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667Y1 -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667Y1
KR200376667Y1 KR20-2004-0027540U KR20040027540U KR200376667Y1 KR 200376667 Y1 KR200376667 Y1 KR 200376667Y1 KR 20040027540 U KR20040027540 U KR 20040027540U KR 200376667 Y1 KR200376667 Y1 KR 200376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container
tea leaf
time
dispo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5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태
Original Assignee
이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태 filed Critical 이은태
Priority to KR20-2004-00275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6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6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Abstract

본 고안은 전통 다기의 대용으로 소비자가 손쉽게 차를 즐길 수 있도록 일회성 다기를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일회성 다기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기호에 맞는 차를 선택하여 바로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은 각종 차를 우려내기 위한 일회용 다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부(12)를 갖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의 일회성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12)를 통해 안착되고, 하부에 다수의 여과구멍(22)이 형성되며, 용기(10)의 중앙부근까지 잠식범위를 갖는 일회성의 차잎 걸름망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Tea container for one time and tea goods thereby}
본 고안은 일회용 다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통 다기의 대용으로 소비자가 손쉽게 차를 즐길 수 있도록 일회성 다기를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일회성 다기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기호에 맞는 차를 선택하여 바로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이 녹차는 인체에 아주 이로운 식물로서 알려진 효능으로는 항암효과와 콜레스테롤 제거효과 및 동맥경화 억제작용, 혈압상승 억제효과,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 식중독 예방효과, 콜레라 예방효과, 충치예방효과 등을 들 수 있고, 이외에도 항산화 작용, 노화 억제효과, 중금속 제거효과, 항당뇨 효과, 지방간의 예방, 담배의 해독효과, 피부 미용효과 등 이루 헤아릴 수 없는 인체에 대한 효능이 있다.
이러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탄산음료나 인스턴트 음료에 비해 녹차 등 차(茶)를 즐기지 않은 이유는 곧바로 마실 수 없는 점이다. 즉 차(茶)를 마시기 위해서는 다기(茶器)가 필수적인데, 정통 다기(茶器)는 보통 도자기로 제작되고 그 비용 또한 상당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이 소비자로 하여금 접근성을 떨어뜨리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또한 각종 차를 가공하여 일정한 용기에 담아 시판되고 있기는 하나 일회용 종이컵에 차를 우려내는 방법으로는 마시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즐기기 편리하도록 티벡이나 차 음료가 시판되고 있으나 전통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는 차 문화의 예법상 진정한 차 맛을 느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통 다기의 대용으로 소비자가 손쉽게 차를 즐길 수 있도록 일회성 다기를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일회성 다기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기호에 맞는 차를 선택하여 바로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종 차를 우려내기 위한 일회용 다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부를 갖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의 일회성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 개구부를 통해 안착되고, 하부에 다수의 여과구멍이 형성되며, 용기의 중앙부근까지 잠식범위를 갖는 일회성의 차잎 걸름망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용기 상부에 안착되어 차의 온도를 유지하는 한편, 차잎 걸름망체의 분리시 받침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커버를 추가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의 대체용으로 그 용기의 개구부 보다 큰 머그컵을 사용할 경우 상기 머그컵과 차잎 걸름망체와의 사이간격을 보상함과 동시에 상기 차잎 걸름망체를 안착시키도록 망체 거치대를 별도로 구성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종 차를 우려내기 위한 일회용 다기를 이용하여 차 제품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부를 갖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의 일회성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 개구부를 통해 안착되고, 하부에 다수의 여과구멍이 형성되며, 용기의 중앙부근까지 잠식범위를 갖는 일회성의 차잎 걸름망체;
