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190Y1 - 하수관용 가변 엘보우 - Google Patents

하수관용 가변 엘보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190Y1
KR200311190Y1 KR20-2002-0027777U KR20020027777U KR200311190Y1 KR 200311190 Y1 KR200311190 Y1 KR 200311190Y1 KR 20020027777 U KR20020027777 U KR 20020027777U KR 200311190 Y1 KR200311190 Y1 KR 200311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shaped
rotating
coupling portion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20-2002-0027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1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1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용 가변 엘보우에 관한 것으로, 가정에서 맨홀로 연결되는 각이 상이할 경우 이를 자유로인 보상할 수 있게 각도변환이 가능한 엘보우를 제공하여 하수관 배관의 시공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일측으로 하수관(310)의 끼움 결합을 위한 관결합부(100)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경사지게 형성한 회동결합부를 형성한 두 개의 회전소켓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맨호등으로 유입디는 하수관의 유입각도를 자유로이 보상할 수 있게 하므로서 하수관의 시공성이 향상되게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용 가변 엘보우{A variable-elbow for sewer}
본 고안은 하수관용 가변 엘보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맨홀로 연결되는 각이 상이할 경우 이를 자유로인 보상할 수 있게 각도변환이 가능한 엘보우를 제공하여 하수관 배관의 시공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등과 같은 하수배출원에서 배출된 하수는 일차적으로 하수관을 통하여 맨홀로 유입되어서 불순물을 침전 제거되어서 메인하수관으로 흘러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하수관의 시공에 있어서 멘홀의 하수관 결합구와 하수관의 각도가 상이할 경우에는 하수관의 일부를 절개한 후 밴딩시켜 각도를 맞추고 절개부위에 콘크리트 몰탈등으로 막음질 하여 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하수관의 일부를 절단하고 절단부위를 콘크리트몰탈로 막음 처리하는 경우에는 그 작업이 신속하지 않으며, 지반 침하등에 의하여 콘크리트몰탈이 유실 또는 파손되어 하수과 지면으로 흡수되거나 지하수가 하수관으로 유입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측으로 하수관의 끼움 결합을 위한 관결합부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경사지게 형성한 회동결합부를 형성한 두 개의 회전소켓으로 구성한 것으로, 회전속켓의 회전 각도에 따라 다양한 각도를 형성하여 유입각도가 상이한 하수관을 유입각도를 보상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회동 결합부의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
회전소켓의 결합후 180°회동시킨 상태를 보인 평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관결합부
200 : 회동결합부
210 : 회동가이드홈
211 : 장호형결합부 212 : 단호형결합부
221 : 장호형돌기 222 : 단호형돌기
310 : 하수관 320 : 맨홀
이하, 첨부된 도면의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맨홀로 유입되는 하수간의 유입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게 하여 하수관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측으로 하수관(310)의 끼움 결합을 위한 관결합부(100)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경사지게 형성한 회동결합부를 형성한 두 개의 회전소켓으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동결합부는 두 개의 회전소켓 중 일측 회전소켓에는 내벽으로 홈을 형성하는 회동가이드홈(210)을 형성하고, 타측 회전소켓에는 상기 회동가이드홈(210)에 결합되어 회동되게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 회전가이드돌기로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가이드돌기는 호의 길이가 긴 장호형돌기(221)와 호의 길이가 짤은 단호형돌기(222)로 구성하되, 상기 장호형돌기(221)보다 단호형돌기(222)가 외측으로 더 길게 돌출형성되게 형성하며, 회동가이드홈(210)에는 상기 회전가이드돌기가 끼워 결합되고 결합 후 회동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게 장호형돌기(221)와 단호형돌기(222)의 호의 길이와 동일하게 절개형성한 장호형결합부(211)와 단호형결합부(212)를 형성하되, 단호형결합부(212)는 회전가이드돌기와 동일하게 장호형결합부(211)보다 외측으로 더욱 요입 절개되게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 있어서 회전소켓의 회동에 의한 보상각이 1~45° 형성되게 상기 회동결합부를 경사각을 형성하되 그 경사각은 22.5°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하수관의 시공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하수관(310)의 끼움 결합을 위한 관결합부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경사지게 형성한 회동결합부(200)를 형성한 두 개의 회전소켓으로 구성한 본 고안을 이용하여서 하수관(310)의 시공과정에 있어 맨홀(320)로 유입되는 상기 하수관(310)의 유입 각도를 보상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두 개의 회전소켓을 일직선 상으로 높고 회동결합부(200)를 맛대어 놓게 되면, 상기 회동결합부(200)를 회동가이드홈으로 형성한 회전소켓의 장호형결합부(211) 및 단호형결합부(212)와, 상기 회동결합부(200)를 회동가이드돌기로 형성한 회전소겟의 장호형돌기(221) 및 단호형돌기(222)가 마주대하게 되어 서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결합한 상태에서 조그만 회동시키게 되면 장호형돌기(221)와 단호형돌기(222)의 일부가 장호형결합부(211)와 단호형결합부(212)로부터 이격되어서 회동가이드홈(210)에 걸려져 결속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회전소켓을 180°회전시키게되면 단호형돌기(222)가 회동가이드홈(210)의 장호형결합부(211)에 위치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단호형돌기(222)가 장호형결합부(211)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이탈되지 않고 회동가이드홈(210)에 걸려져 결속상태가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후 일정 각도만 회동시키면 결속상태가 유지되는 본 고안을 각도 보상이 요구되는 하수관의 단부에 끼워 결합한 후 원하는 각도가 형성될때까지 일측 회전소켓을 회동시키므로서 하수관(310)의 유입각도 보상이 신속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맨호등으로 유입디는 하수관의 유입각도를 자유로이 보상할 수 있게 하므로서 하수관의 시공성이 향상되게한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3)

