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027Y1 -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027Y1
KR200311027Y1 KR20-2003-0002111U KR20030002111U KR200311027Y1 KR 200311027 Y1 KR200311027 Y1 KR 200311027Y1 KR 20030002111 U KR20030002111 U KR 20030002111U KR 200311027 Y1 KR200311027 Y1 KR 200311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water tank
water
coupl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행철
Original Assignee
신원테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원테크 (주) filed Critical 신원테크 (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0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03D1/35Flushing valves having buoyanc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의 구조를 상부체와 하부체로 구분하여 조립 및 분리되게 함으로서 상기 밸브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유지 보수에 따른 밸브의 분리를 더욱 쉽게 하여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게 된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를 제공한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내의 수위에 따라 작동되는 부구에 의해 개폐되게 설치된 개폐밸브를 갖는 제1조립체와 상기 제1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물탱크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의 물공급관과 연결된 제2조립체로 이루어진 밸브본체;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결합 부분에 설치되어 물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된 패킹; 및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결합되는 단부에 각각 플랜지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플랜지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턱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턱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것에 의해 결합 고정되게 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제2조립체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the water level control valve of water tank}
본 고안은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세식 변기나 양변기 등의 물탱크 내에 설치되어 변기 세척 후 물탱크 내에 일정한 량의 세정수가 자동으로 보충될 수 있도록 된 밸브의 구조를 상부체와 하부체로 분리되게 구성함으로서 그 조립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유지보수에 따른 밸브의 교체 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는 물탱크 내에 채워진 물을 사용하여 변기를 세척한 후, 그 물탱크 내로 일정량의 물이 자동으로 채워지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는 통상 부구의 부력을 이용하여 그 수위에 따라 개폐밸브를 개폐시켜 물의 유입 및 차단을 제어하도록 되는데, 이러한 개폐밸브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에 알려져 있는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는 통상 단일 품으로 되어 물탱크의 내외측부에 각각 돌출되게 조립되어 있음으로서, 유지 보수를 위해 밸브 내의 부품들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밸브의 분해 작업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알려진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에는 물탱크 내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 7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구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부구(1)가 결합되는 지지대(2)에 삼각홈 형상의 걸림턱(3)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그 삼각홈 형상의 걸림턱(3)에 고정되는 걸림편(5)이 탄성편(4)에 형성되어 그 탄성편(4)의 탄성력만으로 고정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상기 부구(1)가 탄성편(4)의 탄성력으로 고정되어 있어 물탱크 내의 수압에 의해 상기 부구(1)가 밀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부구(1)에 의한 수위가 변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는 물탱크 내에 불필요하게 물이 많이 채워지게 되거나, 혹은 너무 적게 채워질 수 있어 물의 낭비를 가져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의 구조를 상부체와 하부체로 구분하여 조립 및 분리되게 함으로서 상기 밸브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유지 보수에 따른 밸브의 분리를 더욱 쉽게 하여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게 된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요부 구성인 결합수단의 여러 실시예들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외측에 설치되는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에 구비된 부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부구의 조립 상태를 단면도이고,
도 7은 종래의 밸브에 구비된 부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부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밸브본체 110 - 제1조립체
112 - 제2조립체 120 - 패킹
130 - 결합수단 132a,132b - 결합턱
134a,134b - 결합홈 140 - 커버
150 - 부구 152 - 지지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내의 수위에 따라 작동되는 부구에 의해 개폐되게 설치된 개폐밸브를 갖는 제1조립체와 상기 제1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물탱크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의 물공급관과 연결된 제2조립체로 이루어진 밸브본체;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결합 부분에 설치되어 물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된 패킹; 및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결합되는 단부에 각각 플랜지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플랜지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턱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턱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것에 의해 결합 고정되게 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제2조립체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제2조립체의 상면에 "T"형상의 결합턱들이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그 결합턱들에 대응되는 제1조립체의 상면에 결합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제1조립체의 외주면 끝단부에 결합턱들이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그 결합턱들에 대응되는 제2조립체의 상단부에 결합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조립체의 물탱크 외부에 위치되는 외주면에는 피치가 큰 제1나선부와 피치가 작은 제2나선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나선부에는 제1고정너트가 결합되어 제2조립체를 물탱크에 고정시키고 제2나선부는에 물공급관과 연결된 제2너트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탱크 내에 위치되는 밸브본체의 외부를 덮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하단부에는 물탱크 내의 물이 자유로이 이동되게 된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부구가 결합되는 지지대가 관통되게 작동공이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탱크 내의 수위에 따라 작동되는 부구는 지지대에 결합됨과 아울러 그 지지대의 일면에는 걸림턱과 걸림홈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고정되는 걸림편이 형성된 고정구를 상기 부구에 탄력지게 설치하여 상기 부구를 지지대의 임의 위치에서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가 양변기(10)용 물탱크(12)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12)의 내부 중앙부에는 배수밸브(14)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배수밸브(14)는 상기 물탱크(12) 내부의 물을 양변기(10)로 흘러 보내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배수밸브(14)에 대한 구성은 통상 잘 알려져 있는 기술이다.
