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829Y1 -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829Y1
KR200311829Y1 KR20-2002-0029769U KR20020029769U KR200311829Y1 KR 200311829 Y1 KR200311829 Y1 KR 200311829Y1 KR 20020029769 U KR20020029769 U KR 20020029769U KR 200311829 Y1 KR200311829 Y1 KR 200311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assage
state
toilet
vertic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호
Original Assignee
심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호 filed Critical 심재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8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악취배출 정도를 확대시킬 수 있게 되고, 습기로 인한 여러 장치들의 고장원을 배제시킬 수 있게 되며, 만약 여러 장치들이 작동불능 상태가 되더라도 양변기 본체에서 사이펀작용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담수부(2)와 이의 하측으로부터 연통되는 상향통로(4)와 이 상향통로(4) 상측으로부터 다시 절곡되는 하향통로(6)와 상기 담수부(2)에 연통되는 다른 통로(8)와 상기 상,하향통로(6)의 연결 부위에서 상측으로 연통되는 또 다른 통로(10)가 형성된 형태로 성형된 양변기 본체(12)의 후부 상측으로 배치되는 수조(14) 내에, 밸브장치(16) 및 급수조절장치(18)와 함께 내장되는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다른 통로(8)의 상측 포트에 수밀 유지되는 상태로 그 하단부가 체결되고, 그 상부 일측 포트를 여닫을 수 있도록 상기한 밸브장치(16)를 이루는 급수제어밸브(40)가 힌지 결합되어지는 3웨이관(22); 상기한 또 다른 통로(10)의 상측 포트에 수밀 유지되는 상태로 그 하단부가 체결되는 수직관(24); 그 상측이 부분적으로 다수번 절곡되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한 3웨이관(22)의 상부 타측 포트에 그 하단부가 결합된 이중수직관(26); 다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그 일측 공간으로 상기 수직관(24) 상단부와 이중수직관(26)의 상부 절곡단이 수밀 상태로 연통되도록 형성 구비된 장치케이싱(27); 상기 장치케이싱(27)의 일측 공간에 부분적으로 내재되며, 상기한수직관(24)의 상단부에 연통 및 기밀 상태로 체결되는 공기밸브부(30); 상기 장치케이싱(27) 일측 공간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장치케이싱(27)의 이중수직관(26) 측 포트에 강제 송풍 배출시키는 송풍장치(28); 상기한 공기밸브부(30)의 밸브를 여닫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장치케이싱(27)의 타측 공간에 내장되는 밸브개폐장치부(32); 상기한 밸브개폐장치부(32) 및 송풍장치(28)의 구동 상태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장치케이싱(27)의 상측 공간에 장착되는 콘트롤러(34); 상기 양변기 본체(12)와 힌지 결합되는 좌대로의 누름력 작용 상태에 따라 온/오프됨으로써, 좌대로 사용자가 착좌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한 콘트롤러(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착좌센서(36); 상기한 수조(14)내의 버튼레버(70)에 부설되어 있으며 급수제어밸브(40)의 오픈/크로스 상태를 감지하는 수은스위치로서 상기 콘트롤러(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랩센서(3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bad smell discharge system of a toilet bowl}
본 고안은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변에 의한 악취를 강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는 인분을 수세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이펀방식과 직접중력방식 또는 이 두 방식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양변기가 널리 쓰이고 있다.
