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114Y1 - 조립식 미끄럼틀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미끄럼틀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114Y1
KR200312114Y1 KR20-2003-0001255U KR20030001255U KR200312114Y1 KR 200312114 Y1 KR200312114 Y1 KR 200312114Y1 KR 20030001255 U KR20030001255 U KR 20030001255U KR 200312114 Y1 KR200312114 Y1 KR 200312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fasteners
side plate
stairs
sl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승
전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광케미
이은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광케미, 이은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광케미
Priority to KR20-2003-0001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1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1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2Chutes; Helter-skelters without rails

Landscapes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놀이를 위한 조립식 미끄럼틀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기립된 두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의 계단 미끄럼대 각각의 내부로 계단과 미끄럼대 양측으로 삽입부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부 형성된 스크루부가 너트로 체결되는 조립식 미끄럼틀에 있어서, 상기 마주보는 계단 체결구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의 외주에 형상의 지지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계단은 다수개의 발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계단의 양측으로 돌출된 삽입부의 형상이 계단 체결구 및 지지홈에 상응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조립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측판에 삽입되는 계단이 견고하게 체결되어 미끄럼틀의 손상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립식 미끄럼틀의 체결구조{ASSEMBLY STRUCTURE OF SLIDE}
본 고안은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놀이용 조립식 미끄럼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에서 어린이들이 올라갈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설치된 계단과, 계단 상부에서 미끄러져 내려올 수 있도록 설치된 미끄럼대를 양측에서 지지하여 결합시키는 측판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미끄럼틀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끄럼틀(Slide)은 사용장소가 실내인가 아니면 실외인가에 따라 구조가 달라지며, 실내에서 사용되는 미끄럼틀의 경우 대부분 조립식으로 설치되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실내용 미끄럼틀의 경우 유아나 어린이가 올라갈 수 있는 계단과, 계단에서 지면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미끄럼대가 구비되며, 이러한 계단과 미끄럼대를 고정시키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때 미끄럼틀을 이용하는 대상 연령에 따라 미끄럼틀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고안은 이미 제시된 바 있었다.
조립식 미끄럼틀 중 계단, 미끄럼대 및 측판으로 구성되어 미끄럼틀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종래의 실용신안등록 제230892호(고안의 명칭 : 미끄럼틀)는 슬라이드(미끄럼대)의 경사도 조절에 따른 슬라이드의 높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드와 계단부재 사이의 공간을 제거하도록 측판에 결합되는 각각의 계단부재의 돌출부 양측에 형성된 조립볼트를 발판에 대하여 편심되게 구성하여, 슬라이드의 높이에 대응하여 발판의 상하면을 변동시킴으로써 계단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미끄럼틀을 사용하면 측판에 슬라이드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계단부재를 동시에 결합하여야 하고 조립되는 부품의 수가 많아 부녀자나 어린이가 직접 조립 또는 및 해체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특히 측판에 끼워지는 끼움봉(본 고안에서 삽입부에 대응됨)의 단면 형상이 사각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져있으므로 체중이 많이 나가는 어린이나 어른이 발판의 끝 부분을 딛고 올라서는 경우 합성수지재로 된 결합부위가 손상됨은 물론, 계단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미끄럼틀의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계단을 다수개의 발판이 구비된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조립체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계단을 딛고 올라가는 사용자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지탱하기 위하여 계단 양측면에 돌출된 삽입부의 단면 형상을 역삼각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측판과 계단의 결합력을 견고히 하는 조립식 미끄럼틀의 체결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끄럼틀의 조립 구성도.
도 2a,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끄럼틀을 구성하는 좌우 측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끄럼틀을 구성하는 계단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측판 110 : 상부 미끄럼대 체결구
120 : 하부 미끄럼대 체결구 130 : 계단 체결구
140 : 지지홈 200 : 계단
210 : 삽입부 220 : 스크루부
230 : 발판 300 : 미끄럼대
310 : 삽입부 320 : 스크루부
400 : 너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립식 미끄럼틀의 체결구조는, 기립된 두 측판의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의 계단 체결구와 미끄럼대 체결구 각각의 내부로 계단과 미끄럼대 양측으로 돌출된 삽입부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부 단부에 형성된 스크루부가 너트로 체결되는 조립식 미끄럼틀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마주보는 계단 체결구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의 외주에 역삼각형 형상의 지지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계단은 다수개의 발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계단의 양측으로 돌출된 삽입부의 형상이 계단 체결구 및 지지홈에 상응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끄럼틀의 조립 구성도이고, 도 2a,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끄럼틀을 구성하는 좌우 측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끄럼틀을 구성하는 계단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크게 2개의 측판(100)과, 각각 1개의 계단(200) 및 미끄럼대(300)로 구성되며, 각각의 부품을 너트(400)로 조임으로써 조립하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각각의 부품에 대한 구조와 결합관계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측판(100)은 도 2a,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 2개로 이루어지며 두 측판(100) 사이에 계단(200)과 미끄럼대(300)가 조립되도록 각각의 측판(100)에는 마주보는 위치에 다수개의 계단 체결구(130)와 미끄럼대 체결구(110, 120)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계단 체결구(130)는 계단(200)의 크기에 따라 개수가 조절되는데 측판(100)으로부터 계단(200)이 회동하지 않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 미끄럼대 체결구(110, 12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측판(100)에 조립되는 미끄럼대(300)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각의 측판(100)상에 2 쌍의 상부 미끄럼대 체결구(110)와 하부 미끄럼대 체결구(120)로 구성되어, 상부 미끄럼대 체결구(110)에 측판(100)이 체결된 경우 미끄럼대(300)의 경사도가 커지게 되며, 하부 미끄럼대 체결구(120)에 측판(100)이 체결되는 경우 미끄럼대(300)의 경사도가 완만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미끄럼대(300)의 경사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계단(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발판(230)이 일체로 형성되며, 양측에는 계단 체결구(130)에 상응하는 개수의 돌출된 삽입부(210)가 계단 체결구(130)에 삽입되고, 좌우 대칭이 되는 위치의 삽입부(21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스크루부(220)가 너트(400)로 체결되어 양 측판(100) 사이에 계단(200)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측판(100)의 마주보는 계단 체결구(130)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의 외주에 역삼각형 형상의 지지홈(140)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계단(200) 양측으로 돌출된 삽입부(210)가 각각의 계단 체결구(130) 및 지지홈(140)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계단(200)을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계단(200) 측면에 다수개의 삽입부(210)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사용자의 체중이 발판(230)의 가장자리에 집중되더라도 계단(200)이 회동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지지홈(140)의 형상을 역삼각형으로 함으로써 발판(230)을 내리 누르는 사용자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미끄럼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양측의 대칭이 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삽입부(310)가 형성되고, 삽입부(31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스크루부(320)가 형성되어 측판(100)의 미끄럼대 체결구(110, 120)의 어느 한 쌍에 결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틀의 경사도가 조절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및 해체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2개의 측판(100)을 마주보게 기립시킨 다음, 측판(100)에 형성된 계단체결구(130) 및 지지홈(140)에 각각 상응하는 계단(200)의 삽입부(210)를 삽입시킴과 동시에, 미끄럼대(300)를 측판(100)에 형성된 미끄럼대 체결구(110, 120) 중 어느 한 쌍에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2개의 측판(100) 사이에 계단(200) 및 미끄럼대(3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측판(100) 외부로 돌출된 각각의 스크루부(220, 320)에 너트(400)를 삽입하여 손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립을 완료하게 되며, 조립된 미끄럼틀의 해체를 위해서는 체결된 너트(400)를 손으로 풀면 조립 부품이 모두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고안에 개시된 내용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한 균등 수단으로 볼 수 있음이 자명하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미끄럼틀의 체결구조를 사용하면, 미끄럼틀을 이루는 계단에 다수개의 발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조립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며, 측판 사이에 결합되는 계단의 삽입부를 역삼각형으로 구성하여 계단이 측판에 견고하게 체결됨으로써 체중이 큰 사람의 사용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미끄럼틀의 손상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기립된 두 측판의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의 계단 체결구와 미끄럼대 체결구 각각의 내부로 계단과 미끄럼대 양측으로 돌출된 삽입부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부 단부에 형성된 스크루부가 너트로 체결되는 조립식 미끄럼틀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마주보는 계단 체결구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의 외주에 역삼각형 형상의 지지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계단은 다수개의 발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계단의 양측으로 돌출된 삽입부의 형상이 계단 체결구 및 지지홈에 상응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미끄럼틀의 체결구조.
KR20-2003-0001255U 2003-01-15 2003-01-15 조립식 미끄럼틀의 체결구조 KR200312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255U KR200312114Y1 (ko) 2003-01-15 2003-01-15 조립식 미끄럼틀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255U KR200312114Y1 (ko) 2003-01-15 2003-01-15 조립식 미끄럼틀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114Y1 true KR200312114Y1 (ko) 2003-05-09