또한, 상기 물탱크(12)의 일측에 본 고안에 따른 밸브가 설치되는데, 이 밸브는 상기 물탱크의 외부에 설치된 물공급관(16)과 연결되게 설치되어 물탱크(12) 내로 물이 자동으로 채워지도록 되는데, 이러한 밸브에 대한 구성은 도 2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밸브본체(100)가 구비되어 있다. 이 밸브본체(100)는 상부체와 하부체로 구분되어 분리 및 조립되는데, 상부체는 물탱크(12)내에 설치되는 제1조립체(110)로 이루어지고, 하부체는 상기 제1조립체(110)에 결합됨과 아울러 물탱크(12)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의 물공급관(16)과 연결되는 제2조립체(11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제1조립체(110)와 제2조립체(112)로 구분하여 결합되게 한 구성이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이는 상기 밸브본체(100)의 결합 후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밸브본체(100) 내의 부품들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매우 편리하다.
또한, 상기 제2조립체(112)의 물탱크(12) 외부에 위치되는 외주면에는 피치가 큰 제1나선부(118a)와 피치가 작은 제2나선부(118b)가 각각 구분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나선부(118a)에는 제1고정너트(162)가 결합되어 제2조립체(112)를 물탱크(12)에 고정시키고 제2나선부(118b)에는 물공급관(16)과 연결된 제2너트(164)가 결합되어 밸브를 외부의 물공급관(16)과 연결되게 한다.
이와 같이 물탱크(12) 외부에 위치되는 밸브의 외주면에 제1나선부(118a)와 제2나선부(118b)로 하여 각각 제1고정너트(162)와 제2고정너트(164)로 결합하는 것은, 상기 밸브와 물공급관(16)을 연결하기 위한 제2고정너트(164)는 다른 제품들과의 호환을 위해 종래의 고정너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를 물탱크(12)에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너트(162)를 빨리 이동시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밸브의 물탱크(12)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는 비교적 길게 형성됨으로서 그 길이를 통과하여 물탱크(12)에 고정되는 제1고정너트(162)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많이 회전시켜야 하는데, 본 고안과 같이 제1나선부(118a)의 피치가 크게 되면 적은 회전으로 많이 이동시킬 수 있어 상기 물탱크(12)에 밸브를 고정시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고정력도 견고하게 된다.
참조 부호 (166)은 상기 밸브를 물탱크(12)에 고정 설치하였을 때 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패킹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패킹(120)이 구비되어 있다. 이 패킹(120)은 상기 제1조립체(110)와 제2조립체(112)의 결합 부분에 설치되어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결합수단(130)이 구비되어 있다. 이 결합수단(130)은 상기 제1,제2조립체(112)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합수단(130)은 상기 제1조립체(110)와 제2조립체(112)의 결합되는 단부에 각각 플랜지(114,116)를 형성하고, 그 플랜지(114,116) 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116)에는 결합턱(132a,132b)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플랜지(114)에는 상기 결합턱(132a,132b)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것에 의해 결합 고정되게 된 결합홈(134a,134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수단(130)에 대해서는 뒤에서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제1조립체(110)에는 물탱크(12) 내의 수위에 따라 작동되는 부구(150)에 의해 개폐되게 설치된 개폐밸브(102)를 갖고 있는데, 이러한 개폐밸브(102)는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부로 작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개폐밸브(102)의 상부에는 압력실(106)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압력실(106)과 연통되게 상기 개폐밸브(102)에는 미세공(10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력실(106)의 상단부에 통공(108)이 형성되고, 그 통공(108)을 상기 부구(150)가 결합된 지지대(152)에 의해 개폐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대(152)의 하단부가 제1조립체(1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대(152)의 하단 일측으로 상기 통공(108)을 개폐하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대(152)는 그 상단부에 설치된 부구(150)에 의해 물탱크(12) 내의 물이 빠지면 회동되어 상기 통공(108)을 개방하고, 이 상태에서 물탱크 외부의 물공급관(16)을 통해 밸브본체(100)로 공급되는 물에 수압에 의해 상기 개폐밸브(102)가 상부로 밀려 외측의 배출공(101)을 통해 탱크내로 물이 채워지도록 된다.