특히 사이펀작용에 의하여 대,소변을 세척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부(102)를 갖는 양변기 본체(104)를 성형 구비토록 하되, 상기 담수부(102) 하측으로부터 연통되는 상향통로(106) 및 이 상향통로(106) 상측으로부터 다시 연통되는 하향통로(108)가 구비되어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양변기 본체(104)의 후부 상측으로 배치되는 수조(110)로부터 세척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세척수의 선택적인 공급은 상기 수조(110) 내에 구성된 밸브장치(112)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양변기 본체(104)에 공급되는 물은 상기 수조(110) 내에 구성된 급수조절장치(도시생략)에 의해 그 수위가 조절되면서 입수관(도시생략)으로부터 상기한 수조(110)에 공급되어 채워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양변기 본체(104) 담수부(102)로부터의 악취를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악취배출장치(120)가 더욱 구성되는데, 이러한 악취배출장치(120)는 상기 양변기 본체(104) 담수부(102) 상측으로 연통된 다른 통로(130)와 상기 상향통로(106) 상측에 연통되는 또 다른 통로(132)를 연통시키게 되는 연통로(134)를 상기한 수조(110) 내에 구성하고, 이와 같은 연통로(134) 중에 송풍장치(122)와 밸브(124) 및 이의 개폐장치(126)를 설치 구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필요에 따라 밸브개폐장치(126)에 의해 밸브(124)를 열어주고 송풍장치(122)를 구동시켜, 양변기 본체(104) 담수부(102)로부터 악취를 포함한 공기를 다른 통로(130)와 연통로(134)를 경유하여 공기 배출용 통로(132)로 강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는, 밸브 개폐변위량이 적어서 악취배출 정도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양변기 본체 담수부로부터 유통되는 공기에 함유된 습기로 인하여 송풍장치(122)와 밸브개폐장치(126)가 쉽게 부식현상으로 고장을 일으키게 되며, 수조내의 물속에 장치한 후랩센서(140)의 절연불량과 리드철편의 복귀능력저하로 기능상실 및 오작동 등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밸브 개폐변위량이 늘려 악취배출 정도를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악취배출장치케이싱을 이중용기로 형성되게 하여 결로현상을 예방하였으며, 양변기 본체로부터 유통되는 공기에 함유된 습기로 인한 여러 장치들의 고장원을 배제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초보적인 전기운영시스템을 보다 고급화된 시스템으로 운영하였고, 만약 여러 장치들이 작동불능 상태가 되더라도 양변기 본체에서 사이펀작용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를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양변기에 적용된 종래 악취배출장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양변기의 일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일측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 2의 A - A 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 2의 B - B 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담수부 4 : 상향통로
6 : 하향통로 8,10 : 통로
12 : 양변기 본체 14 : 수조
16 : 밸브장치 18 : 급수조절장치
22 : 3웨이관 24 : 수직관
26 : 이중수직관 27 : 장치케이싱
28 : 송풍장치 30 : 공기밸브부
32 : 밸브개폐장치부 34 : 콘트롤러
36 : 착좌센서 38 : 후랩센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담수부와 이의 하측으로부터 연통되는 상향통로와 이 상향통로 상측으로부터 다시 절곡되는 하향통로와 상기 담수부에 연통되는 다른 통로와 상기 상,하향통로의 연결 부위에서 상측으로 연통되는 또 다른 통로가 형성된 형태로 성형된 양변기 본체의 후부 상측으로 배치되는 수조 내에, 밸브장치 및 급수조절장치와 함께 내장되는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다른 통로의 상측 포트에 수밀 유지되는 상태로 그 하단부가 체결되고, 그 상부 일측 포트를 여닫을 수 있도록 상기한 밸브장치를 이루는 급수제어밸브가 힌지 결합되어지는 3웨이관; 상기한 또 다른 통로의 상측 포트에 수밀 유지되는 상태로 그 하단부가 체결되는 수직관; 그 상측이 부분적으로 다수번 절곡되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한 3웨이관의 상부 타측 포트에 그 하단부가 결합된 이중수직관; 다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그 일측 공간으로 상기 수직관 상단부와 이중수직관의 상부 절곡단이 수밀 상태로 연통되도록 형성 구비된 장치케이싱; 상기 장치케이싱의 일측 공간에 부분적으로 내재되며, 상기한 수직관의 상단부에 연통 및 기밀 상태로 체결되는 공기밸브부; 상기 장치케이싱 일측 수직관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장치케이싱의 이중수직관 측 포트에 강제 송풍 배출시키는 송풍장치; 상기한 공기밸브부의 밸브를 여닫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장치케이싱의 타측 공간에 내장되는 밸브개폐장치부; 상기한 밸브개폐장치부 및 송풍장치의 구동 상태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장치케이싱의 상측 공간에 장착되는 콘트롤러; 상기 양변기 본체와 힌지 결합되는 좌대로의 누름력 작용 상태에 따라 온/오프됨으로써, 좌대로 사용자가 착좌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한 콘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착좌센서; 상기한 버튼레버가 상향 및 하향으로 움직이는 상태에 따라서 온/오프되는 수은스위치로 구성되어 상기 콘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랩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또, 