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779Y1 - 일회용 잎녹차 팩 - Google Patents

일회용 잎녹차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779Y1
KR200311779Y1 KR20-2003-0003306U KR20030003306U KR200311779Y1 KR 200311779 Y1 KR200311779 Y1 KR 200311779Y1 KR 20030003306 U KR20030003306 U KR 20030003306U KR 200311779 Y1 KR200311779 Y1 KR 2003117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mold member
pack
tea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춘호
Original Assignee
주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춘호 filed Critical 주춘호
Priority to KR20-2003-0003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7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7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7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잎녹차 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물에서 부양되는 경량재의 상단형틀부재(15)와 물속에서 가라앉는 중량재의 하단형틀부재(16) 사이에 일정한 체적 및 공간부가 유지되도록 망사나 미세한 차물출입공이 조밀하게 형성된 연질의 플라스틱수지재로 이루어진 걸름망(11)이 상기 양 부재를 감싸도록 씌여져 미사용시에는 상기 상단형틀부재(15)와 하단형틀부재(16)가 상호 포개져 최소의 부피를 갖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에 분쇄되지 않은 건조된 녹차잎(40)이 채워져 찻잔(30)의 차물(35)에 담가져 사용되는 경우 상단형틀부재(15)와 하단형틀부재(16) 사이의 걸름망(11)이 곧게 펼쳐져 내부에 채워진 녹차잎(40)이 원활하게 우려날수 있는 충분한 내측공간부(13)가 마련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하단형틀부재(16)는 상단형틀부재(15)보다 내경 또는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형틀부재(15) 또는 하단형틀부재(16)중 어느 일측의 내주연에 구비된 망사나 합성수지재의 걸름망(11) 중심부는 절단된 양단이 상호 겹쳐져 밀폐되는 이중겹침부(14) 구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 일회용 잎녹차 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잎녹차 팩{A PACK OF THE INSTANT LEAFLET GREEN TEA}
본 고안은 일회용 잎녹차 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에서 부양되는 상단형틀부재와 물속에서 가라앉는 하단형틀부재, 상기 상단형틀부재 및 하단형틀부재를 미세한 차물출입공이 조밀하게 형성된 걸름망이 감싸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에 건조된 녹차잎이 넣어져 찻잔의 차물에 담가진 경우 상단형틀부재와 하단형틀부재 사이가 펼쳐지고, 미사용시에는 상단형틀부재와 하단형틀부재가 상호 포개져 최소부피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잎녹차 팩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일반 가정에서나 사무실 등에서 손쉽게 차를 마실 수 있도록 근래에는 일회용으로 다양한 차(茶) 재료가 제공되고 있으며, 음료용으로 제공되는 일회용 차 재료중에서 향긋한 맛과 고풍스런 분위기를 즐길 수 있는 것은 아마도 전통차가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전통차 중에서도 고유의 향과 맛으로 연령고하를 막론하고 널리 보급되어 어디서나 손쉽게 마실 수 있도록 제공되는 녹차는 이용하는 연령층이나 기호가들이 많은 차종(茶種)으로서, 녹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짐으로써 녹차 성분이 건강에 유익하다는 장점이 널리 알려지면서 다양한 종류의 녹차식품도 더불어 선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본 고안은 녹차잎을 가공하여 티백(Tea-Bag)형태로 제공되는 일회용 가루녹차에 관한 것이 아니라 채취된 녹차잎을 가공하지 않은 건조된 상태로 제공되는 잎녹차를 우려내는데 쓰이는 잎녹차 팩에 관한 것이다.
즉, 종래에 제공되었던 잎녹차는 차나무에서 채취되어 건조된 상태로 봉지와 같은 일정한 용기에 채워져 일반 소비자들에게 공급되었으며, 일반 소비자들은 이러한 잎녹차를 구입한 후에 데워진 물에 녹차잎을 소량 띄워 녹차잎에서 우려나온 차를 마실 수 있었다.
