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971Y1 - 유희용 시소 - Google Patents

유희용 시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971Y1
KR200312971Y1 KR20-2003-0002570U KR20030002570U KR200312971Y1 KR 200312971 Y1 KR200312971 Y1 KR 200312971Y1 KR 20030002570 U KR20030002570 U KR 20030002570U KR 200312971 Y1 KR200312971 Y1 KR 200312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pivot
support plate
seesaw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종
Original Assignee
김형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종 filed Critical 김형종
Priority to KR20-2003-0002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9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9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1/00See-saw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어린이에게 평형기능, 리듬감 및 협동심을 기르는데 적합할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희용 시소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시소는 하부의 일부분이 지면 내로 고정되는 기둥과, 상측 외주면상의 일측 및 타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면서 기둥의 상단에 중앙지점이 결합되어 일측 및 타측이 상, 하로 선회되는 선회대와, 선회대의 중앙부 하측에 장착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이때, 기둥은 일측 및 타측의 상단 외주면상에서부터 하측으로 방사상 넓어지게 연장되는 제 1 받침판 및 제 2 받침판이 형성되고, 선회대의 상부면상 일단 및 타단의 인접위치에는 상부면상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안장이 장착된다. 한편, 완충부는 봉형상을 가지며 일단이 선회대의 중앙지점에 인접한 선회대의 양측 하부면상에 장착되고 타단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기둥의 제 1 받침판 및 제 2 받침판 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완충대 및 제 2 완충대와, 제 1 완충대 및 제 2 완충대의 타단에 장착되는 제 1 완충재 및 제 2 완충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희용 시소{Seesaw}
본 고안은 시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린이에게 평형기능, 리듬감 및 협동심을 기르는데 적합할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희용 시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합공원에 설치하는 유희시설로는 어린이용으로 그네, 미끄럼틀, 철봉, 정글짐, 인조 돌산, 플레이 월(play wall), 놀이조각물, 도섭지(徒涉地), 시소, 플레이 스윙(play swing), 사닥다리 및 모래터 등이 있다. 이러한 유희시설물은 공원계획상 없어서는 안되는 항목으로 공원을 이용하는 시민과 어린이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유희시설물 중에서도 시소는 무게와 거리의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한국의 민속놀이인 널뛰기와 원리가 같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몸의 평형기능, 리듬감 및 협동심 등을 길러주는데 적합하여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 기본적인 놀이기구나 운동기구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시소는 중앙에 기점을 둔 두꺼운 판자 양쪽 끝에 한사람씩 앉아 상, 하로 오르내리는 놀이기구이다. 이때, 하측으로 내려가는 판자는 지면에 닿기 때문에 판자에 앉아있는 사람은 엉덩방아를 찢게 된다. 따라서 요즘은 판자가 닿는 지면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독록 폐타이어 등을 깔아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폐타이어는 미관상 보기 안 좋을뿐 아니라 타이어 내에 물이 고이면 시소를 이용하는 어린이에게 고인 물이 튈 수가 있고, 뛰어다니는 어린이의 발에 걸려서 아이가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부의 일부분이 지면에 고정되는 기둥, 중앙부분이 기둥의 상단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회대 및 선회대의 중앙부 양측에서 기둥측으로 연장되며 끝단에 완충재가 장착된 완충부를 구비함으로써, 어린이에게 평형기능, 리듬감 및협동심을 기르는데 적합할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희용 시소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시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시소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시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유희용 시소 110 : 기둥
112a, 112b : 받침판 120 : 선회대
122 : 손잡이 124 : 안장
126 : 돌기 130 : 완충부
132a, 132b : 완충대 134a, 134b : 완충재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하부의 일부분이 지면 내로 고정되는 기둥과, 상측 외주면상의 일측 및 타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면서 기둥의 상단에 중앙지점이 결합되어 일측 및 타측이 상, 하로 선회되는 선회대로 이루어진 시소에 있어서,
선회대의 하측에 배치된 기둥의 방사상 일측 및 타측에는 선회대를 따라 외부로 연장되면서 하측으로 방사상 넓어지게 연장되는 제 1 받침판 및 제 2 받침판이 형성되고, 선회대의 하측면상에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제 1 받침판 및 제 2 받침판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완충대 및 제 2 완충대를 구비하는 완충부가 형성된 유희용 시소를 제공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회대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일단 및 타단에 인접한 상부면 상에는 반원통형상을 가지는 안장이 고정되고, 안장에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볼록하게 돌출된다.