상기한 공기밸브부는, 상기 수직관의 상단과 체결되는 체결단부; 상기한 장치케이싱의 일측 공간 저면 벽체에 밀착되도록, 상기 체결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상기 체결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그 상단면이 빗면으로 이루어지게 형성된 벨브시트부; 상기 밸브시트부의 빗면 아래 측에 위치되는 힌지점을 갖는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에 직립 상태로 고정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브라켓; 상기한 한 쌍의 힌지브라켓에 힌지핀으로 장착되어지는 회동부재; 상기 밸브시트부의 개구부를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한 회동부재에 그 상면 중앙 부위가 힌지 결합되는 공기밸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밸브개폐장치부는, 상기 장치케이싱의 내부 격벽을 관통하여 장치케이싱의 타측 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힌지핀의 단부에 장착되어지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에 교합되도록 구비된 래크부재; DC전압의 인가에 따라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상하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그의 가동로드 단부가 상기 래크부재의 상단면에 직립 상태로 연장되어지도록 형성 및 구비된 자력발생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착좌센서는, 상기 좌대의 힌지핀에 의해 눌려져서 온되도록 구성된 스위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후랩센서는, 상기 밸브장치를 이루는 버튼레버가 상향 및 하향으로 움직이는 상태에 따라서 접점이 단락되는 수은스위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장치케이싱은, 결로현상을 막기 위해 단열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내측벽체와 외측벽체가 이격되게 중첩 형성된 이중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하자면,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부(2)와 이의 하측으로부터 연통되는 상향통로(4)와 이 상향통로(4) 상측으로부터 다시 절곡되는 하향통로(6)와 상기 담수부(2)에 연통되는 다른 통로(8)와 상기 상,하향통로(4)(6)의 연결 부위에서 상측으로 연통되는 또 다른 통로(10)가 형성된 형태로 성형된 양변기 본체(12)의 후부 상측으로 배치되는 수조(14) 내에, 밸브장치(16) 및 급수조절장치(18)와 함께 내장되는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에 관련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악취배출장치는, 3웨이관(22)과 수직관(24) 및 이중수직관(26) 그리고, 장치케이싱(27)과 송풍장치(28)와 공기밸브부(30) 및 밸브개폐장치부(32)와 콘트롤러(34), 착좌센서(36)와 후랩센서(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3웨이관(22)은, 상기 다른 통로(8)의 상측 포트에 수밀 유지되는 상태로 그 하단부가 체결되고, 그 상부 일측 포트를 여닫을 수 있도록 상기한 밸브장치(16)를 이루는 급수제어밸브(40)가 힌지 결합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수직관(24)은 상기 또 다른 통로(10)의 상측 포트에 수밀 유지되는 상태로 그 하단부가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중수직관(26)은 그 상측이 부분적으로 다수번 절곡되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한 3웨이관(22)의 상부 타측 포트에 그 하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장치케이싱(27)은 다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그 일측 공간으로 상기 수직관(24) 상단부와 이중수직관(26)의 상부 절곡단이 수밀 상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결로현상이 방지되도록 내측벽체와 외측벽체가 이격되게 중첩 형성된 이중용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송풍장치(28)는, 상부가 절곡된 이중수직관(26)으로부터 악취공기를 수직관(24)으로 강제 송풍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케이싱(27) 내 공기밸브부(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공기밸브부(30)는, 상기 장치케이싱(27)의 일측 공간에 부분적으로 내재되며, 상기한 수직관(24)의 상단부에 연통 및 기밀 상태로 체결되어 있다.
즉, 상기 수직관(24)의 상단과 체결되는 체결단부(42)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단부(42)에서 연장 형성되는 베이스판(44)이 상기한 장치케이싱(27)의 일측 공간 저면 벽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단부(42)에서 연장 형성된 밸브시트부(46)가 그 상단면이 약 30°의 경사도를 갖는 빗면으로 이루어지게 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판(44)에 직립 상태로 고정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브라켓(48)(50)이 상기 밸브시트부(46)의 빗면 아래 측에 위치되는 힌지점을갖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한 쌍의 힌지브라켓(48)(50)에 힌지핀(52)으로 장착되어지는 회동부재(54) 및 상기 밸브시트부(46)의 개구부를 약 60° 범위내에서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한 회동부재(54)에 그 상면 중앙 부위가 힌지 결합되는 공기밸브(56)가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핀(52)에 장착된 스프링(53)은 복귀방향이 공기밸브(56)가 밸브시트부(46)의 개구부를 닫아주는 방향 쪽으로 장착된다.
