어진 상태로 되고, 상기 턴테이블(11) 상에 디스크(D)가 완전히 얹어짐과 동시에 클램프(2)가 디스크(D)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수단(200)의 작동이 정지되고 상기 재생부(10)에 설치된 로딩모터(14)가 구동됨으로서, 픽업어셈블리(12)가 디스크(D)의 정보를 판독 또는 기록을 한다.
다음, 구동수단(200)이 역회전하면 종동기어(513)에 기어물림 된 불연속기어(530)가 상기 기어열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재생부(10)는 하강하고, 동시에 상기 트레이(310)에 연동되게 기어맞물된 체인지기어(511)가 역회전하여 이와 기어물림 된 트레이(310)가 도 5c의 화살표 D방향으로 빠져나오고, 상기 변환레버(520)는 탄성부재(522)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수매의 트레이를 구비한 오토체인저 플레이어의 재생부재 어셈블리가 승하강장치에 의해 직접 업/다운하여 그 위치에서 디스크 이송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디스크가 완전히 취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재생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재생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신뢰성향상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3)

  1. 다수매의 디스크 트레이가 적층된 디스크수납부와,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를 선택된 디스크의 인입/인출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한 디스크이송승하강부(100),(200)와, 상기 디스크수납부의 디스크를 상기 재생부의 재생위치까지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와, 상기 디스크가 일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디스크 이송동력을 재생부 승하강동력으로 절환하기 위한 동력절환부(312),(520)와, 상기 동력절환부에 의해 재생부를 디스크 재생위치로 승하강 하기 위한 재생부승하강부(530),(531),(10a)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동력절환부는 트레이 하부에 형성된 캠부와, 상기 캠부에 의해 이동되어지는 변환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재생부승하강부는 동력절환부에 의해 이동되는 불연속기어와 상기 불연속기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부와, 상기 가이드돌기부와 결합되는 재생부에 형성된 가이드경사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KR1019970062019A 1997-11-21 1997-11-21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KR100267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019A KR100267795B1 (ko) 1997-11-21 1997-11-21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019A KR100267795B1 (ko) 1997-11-21 1997-11-21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434A KR19990041434A (ko) 1999-06-15
KR100267795B1 true KR100267795B1 (ko) 2000-10-16

Family

ID=19525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019A KR100267795B1 (ko) 1997-11-21 1997-11-21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77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434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264B1 (ko) 디스크 플레이어
KR900000641B1 (ko) 자동교환식 디스크 플레이어
JP2798406B2 (ja) 記録媒体のための二重駆動交換器
JP2749703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KR100267795B1 (ko)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KR100461296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KR100258058B1 (ko)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KR100267796B1 (ko)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KR100245589B1 (ko) 복수매광기록 매체의 모드절환장치
KR100267794B1 (ko) 광기록 매체 오토체인저 플레이어
JP3549734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US5666342A (en) United tape and dis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having a united inserting part
KR100245591B1 (ko) 다수매의 광기록 매체가 장전된 마가진장치
KR100245590B1 (ko) 광기록 매체의 로딩트레이장치
KR0125218Y1 (ko)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콤팩트디스크 로딩장치
KR0138331B1 (ko) 디스크 체인저
JP3924553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におけるディスク選択装置
KR100258060B1 (ko) 광기록 매체의 수직장착을 위한 가이드장치
JP3642215B2 (ja) ローディング装置及び録再装置
KR100249551B1 (ko) 씨디체인저의 씨디 척킹구조
KR200314175Y1 (ko) 디스크 체인저 플레이어의 재생모듈 이동 장치
JPS6018854A (ja) 光学式デイスクレコ−ド再生装置のデイスククランプ機構
KR19990025983A (ko) 씨디체인저의 씨디척킹구조
KR19990025984A (ko) 씨디체인저의 씨디척킹구조
JP2004355746A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におけるディスク再生時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