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669Y1 - 바닷물 제독장치 - Google Patents

바닷물 제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669Y1
KR200311669Y1 KR20-2003-0001200U KR20030001200U KR200311669Y1 KR 200311669 Y1 KR200311669 Y1 KR 200311669Y1 KR 20030001200 U KR20030001200 U KR 20030001200U KR 200311669 Y1 KR200311669 Y1 KR 200311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sea water
ozone
tank
ster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20-2003-0001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6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6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닷물 제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닷물을 유입시켜 1차로 여과시키고 여과된 바닷물을 재차 오존이나 적외선살균기 및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하여 각종 유해성분 및 유해균을 멸균하고 원적외선 발생물질과의 접촉을 통해 바닷물에 함유된 유해성분을 다단계의 공정에서 여과/제거함과 아울러 양질의 바닷물을 제조할 수 있는 바닷물 제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바닷물을 유입시켜 숯이나 황토층과 이를 담고 있는 섬유층을 이중으로 통과시켜 불순물 여과 및 유해성분을 제독처리하고, 여과된 바닷물에 오존이나 자외선살균기 및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하여 오존이나 자외선 및 초음파를 방출(방사)시켜 각종 유해성분 제거 및 유해균을 멸균함과 아울러 원적외선 발생물질과의 접촉을 통해 양질의 바닷물을 제조할 수 있는 바닷물 제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바닷물 제독장치를 통해 배출된 바닷물을 이용하여 증발지에서 천일염으로 만들 경우에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제거되고 유익한 성분은 그대로 천일염에 함유된 소금을 제조할수 있으며,각종 어류등을 양식이나 보관하는 곳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숯, 게르마늄석,황토섬유층이 각각 분리 적층되어 유입된 바닷물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잡균을 1차적으로 제거할수 있는 바닷물 여과조(10)와, 상기 바닷물 여과조(10)의 하측부와 연결되어 여과된 바닷물이 그 내부로 토출되며 일측에는 갈대를 수납보관할수 있도록 갈대수납부재(21)가 구비되고 하측부에는 오존살균기(22)에서 발생되는 오존을 공급받아 외부로 토출시킬수 있도록 오존방출홀(23)이 구비된 오존공급관부재(24)가 형성되며 내부 일측에는 멸균용 자외선램프등(25)이 장착되고 최하측에는 원적외선방사물질(26)이 안치되고 외측면에는 제독처리된 바닷물을 배출시키는 해수유출관(27)과 밑면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관(28)으로 이루어진 바닷물 제독조(20)와, 해수유출관(27)의 하측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걸러주는 걸름망부재(30)와, 걸름망부재(30)를 통과한 해수를 재차 멸균토록 초음파세척기가 내장된 초음파세척조(60)와, 자외선살균기 및 오존살균기가 내장된 어류보관조(40)와, 상기 어류보관조(40)에 보관된 해수를 관을 통해 여과조(10)로 투입하는 모터펌프(50)로 이루어 진다.

