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928Y1 -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 - Google Patents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928Y1
KR200311928Y1 KR20-2003-0003201U KR20030003201U KR200311928Y1 KR 200311928 Y1 KR200311928 Y1 KR 200311928Y1 KR 20030003201 U KR20030003201 U KR 20030003201U KR 200311928 Y1 KR200311928 Y1 KR 200311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pillar
ceiling
fire
rail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수
Original Assignee
이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천수 filed Critical 이천수
Priority to KR20-2003-0003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9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9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셔터편들이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감긴 상태로 천장에 설치되는 셔터와, 상기 셔터가 화재 등 유사시에 풀리면서 내려오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안내홈을 갖고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 기둥으로 구성되는 방화셔터 장치로부터의 개량 고안으로서,
상기 셔터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레일 기둥은 수직방향으로 상호 겹치는 다수의 단위 개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단위 개체는 하부 개체가 상부 개체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셔터와 함께 기둥이 천장 상부의 공간에 설치(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이다.

Description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Fireproof shutter with extensible rail post}
본 고안은 방화셔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온시 셔터및 셔터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기둥은 함께 천장속에 접혀져 있다가, 유사시에만 셔터 및 기둥이 천장으로부터 바닥으로 펴지면서 내려옴으로써, 평상시에 동선 및 시야확보가 가능한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화셔터란, 화재시에 자동으로 셔터가 작동하여 불길과 연기를 차단시키며 미처 피난하지 못한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 철재로 구성되는 장치로서, 상기 방화셔터의 설치되는 구조 또한, 건축물의 좁은 통로 또는 비상계단 또는 백화점 내의 에스컬레이터 등 주변 여건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설치 가능하다(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도 마찬가지로, 주변 여건에 따라 변형하여 설치 가능함).
이와같은 방화셔터는 평상시에는 건물의 천장 공간에 감겨져 있다가 화재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모터 등의 동력에 의해 레일용 기둥을 따라 내려와서 출입구나 계단 등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방화셔터의 구성은 도1a,b와 같다.
도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바닥(19)가 천장(13) 사이에 레일용 기둥(11)(이하, "기둥"이라 함)이 서있고, 여러 편의 판이 유연하게 결합되어 구성되는 셔터는 감겨서 천장(13) 속에 매립되거나 별도의 하우징에 감겨서 천장(13)에 설치된다.
한편, 화재가 발생하면 도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장(13) 속에 감겨있던 셔터(15)가 천장(13)으로부터 풀리면서 기둥(11)의 안내홈(17)을 따라 내려와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방화셔터를 건물내에 설치하기 위하여 기존 기둥에 레일이 설치될 수 없는 곳에는, 평상시에도 항상 복도상에 기둥이 서 있어야 한다. 이를 개량하기 위해, 기둥의 폭을 줄이는 시도가 이루어지기도 했지만, 기둥의 폭을 줄여도 여전히 기둥은 복도상에 위치해 있을 수 밖에 없다. 특히, 백화점 등의 에스컬레이터 주변에 세워져 있는 방화셔터용 기둥은 고객 및 직원들의 동선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시야를 가리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둥에 대해 고심하다가 기둥을 없애는 것이 궁극적 해결임에 착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조각(개체)으로 구성된 셔터 및 셔터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기둥을 천장속에 함께 설치(매립)하였다가, 화재 등의 유사시에 기둥도 셔터와 함께 바닥으로 내려오도록 한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a,b는 종래의 일반적인 방화셔터의 구성도.
도2a,b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의 개념 구성도.
도3a~e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 구성도.
도4a,b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 구성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 구성도.
도6a,b는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예 구성도.