따라서, 통상 이러한 잎녹차는 일반적으로 가공 포장되어 티백으로 제공되는 가루녹차와 같이 일회용으로 제공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잎녹차의 경우에는 일정한 부피의 용기에 보관되거나 제공되기 때문에 이 용기를 휴대하고 다닐 수 없어 어느 장소에서나 마실 수 있는 일회용으로 제공되기 보다는 일반가정이나 찻집, 사무실 등에서 여러가지의 다기(茶器)가 구비된 장소에서 이용되거나, 손님의 접대시에 보편적으로 이용되었으나 그 이용에 불편함이 많았다.
여러 불편함 중에서도 특히, 잎녹차를 데워진 물에 띄워 차잎에서 우려난 차를 마시는 경우 우려난 녹차잎이 찻잔 내부에 떠있기 때문에 차를 마실때 음용자가 차물 위에 떠있는 녹차잎을 입으로 훌훌 불면서 조심스럽게 마셔야 함으로써 그 이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으며, 입으로 미쳐 불어내지 못하는 경우에는 녹차잎이 차와 함께 입속으로 유입되어 음용자는 녹차잎을 뱉어내거나 뱉어내기 어려운 경우에는 이를 씹어서 삼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품격있는 다(茶) 문화에 어울리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잎녹차를 우려낸 차의 음용시에 발생되었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다기가 구비되지 않은 불특정 장소에서도 간단하게 잎녹차로 우려낸 차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잎녹차 팩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녹차 애호가들이 간단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녹차의 참맛을 갖는 잎녹차를 어디서나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잎녹차로 차를 우려낸 후에 차를 마실때 겪었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일회용 잎녹차 팩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잎녹차 팩은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물에서 부양되는 경량재의 상단형틀부재와 물에서 가라앉는 중량부재의 하단형틀부재 사이에 일정한 체적 및 공간부가 유지되도록 미세한 차물출입공이 조밀하게 형성된 걸름망이 상기 양 부재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미사용시에는 상기 상단형틀부재와 하단경량부재가 상호 포개져 최소의 부피를 갖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에 분쇄되지 않은 건조된 녹차잎이 채워져 찻잔의 물에 담가져 사용되는 경우 상단형틀부재와 하단형틀부재 사이의 걸름망이 곧게 펼쳐져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하단형틀부재는 상단중량부재의 내경 또는 지름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상기 상단형틀부재 또는 하단형틀부재 내측의 망사나 합성수지재의 걸름망 중심부는 절단된 양단이 상호 겹쳐져 밀폐되는 이중겹침부 구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잎녹차 팩의 압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잎녹차 팩의 전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잎녹차 팩에 녹차잎이 채워진 상태에서 사용을 위해 전개된 상태의 절단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녹차팩의 압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잎녹차 팩의 전개상태 및 일부 절단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잎녹차 팩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 잎녹차 팩(PACK) 11 : 걸름망
12 : 차물출입공 13 : 내측공간부
14 : 이중겹침부 15 : 상단형틀부재
16 : 하단형틀부재 20 : 인출용 끈
30 : 찻잔 40 : 녹차잎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잎녹차 팩(10)(10a)은 내부에 녹차잎이 채워진 상태에서 데워진 물속에 잎녹차 팩(10)(10a)을 담가 그 내부에 채워진 녹차잎에서 우려나오는 차를 마실 수 있도록 하고, 녹차잎에서 우려낸 차를 마실때 녹차잎이 차와 함께 입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으며, 물속에 담겨진 잎녹차 팩이 데워진 물속에서 전체적으로 곧게 펴져 녹차잎에서 녹차의 고유 성분이 충분히 우려나도록 하는 구조와 형상을 제공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잎녹차 팩을 도시하고 있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잎녹차 팩의 사용상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잎녹차 팩은 상단부에 구비된 상단형틀부재(15)와 하단에 구비되는 하단형틀부재(16)의 형상에 따라 박스형이나 마름모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가능하며, 