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423Y1 - 크세논관을 이용한 교통신호봉 - Google Patents

크세논관을 이용한 교통신호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423Y1
KR200312423Y1 KR20-2003-0002352U KR20030002352U KR200312423Y1 KR 200312423 Y1 KR200312423 Y1 KR 200312423Y1 KR 20030002352 U KR20030002352 U KR 20030002352U KR 200312423 Y1 KR200312423 Y1 KR 200312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ffic signal
xenon tube
rod
xen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분
Original Assignee
김홍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분 filed Critical 김홍분
Priority to KR20-2003-0002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4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4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5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of different shape o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6Portable traffic signa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2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도로상에서 자동차의 흐름을 유도하거나 경찰이 검문을 위하여 휴대하는 교통신호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봉상의 몸체에 발광 다이오드 와 별도로 크세논관을 내장하여 점멸 발광시킴으로써 주간이나 원거리에서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 크세논관을 이용한 교통신호봉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교통신호봉은 야간에는 비교적 수신호자의 위치와 행동을 잘 알아볼 수 있지만, 주간에는 상대적으로 발광매체의 밝기가 극히 저하됨으로써 운전자가 수신호자의 신호를 잘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간의 경우에도 원거리 또는 악천후 시에 교통신호봉의 불빛이 너무 약하기 때문에 신호를 확실하게 인지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통신호봉의 몸체부에 다수 개의 크세논관을 장착하고, 몸체부의 상단에 고휘도 LED를 일정 배열로 장착하여 소정 스위치 조작에 따라 크세논관 또는 고휘도 LED가 점멸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주간 및 원거리, 악천후에서도 운전자가 수신호자의 신호를 효율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크세논관을 이용한 교통신호봉을 제공함에 있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교통신호봉.