Family

ID=49405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255U KR200312114Y1 (ko) 2003-01-15 2003-01-15 조립식 미끄럼틀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1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912B1 (ko) 2012-12-31 2014-01-23 (주)디자인스킨 슬라이딩 매트
KR20180040346A (ko) * 2016-10-12 2018-04-20 (주)디자인스킨 다목적 놀이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912B1 (ko) 2012-12-31 2014-01-23 (주)디자인스킨 슬라이딩 매트
KR20180040346A (ko) * 2016-10-12 2018-04-20 (주)디자인스킨 다목적 놀이블록
KR101869343B1 (ko) 2016-10-12 2018-06-21 (주)디자인스킨 다목적 놀이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9693B2 (en) Modular system for assembling ramps, decks, and other raised structures
US4011695A (en) Bleacher system
KR200312114Y1 (ko) 조립식 미끄럼틀의 체결구조
US7481741B1 (en) Ladder and related methods
JPS6043508B2 (ja) 階段用ユニツト部材
US5737884A (en) Spiral stair case
KR100867322B1 (ko) 조립식 구조물의 지주와 보 연결구조
US7617637B2 (en) Playground roof system
JPH0317916Y2 (ko)
US20040002394A1 (en) Connection system for playground structure
CN107700768B (zh) 一种市政园林建筑内装饰楼梯的加固结构
KR200290587Y1 (ko) 암벽등반연습을 위한 구조물
CN220185014U (zh) 一种用于栏杆的固定件及栏杆
KR100877678B1 (ko) 놀이시설물용 발판
KR200242640Y1 (ko) 투명한 바닥을 구비한 무대 구조물
CN211548472U (zh) 一种复式楼用可拆装式楼梯
JP2021194276A (ja) 床置き型手すり
KR200491397Y1 (ko) 어린이 놀이집
KR200311864Y1 (ko) 구룹 펀치볼 장치
KR200226488Y1 (ko) 조립식 계단
CN213220722U (zh) 一种用于室内的组合式木质滑梯
JP3089984U (ja) サンデッキ
KR100475485B1 (ko) 암벽등반연습을 위한 구조물
JPH10238050A (ja) 階段及び階段構造用受け部材
KR20090116324A (ko) 암벽등반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