그 크기는 통상 찻잔이나 음료용 컵에 담가질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며, 재질은 물에 담가진 상태에서 팩의 전체 형상이 유지되면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배출되지 않는 식음료용의 연질 합성수지재나 망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질합성수지재의 경우 그 전체 표면에 조밀한 구조의 차물출입공(1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잎녹차 팩은 상단형틀부재(15)와 하단형틀부재(16)가 구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단형틀부재(15)와 하단형틀부재(16)를 동시에 감싸면서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점차 내경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망사형의 걸름망(11)은 결합되어 하단형틀부재(16)가 수평면상에 놓여지는 경우 안정된 자세를 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1에는 포장 및 휴대시와 같은 미사용시에 상단형틀부재(15)와 하단형틀부재(16) 사이의 걸름망(11)이 접철되어 상단형틀부재(15)와 하단형틀부재(16)가 상호 포개지는 잎녹차 팩의 압착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이의 전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단형틀부재(15)는 그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中空)타입으로 이루어져 차물속에 담가진 경우 부양될 수 있는 경량재로 이루어지고, 하단형틀부재(16)는 그 내부가 채워져 있는 중실(中實)형으로 이루어져 차물속에 담가진 경우 찻잔 내측 바닥면으로 가라앉을 수 있는 중량부재로 제작되며, 도 3에는 상단형틀부재(15)와 하단형틀부재(16) 사이의 걸름망(11) 내측에 미분말상태의 건조된 녹차잎(40)이 채워진 상태의 절단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형틀부재(15)와 하단형틀부재(16)를 동시에 감싸면서 양 부재 사이에 일정한 체적 또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걸름망(11)은 인체에 무해한 식품포장용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상단형틀부재(15) 및 하단형틀부재(16)의 내주연에 구비되는 망사 또는 합성수지재의 걸름망(11) 중심부는 절단된 양단이 상호 겹쳐져 밀폐되는 이중겹침부(17) 구조로 이루어져 빈 팩으로 제공되는 경우 일반 사용자들이 자신의 취향에 알맞는 녹차잎의 양을 이중겹침부(17) 사이를 통해 팩 내부에 채워서 차를 우려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하단형틀부재(16)의 중심부에 이중겹침부(14)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잎녹차 팩(10a)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팩의 형상이 박스형으로 이루어지고, 팩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상단형틀부재(15)와 하단형틀부재(16)가 구비되어 연질 합성수지재의 걸름망(11)에 의해 상기 양 부재가 감싸여서 일정한 체적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단형틀부재(15)와 하단형틀부재(16) 사이에 구비된 걸름망(11)에는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어 미사용시에 상단형틀부재 (15)와 하단형틀부재(16)가 상호 포개져 최소의 부피를 갖도록 구성되고, 찻잔(30)의 차물(35)에 담가진 상태에서는 상단형틀부재(15)와 하단형틀부재(16) 사이가 반듯하게 전개되면서 그 내부에 채워진 녹차잎(40)이 곧게 펼쳐져 녹차가 원활하게 우려나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잎녹차 팩(10)(10a)의 내부에 녹차잎(40)을 채워넣은 후에 찻잔(30)에 담가서 차물을 우려낼 때, 잎녹차 팩(10)(10a)의 내부로부터 녹차가 원활하게 우려날 수 있도록 팩을 젓거나 녹차가 우려난 후에 팩을 찻잔에서 꺼낼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상단형틀부재(15)의 걸름망(11) 일측에인출용끈(20)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잎녹차 팩에 대한 작용에 대해서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잎녹차 팩(10)은 그 내부에 일정량의 녹차잎(40)이 채워진 후에 포장되어 압착된 상태로 제공되는 경우, 녹차잎이 충진된 상태의 일회용 잎녹차 팩을 구입한 소비자는 포장지를 벗겨낸 후에 차물(35)이 준비된 찻잔(30)에 상기 팩(10)을 접어넣어 펼쳐서 하단형틀부재(16)부터 차물에 담그게 되면 서서히 잎녹차 팩이 찻잔의 내부 하단으로 가라앉게 되며, 이때 상단형틀부재(15)가 가벼운 경량재로 이루어져 부양되기 때문에 팩이 상단형틀부재 (15)와 하단형틀부재(16)의 형상에 따라 펼쳐지면서 그 내부에 채워진 녹차잎이 우려나게 된다.
