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454B1 - 자동 변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변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7454B1 KR101707454B1 KR1020150093402A KR20150093402A KR101707454B1 KR 101707454 B1 KR101707454 B1 KR 101707454B1 KR 1020150093402 A KR1020150093402 A KR 1020150093402A KR 20150093402 A KR20150093402 A KR 20150093402A KR 101707454 B1 KR101707454 B1 KR 1017074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cover
- opening
- closing
- se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자동 변기 장치가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기 장치는, 내부에 변기 공간을 구비하는 변기 본체, 변기 본체의 일측에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변기 본체 상에 안착되는 변기 착석부, 변기 본체의 일측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변기 착석부 상에 안착되는 변기 커버, 변기 착석부 및 변기 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개폐 조작부, 개폐 조작부와 연동되고, 변기 착석부를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폐시키는 변기 착석 개폐부, 및 개폐 조작부와 연동되고, 변기 커버를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폐시키는 변기 커버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변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변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변기에서 물을 내릴 때, 변기 내에서 물 튀김으로 인해 변기 내의 세균들이 변기 밖으로 퍼져나가게 된다. 그로 인해, 변기 주위의 화장실 공간이 세균들로 오염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변기 커버를 닫고 물을 내려야 하나 대부분의 사용자가 변기 커버 닫는 것을 번거로워하거나 잊어버려 변기 커버가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물을 내리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2254호(2012.08.21)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장실 공간 내의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자동 변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 변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기 장치는, 내부에 변기 공간을 구비하는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의 일측에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변기 본체 상에 안착되는 변기 착석부; 상기 변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변기 착석부 상에 안착되는 변기 커버; 상기 변기 착석부 및 상기 변기 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개폐 조작부; 상기 개폐 조작부와 연동되고, 상기 변기 착석부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폐시키는 변기 착석 개폐부; 및 상기 개폐 조작부와 연동되고, 상기 변기 커버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폐시키는 변기 커버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 변기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용변 종류를 판별하는 대소변 판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기 커버 개폐부는, 상기 사용자의 용변 종류에 따라 상기 변기 커버의 닫힘 속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자동 변기 장치는, 상기 변기 커버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변기 공간으로 물을 배출하는 물내림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내림 조절부는, 상기 변기 커버의 닫힘 동작 시 상기 변기 커버가 상기 변기 본체와 이루는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변기 공간으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자동 변기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용변 종류를 판별하는 대소변 판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소변 판별부는, 상기 변기 착석부 및 상기 변기 커버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용변 자세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자동 변기 장치는, 상기 변기 커버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변기 공간으로 물을 배출하는 물내림 조절부; 및 상기 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변기 본체와 대향하는 상기 변기 커버의 일면을 살균하도록 마련되는 변기 커버 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기 착석부 및 상기 변기 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 시 자유 낙하 구간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변기 착석부 및 상기 변기 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 시 초기에 모터에 의한 구동력으로 회전하고, 상기 변기 본체 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변기 본체와 이루는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가 될때까지 자유 낙하하며, 상기 자유 낙하 후 상기 자유 낙하의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하강하도록 상기 모터에 의한 구동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개폐 조작부를 통해 변기 착석부 및 변기 커버의 개폐를 조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한 자세 및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정확히 변기 착석부 및 변기 커버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변을 보기 전과 용변을 본 후, 사용자가 변기 착석부 및 변기 커버에 손을 대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세균 등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용변이 대변인 경우 변기 커버의 닫힘 속도를 소변인 경우 변기 커버의 닫힘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함으로써, 대변 냄새가 변기 공간 밖으로 유출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변기 커버가 하강하는 일부 구간 동안 자유 낙하하여 하강하게 하고 그 이후 모터에 의한 구동력으로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변기 커버를 신속하게 닫으면서도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용변 종류가 대변인 경우, 변기 커버의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 이하가 되면 물 내림 동작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대변이 변기 공간 내에 머무르는 시간을 최소화하면서도 변기 내의 세균들이 변기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기 커버를 닫고 물 내림 동작을 수행한 후, 변기 커버를 살균함으로써, 변기 내의 세균들이 변기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변기 커버에 남아 있는 세균들도 살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기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 변기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자동 변기 장치(100)는 개폐 조작부(102), 변기 착석 개폐부(104), 변기 커버 개폐부(106), 물 내림 조절부(108), 대소변 판별부(110), 및 변기 커버 살균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동 변기 장치(100)는 일반적인 변기의 기본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변기 장치(100)는 변기 본체(151), 변기 착석부(153), 변기 커버(155), 및 변기 저수조(157)를 포함할 수 있다.