상기 용기 상부에 안착되어 차의 온도를 유지하는 한편, 차잎 걸름망체의 분리시 받침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커버; 및
차잎이 가공된 상태에서 1회분의 양이 포장되어 상기 차잎 걸름망체에 수납된 상태로 된 차잎 포장팩;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용기와 차잎 걸름망체, 차잎 포장팩이 차례로 안착된 상태에서 구성 전체를 포장비닐로써 밀폐 구성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다기(茶器)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다기(茶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 (a)(b)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다기를 이용한 차 제품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차를 우려내기 위한 일회용 다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부(12)를 갖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의 일회성 용기(10)가 구성된다. 상기 일회성 용기(10)는 구체적으로 기존의 종이재질의 컵 용기일 수 있고,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컵 용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12)를 통해 안착되도록 걸림부(21)를 갖고, 하부에 다수의 여과구멍(22)이 형성되며, 용기(10)의 중앙부근까지 잠식범위를 갖는 일회성의 차잎 걸름망체(20)가 구성된다. 상기 차잎 걸름망체(20) 역시 용기(10)와 동일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구성에서 용기(10) 상부에 안착되어 우려내고 있는 차의 온도를 보온 유지하는 한편, 차잎 걸름망체(20)의 분리시 받침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커버(30)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의 대체용으로 그 용기(10)의 개구부(12) 보다 큰 머그컵(10')을 사용할 경우 상기 머그컵(10')과 차잎 걸름망체(20)와의 사이간격을 보상함과 동시에 상기 차잎 걸름망체(20)를 안착시키도록 망체 거치대(40)를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일회용 다기를 이용하여 차 제품을 구성할 수 있는데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개구부(12)를 갖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의 일회성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12)를 통해 안착되고 하부에 다수의 여과구멍(22)이 형성되며, 용기(10)의 중앙부근까지 잠식범위를 갖는 일회성의 차잎 걸름망체(20)와, 상기 용기(10) 상부에 안착되어 차의 온도를 유지하는 한편, 차잎 걸름망체(20)의 분리시 받침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커버(30) 및 차잎이 건조 가공된 상태에서 1회분의 양이 포장되어 상기 차잎 걸름망체(20)에 수납된 상태로 된 차잎 포장팩(5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용기(10)와 차잎 걸름망체(20), 차잎 포장팩(50)이 차례로 안착된 상태에서 구성 전체를 포장비닐(60)로써 밀폐 포장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성의 용기(10)와 동일재질의 차잎 걸름망체(20)를 이용하여 녹차를 비롯한 각종 차를 즐길 수 있다. 즉 용기(10)의 개구부(12)로 상기 차잎 걸름망체(20)를 끼워 안착시킨 후 상기 차잎 걸름망체(20)에 건조 가공된 차잎을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커버(30)를 덮어 일정시간 지속시키면 차잎 고유의 맛과 향이 배어나오면서 여과구멍(22)을 통해 용기(10) 전체로 퍼지게 된다.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차향이 다 우려지게 된 후 커버(30)와 차잎 걸름망체(20)를 순차적으로 분리시키되, 상기 커버(30)는 젖은 상태의 차잎 걸름망체(20)를 받쳐주는 받침대 역할로써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회성 용기(10) 대신에 그 용기(10)의 개구부(12) 보다 큰 내경을 갖는 머그컵(10')을 이용할 경우에는 그 머그컵(10')의 상부로 망체 거치대(40)를 먼저 거치한 다음 그 거치대로 상기 차잎 걸름망체(20)를 안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의 망체 거치대(40)는 각종 형상의 머그컵(1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나 형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회용 다기를 이용하여 즉석으로 차를 즐길 수 있는 제품으로도 제조될 수 있는데, 기본적인 구성 즉, 일회성의 용기(10)와 차잎 걸름망체(20) 및 커버(30) 등은 그대로 이용하되, 커피믹스와 같이 건조 가공된 차잎이 밀봉 포장되는 차잎 포장팩(50)을 추가한 다음 투명재질의 포장비닐(60)을 구성 전체를 포장하게 되면 간단히 차 제품이 완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게 되면 종래 시판되고 있는 티벡이나 차를 우려낸 음료를 일정 용기에 담아 파는 차 제품의 문제점과 용기에 건조 가공된 차잎을 그냥 우려내면서 차잎을 걷어내지 않은 상태에서 마시게 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불편함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고, 더욱이 밀봉 포장되는 차잎 포장팩과 포장비닐을 추가로 구성함으로서 소비자가 각종 차를 즉석으로 즐길 수 있는 차 제품으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다기(茶器)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다기(茶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 (a)(b)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다기를 이용한 차 제품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용기,10': 머그컵,
12: 개구부,20: 차잎 걸름망체,
22: 여과구멍,30: 커버,
40: 망체 거치대,50: 차잎 포장팩,
60: 포장비닐,