  1. 일측으로 하수관(310)의 끼움 결합을 위한 관결합부(100)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경사지게 형성한 회동결합부를 형성한 두 개의 회전소켓으로 구성하되,
    상기 회동결합부는 두 개의 회전소켓 중 일측 회전소켓에는 내벽으로 홈을 형성하는 회동가이드홈(210)을 형성하고, 타측 회전소켓에는 상기 회동가이드홈(210)에 결합되어 회동되게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 회전가이드돌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가변 엘보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돌기는 호의 길이가 긴 장호형돌기(221)와 호의 길이가 짤은 단호형돌기(222)로 구성하되, 상기 장호형돌기(221)보다 단호형돌기(222)가 외측으로 더 길게 돌출형성되게 형성하며,
    상기 회동가이드홈(210)에는 상기 회전가이드돌기가 끼워 결합되고 결합 후 회동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게 장호형돌기(221)와 단호형돌기(222)의 호의 길이와 동일하게 절개형성한 장호형결합부(211)와 단호형결합부(212)를 형성하되, 단호형결합부(212)는 회전가이드돌기와 동일하게 장호형결합부(211)보다 외측으로 더욱 요입 절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가변 엘보우.
  3. 삭제
KR20-2002-0027777U 2002-09-16 2002-09-16 하수관용 가변 엘보우 KR200311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777U KR200311190Y1 (ko) 2002-09-16 2002-09-16 하수관용 가변 엘보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777U KR200311190Y1 (ko) 2002-09-16 2002-09-16 하수관용 가변 엘보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190Y1 true KR200311190Y1 (ko) 2003-04-26

Family

ID=4933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777U KR200311190Y1 (ko) 2002-09-16 2002-09-16 하수관용 가변 엘보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1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472A (ko) 2020-04-14 2021-10-22 김성찬 맨홀의 배관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472A (ko) 2020-04-14 2021-10-22 김성찬 맨홀의 배관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521115A (ja) 分岐管継手
KR200311190Y1 (ko) 하수관용 가변 엘보우
FI105357B (fi) Säädettävä polviputki laskuputkea varten
ATE303551T1 (de) Rohrkupplung
JPH07145889A (ja) 自在継手の構造
CN216383041U (zh) 一种便于组合安装的建筑排水用pvc管件
KR100764845B1 (ko) 복합식 가변각도 이음관
JP2004169898A (ja) 接続部材
KR200372423Y1 (ko) 관로구 방수관용 길이조절 장치
JP4498640B2 (ja) 排水桝
JP2001248774A (ja) リブ付管継手
JP2012037041A (ja) 補修継手
KR100629478B1 (ko) 접속관의 방향조절장치를 갖는 맨홀
WO1998013641A1 (en) Pip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ng a pipe connection at an angle to the wall of a pipe
KR100701459B1 (ko) 맨홀의 이송관 연결구
KR100928164B1 (ko)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
KR200342703Y1 (ko) 배관 접속이 용이한 맨홀
JP3244515B2 (ja) 管体の分岐管接続構造及び分岐管接続方法
JPH11193569A (ja) 排水枡
KR200341353Y1 (ko) ㄷ형 클립을 이용한 폴리에틸렌 하수관 연결 구조
DK169183B1 (da) Indstillelig rørbøjning til afløbsrør, navnlig til afløbsrør fra gulvafløb, håndvaske, køkkenvaske etc.
KR20190074056A (ko) 배수관 회전조인트
KR200281586Y1 (ko) 농수로관
IL273971B1 (en) Sewage coupler with ball joint
JPH05248580A (ja) 排水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