변기 본체(151)는 내부에 변기 공간(S)을 구비한다. 변기 착석부(153)는 변기 본체(15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변기 착석부(153)는 변기 본체(151)의 후단부 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폐 될 수 있다. 변기 착석부(153)가 닫힌다는 것은 변기 착석부(153)가 변기 본체(151) 측으로 회전(이하,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지칭될 수 있음)되어 변기 본체(151)에 안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변기 착석부(153)가 열린다는 것은 변기 착석부(153)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이하, 제2 방향으로 지칭될 수 있음)으로 회전되어 젖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변기 커버(155)는 변기 본체(15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변기 커버(155)는 변기 본체(151)의 후단부 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폐 될 수 있다. 변기 착석부(153)와 변기 커버(155)는 회전축을 공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 독립된 회전축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변기 커버(155)가 닫힌다는 것은 변기 커버(155)가 변기 본체(151) 측으로 회전(즉,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변기 착석부(153)에 안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변기 커버(155)가 열린다는 것은 변기 커버(155)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젖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변기 저수조(157)는 변기 본체(151)의 내부 공간으로 세정수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변기 저수조(157)는 변기 본체(151)의 후단부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폐 조작부(102)는 사용자가 변기 착석부(153) 및 변기 커버(155) 중 적어도 하나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개폐 조작부(102)는 자동 변기 장치(100)가 설치된 바닥면(F)에 장착될 수 있다. 개폐 조작부(102)는 버튼 또는 페달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개폐 조작부(102)를 발로 밟아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폐 조작부(102)는 자동 변기 장치(100)에 설치된 공간의 벽면에 장착되거나 자동 변기 장치(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개폐 조작부(102)는 터치에 의해 조작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개폐 조작부(102)는 제1 개폐 조작부(102-1) 및 제2 개폐 조작부(10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폐 조작부(102-1)는 변기 착석부(153)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고, 제2 개폐 조작부(102-2)는 변기 커버(155)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개폐 조작부(102-1)에는 변기 착석부(153)를 닫기 위한 조작부 및 변기 착석부(153)를 열기 위한 조작부가 각각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조작부로 변기 착석부(153)를 개폐를 모두 조작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개폐 조작부(102-2)에는 변기 커버(155)를 닫기 위한 조작부 및 변기 커버(155)를 열기 위한 조작부가 각각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조작부로 변기 커버(155)를 개폐를 모두 조작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용변을 보기 위한 자세(용변 자세)와 변기 착석부(153) 및 변기 커버(155)의 개폐 상태에 따라 개폐 조작부(102)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용변 자세는 서서 용변을 보는 경우와 앉아서 용변을 보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1) 사용자가 서서 용변을 보는 경우
사용자가 서서 용변을 보려고 하는데, 변기 착석부(153) 및 변기 커버(155)가 모두 닫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1 개폐 조작부(102-1) 및 제2 개폐 조작부(102-2)를 통해 변기 착석부(153) 및 변기 커버(155)가 열리도록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서서 용변을 보려고 하는데, 변기 착석부(153)는 닫혀 있고, 변기 커버(155)는 열려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1 개폐 조작부(102-1)를 통해 변기 착석부(153)가 열리도록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서 용변을 본 후, 제1 개폐 조작부(102-1) 및 제2 개폐 조작부(102-2)를 통해 변기 착석부(153) 및 변기 커버(155)가 닫히도록 조작할 수 있다.