Claims (4)

  1. 각종 차를 우려내기 위한 일회용 다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부(12)를 갖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의 일회성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12)를 통해 안착되고, 하부에 다수의 여과구멍(22)이 형성되며, 용기(10)의 중앙부근까지 잠식범위를 갖는 일회성의 차잎 걸름망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다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 상부에 안착되어 차의 온도를 유지하는 한편, 차잎 걸름망체(20)의 분리시 받침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커버(30)를 추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다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는, 상기 차잎 걸름망체(20)를 안착시키는 망체 거치대(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다기.
  4. 각종 차를 우려내기 위한 일회용 다기를 이용하여 차 제품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부(12)를 갖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의 일회성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12)를 통해 안착되고, 하부에 다수의 여과구멍(22)이 형성되며, 용기(10)의 중앙부근까지 잠식범위를 갖는 일회성의 차잎 걸름망체(20)와;
    상기 용기(10) 상부에 안착되어 차의 온도를 유지하는 한편, 차잎 걸름망체(20)의 분리시 받침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커버(30); 및
    차잎이 가공된 상태에서 1회분의 양이 포장되어 상기 차잎 걸름망체(20)에 수납된 상태로 된 차잎 포장팩(5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용기(10)와 차잎 걸름망체(20), 차잎 포장팩(40)이 차례로 안착된 상태에서 구성 전체를 포장비닐(60)로써 밀폐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다기를 이용한 차 제품.
KR20-2004-0027540U 2004-09-24 2004-09-24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 KR200376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540U KR200376667Y1 (ko) 2004-09-24 2004-09-24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540U KR200376667Y1 (ko) 2004-09-24 2004-09-24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881A Division KR100632785B1 (ko) 2004-09-24 2004-09-24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667Y1 true KR200376667Y1 (ko) 2005-03-11

Family

ID=4929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540U KR200376667Y1 (ko) 2004-09-24 2004-09-24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6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883B1 (ko) * 2012-01-04 2013-11-01 변종대 거름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883B1 (ko) * 2012-01-04 2013-11-01 변종대 거름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5205A (en) Infuser unit for beverages
US20040118295A1 (en) Brew-in-the-cup disposable beverage assembly
Wang A comparison of Chinese and British tea culture
CN105875946A (zh) 一种柠檬柑宝红茶及其制备工艺
KR200376667Y1 (ko)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
KR100632785B1 (ko)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
JP3673944B2 (ja) お茶の淹れ方
CN2727099Y (zh) 一种易冲泡随身杯、碗
KR20100000424A (ko) 일회성 다기용차
KR20100058350A (ko) 일회용 차기
KR20100055550A (ko) 일회용 다기용차
CN206417393U (zh) 一种速食下午茶食品组合
Dubrin Tea culture: History, traditions, celebrations, recipes & more
KR102329516B1 (ko) 이중 분할 필터 컵
KR20190003085U (ko)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
JPH11216065A (ja) 一杯立て紅茶の抽出器具および抽出方法
JP2006248610A (ja) 飲用容器
CN217125575U (zh) 杯装食品展示结构
JP3164466U (ja) アルコール飲料充填物
KR200185011Y1 (ko) 컵라면 용기
JP3123356U (ja) 湯飲み
KR200418154Y1 (ko) 일체형 거름망을 구비한 다구
JPH01126922A (ja) 湯呑み
KR20220000806U (ko) 다회용 컵을 위한 풍미 컵 뚜껑
JP2022111007A (ja) 飲料抽出用バ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