Description

바닷물 제독장치{Protection against poison apparatus of the sea}
본 고안은 바닷물 제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닷물을 유입시켜 1차로 여과시키고 여과된 바닷물을 재차 오존이나 적외선살균기 및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하여 각종 유해성분 및 유해균을 멸균하고 원적외선 발생물질과의 접촉을 통해 바닷물에 함유된 유해성분을 다단계의 공정에서 여과/제거함과 아울러 양질의 바닷물을 제조할 수 있는 바닷물 제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닷물에는 인체 건강에 유익한 각종 미네랄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이를 증발지에서 건조과정을 거치게 되면 천일염이 만들어 지게 되는데, 근자에 이르러 각종 공해물질의 배출로 인해 하천이 오염되어 가고 있고, 오염된 하천수로 인해 연해의 바닷물에는 각종 중금속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오염된 바닷물을 이용하여 천일염을 제조하여 이를 식품첨가제나 조미료로 사용할 경우에는 인체의 건강이 위협받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천일염을 가공처리하여 독성분을 제거한 정제염을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정제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천일염에 함유된 유익성분이 파괴 또는 제거되는 또다른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바닷물을 유입시켜 숯이나 황토층과 이를 담고 있는 섬유층을 이중으로 통과시켜 불순물 여과 및 유해성분을 제독처리하고, 여과된 바닷물에 오존이나 자외선살균기 및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하여 오존이나 자외선 및 초음파를 방출(방사)시켜 각종 유해성분 제거 및 유해균을 멸균함과 아울러 원적외선 발생물질과의 접촉을 통해 양질의 바닷물을 제조할 수 있는 바닷물 제독장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바닷물 제독장치를 통해 배출된 바닷물을 이용하여 증발지에서 천일염으로 만들 경우에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제거되고 유익한 성분은 그대로 천일염에 함유된 소금을 제조할수 있으며,각종 어류등을 양식이나 보관하는 곳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숯, 게르마늄석,황토섬유층이 각각 분리 적층되어 유입된 바닷물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잡균을 1차적으로 제거할수 있는 바닷물 여과조(10)와, 상기 바닷물 여과조(10)의 하측부와 연결되어 여과된 바닷물이 그 내부로 토출되며 일측에는 갈대를 수납보관할수 있도록 갈대수납부재(21)가 구비되고 하측부에는 오존살균기(22)에서 발생되는 오존을 공급받아 외부로 토출시킬수 있도록 오존방출홀(23)이 구비된 오존공급관부재(24)가 형성되며 내부 일측에는 멸균용 자외선램프등(25)이 장착되고 최하측에는 원적외선방사물질(26)이 안치되고 외측면에는 제독처리된 바닷물을 배출시키기는 해수유출관(27)과 밑면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관(28)으로 이루어진 바닷물 제독조(20)와, 해수유출관(27)의 하측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걸러주는 걸름망부재(30)와, 걸름망부재(30)를 통과한 해수를 재차 멸균토록 초음파세척기가 내장된 초음파세척조(60)와, 자외선살균기 및 오존살균기가 내장된 어류보관조(40)와, 상기 어류보관조(40)에 보관된 해수를 관을 통해 여과조(10)로 투입하는 모터펌프(50)로 이루어 진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닷물 제독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2는 도1에서 A-A' 절개선에 의한 절개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여과조 20: 바닷물제독조
21: 갈대수납부재 22: 오존살균기
23: 오존방출홀 24: 오존공급관부재
25: 자외선램프등 26: 원적외선방사물질
27: 해수유출관 28: 이물질배출관
30: 걸럼망부재 40: 어류보관조
50: 모터펌프 60: 초음파 세척조
이하, 본 고안의 바닷물 제독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닷물 제독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에는 그 내부에 숯이나 게르마늄석이나 황토층등이 각각 분리 적층되어 유입된 바닷물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잡균을 1차적으로 제거할수 있는 바닷물 여과조(1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숯이나 게르마늄석이나 황토층을 분리되게 적층하기 위해 위 재료를 밀폐된 주머니에 각각 별도로 넣어 적층시키거나, 적층간에 유해성분 흡착 및 유해세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천으로 주머니를 만들어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닷물 여과조(10)의 하측부와 관연결되어 여과된 바닷물이 유입되어 지며 내부 일측에는 갈대를 수납/보관할 수 있는 갈대수납부재(21)가 구비되어 있다.
갈대수납부재(21)는 원형관형상으로 중금속 제거 기능이 탁월한 갈대를 수납시키고 갈대뿌리는 그물망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내부 하측부에는 오존살균기(22)에서 발생되는 오존을 공급받아 외부로 토출시킬수 있도록 오존방출홀(23)이 구비된 오존공급관부재(24)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일측에는 멸균용 자외선램프등(25)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바닷물제독조(20)의 최하측에는 원적외선방사물질(26)이 깔려져 있는데, 원적외선 방사물질인 숯이나 게르마늄석이나 맥반석 및 옥등을 섬유주머니(또는 유해 성분 흡착 및 세균발생 억제기능천으로 만든 섬유주머니)에 각각 넣어 바닥층에 안치시켜주거나 원적외선 방사물질 원석을 일정 크기와 모양으로 잘라서 실리콘으로 코킹처리된 바닥에 붙일수도 있으며, 또한 멸균작용을 돕기위해 주머니에은을 첨가시킬수 있다.