(2)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보는 경우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보려고 하는데, 변기 착석부(153) 및 변기 커버(155)가 모두 닫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2 개폐 조작부(102-2)를 통해 변기 커버(155)가 열리도록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보려고 하는데, 변기 착석부(153) 및 변기 커버(155)가 모두 열려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1 개폐 조작부(102-1)를 통해 변기 착석부(153)가 닫히도록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앉아서 용변을 본 후, 제2 개폐 조작부(102-2)를 통해 변기 커버(155)가 닫히도록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개폐 조작부(102)를 통해 변기 착석부(153) 및 변기 커버(155)의 개폐를 조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한 자세 및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정확히 변기 착석부(153) 및 변기 커버(155)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변을 보기 전과 용변을 본 후, 사용자가 변기 착석부(153) 및 변기 커버(155)에 손을 대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세균 등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변기 착석 개폐부(104)는 제1 개폐 조작부(102-1)와 연동하여 변기 착석부(153)를 개폐시킬 수 있다. 변기 착석 개폐부(104)는 제1 개폐 조작부(102-1)와 기계적으로 연동될 수도 있고, 전기적으로 연동될 수도 있다. 변기 착석 개폐부(104)는 제1 개폐 조작부(102-1)와 연동하여 변기 착석부(153)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변기 착석 개폐부(104)는 회전축(미도시)을 기준으로 변기 착석부(153)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변기 착석 개폐부(104)는 변기 착석부(153)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변기 착석 개폐부(104)는 변기 착석부(153)를 닫을 때, 변기 착석부(153)가 자유 낙하 구간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기 착석 개폐부(104)는 변기 착석부(153)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변기 착석부(153)를 닫을 때, 변기 착석부(153)가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 이하가 될때까지는 변기 착석부(153)가 자유 낙하하도록 하고, 변기 착석부(153)의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 미만이 될 때는 모터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변기 본체(151)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변기 착석 개폐부(104)는 제1 방향으로의 회전 초기에만 모터에 의한 구동력으로 변기 착석부(15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변기 착석부(153)가 변기 본체(151) 측으로 기울어져서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할 때까지 제1 방향으로의 회전 초기에만 모터에 의한 구동력으로 변기 착석부(15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변기 착석부(153)의 자유 낙하는 변기 착석부(153)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전원 제어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기 착석부(153)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연동되는 기어에 자유 낙하 구간과 대응하여 맞물림이 없는 구간을 마련할 수도 있다.
변기 커버 개폐부(106)는 제2 개폐 조작부(102-2)와 연동하여 변기 커버(155)를 개폐시킬 수 있다. 변기 커버 개폐부(106)는 제2 개폐 조작부(102-2)와 기계적으로 연동될 수도 있고, 전기적으로 연동될 수도 있다. 변기 커버 개폐부(106)는 제2 개폐 조작부(102-2)와 연동하여 변기 커버(155)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변기 커버 개폐부(106)는 회전축(미도시)을 기준으로 변기 커버(155)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변기 커버 개폐부(106)는 변기 커버(155)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변기 커버 개폐부(106)도 변기 커버(155)를 닫을 때, 변기 커버(155)가 자유 낙하하는 구간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변기 커버 개폐부(106)는 사용자의 용변 종류에 따라 변기 커버(155)의 닫힘 속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변기 커버 개폐부(106)는 사용자의 용변이 대변인 경우 변기 커버(155)의 닫힘 속도(또는 닫힘 시간)를 소변인 경우 변기 커버(155)의 닫힘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대변 냄새가 변기 공간(S) 밖으로 유출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용변이 소변인 경우, 변기 커버(155)는 기 설정된 속도(예를 들어, 자유 낙하 속도보다는 느린 속도)로 하강하여 닫혀질 수 있다. 반면, 사용자의 용변이 대변인 경우, 변기 커버(155)는 하강하는 일부 구간 동안 자유 낙하하여 하강하고, 그 이외의 구간에서는 기 설정된 속도로 하강하여 닫혀질 수 있다. 이때, 변기 커버(155)가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 이하가 될때까지는 변기 커버(155)가 자유 낙하하도록 하고, 변기 커버(155)의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 미만이 될 때는 모터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변기 착석부(153)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변기 커버(155)를 신속하게 닫으면서도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변기 커버 개폐부(106)는 대소변 판별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용변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물 내림 조절부(108)는 변기 커버(155)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물 내림 조절부(108)는 변기 커버(155)의 닫힘 동작 시 변기 커버(155)의 각도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즉, 물 내림 조절부(108)는 변기 커버(155)가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 이하가 되는 경우 작동하여 변기 저수조(157)의 세정수를 변기 공간(S)으로 배출할 수 있다. 