<도면부호의 설명>
레일용 기둥(11), 천장(13), 셔터(15, 23), 안내홈(17), 바닥(19), 기둥(21), 기둥 개체(21a,b,c,d,...), 마감캡(22, 22'), 셔터의 가장 하부편(25), 훅버튼(31), 훅버튼 개체(31a,b,c,d,...), 절개선(33a,b,c,d,...), 버튼머리 (34a,b), 연결봉(35), 절개선과 맞닿는 부분(37), 강선(41), 제1,2걸림턱(42, 42')
<고안의 개요>
본 고안은 다수의 셔터편들이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감긴 상태로 천장에 설치되는 셔터와, 상기 셔터가 화재 등 유사시에 풀리면서 내려오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안내홈을 갖고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으로 구성되는 방화셔터 장치로부터의 개량 고안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다수의 서터편들이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감기는 셔터;
상기 셔터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기둥은 수직방향으로 상호 겹치는 다수의 단위 개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단위 개체는 하부 개체가 상부 개체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셔터와 함께 기둥이 천장 상부의 공간에 설치(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셔터 및 기둥은 천장 상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지 않고, 천장 하부에 별도의 하우징 안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안의 구성>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의 구성을 도2a,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는 도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둥(21)은 다수의 단위 개체(21a,b,c,d,...)로 구성되는데, 제1개체(21a)의 내부에 제2개체(21b)가 들어가고 제2개체(21b) 내부에 제3개체(21c)가 들어가는 방식으로 기둥(21)의 각 개체간(21a,b,c,d,...)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상기 기둥의 각 개체(21a,b,c,d,...)는 수직 방향으로 상호 겹쳐지도록 결합된 상태로 도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장(13) 상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매립)된다(천장(13) 상부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천장(13) 하부에 별도의 하우징 안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는 도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셔터 개체(셔터편)의 상하 폭(W)은 약 7cm이며, 천장 상부의 공간에 매립되는 기둥의 길이(L)는 약30~40cm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셔터(23)는 역 T자형(⊥)의 마감캡(22)을, 기둥(21)은 기둥의 외경보다 큰 마감캡(22')을 셔터(23) 및 기둥(21)의 최하단에 설치하여, 마갑캡(22, 22')을 이용해 기둥(21) 및 셔터(23)가 천장(13) 면에 걸릴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마감캡(22, 22') 끼리는 서로 연결하여 셔터(23)의 전동모터 작동시 기둥(21)도 동시에 딸려 내려오도록 하였다.
도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화셔터는 천장(13) 상부의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가, 화재 등의 유사시에는 도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둥(21)을 이루는 다수의 개체(21a,b,c,d,...)들이 셔터(23)와 함께 천장(13)으로부터 바닥(19)으로 하강하여 방화셔터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2b에서의 셔터편의 가장 하부 편(25)과 기둥 개체의 가장 하부개체(21d)간에 서로 결합되어 있으면, 본 고안의 구현이 보다 용이하게 실시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의 도2a,b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고안의 핵심적인 요지는 다수의 셔터편으로 이루어지는 셔터(23)와 유사하게, 다수의 기둥편, 즉 개체(21a,b,c,d,...)로 이루어지는 기둥(21)에 있다. 즉, 평온시에는 기둥(21)의 각 개체(21a,b,c,d,...)들이 겹쳐져서 천장(13)속에 접혀져 있다가, 화재 등의 유사시에만 개체(21a,b,c,d,...)들이 펴지면서 내려와 기둥(21)이 신장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방화셔터에 따르면, 평온시에는 기둥의 존재가 없으므로 직원이나 고객들의 동선과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둥의 각 개체가 하강시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로부터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가 파생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각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 실시예는 기둥의 각 개체를 훅버튼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도3a~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3a에 나타난 본 실시예의 기둥은 다수의 단위 개체(21a,b,c,d,...)로 구성되는데, 제1개체(21a)의 내부에 제2개체(21b)가 들어가고 제2개체(21b) 내부에 제3개체(21c)가 들어가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처럼, 기둥 각 개체(21a,b,c,d,...)의 구성 및 다수의 셔터편들이 절첩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조를 갖는 셔터(23)의 구조는 앞서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3a(평단면도)에서와 같이 제1, 제2, 제3,...개체(21a,b,c,d,...)의 각 개체들이 내부에 겹쳐서 접혀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 각 개체들의 결합방식에 있어서, 각 개체(21a,b,c,d,...)