또한, 바닷물제독조(20)의 외측면에는 제독처리된 바닷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해수유출관(27)이 형성되어 있으며, 밑면에는 제독과정에서나 유입된 바닷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관(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해수유출관(27)의 하측에는 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걸름망부재(3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걸름망부재(30)를 통과한 해수는 초음파세척기가 내장된 초음파세척조(60)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초음파세척조(60)내의 해수는 모터펌프(50)에 의해 자외선살균기 및 오존살균기가 내장된 어류보관조(40)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어류보관조(40)에 보관된 해수는 모터펌프(50)에 의해 여과조(10)로 재투입 할수 있도록 모터펌프(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닷물제독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 여과조(10)로 바닷물을 유입시켜 그 내부에 숯이나 게르마늄석이나 황토섬유층등이 각각 분리 적층된 여과필터를 통과시키게 되면 유입된 바닷물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잡균 및 유해성분을 1차적으로 여과시켜서 제거할 수 있으며, 이어서 상기 바닷물 여과조(10)의 하측부와 연결된 바닷물제독조(20)에서 2차적으로 유해균이나 유해성분이 제독되어 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닷물제독조(20)내에는 갈대를 수납/보관할 수 있는 갈대수납부재(21)가 구비되어 있어 갈대뿌리가 바닷물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성분을 흡착시켜서 제독할 수 있으며, 내부 하측부에는 오존살균기(22)에서 발생되는 오존이 오존공급관부재(24)를 통해 전달되고 오존방출홀(23)에 의해 오존을 토출시켜 바닷물에 함유된 유해균을 살균시킬 수 있게 되며, 이와 별도로 제독조(20)의 내측벽에는 멸균용 자외선램프등(25)이 장착되어 있어 자외선의 살균작용으로 각종 유해균을 멸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닷물제독조(20)의 최하측에는 원적외선방사물질(26)인 맥반석이나 옥이나 숯등을 섬유주머니(또는 유해 성분 흡착 및 세균발생 억제기능천으로 만든 섬유주머니)에 각각 넣어 바닥층에 안치시켜 주거나 원적외선 방사물질 원석을 일정 크기와 모양으로 잘라서 실리콘으로 코킹처리된 바닥에 붙일수도 있으며, 또한 멸균작용을 돕기위해 주머니에 은을 첨가시킬수 있는데, 이는 바닷물에 함유된 유익성분을 증가시키고 냄새도 제거할 수 있으며 바닷물에 포함된 각종 유해성분 및 유해균을 살균처리하여 양질의 바닷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한편, 바닷물제독조(20)내에서 제독처리 및 유익성분이 증가된 바닷물은 제독조(20) 외측면에 형성된 해수유출관(27)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제독조(20) 저면에는 이물질배출관(28)을 형성시켜 제독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해수유출관(27)의 하측에는 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걸름망부재(30)가 구비되어 이물질을 제거된 해수를 초음파세척조(60)로 유입시켜 내장된 초음파로 해수를 재차 멸균하고 모터펌프(50)를 이용하여 자외선살균기 및 오존살균기가 내장된 어류보관조(40)로 해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어류보관조(40)에 보관된 해수를 모터펌프(50)를 구동시켜 관을 통해 여과조(10)로 재투입케 하여 재차 여과조(10)와 제독조(20)를 통과시켜 양질의 해수를 공급할수 있다.