물 내림 조절부(108)는 변기 커버(155)가 완전히 닫히기 전이라도 변기 커버(155)의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 이하가 되면 동작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각도는 물 튀김으로 인해 변기 내의 세균들이 변기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일정 수준 이상 방지할 수 있는 각도일 수 있다. 물 내림 조절부(108)는 사용자의 용변 종류가 대변인 경우, 변기 커버(155)의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 이하가 되면 동작될 수 있다. 이로써, 대변이 변기 공간(S) 내에 머무르는 시간을 최소화하면서도 변기 내의 세균들이 변기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물 내림 조절부(108)는 변기 커버 개폐부(106)의 모터 회전수 또는 변기 커버 개폐부(106)의 회전축의 위치 등에 따라 변기 커버(155)의 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물 내림 조절부(108)는 사용자의 용변 종류에 따라 변기 공간(S)으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내림 조절부(108)는 사용자의 용변이 소변인 경우는 대변인 경우보다 배출되는 물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물 내림 조절부(108)는 대소변 판별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용변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대소변 판별부(110)는 사용자의 용변 종류를 판별하는 역할을 한다. 대소변 판별부(110)는 변기 착석부(153) 및 변기 커버(155)의 개폐 상태와 용변의 냄새에 따라 사용자의 용변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소변 판별부(110)는 변기 착석부(153) 및 변기 커버(155)의 개폐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용변 자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기 착석부(153) 및 변기 커버(155)가 모두 닫혀 있는 상태에서 개폐 조작부(102)에 의해 모두 열리게 되는 경우 또는 변기 착석부(153)는 닫혀 있고 변기 커버(155)는 열려 있는 상태에서 개폐 조작부(102)에 의해 변기 착석부(153)가 열리게 되는 경우, 대소변 판별부(110)는 사용자가 서서 용변을 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센서 없이도 사용자의 용변 자세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기 착석부(153) 및 변기 커버(155)가 모두 열려 있는 상태에서 개폐 조작부(102)에 의해 변기 착석부(153)만 닫힌 경우 또는 변기 착석부(153) 및 변기 커버(155)가 모두 닫혀 있는 상태에서 개폐 조작부(102)에 의해 변기 커버(155)만 열리는 경우, 대소변 판별부(110)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서서 용변을 보는 경우, 대소변 판별부(110)는 사용자의 용변의 종류가 소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보는 경우, 대소변 판별부(110)는 용변의 냄새에 따라 사용자의 용변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소변 판별부(110)는 냄새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용변이 대변인지 소변인지에 따라 용변의 냄새가 다르므로, 냄새 센서를 통해 용변의 냄새를 감지하면 사용자의 용변이 대변인지 아니면 소변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변기 커버 살균부(112)는 변기 커버(155)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용변을 본 후 개폐 조작부(102)를 통해 변기 커버(155)를 닫게 된다. 이때, 변기 커버(155)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물 내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변기 커버(155)는 물 내림에 의해 세균들이 변기 공간(S)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지만, 변기 커버(155) 자체는 세균들에 의해 오염되게 된다. 이에, 변기 커버 살균부(112)를 통해 변기 커버(155)를 살균하게 된다.
변기 커버 살균부(112)는 물 내림 조절부(108)에 의한 물 내림과 연동하여 변기 커버(155)를 살균할 수 있다. 변기 커버 살균부(112)는 물 내림 조절부(108)에 의해 물 내림이 이루어지고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변기 커버(155)를 살균할 수 있다. 또는, 변기 커버 살균부(112)는 물 내림 조절부(108)에 의해 물 내림이 이루어지는 동안 변기 커버(155)를 살균할 수 있다. 변기 커버 살균부(112)는 변기 커버(155)의 일면(즉, 변기 본체(151)를 향하는 면)을 살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변기 커버 살균부(112)는 변기 커버(155)가 닫힌 상태에서 변기 커버(155)를 살균할 수 있다.
변기 커버 살균부(112)는 변기 공간(S) 내에 마련될 수 있다. 변기 커버 살균부(112)는 변기 공간(S) 내에서 변기 커버(155) 측을 향하여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변기 커버 살균부(112)의 장착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변기 커버 살균부(112)는 변기 커버(155)로 세정제를 배출하는 세정제 배출부 및 변기 커버(155)로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변기 커버 살균부(112)는 세정제로 변기 커버(155)를 씻은 후 바람으로 변기 커버(155)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변기 커버 살균부(112)는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변기 커버 살균부(112)는 변기 커버(155)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변기 커버(155)를 살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자동 변기 장치
102 : 개폐 조작부
102-1 : 제1 개폐 조작부
102-2 : 제2 개폐 조작부
104 : 변기 착석 개폐부
106 : 변기 커버 개폐부
108 : 물 내림 조절부
110 : 대소변 판별부
112 : 변기 커버 살균부
151 : 변기 본체
153 : 변기 착석부
155 : 변기 커버
157 : 변기 저수조
102 : 개폐 조작부
102-1 : 제1 개폐 조작부
102-2 : 제2 개폐 조작부
104 : 변기 착석 개폐부
106 : 변기 커버 개폐부
108 : 물 내림 조절부
110 : 대소변 판별부
112 : 변기 커버 살균부
151 : 변기 본체
153 : 변기 착석부
155 : 변기 커버
157 : 변기 저수조
Claims (7)
- 내부에 변기 공간을 구비하는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의 일측에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변기 본체 상에 안착되는 변기 착석부;
상기 변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변기 착석부 상에 안착되는 변기 커버;
상기 변기 착석부 및 상기 변기 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개폐 조작부;