의 일면에 길이방향(수직방향)으로 절개선(33a,b,c,d,...)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선(33a,b,c,d,...)을 따라 이동하는 훅버튼(31a,b,c,d,...)을 이용하여 기둥의 각 개체(21a,b,c,d,...)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데, 도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둥의 각 개체(21a,b,c,d,...)를 연결하는 훅버튼(31a,b,c,d,...)의 구조는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즉, 31a 보다는 31b가, 31b 보다는 31c가, 31c 보다는 31d 가 단추크기 만큼씩 아래에 위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3b는 훅버튼(31a,b,c,d,...)이 설치된 기둥의 각 개체(21a,b,c,d,...)가 겹쳐져 있는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b,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둥의 각 개체(21a,b,c,d,...)가 하강하여 완전한 기둥을 완성할 경우에, 각 개체(21a,b,c,d,...)간의 고정을 위하여 각 개체(21a,b,c,d,...)간에는 훅버튼(31a,b,c,d,...)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훅버튼(31a,b,c,d,...)은 기둥 각 개체(21a,b,c,d,...)의 일면에 길이방향(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개선(33a,b,c,d,...)을 따라 움직일 수가 있다. 이와같은, 상기 절개선(33a,b,c,d,...)은 각 개체(21a,b,c,d,...)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형성되지 않아야 한다. 왜냐하면, 각 개체(21a,b,c,d,...)가 펴지더라도 훅버튼(31a,b,c,d,...)이 멈추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둥 각 개체간에 설치되는 상기 훅버튼(31)은 각 개체에 고정되어 있을 필요는 없는데, 이는 기둥 각 개체에 형성된 절개선의 양단이 절개되어 있지 않는 한, 그 사이에서 훅버튼(31)이 유동적으로 결합된다 하더라도 기둥 각 개체가 펼쳐질 때 각 개체끼리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훅버튼(31a,b,c,d,...)으로 연결된 기둥의 측단면도인 도3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훅버튼(31a,b,c,d,...)은 기둥의 각 개체인 21a와 21b, 21b와 21c, 21c와 21d 간을 연결하는 수단인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사용된 훅버튼의 구조를 도3e에 나타내었다. 도3e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훅버튼(31)은 두 개의 버튼머리(34a,b)와 상기 버튼머리(34a,b)를 상호 연결하며,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35)으로 구성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버튼머리(34a,b)에 연결봉(35)이 결합되는데, 연결봉(35)은 적어도 기둥 각 개체에 형성되어 있는절개선(33a,b,c,d,...)과 맞닿는 부분(37)은 나사산이 없어서 조여지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 개체의 한면에만 형성된 절개선상으로 훅버튼이 결합되지만, 강성을 높이기 위해 두 면 또는 모든 면에 절개선을 형성하여 훅버튼을 결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제2실시예>
도4a,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둥 각 개체의 연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a,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 개체(21a,b)의 일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강선(와이어, 41)을 두어, 기둥 개체(21a,b)가 연결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는, 제1실시예의 훅버튼 대신 사용되어 기둥 각 개체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상기 강선(41)의 길이는 하나의 개체가 완전히 펴진 상태와 동일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
본 실시예는, 도4a에서와 같이, 기둥 개체(21a,b)가 겹쳐져 있을 때에는 강선(41)이 느슨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나, 도4b에서와 같이, 기둥 개체(21a,b)가 내려오면 강선(41)이 팽팽하게 연결되어 기둥 개체(21a,b)끼리 분리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강선(41)을 기둥 개체(21a,b)의 한 곳에만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견고성을 위해 강선(41)을 여러 곳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실시예>
도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둥 각 개체의 연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상기 제1, 2 실시예는 기둥 각 개체들을 연결하는데 있어서, 개체 이외에 별도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 개체의 형상만으로 개체끼리 분리되지 않고 연결되는 구조를 취한다.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 각 개체의 상부 둘레보다 하부 둘레를 작게 가공하였다(d만큼). 즉, 기둥 제1개체(21a)의 최하부 내경을 제2개체(21b)의 최상부 외경보다 작게 가공한 기둥의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제1개체(21a)로부터 제2개체(21b)가 내려오더라도, 제1개체(21a)의 하부에 걸려서 더 이상 내려오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 구조는 기둥 하부 개체가 상부 개체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끼워지는 안테나 방식과 같은 구조이다. 이와같은, 구조는 낚시대나 로드안테나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설명을 위한 도5는 기둥 각 개체의 형상을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하여 과장하여 그린 도면이다.