본 고안의 바닷물 제독장치를 통해 배출된 바닷물을 이용하여 증발지에서 천일염으로 만들 경우에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제거되고 유익한 성분은 그대로 천일염에 함유된 소금을 제조할 수 있으며,각종 어류등을 양식이나 보관하는 사용될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바닷물을 유입시켜 숯이나 황토섬유층 등을 통과시켜 불순물 여과 및 유해성분을 제독처리할 수 있고, 여과된 바닷물에 오존이나 자외선살균기 및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하여 오존이나 자외선 및 초음파를 방출(방사)시키도록 되어 있어 각종 성분 제거 및 유해균을 멸균함과 아울러 원적외선 발생물질과의 접촉을 통해 양질의 바닷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숯, 게르마늄석,황토섬유층이 각각 분리 적층되어 유입된 바닷물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잡균을 1차적으로 제거할수 있는 바닷물 여과조(10)와, 상기 바닷물 여과조(10)의 하측부와 연결되어 여과된 바닷물이 그 내부로 토출되며 일측에는 갈대를 수납보관할수 있도록 갈대수납부재(21)가 구비되고 하측부에는 오존살균기(22)에서 발생되는 오존을 공급받아 외부로 토출시킬수 있도록 오존방출홀(23)이 구비된 오존공급관부재(24)가 형성되며 내부 일측에는 멸균용 자외선램프등(25)이 장착되고 최하측에는 원적외선방사물질(26)이 안치되고 외측면에는 제독처리된 바닷물을 배출시키기는 해수유출관(27)과 밑면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관(28)으로 이루어진 바닷물 제독조(20)와, 해수유출관(27)의 하측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걸러주는 걸름망부재(30)와, 걸름망부재(30)를 통과한 해수를 재차 멸균토록 초음파세척기가 내장된 초음파세척조(60)와, 자외선살균기 및 오존살균기가 내장된 어류보관조(40)와, 상기 어류보관조(40)에 보관된 해수를 관을 통해 여과조(10)로 투입하는 모터펌프(50)로 이루어진 바닷물 제독장치.
KR20-2003-0001200U 2003-01-15 2003-01-15 바닷물 제독장치 KR200311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200U KR200311669Y1 (ko) 2003-01-15 2003-01-15 바닷물 제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200U KR200311669Y1 (ko) 2003-01-15 2003-01-15 바닷물 제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669Y1 true KR200311669Y1 (ko) 2003-05-09

Family

ID=4940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200U KR200311669Y1 (ko) 2003-01-15 2003-01-15 바닷물 제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6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0477B2 (ja) 浄水ピッチャー
US7077272B2 (en) Antibacterial member,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tibacterial filter and antibacterial container
JPH0651190B2 (ja) 水の浄化法
CN201245487Y (zh) 适宜饮水机桶装水使用的复合矿物活化矿化袋
KR200311669Y1 (ko) 바닷물 제독장치
AU678986B2 (en) Treatment device particularly for decontaminating materials, preferably solids such as waste materials
JP3237011B2 (ja) 家庭用浄水器
KR20070098763A (ko) 제독기능의 염전 바닥재
JP2009045588A (ja) 浄水カートリッジ
KR200168473Y1 (ko) 휴대용 정수장치
KR200237607Y1 (ko) 오존발생기용 정수기 겸용 오존용기
KR20070062912A (ko) 제독기능을 구비한 다용도 가열용기
JP2000296391A (ja) 水中紫外線殺菌装置
JPH0515885A (ja) 水槽のオゾンによる浄化方法とその装置
JP2018143754A (ja) 歯科治療用の排液浄化システム
JP3389057B2 (ja) 殺菌濾過装置
KR100340709B1 (ko) 농축수산 음료용 지하수의 정수장치
CA2201706A1 (en) Portable water sterilizer
JPH0824878A (ja) 携行式浄水装置
KR200199554Y1 (ko) 황토를 이용한 필터를 장착한 지장수기
JPH07204665A (ja) 浄水機能を有するミネラルウォータ製造装置
US20200216342A1 (en) Portable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ozone
JP3052348U (ja) 殺菌濾過装置
CN215592827U (zh) 一种野外便携式安全净水装置
KR200427958Y1 (ko) 제독기능의 염전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