또한, 팩(10) 내부에 녹차잎(40)을 충진하지 않고 빈 팩으로 제공되는 경우, 일반소비자들은 상단형틀부재(15)나 하단형틀부재(16) 중 어느 일측면에 형성된 이중겹침부(14)를 통해 별도로 구입한 잎녹차를 취향에 맞을 정도의 양만큼 채워넣은 후에 차물(35)이 준비된 찻잔(30) 내부에 잎녹차 팩(10)을 집어넣게 되면 중량이 가벼워 물속에서 부양될려는 상단형틀부재(15)와 중량이 무거워 물속으로 가라 앉으려고 하는 하단형틀부재(16)에 의해 양 부재 사이의 걸름망(11)이 전개되면서 차물(35)과 접촉한 녹차잎(40)이 걸름망(11)의 내측공간부(13)에서 각각 곧게 전개되면서 녹차의 고유성분이 원활하게 우려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녹차잎(40)을 본 고안에 따른 잎녹차 팩(10)(10a)에 넣어 차를 우려내어 마시는 경우 종래와 같이 차물(35)에 녹차잎(40)이 떠다니지 않기 때문에 차를 마실때 입으로 녹차잎을 불어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 차를 마시기가 간편하며, 접대시에도 상대방에게 결례가 될 수 있는 행동을 삼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잎녹차 팩(10)(10a)은 그 내부에 채워진 녹차잎(40)이 차물에서 우려날때 팩 내부에 충분한 내측공간부(13)가 마련되기 때문에 건조되어 말아진 녹차잎이 곧게 전개되면서 전체 녹차잎으로부터 차성분이 골고루 우려나와 녹차의 향과 맛을 오래도록 즐길 수 있으며, 특히 한번 녹차를 우려낸 후에도 수회에 걸쳐서 녹차를 우려낼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 티백이나 낱개로 분리된 녹차잎이 찻잔의 차물에 우려나와 국부적으로 퍼지기 때문에 티백과 낱개의 녹차잎이 위치하는 부위와 다른 부위간에 균일한 차맛을 제공하지 못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잎녹차 팩은 찻잔의 중심부에 놓여지기 때문에 찻잔 내부에 채워진 차물에 균일한 녹차맛이 우려나도록 하여 차를 마시는 이용자에게 더욱 향상된 차맛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잎녹차 팩(10)(10a)이 내부에 녹차잎(40)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일반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경우, 소비자들이 빈 잎녹차 팩(10)(10a)을 구입한 후에 본인의 취향에 알맞은 정도의 녹차잎(40)을 이중겹침부(14)를 통해 팩 내부로 집어 넣어 차를 우려낼 수 있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잎녹차 팩은 내부에 녹차잎을 넣어서 판매하거나 또는 빈 잎녹차 팩만 판매할 수 있어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녹차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잎녹차팩의 경우 미사용시에 걸름망이 접혀져 최소의 부피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에도 용이하도록 하여 어디서나 차물이 준비되면 녹차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잎녹차 팩은 차물을 마련할 수 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일회용으로 잎녹차를 즐길 수 있도록 하며, 녹차를 마실때 우려난 녹차잎을 불면서 차를 마셔야 했던 종래의 불편함을 없애 그 음용이 편리하도록 하며, 녹차잎이 채워지지 않은 빈 팩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자기 취향에 따라 팩에 채워지는 녹차잎의 양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 차맛을 더욱 즐길 수 있도록 한다.