<제4실시예>
도6a,b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기둥 각 개체의 연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 각 개체(21a,b,c,d,...)의상,하단부에 걸림턱(42, 42')을 형성하여, 각 개체(21a,b,c,d,...)가 펴지면서 걸림턱(42, 42')에 의해 걸리도록 하였다. 즉, 기둥 상부 개체 하단부의 내주면상에는 제1걸림턱(4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개체에 삽입되는 하부 개체 상단부의 외주면상에는 제2걸림턱(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턱(42, 42')으로 연결된 기둥의 측단면도인 도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둥의 하부 개체는 제2걸림턱(42')을 이용해 상부 개체의 제1걸림턱(42)에 걸리게 되므로, 기둥 개체(21a,b,c,d,...)간에 분리되지 않고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42, 42')은 기둥 각 개체(21a,b,c,d,...)의 4면 중 2면에 설치되도록 하였으나, 강성을 높히기 위해 기둥 각 개체(21a,b,c,d,...)의 모든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에 따르면, 화재 등의 유사시에만 셔터 및 기둥이 내려와 설치되며, 평온시에는 셔터 및 기둥이 함께 천장속 또는 천장의 하부 하우징공간에 접혀져 있으므로, 백화점 등과 같은 실내공간에 있어서 고객 및 직원들의 동선 및 시야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다수의 셔터편들이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감긴 상태로 천장에 설치되는 셔터와, 상기 셔터가 화재 등 유사시에 풀리면서 내려오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안내홈을 갖고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 기둥으로 구성되는 방화셔터 장치로부터의 개량 고안으로서,
    상기 셔터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레일 기둥은,
    수직방향으로 상호 겹치는 다수의 단위 개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단위 개체는 하부 개체가 상부 개체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셔터와 함께 레일 기둥이 천장 상부의 공간에 설치(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위 개체로 이루어진 레일 기둥은,
    각 개체의 일면에 길이방향(수직방향)으로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선을 따라 이동하는 훅버튼으로 각 개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훅버튼은
    두 개의 버튼머리와;
    상기 버튼머리를 상호 연결하며,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위 개체로 이루어진 레일 기둥은,
    각 개체의 일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강선(와이어)으로 각 개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강선의 길이는 개체가 완전히 펴진상태와 동일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위 개체로 이루어진 레일 기둥은,
    각 개체의 하부둘레를 상부둘레보다 작게 가공하여, 하부 개체가 상부 개체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끼워지는 안테나 방식으로 각 개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위 개체로 이루어진 레일 기둥은,
    각 개체 하단부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제1걸림턱과;
    각 개체 상단부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제2걸림턱을 이용하여 각 개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 및 레일 기둥은 천장 하부에 별도의 하우징 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 및 기둥의 최하단에는 마감캡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
KR20-2003-0003201U 2003-02-04 2003-02-04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 KR200311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201U KR200311928Y1 (ko) 2003-02-04 2003-02-04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201U KR200311928Y1 (ko) 2003-02-04 2003-02-04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928Y1 true KR200311928Y1 (ko) 2003-05-01

Family

ID=4940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201U KR200311928Y1 (ko) 2003-02-04 2003-02-04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9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074B1 (ko) 2008-02-18 2008-09-17 휴먼이지텍 주식회사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KR102660015B1 (ko) * 2023-01-17 2024-04-23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용 수조 구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074B1 (ko) 2008-02-18 2008-09-17 휴먼이지텍 주식회사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KR102660015B1 (ko) * 2023-01-17 2024-04-23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용 수조 구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8837B1 (en) Balustrade apparatus
US10260285B2 (en) Safety device and emergency escap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KR101706609B1 (ko)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0996129B1 (ko) 절첩식 구난장치
US5377778A (en) Emergency fire escape for multi-storied building
KR100701790B1 (ko) 고층건물의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장치
KR101607133B1 (ko) 공동주택용 비상대피 난간
KR101934979B1 (ko) 소방용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0937336B1 (ko)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
KR200311928Y1 (ko) 신축가능한 레일 기둥을 포함하는 방화셔터 장치
KR102014084B1 (ko)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난간구조
KR10210262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난간 보강장치
KR101191757B1 (ko) 초고층 건축물 초고층 아파트 화재 무동력 다수인 피난설비(무동력 접이식 수납형 피난데크)
CN215563978U (zh) 一种消防逃生用逃生梯
KR100915305B1 (ko) 방열천이 장착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JP3185599U (ja) 鳥類飛来侵入防止装置
RU273794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е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KR200467632Y1 (ko)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KR20110083820A (ko) 화재 대피용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US3024862A (en) Fire escape step frame system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JP2004197456A (ja) 非常用梯子装置
KR101710468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구조
JP5179222B2 (ja) 多層建物及び多層建物の落下物防護庇
KR20140145793A (ko) 선박 거주구의 방범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