이때, 공급되는 물의 일부는 상기 개폐밸브(102)를 미세공(104)을 통해 압력실(106)로 유입되는데, 이와 같이 압력실로 유입된 물은 상기 통공(108)을 통해 계속해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계속해서 물탱크(12) 내로 물이 공급되어 물탱크 내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게 되면, 상기 부구(150)는 채워지는 물에 의해 부력을 받으면서 원위치로 회동되어 상기 압력실(106)의 통공(108)을 막게된다.
이 상태에서는 공급되는 물의 일부가 개폐밸브(102)의 미세공(104)을 통해 압력실(106)로 유입되는 물이 그대로 압력실(106)에 채워지게 되고, 그 압력실(106)에 물이 완전히 채워지게 되면 상기 압력실(106)에 채워진 물에 의해 상기 개폐밸브(102)를 하부로 눌려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밸브(102)는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작동된다.
참조부호 (18)은 상기 공급되는 물의 일부를 물탱크(12)의 중앙부에 설치된 배수밸브(14)로 바이패스 시키도록 된 바이패스관(18)을 나타낸 것으로, 이 바이패스관(18)에 대해서는 통상 사용하는 기술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요부 구성인 결합수단에 대한 여러실시예들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에는 상기 결합수단(130)의 결합턱(132a)이 "T"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서는 상기 "T"형상의 결합턱(132a)이 제2조립체(112)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16)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134a)이 제1조립체(110)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14)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턱(132a)은 상단에 돌출턱을 갖는 "T"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134a)은 결합턱(132a)의 상단 돌출턱이 삽입되는 넓은 공간과 결합된 후 회전되어 결합턱(132a)의 상단 돌출턱이 고정되는 좁은 공간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결합턱(132a)과 결합홈(134a)을 도면에서는 4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2개 내지 3개를 형성하여도 된다.
도 3b에는 상기 결합수단(130)의 결합턱(132b)이 제1조립체(110)의 외주면 끝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서는 상기 결합턱(132b)이 제1조립체(112)의 외주면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134b)은 제2조립체(110)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14)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턱(132b)은 제1조립체(110)의 외주면 끝단부에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134b)은 결합턱(132b)이 삽입되는 공간과 결합된 후 회전되어 결합턱(132b)의 돌출부가 고정되는 공간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결합턱(132b)과 결합홈(134b)을 도면에서는 4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2개 내지 3개를 형성하여도 된다.
도 3a와 도 3b에 나타낸 상기 결합수단(130)의 결합턱(132a,132b)과 결합홈(134a,134b)은 그 설치 위치를 바꾸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결합턱(132a,132b)이 제1조립체(110)에 형성되고 결합홈(134a,134b)이 제2조립체(112)에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결합턱(132a,132b)이 제2조립체(112)에 형성되고 결합홈(134a,134b)이 제1조립체(1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결합턱(132a,132b)과 결합홈(134a,134b)에 의해 밸브본체(100)의 제1조립체(110)와 제2조립체(112)의 분리를 쉽게 할 수 있으며, 또 상기 제1,제2조립체(110,112)의 결합되는 부분에 설치된 패킹(120)에 의해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외측에 설치되는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커버(140)는 상기 밸브본체(100)의 물탱크 내측에 위치되는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밸브본체(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은 물론 그 밸브본체(100)를 통해 공급되는 물소리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커버(140)는 상기 물탱크(12)의 내측에 위치되는 밸브본체(100)의 외부를 덮도록 설치되는데, 그 하단 내측에 고정턱(142)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고정턱(142)이 걸려 고정되는 밸브본체에 고정홈(144)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턱(142)과 고정홈(144)의 결합은 상기 커버(140)가 수지재로 이루어짐으로서 강제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는 수지재가 지니고 있는 특성상 약간의 탄성을 받음으로서 강제적으로 끼어나 혹은 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40)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물탱크(12) 내의 물이 자유로이 이동되게 된 관통홈(14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40)의 상면에는 부구(150)가 결합되는 지지대(152)가 관통되게 설치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작동공(148)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바이패스관(18)이 설치되는 구멍(149)이 형성되는데 이 구멍(149)은 비교적 크게 형성하여 상기 커버(140)의 분리 및 결합시에 용이하게 하도록 함이 좋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에 구비된 부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부구의 조립 상태를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구(150)가 결합되는 지지대(152)의 임의 위치에서 부구(150)를 고정되게 함으로서, 부구(15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물탱크 내에 채워지는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구(15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부구(150)가 결합되는 지지대(152)의 일면에는 걸림턱(152a)과 걸림홈(152b)을 반복적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152a)에 고정되는 걸림편(154a)이 형성된 고정구(154)를 상기 부구(150)에 스프링(156)을 이용하여 탄력지게 설치함으로서, 상기 스프링(15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대(152)의 걸림홈(152b)에 고정구(154)의 걸림편(154a)이 