Description

크세논관을 이용한 교통신호봉{A traffic signal club using xenon lamp}
본 고안은 도로상에서 자동차의 흐름을 유도하거나 경찰이 검문을 위하여 휴대하는 교통신호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봉상의 몸체에 발광 다이오드와 별도로 크세논관을 내장하여 점멸 발광시킴으로써 주간이나 원거리에서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 크세논관을 이용한 교통신호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신호봉은 봉상의 몸체에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내장시킨 구조로써,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반복적으로 점멸 발광시킴으로써 차량의 방향을 유도하거나 차량 단속 등에 이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교통신호봉은 야간에는 비교적 수신호자의 위치와 행동을 잘 알아볼 수 있지만, 주간에는 상대적으로 발광매체의 밝기가 극히 저하됨으로써 운전자가 수신호자의 신호를 잘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간의 경우에도 원거리 또는 악천후 시에 교통신호봉의 불빛이 너무 약하기 때문에 신호를 확실하게 인지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통신호봉의 몸체부에 다수 개의 크세논관을 장착하고, 몸체부의 상단에 고휘도 LED를 일정 배열로 장착하여 소정 스위치 조작에 따라 크세논관 또는 고휘도 LED가 점멸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주간 및 원거리, 악천후에서도 운전자가 수신호자의 신호를 효율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크세논관을 이용한 교통신호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고휘도 LED는 교통신호 흐름을 통제하기 위해 점멸 발광하는 기능 외에, 검문 또는 음주단속 때 연속 점등하여 휴대용 후레쉬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크세논관을 이용한 교통신호봉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환 스위치 2 : 후레쉬 스위치
3 : 전원공급부 4 : 회로기판
5 : 체결부 6 : 경광관
7 : 보조관 100 : 손잡이부
200 : 경광부 201 : 스위치부
202 : 제어부 203 : 크세논관 구동부
204 : 크세논관 205 : LED 구동부
206 : LED 207 : 전원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원연결 및 각 기능 선택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내보내는 스위치부(201);
상기 스위치부의 신호에 따라 크세논관 구동부와 LED 구동부를 콘트롤하는 제어부(202);
상기 제어부의 크세논관 구동신호에 따라 크세논관을 점멸시키는 크세논관 구동부(203);
상기 제어부의 LED 구동신호에 따라 LED를 발광시키는 LED 구동부(205);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해주며 충전이 가능한 전원부(207);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통신호봉의 외관 사시도로서, 기능별 스위치(1)(2)가 설치되며 전원공급부(3) 및 회로기판(4)이 수납되는 손잡이부(100)와, 상기 손잡이부(100)의 선단부에 위치한 체결부(5)에 의해 결합되고 광투과성 재질의 원통형 경광관(6) 내에 다수 개의 크세논관(204)이 장착되어 상기 스위치(1)의 조작에 따라 점멸 발광하는 경광부(200)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 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경광부(200)에 있어서 경광관(6)은 빛이 투과하는 재질로 된 관 형태로 그 후단부가 상기 손잡이부(100)의 선단부와 나사로 결합되거나 본드에 의해 결합 고정되고, 그 내부에 다수 개의크세논관(204)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경광관(6)의 선단부에는 별도의 보조관(7)을 형성하여 다수 개의 백색 고휘도 LED(206)를 장착하였다.
상기 손잡이부(100)는 일측상면에 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절환 스위치(1) 및 후레쉬 스위치(2)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 상기 경광부(200)에 장착된 다수 개의 크세논관(204) 및 LED(206)와 연결되어 상기 각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회로기판(4)이 구비되며, 그 후부에 배터리(3)가 수납되어 전기를 인가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손잡이부에 충전부 및 충전연결잭(미도시)을 포함하여 차량 배터리를 통하여 쉽게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크세논관을 이용한 교통신호봉은 손잡이부(100)에 위치한 스위치부(201)에 의해 기능이 작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위치부(201)는 절환 스위치(1)와 후레쉬 스위치(2)로 구성되며, 다시 상기 절환 스위치(1)는 전원오프 모드, LED 모드, 크세논관 모드, 동시작동 모드 등으로 나뉘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절환 스위치(1)가 전원오프 모드일 때에는 전원부(207)로부터 각 부에 전원공급이 끊기게 되고, 나머지 모드에서는 전원부(207)로부터 각 부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져서 제어부(202)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만약 수신호자가 교통 통제 등을 하기 위하여 상기 절환 스위치(1)를 전원오프 모드에서 LED 모드로 변경하면 제어부(202)에서 해당 신호를 입력받아 LED 구동부(205)를 작동시켜 LED(206)가 주기적으로 점멸 발광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절환 스위치(1)를 크세논관 모드로 변경하면 상기 제어부(202)에서 크세논관 구동부(203)를 작동시켜 크세논관(204)이 일정 주기로 점멸 발광하게 되어 크세논관(204)의 강한 불빛으로 인해 주간 및 원거리에서도 운전자가 수신호자의 신호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환 스위치(1)가 동시작동 모드로 변경되면 LED(206) 및 크세논관(204)이 동시에 점멸 발광되면서 경광 효과를 배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후레쉬 스위치(2)를 조작하면 상기 LED(206)가 지속적으로 점등되면서 운전자 신분증 확인 등의 후레쉬 기능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부(207)는 손잡이부(100)에 충전지 및 충전회로가 내장되어 충전잭을 통해 일반 콘센트 전원 또는 자동차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건전지함을 통해 일반 전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을 용이하게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크세논관을 이용한 교통신호봉은 주간이나 원거리, 악천후 시에도 차량운전자에게 차량의 주행방향 통제 안내 등과 같은 지시사항을 효율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원연결 및 각 기능 선택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내보내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의 신호에 따라 크세논관 구동부와 LED 구동부를 콘트롤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크세논관 구동신호에 따라 크세논관을 점멸시키는 크세논관 구동부;
    상기 제어부의 LED 구동신호에 따라 LED를 발광시키는 LED 구동부;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해주며 충전이 가능한 전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세논관을 이용한 교통신호봉.
KR20-2003-0002352U 2003-01-24 2003-01-24 크세논관을 이용한 교통신호봉 KR200312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352U KR200312423Y1 (ko) 2003-01-24 2003-01-24 크세논관을 이용한 교통신호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352U KR200312423Y1 (ko) 2003-01-24 2003-01-24 크세논관을 이용한 교통신호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423Y1 true KR200312423Y1 (ko) 2003-05-12

Family

ID=4940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352U KR200312423Y1 (ko) 2003-01-24 2003-01-24 크세논관을 이용한 교통신호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4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9141A (en) Roadside emergency security flashlight
US6722771B1 (en) Hand held traffic control light
EP1399355B1 (en) Control unit
KR200396903Y1 (ko) 휴대형 발광체
EP1093431B1 (en) Safety pedal for a cycle
US7178955B2 (en) Safety headlight
GB2458933A (en) Highway warning lamp with solar rechargeable battery source
KR200312423Y1 (ko) 크세논관을 이용한 교통신호봉
KR200439918Y1 (ko) 다목적 충전식 신호봉
JP4754081B2 (ja) 自転車用照明装置
KR200461298Y1 (ko) 도로 표시등
US20020067246A1 (en) Signaling device
JP3129821U (ja) 手動発電の指揮棒
KR101076485B1 (ko) 신호등 및 가로등 통합제어시스템
WO2011050511A1 (zh) 障碍物指示装置
CN110525330A (zh) 用于小汽车的紧急停车警告装置
KR200379377Y1 (ko) 삼각지지대가 부착된 다목적 안전신호봉
KR20060039617A (ko) 교통 신호봉
KR200195736Y1 (ko) 차선 표시 점등기
CN113063129B (zh) 显示灯的控制方法
JP4070494B2 (ja) 自転車用前照灯
CN210896423U (zh) 一种大学校园用宣传栏
CN207921810U (zh) 便捷式发声手电筒
JPH11301546A (ja) 自転車用燈火装置
KR100667032B1 (ko) 다용도 안전 표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