상기 개폐 조작부와 연동되고, 상기 변기 착석부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폐시키는 변기 착석 개폐부;
상기 개폐 조작부와 연동되고, 상기 변기 커버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폐시키는 변기 커버 개폐부;
상기 사용자의 용변 종류를 판별하는 대소변 판별부; 및
상기 변기 커버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변기 공간으로 물을 배출하는 물내림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기 커버 개폐부는, 상기 사용자의 용변 종류에 따라 상기 변기 커버의 닫힘 속도를 다르게 조절하고,
상기 물내림 조절부는, 상기 변기 커버의 닫힘 동작 시 상기 변기 커버가 상기 변기 본체와 이루는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변기 공간으로 물을 배출하는, 자동 변기 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판별부는, 상기 변기 착석부 및 상기 변기 커버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용변 자세를 확인하는, 자동 변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변기 장치는,
상기 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변기 본체와 대향하는 상기 변기 커버의 일면을 살균하도록 마련되는 변기 커버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변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기 착석부 및 상기 변기 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 시 자유 낙하 구간을 갖도록 마련되는, 자동 변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기 착석부 및 상기 변기 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 시 초기에 모터에 의한 구동력으로 회전하고, 상기 변기 본체 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변기 본체와 이루는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가 될때까지 자유 낙하하며, 상기 자유 낙하 후 상기 자유 낙하의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하강하도록 상기 모터에 의한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자동 변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3402A KR101707454B1 (ko) | 2015-06-30 | 2015-06-30 | 자동 변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3402A KR101707454B1 (ko) | 2015-06-30 | 2015-06-30 | 자동 변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3137A KR20170003137A (ko) | 2017-01-09 |
KR101707454B1 true KR101707454B1 (ko) | 2017-02-17 |
Family
ID=57811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3402A KR101707454B1 (ko) | 2015-06-30 | 2015-06-30 | 자동 변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745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9504B1 (ko) | 2017-01-09 | 2021-04-14 |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 Txop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7668Y1 (ko) * | 2002-07-19 | 2002-12-12 | 한상필 | 무인 전자동 화장실 |
KR101315294B1 (ko) * | 2012-08-16 | 2013-10-07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변기의 시트커버 작동식 수세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8837B1 (ko) * | 2007-09-06 | 2009-05-22 | 주식회사 노비타 | 변기 시트 및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
KR101296343B1 (ko) | 2011-02-11 | 2013-08-14 | 베스트오토앤시트 주식회사 | 직수형변기에 적용하는 인체 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
KR20140078505A (ko) * | 2012-12-17 | 2014-06-25 | 김범 | 자동 물내림 변기 커버 |
-
2015
- 2015-06-30 KR KR1020150093402A patent/KR1017074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7668Y1 (ko) * | 2002-07-19 | 2002-12-12 | 한상필 | 무인 전자동 화장실 |
KR101315294B1 (ko) * | 2012-08-16 | 2013-10-07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변기의 시트커버 작동식 수세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3137A (ko) | 2017-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7454B1 (ko) | 자동 변기 장치 | |
KR100804307B1 (ko) | 변기 커버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물 내림 시스템 및 물내림 방법 | |
KR20150056708A (ko) | 자동 변기 장치 | |
KR102007945B1 (ko) | 스마트 양변기 | |
JP2008280672A (ja) | 衛生洗浄装置 | |
KR20170074060A (ko) | 발판부가 구비된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 | |
KR101257204B1 (ko) | 자동 작동 변기 | |
US20100037379A1 (en) | Interchangeable toilet tank with urinal | |
JP7346896B2 (ja) | 便座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 |
JP2022177893A (ja) | トイレ装置 | |
JP2021137118A (ja) | 便座装置 | |
KR20060086754A (ko) | 자동 물내림 변기 | |
JP2020148015A (ja) | 便座装置 | |
JP7449725B2 (ja) | 便器装置 | |
KR20150020749A (ko) | 자동 하강되는 좌변기의 변기커버 | |
JP7342405B2 (ja) | 便座装置 | |
JP2021141962A (ja) | 便器装置 | |
US20240191486A1 (en) | Bidet | |
JP7369977B2 (ja) | 便器装置および便座装置 | |
JP2007270584A (ja) | 生体情報測定便器 | |
KR200311829Y1 (ko) |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 |
JP2021141959A (ja) | 便器装置 | |
JP7373131B2 (ja) | 便座装置 | |
WO2022004043A1 (ja) | 洋風便器装置および便座装置 | |
JP7380327B2 (ja) | 便座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