Claims (4)

  1.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물에서 부양되는 경량재의 상단형틀부재와 물속에서 가라앉는 중량재의 하단형틀부재 사이에 일정한 체적 및 공간부가 유지되도록 망사나 미세한 차물출입공이 조밀하게 형성된 연질의 플라스틱수지재로 이루어진 걸름망이 상기 양 부재를 감싸도록 씌여져 미사용시에는 상기 상단형틀부재와 하단형틀부재가 상호 포개져 최소의 부피를 갖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에 분쇄되지 않은 건조된 녹차잎이 채워져 찻잔의 차물에 담가져 사용되는 경우 상단형틀부재와 하단형틀부재 사이의 걸름망이 곧게 펼쳐져 내부에 채워진 녹차잎이 원활하게 우려날수 있는 충분한 공간부가 마련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잎녹차 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형틀부재는 상단형틀부재보다 내경 또는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잎녹차 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형틀부재 또는 하단형틀부재중 어느 일측의 내주연에 구비된 망사나 합성수지재의 걸름망 중심부는 절단된 양단이 상호 겹쳐져 밀폐되는 이중겹침부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잎녹차 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형틀부재의 상면에 씌여진 걸름망의 표면에는 일정길이의 인출용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잎녹차 팩.
KR20-2003-0003306U 2003-02-05 2003-02-05 일회용 잎녹차 팩 KR2003117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306U KR200311779Y1 (ko) 2003-02-05 2003-02-05 일회용 잎녹차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306U KR200311779Y1 (ko) 2003-02-05 2003-02-05 일회용 잎녹차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779Y1 true KR200311779Y1 (ko) 2003-05-09

Family

ID=4940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306U KR200311779Y1 (ko) 2003-02-05 2003-02-05 일회용 잎녹차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7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036U (ko) * 2016-02-05 2016-03-30 김도담 스틱형 티백과 이를 포함한 차 제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036U (ko) * 2016-02-05 2016-03-30 김도담 스틱형 티백과 이를 포함한 차 제품
KR200492748Y1 (ko) * 2016-02-05 2020-12-04 김도담 스틱형 티백과 이를 포함한 차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18295A1 (en) Brew-in-the-cup disposable beverage assembly
US20180257853A1 (en) Paper-made coffee dripper for use in drip-brewing coffee
US20030015630A1 (en) Plush bottle holder
KR200311779Y1 (ko) 일회용 잎녹차 팩
KR200492748Y1 (ko) 스틱형 티백과 이를 포함한 차 제품
US7744939B2 (en) Weighted infusion beverage package
WO2005013775A1 (en) Device for making a beverage
JP3229596U (ja) 桜花入りインスタントお茶パック
KR200480810Y1 (ko) 드립식 음료추출용기
US20110223291A1 (en) Novelty candy dispenser 2
KR100552044B1 (ko) 티백
KR20100127160A (ko) 소스수용부가 형성된 음식물 용기 뚜껑
KR19980055831U (ko) 종이컵 내부의 티백 설치구조
JP3123356U (ja) 湯飲み
JP2003112784A (ja) 嗜好飲料用容器及び嗜好飲料の淹れ方
KR200390548Y1 (ko) 드립식 여과컵을 구비한 천연차류의 패키지
JP3110230U (ja) ティパック包装パッケージ
KR20220105300A (ko) 친환경 티 스틱
TWM604316U (zh) 耳掛式咖啡及茶飲通用濾袋
JP3016409U (ja) 簡易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
CN206417393U (zh) 一种速食下午茶食品组合
JP2006248610A (ja) 飲用容器
TW202116239A (zh) 耳掛式咖啡及茶飲通用濾袋
KR200376667Y1 (ko)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
KR200185011Y1 (ko) 컵라면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