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145Y1 -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 - Google Patents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145Y1
KR200310145Y1 KR20-2002-0039179U KR20020039179U KR200310145Y1 KR 200310145 Y1 KR200310145 Y1 KR 200310145Y1 KR 20020039179 U KR20020039179 U KR 20020039179U KR 200310145 Y1 KR200310145 Y1 KR 200310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hip
support
groove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9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고양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양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양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9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1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1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측면의 단부에 각각 요홈(11a)과 돌기(11b)를 형성하고, 평면상의 모서리부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구비된 운반용 고리(12)를 구비하여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지지부(11)와; 상,하면 각각에 안착홈(13a)과 결합돌기(13b)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11)를 연결하는 연결부(13)가 구비되어 H형상을 이루어 구비된다.
그러므로, 서로 대향하는 지지부(11)의 측면 단부 각각에 요홈(11a)과 돌기(11b)를 형성하고, 연결부(13)의 상,하면에 안착홈(13a)과 결합돌기(13b)를 구비하므로써, 블럭(10)과 블럭(10)의 연결 및 적층시 지지부(11)의 요홈(11a)과 돌기(11b) 및 연결부(13)의 안착홈(13a)과 결합돌기(13b)의 체결에 의해 견고히 결합지지되므로 해안의 파력 및 토압 등으로 인해 연결된 블럭(10)이 좌우로 이탈되지 않게 되어 견고하고 안정적인 선박 접안시설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a block for lighter's wharf or quay wall.}
본 고안은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럭의 연결이 용이한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고 작은 선박 등이 접안하여 화물을 선박에 적재하거나 선박으로 부터 화물을 하역하도록 하는 물양장 및 안벽 등의 선박 접안시설의 구축은 블럭을 이용하여 해저의 경지반으로 부터 일정한 높이로 적층하여 그 공간에 양질의 모래, 자갈을 충전하여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일반블럭을 사용하였고, 이를 직립으로 조적함에 있어 블럭과 블럭선단 대접면이 상단 또는 하단블럭의 중도부에 위치되도록 교호로 조적하여 구축하였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내부와 외부가 일체로 된 블럭을 조적할 시에는 블럭을 제조하기 위한 모래, 시멘트, 자갈 등의 소요가 많았으며,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파력 및 토압 등에 의해 좌우로 밀려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견고하고 안정적인 선박 접안시설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은, 선박이 접안하여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안벽 및 물양장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에 있어서, 측면의 단부에 각각 요홈과 돌기를 형성하고, 평면상의 모서리부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구비된 운반용 고리를 구비하여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지지부와; 상,하면 각각에 안착홈과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H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지지부의 측면 단부 각각에 요홈과 돌기를 형성하고, 연결부의 상,하면에 안착홈과 결합돌기를 구비하므로써, 블럭과 블럭의 연결 및 적층시 지지부의 요홈과 돌기 및 연결부의 안착홈과 결합돌기의 체결에 의해 견고히결합지지되므로 해안의 파력 및 토압 등으로 인해 연결된 블럭이 좌우로 이탈되지 않게 되어 견고하고 안정적인 선박 접안시설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을 이용한 선박 접안시설을 보이는 사시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블럭 11 ; 지지부
11a ; 요홈 11b ; 돌기
12 ; 운반용 고리 13 ; 연결부
13a ; 안착홈 13b ; 결합돌기
14 ; 캡콘크리트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을 이용한 물양장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H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바, 연결부(13)와 연결부(13) 양측의 지지부(1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부(11)는 서로 대향되며, 측면 단부 각각에는 블럭과 블럭이 연결되어 지지되도록 요홈(11a)과 돌기(11b)가 형성되어지며, 평면상의 모서리부에는 블럭(10)을 이동시키기위해 내측으로 함몰되어 구비된 운반용 고리(1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11)를 연결하는 연결부(13)는, 블럭이 다수단으로 적층시에 좌우 흔들림없이 결합지지되도록 상,하면에 각각 안착홈(13a)과 결합돌기(13b)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블럭(10)을 구비하여 지지부(11)의 측면 단부에 형성된 요홈(11a)에 다른 하나의 블럭(10)의 지지부(11) 측면 단부에 형성된 돌기(11b)가체결되어 지지되도록 해안선을 따라 연결하는 방법으로 다수 연결하고, 이 기초단 상면에 계속하여 필요한 높이로 블럭(10)을 적층하는바, 기초단 블럭(10)의 연결부(13) 상측에 형성된 안착홈(13a)에, 적층되어질 블럭(10)의 하면에 돌설된 결합돌기(13b)가 안착되도록 적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적층된 블럭 내부공간에 양질의 사석 등으로 충전하고 최상단의 블럭(10) 상면에 캡콘크리트(14)를 씌워서 선박 접안을 위한 안벽 및 물양장 시설이 완공된다.