또한, 제 1 완충대 및 제 2 완충대의 끝단에는 제 1 받침판 및 제 2 받침판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제 1 완충재 및 제 2 완충재가 장착된다.
또한, 제 1 완충재 및 제 2 완충재는 방진고무 및 탄성스프링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하부의 일부분이 지면에 고정되는 기둥, 중앙부분이 기둥의 상단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회대 및 선회대의 중앙부 양측에서 기둥측으로 연장되며 끝단에 완충재가 장착된 완충부를 구비함으로써, 어린이에게 평형기능, 리듬감 및 협동심을 기르는데 적합할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희용 시소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시소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시소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하부의 일부분이 지면 내로 고정되는 기둥(110)과 상측 외주면상의 일측 및 타측에 손잡이(122)가 형성되면서 기둥(110)의 상단에 중앙지점이 결합되어 일측 및 타측이 상, 하로 선회되는 선회대(120)로 이루어진 시소(100)에 있어서, 선회대(120)의 중앙부분 하측에 장착되어 선회대(120)가 선회될 때, 기둥(110)에 선택적으로 부딪치는 완충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기둥(110)은 외주면상 일측 및 타측의 상단에서부터 하측으로 방사상 넓어지게 연장되는 제 1 받침판(112a) 및 제 2 받침판(112b)이 형성된다. 또한, 선회대(120)의 상부면상 일단 및 타단의 인접위치에는 엉덩이가 닿는 안장(122)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안장(122)은 반원통형상을 가지며 안장(122)의 상부면상에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124)가 형성된다.
한편, 완충부(130)는 제 1 완충대(132a) 및 제 2 완충대(132b)와 제 1 완충재(134a) 및 제 2 완충재(134b)를 구비한다. 제 1 완충대(132a) 및 제 2완충대(132b)는 봉형상을 가지며 일단이 선회대(130)의 중앙지점에 인접한 선회대(130)의 양측 하부면상에 장착되고, 타단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기둥(110)의 제 1 받침판(112a) 및 제 2 받침판(112b)측으로 연장된다. 즉, 제 1 완충대(132a)는 선회대(120)의 일측 하부면상에서부터 제 1 받침판(112a)측으로 연장되고, 제 2 완충대(132a)는 선회대(120)의 타측 하부면상에서부터 제 2 받침판(112b)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1 완충대(132a) 및 제 2 완충대(132b)의 타단에는 선회대(120)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 1 완충재(134a) 및 제 2 완충재(134b)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완충재(134a) 및 제 2 완충재(134b)는 방진고무 또는 탄성스프링이 사용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유희용 시소(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시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한사람은 선회대(120)의 일측에 장착된 안장(122)에 앉고 또 다른 사람은 선회대(120)의 타측에 장착된 안장(122)에 앉는다. 이렇게 선회대(120)에 몸무게가 서로 다른 사람이 앉으면 선회대(120)의 중앙을 기준으로 무거운 사람측으로 선회대(120)가 선회된다. 이와 같이 선회대(120)가 선회되면 안장(122)에 앉아있는 사람은 우측 또는 좌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안장에서 중력방향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이때, 안장(122)의 상부면상에 형성된 돌기(124)에 의해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지면으로 선회되는 선회대(120)의 일단 또는 타단은 지면에 닿기전에 완충부(130)가 제 1 받침판(112a) 및 제 2 받침판(112b)에 먼저 닿는다. 즉, 선회대(120)의 일측이 하측으로 선회되면 제 1 완충재(134a)가 제 1 받침판(112a)에 닿게되고, 선회대(120)의 타측이 하측으로 선회되면 제 2 완충재(134b)가 제 2 받침판(112b)에 닿는다. 이와 같이 제 1 완충재(134a) 및 제 2 완충재(134b)가 제 1 받침판(112a) 및 제 2 받침판(112b)에 닿으면 선회대(120)가 선회하면서 발생되는 회전력 및 중력이 선회대(120)에 앉아있는 사람한테 전달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력 및 중력에 의한 충격을 방진고무 또는 탄성스프링으로 제작된 제 1 완충재(134a) 및 제 2 완충재(134b)가 흡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시소는 기둥의 상단에 결합되어 일측 및 타측이 상, 하로 선회되는 선회대의 중앙부에 방진고무 또는 탄성스프링으로 제작된 완충재가 장착된 완충부를 구비함으로써, 선회되는 선회대의 일단 및 타단이 상사점 또는 하사점이 되었을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재가 흡수하여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시소는 선회대의 일측 및 타측에 장착된 안장의 상부면상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선회대가 선회되어 기울어지더라도 안장위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하부의 일부분이 지면 내로 고정되는 기둥(110)과, 상측 외주면상의 일측 및 타측에 손잡이(122)가 형성되면서 상기 기둥(110)의 상단에 중앙지점이 결합되어 일측 및 타측이 상, 하로 선회되는 선회대(120)로 이루어진 시소(100)에 있어서,