한편, 상기 밸브개폐장치부(32)는, 상기한 공기밸브부(30)의 공기밸브(56)를 여닫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장치케이싱(27)의 타측 공간에 내장되어 있다.
즉, 상기한 밸브개폐장치부(32)는, 상기 장치케이싱(27)의 내부 격벽을 관통하여 장치케이싱(27)의 타측 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힌지핀(52)의 단부에 장착되어지는 피니언(60)과, 상기 피니언(60)에 교합되도록 구비된 래크부재(62)와, 전류의 인가에 따라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상하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그의 가동로드(64) 단부가 상기 래크부재(62)의 상단면에 직립 상태로 연장되어지도록 형성 및 구비된 자력발생장치(6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34)는 상기한 밸브개폐장치부(32) 및 송풍장치(28)의 구동 상태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장치케이싱(27)의 상측 공간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착좌센서(36)는 상기 양변기 본체(12)와 힌지 결합되는 좌대로의 누름력 작용 상태에 따라 온/오프됨으로써, 좌대로 사용자가 착좌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한 콘트롤러(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대의 힌지핀(52)에 의해 눌려져서 온되도록 구성된 스위치일 수도 있으며, 인체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구동되는 적외선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상기 후랩센서(38)는, 상기 밸브장치(16)를 이루는 버튼레버(70)가 상향 및 하향으로 움직이는 상태에 따라서 그 접점이 단락되는 수은스위치로서 상향시 온신를 알리는 센서이며, 상기 콘트롤러(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콘트롤러(34)에 제공하게 된다.
(1)착좌센서(36) 오프 상태에서 온되었을 경우의 동작상태;
커버를 열고 사용자가 좌대에 착좌하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착좌센서(36)가 온되며, 이때 감지된 전기적 신호가 콘트롤러(34)로 입력된다.
따라서, 콘트롤러(34)는 기 설정된 전압을 밸브개폐장치부(32)와 송풍장치(28)에 각각 공급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밸브개폐장치부(32)의 자력발생장치(66)는 그 가동로드(64)를 당겨 올리게 되며, 이때 상승되는 래크부재(62)에 의해 피니언(60) 및 힌지핀(52)을 액 60°정도 회전시키게 되므로, 이에 의해 공기밸브(56)가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밸브(56)는 그 개폐 변위량이 큰 상태(약 90°수직)로 열리게 된다.
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는 상기 송풍장치(28)에 의해 양변기 본체(12)의 담수부(2) 수위 상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 배출시키게 된다.
즉, 이와 같이 강제 송풍되는 양변기 본체(12)의 담수부(2)로부터의 공기는그에 함유된 악취와 함께 이중수직관(26) 및 공기밸브부(30)의 개구부, 그리고 수직관(24) 및 또 다른 통로(10)를 통하여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2)착좌센서(36) 온 상태에서 버튼(15)을 눌렀을 경우의 동작상태;
상기 밸브장치(16)를 이루는 버튼(15)을 눌러주면 이에 의해 버튼레버(70)가 상향됨으로 인하여 후랩센서(38)는 급수제어밸브(40)가 열렸다는 신호를 콘트롤러(34)에 보내게 되고, 이에 줄로 연결된 급수제어밸브(40)가 열리고, 또 이에 의해 막혀 있던 3웨이관(22)의 상부 일측 포트를 개구시키게 됨으로써, 수조(14) 내의 물이 다른 통로(8)를 통해서 양변기 본체(12)의 담수부(2)에 공급된다.
그리고 급수제어밸브(40)는 다시 서서히 닫히게 되고, 따라서 수조(40) 내의 물 수위가 낮아짐으로 인한 급수조절장치(18)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조(40) 내의 사용된 물의 양만큼 다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콘트롤러(34)는 후랩센서(38)의 신호를 받아 즉시 송풍장치(28)와 자력발생장치(66)의 전원을 오프시켜 악취배출 동작이 정지하게 된다.