이러한 본 고안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10)은, 지지부(11)의 측면 각각에 블럭(10)과 블럭(10)이 연결되어 견고히 지지되도록 요홈(11a)과 돌기(11b)를 구비하고, 연결부(13)의 상,하면에 안착홈(13a)과 결합돌기(13b)를 구비하므로써, 블럭(10)과 블럭(10)의 견고한 결합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의 파력 및 토압 등으로 인해 연결된 블럭이 좌우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되어 견고하고 안정적인 선박 접안시설을 구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에 의하면, 서로 대향하는 지지부(11)의 측면 단부 각각에 요홈(11a)과 돌기(11b)를 형성하고, 연결부(13)의 상,하면에 안착홈(13a)과 결합돌기(13b)를 구비하므로써, 블럭(10)과 블럭(10)의 연결 및 적층시 지지부(11)의 요홈(11a)과 돌기(11b) 및 연결부(13)의 안착홈(13a)과 결합돌기(13b)의 체결에 의해 견고히 결합지지되므로 해안의 파력 및 토압 등으로 인해 연결된 블럭(10)이 좌우로 이탈되지 않게 되어 견고하고 안정적인 선박 접안시설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박이 접안하여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안벽 및 물양장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에 있어서,
    측면의 단부에 각각 요홈(11a)과 돌기(11b)를 형성하고, 평면상의 모서리부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구비된 운반용 고리(12)를 구비하여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지지부(11)와;
    상,하면 각각에 안착홈(13a)과 결합돌기(13b)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11)를 연결하는 연결부(13)가 구비되어 H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
KR20-2002-0039179U 2002-12-31 2002-12-31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 KR200310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9179U KR200310145Y1 (ko) 2002-12-31 2002-12-31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9179U KR200310145Y1 (ko) 2002-12-31 2002-12-31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145Y1 true KR200310145Y1 (ko) 2003-04-26

Family

ID=4940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9179U KR200310145Y1 (ko) 2002-12-31 2002-12-31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1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460A (ko) * 2019-11-08 2019-11-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오픈 셀 케이슨 구조물 및 시공 방법
KR102315282B1 (ko) * 2020-11-18 2021-10-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인터로킹블록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의 축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460A (ko) * 2019-11-08 2019-11-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오픈 셀 케이슨 구조물 및 시공 방법
KR102152085B1 (ko) * 2019-11-08 2020-09-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오픈 셀 케이슨 구조물 및 시공 방법
KR102315282B1 (ko) * 2020-11-18 2021-10-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인터로킹블록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의 축조방법
KR20220068125A (ko) * 2020-11-18 2022-05-2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인터로킹블록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의 축조방법
KR102601005B1 (ko) * 2020-11-18 2023-11-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인터로킹블록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의 축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092B1 (ko) 조립식 케이슨 블록과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안벽
US20090229505A1 (en) Battered column semi-submersible offshore platform
KR101813573B1 (ko) 수상 부유 안정성을 갖는 플로트
KR101143949B1 (ko) 금속제 프레임이 구비된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물
KR200310145Y1 (ko) 선박 접안시설용 블럭
KR20170107863A (ko) 육각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피복공법
KR101252709B1 (ko) 부력 프리플렉션을 갖는 해상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369799B1 (ko) 해상에서 선박을 접합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연결블록
JP2003221815A (ja) 重力式岸壁構造体
US20120051845A1 (en) Deep water port
KR101326773B1 (ko) 부등침하에 대응이 용이한 항만구조물
JP4143701B2 (ja) 水上浮体構造物
KR20010045293A (ko) 연약지반에 구축되는 방파제 구축 구조
ES2830323T3 (es) Estructura perforada que se puede montar en el lecho marino
US20150010364A1 (en) Deep-water port
JP5458441B2 (ja) 環境配慮型海上構造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363891B1 (ko)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식 부두 구축체
KR20090096119A (ko) 부력통 유니트
KR101510195B1 (ko) 플로팅 폰툰 조립체
KR101495313B1 (ko) 케이슨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75009B1 (ko) 바지선
KR200333395Y1 (ko) 선박접안시설용 조립식 케이슨 구조
KR200213519Y1 (ko) 물양장 구축용 중공블럭
KR20130143224A (ko)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항만부두의 시공방법
KR101919868B1 (ko) 커넥터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 해상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