    상기 선회대(120)의 하측에 배치된 기둥(110)의 방사상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선회대(120)를 따라 외부로 연장되면서 하측으로 방사상 넓어지게 연장되는 제 1 받침판(112a) 및 제 2 받침판(112b)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대(120)의 하측면상에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상기 제 1 받침판(112a) 및 상기 제 2 받침판(112b)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완충대(132a) 및 제 2 완충대(132b)를 구비하는 완충부(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시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대(120)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일단 및 타단에 인접한 상부면 상에는 반원통형상을 가지는 안장(122)이 고정되고, 상기 안장(122)에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용 돌기(124)가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시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완충대(132a) 및 상기 제 2 완충대(132b)의 끝단에는 상기 제 1 받침판(112a) 및 상기 제 2 받침판(112b)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제 1 완충재(134) 및 제 2 완충재(134b)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시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완충재(134a) 및 상기 제 2 완충재(134b)는 방진고무 및 탄성스프링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시소.
KR20-2003-0002570U 2003-01-27 2003-01-27 유희용 시소 KR200312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570U KR200312971Y1 (ko) 2003-01-27 2003-01-27 유희용 시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570U KR200312971Y1 (ko) 2003-01-27 2003-01-27 유희용 시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971Y1 true KR200312971Y1 (ko) 2003-05-16

Family

ID=4933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570U KR200312971Y1 (ko) 2003-01-27 2003-01-27 유희용 시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97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612B1 (ko) * 2011-02-14 2011-10-17 문현재 시소의 축회전 지지구조
KR101192655B1 (ko) 2010-02-19 2012-10-19 신영태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시소조립체
KR101225282B1 (ko) 2010-10-01 2013-01-22 천창호 시소
KR101738131B1 (ko) * 2017-02-20 2017-05-19 박용호 탄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655B1 (ko) 2010-02-19 2012-10-19 신영태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시소조립체
KR101225282B1 (ko) 2010-10-01 2013-01-22 천창호 시소
KR101074612B1 (ko) * 2011-02-14 2011-10-17 문현재 시소의 축회전 지지구조
KR101738131B1 (ko) * 2017-02-20 2017-05-19 박용호 탄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26901B2 (en) Exercise device
US7131934B2 (en) Impact absorbing exercise platform
KR200312971Y1 (ko) 유희용 시소
US3475019A (en) Tilting-platform playground toy
US3693998A (en) Castered platform-type play exerciser
KR100928729B1 (ko) 어린이 지능개발용 시소
US3995852A (en) Teeter board device
JP2004208844A (ja) 空気膜マットを用いた遊戯具
KR20200001070U (ko) 전신균형운동기구
US7207928B2 (en) Multi-station martial arts practice device
US2920889A (en) Riding toy
CN207307157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儿童娱乐跷跷板
KR100895508B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시소
CN213211687U (zh) 一种助力儿童运动脚踏式电子琴
CN212187591U (zh) 一种体育健身用弹跳床
JP3206886U (ja) 多機能リズムボード
EP3247476B1 (en) Basket swing comprising a seat section having a double/single walled impact surface
JP2876556B2 (ja) 人が乗って起動する搖動体
JPH02174868A (ja) 傾斜する回転板
KR200241799Y1 (ko) 지압판을 이용한 놀이기구
KR200245804Y1 (ko) 뜀뛰기 놀이기구
RU206480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ыжков &#34;мячик&#34;
KR200261714Y1 (ko) 다이어트 운동기구
CN204745540U (zh) 一种音乐弹跳弓形健身器
KR101291317B1 (ko) 트위스트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