또, 밸브개폐장치부(32)의 자력발생장치(66)의 가동로드(64)와 래크부재(62)는 자중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수직 하강되며, 이에 따른 피니언(60) 및 힌지핀(52)의 역회전 및 공기밸브(56)의 폐쇄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닫히는 작용, 즉 역회전 작용은 공기밸브부(30)의 힌지핀(52)에 장착된 복귀스프링(53)력과 자력발생장치(66)의 가동로드(64)의 자중 하강력에 따라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양변기 본체(12)의 담수부(2)에 가중되는 물의 양에 의한 사이펀작용이 이루어지고, 이로써 상,하향통로(4)(6)를 통한 배출 작용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급수제어밸브(40)가 열리기 시작되는 시점부터 즉 후랩센서(38)가 온신호를 보낸 시점부터 약 7초후(급수제어밸브가 열렸다가 닫히는 시간이 약 7초)에 콘트롤러(34)에 의하여 다시 전원이 온되게 함으로써, 밸브개폐장치(32)와 송풍장치(28)가 재가동된다.
한편, 어떤 전기적인 고장 및 기구적인 고장으로 인하여 밸브개폐장치부(32)가 어 이상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래크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므로, 공기밸브(56)가 상시 닫힘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악취배출기능만 상실된 상태하에서 상기 양변기 본체(12)의 담수부(2)에 가중되는 물의 양에 의한 사이펀작용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3)착좌센서(36) 오프 상태에서 버튼(15)만 눌렀을 경우의 동작상태;
상기 밸브장치(16)를 이루는 버튼(15)을 누르는 순간 급수제어밸브(40)가 열리게 되며, 이로써 양변기 본체(12)의 담수부(2)에 물이 공급되고 아울러 수조(40) 내에 사용된 물의 양만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4)착좌센서(36) 온 상태에서 오프될 경우의 동작상태;
사용이 완료된 상태 즉 착좌센서(36)가 오프되는 순간 악취배출기능은 정지되고 시스템은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는, 밸브 개폐변위량이 커서 공기의 유통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서 악취배출 정도를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는데 그 이점이 있다.
그리고 악취배출장치 케이싱을 이중용기로 하여서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는 이점도 있다.
또, 양변기 본체로부터 유통되는 공기에 함유된 습기로 인한 여러 장치들의 고장원을 배제시킬 수 있게 되며, 만약 여러 장치들이 작동불능 상태가 되더라도 양변기 본체에서 사이펀작용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다른 이점도 있다.

Claims (3)

  1. 담수부(2)와 이의 하측으로부터 연통되는 상향통로(4)와 이 상향통로(4) 상측으로부터 다시 절곡되는 하향통로(6)와 상기 담수부(2)에 연통되는 다른 통로(8)와 상기 상,하향통로(6)의 연결 부위에서 상측으로 연통되는 또 다른 통로(10)가 형성된 형태로 성형된 양변기 본체(12)의 후부 상측으로 배치되는 수조(14) 내에, 밸브장치(16) 및 급수조절장치(18)와 함께 내장되는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다른 통로(8)의 상측 포트에 수밀 유지되는 상태로 그 하단부가 체결되고, 그 상부 일측 포트를 여닫을 수 있도록 상기한 밸브장치(16)를 이루는 급수제어밸브(40)가 힌지 결합되어지는 3웨이관(22);
    상기한 또 다른 통로(10)의 상측 포트에 수밀 유지되는 상태로 그 하단부가 체결되는 수직관(24);
    그 상측이 부분적으로 다수번 절곡되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한 3웨이관(22)의 상부 타측 포트에 그 하단부가 결합된 이중수직관(26);
    다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그 일측 공간으로 상기 수직관(24) 상단부와 이중수직관(26)의 상부 절곡단이 수밀 상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내측 벽체와 외측 벽체가 이격된 상태로 중첩되는 이중용기로 형성된 장치케이싱(27);
    상기 장치케이싱(27)의 일측 공간에 부분적으로 내재되며, 상기한수직관(24)의 상단부에 연통 및 기밀 상태로 체결되는 공기밸브부(30);
    상기 장치케이싱(27) 일측 공간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장치케이싱(27)의 이중수직관(26) 측 포트에 강제 송풍 배출시키는 송풍장치(28);
    상기한 공기밸브부(30)의 밸브를 여닫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장치케이싱(27)의 타측 공간에 내장되는 밸브개폐장치부(32);