견고하게 걸려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되는 상기 부구(150)는 물의 수압에 의해서 변동되지 않음으로서 항상 정확한 량의 물이 물탱크(12)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의 구조를 상부체와 하부체로 구분하여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그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유지 보수 시에 밸브의 분리를 쉽게 하도록 함으로서 부품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밸브에 설치된 부구를 높낮이 조절되게 설치함은 물론 그 조절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도록 함으로서 물의 수위를 정확하게 조절하여 물의 낭비를 막는 절수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내의 수위에 따라 작동되는 부구에 의해 개폐되게 설치된 개폐밸브를 갖는 제1조립체와 상기 제1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물탱크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의 물공급관과 연결된 제2조립체로 이루어진 밸브본체;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결합 부분에 설치되어 물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된 패킹; 및
    상기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의 결합되는 단부에 각각 플랜지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플랜지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턱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턱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것에 의해 결합 고정되게 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제2조립체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제2조립체의 상면에 "T"형상의 결합턱들이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그 결합턱들에 대응되는 제1조립체의 상면에 결합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제1조립체의 외주면 끝단부에 결합턱들이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그 결합턱들에 대응되는 제2조립체의 상단부에 결합홈들이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체의 물탱크 외부에 위치되는 외주면에는 피치가 큰 제1나선부와 피치가 작은 제2나선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나선부에는 제1고정너트가 결합되어 제2조립체를 물탱크에 고정시키고 제2나선부는에 물공급관과 연결된 제2너트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내에 위치되는 밸브본체의 외부를 덮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하단부에는 물탱크 내의 물이 자유로이 이동되게 된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부구가 결합되는 지지대가 관통되게 작동공이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내의 수위에 따라 작동되는 부구는 지지대에 결합됨과 아울러 그 지지대의 일면에는 걸림턱과 걸림홈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고정되는 걸림편이 형성된 고정구를 상기 부구에 탄력지게 설치하여 상기 부구를 지지대의 임의 위치에서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
KR20-2003-0002111U 2002-12-31 2003-01-23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 KR20031102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39177 2002-12-31
KR2020020039177 2002-12-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552A Division KR100517293B1 (ko) 2003-01-23 2003-01-23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027Y1 true KR200311027Y1 (ko) 2003-04-21

Family

ID=4940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111U KR200311027Y1 (ko) 2002-12-31 2003-01-23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0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713A (ko) * 2018-10-01 2020-04-09 이상곤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713A (ko) * 2018-10-01 2020-04-09 이상곤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
KR102175283B1 (ko) 2018-10-01 2020-11-06 이상곤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0574B1 (en) Toilet tank fill valve connectable to riser with pre-selected height
US10487485B2 (en) Drain cover assembly
US20220178123A1 (en) Universal canister flush valve
US20060218712A1 (en) Flush valve with adjustable overflow tube and method for installing a toilet valve
US20060053542A1 (en) Adjustable toilet valve assembly
US3368224A (en) Toilet tank flush valve
KR200383401Y1 (ko) 세라믹 카트리지가 내장된 수전금구용 전환밸브
KR200311027Y1 (ko)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
KR100517293B1 (ko) 양변기의 물탱크 수위조절용 밸브
US6182306B1 (en) Side-mount toilet valve
KR200301081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KR100276050B1 (ko)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KR101942391B1 (ko) 양변기
KR200251220Y1 (ko)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US20080134422A1 (en) Toilet flapper valve and assembly
CN217301704U (zh) 侧控龙头
US5182819A (en) Universal commode stopper
KR100341351B1 (ko) 절수형 세면기
JPH0317971B2 (ko)
KR200202296Y1 (ko) 양변기용 절수밸브
KR200192560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200476808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저수조용 볼탭
KR200316415Y1 (ko) 양변기 수조의 수위조절용 밸브의 필터장치
JPH0220281Y2 (ko)
CN117027123A (zh) 一种下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