    상기한 밸브개폐장치부(32) 및 송풍장치(28)의 구동 상태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장치케이싱(27)의 상측 공간에 장착되는 콘트롤러(34);
    상기 양변기 본체(12)와 힌지 결합되는 좌대로의 누름력 작용 상태에 따라 온/오프됨으로써, 좌대로 사용자가 착좌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한 콘트롤러(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착좌센서(36);
    상기한 수조(14)내의 버튼레버(70)에 부설되어 있으며, 급수제어밸브(40)의 오픈.크로스 상태를 감지하는 수은스위치로서 상기 콘트롤러(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랩센서(3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밸브부(30)는,
    상기 수직관(24)의 상단과 체결되는 체결단부(42); 상기한 장치케이싱(27)의 일측 공간 저면 벽체에 밀착되도록, 상기 체결단부(42)에서 연장 형성되는 베이스판(44);
    상기 상기 체결단부(42)에서 연장 형성되되, 그 상단면이 빗면으로 이루어지게 형성된 벨브시트부(46);
    상기 밸브시트부(46)의 빗면 아래 측에 위치되는 힌지점을 갖는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44)에 직립 상태로 고정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브라켓(48)(50);
    상기한 한 쌍의 힌지브라켓(48)(50)에 힌지핀(52)으로 장착되어지는 회동부재(54);
    상기 밸브시트부(46)의 개구부를 공기밸브(56)가 항상 닫게 되도록 상기 힌지핀(52) 일측단에 부설된 스프링(53);
    상기 밸브시트부(46)의 개구부를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한 회동부재(54)에 그 상면 중앙 부위가 힌지 결합되는 공기밸브(5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밸브개폐장치부(32)는,
    상기 장치케이싱(27)의 내부 격벽을 관통하여 장치케이싱(27)의 타측 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힌지핀(52)의 단부에 장착되어지는 피니언(60);
    상기 피니언(60)에 교합되도록 구비된 래크부재(62);
    전류의 인가에 따라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직선적으로 움직이는 그의 가동로드(64) 단부가 상기 래크부재(62)의 상단면에 직립 상태로 연장되어지도록 형성 및 구비된 자력발생장치(6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KR20-2002-0029769U 2002-08-05 2002-10-05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KR20031182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321 2002-08-05
KR20020023321 2002-08-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829Y1 true KR200311829Y1 (ko) 2003-05-09

Family

ID=4940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769U KR200311829Y1 (ko) 2002-08-05 2002-10-05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8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0446A (en) Seat cover actuated flushing mechanism for toilet
CA2016488C (en) Toilet deodorizer
JP4847443B2 (ja) 大便器用排気装置及び洗浄装置
US5896591A (en) Toilet air freshener
JPH0542534B2 (ko)
KR200311829Y1 (ko)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JP4411973B2 (ja) 人体検知装置
JPH0566450B2 (ko)
JP4207506B2 (ja) 便器設備
JP2004194998A (ja) 便器装置
KR101707454B1 (ko) 자동 변기 장치
JP4075539B2 (ja) トイレ設備
JP2762902B2 (ja) トイレ電装品の制御方法
JPH0782774A (ja) 脱臭機能付き洗浄便座装置
JPH0786245B2 (ja) 温水供給装置
JP7482428B2 (ja) 便器装置
JP4206711B2 (ja) 便器設備
JPH0613846Y2 (ja) 便器の脱臭構造
WO2022004043A1 (ja) 洋風便器装置および便座装置
KR19980063870U (ko) 좌변기의 자동배수장치
KR20060086754A (ko) 자동 물내림 변기
WO2022050194A1 (ja) 便器装置および便座装置
KR960013301A (ko) 양변기
JP3948372B2 (ja) 便器設備
JPH075008Y2 (ja) 車両用汚物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