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262Y1 -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262Y1
KR200309262Y1 KR20-2002-0034794U KR20020034794U KR200309262Y1 KR 200309262 Y1 KR200309262 Y1 KR 200309262Y1 KR 20020034794 U KR20020034794 U KR 20020034794U KR 200309262 Y1 KR200309262 Y1 KR 200309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enclosure
housing
mail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대영
Original Assignee
윤문석
고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문석, 고대영 filed Critical 윤문석
Priority to KR20-2002-0034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2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2Mail or newspaper receptacles, e.g. letter-boxes; Openings in doors or the like for delivering mail or newspapers
    • A47G29/1203Newspaper receptacles
    • A47G29/1205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전방에 개구부(12)가 형성된 함체(10)와, 상부측에 형성되는 투입구(22)를 개폐하기 위한 투입구 커버(24)를 구비하여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20)로 이루어진 우편함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2)의 양측 벽에 한 쌍의 지지 브라켓(30)이 내측을 향하여 각각 설치되고, 상기 도어(20)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각 지지 브라켓(30)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회전 브라켓(40)이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20)의 회전 중심점(C)을 함체(10)의 내측에 위치시킴으로써, 도어(20)의 무게중심이 함체(10)의 내측으로 치우치는 시점부터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개구부(12)를 개방하게 됨으로, 개구부(12)를 개방하는 동작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도어(20)의 회전 중심점(C)이 함체(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됨으로 도어(20)가 함체(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개구부(12)를 개방하게 되어 도어(20)가 함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투입구 커버(24)가 자유 회전되도록 설치됨으로 투입구 커버(24)를 강제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door installation structure of a mail box}
본 고안은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함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된 도어가 자중에 의해 함체의 내측으로 회동되면서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어서, 도어가 함체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는 도어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편함은 우편물을 수신하도록 사각박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아파트, 대형빌딩과 같이 수신인이 대량으로 존재하는 건물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우편함은 전면에 함체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도어에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우편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우편물을 수거하기 위해서는 도어(2)에 설치된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도어(2)의 하부를 상부로 들어 올려야 했다. 이와 같이 도어(2)를 하단부를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 도어(2)는 그 상단부 양측에 설치된 힌지(4)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하면서 함체(3)의 내부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2)는 함체(3)에 설치되는 볼스톱퍼(5)에 의해서 개구부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우편함의 도어(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가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는 도어(2)가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함체(3)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었기 때문에 우편함의 전방으로 통행하는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2)는 그 상단부 양측이 힌지(4)로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도어(2)가 함체(3)의 개구부를 개방했을 때 도어(2)의 크기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그 돌출 길이(L)가 길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돌출된 도어(2)는 통행하는 사람들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통행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우편함의 도어를 개방할 때 도어 전체가 함체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도어가 함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의 개방 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도어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제 1실시예에 의한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우편함의 도어가 설치되어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4b,4c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함체 12 : 개구부
20 : 도어 22 : 투입구
24 : 투입구 커버 30 : 지지 브라켓
40 : 회전 브라켓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와, 상부측에 형성되는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투입구 커버를 구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로 이루어진 우편함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양측 벽에 한 쌍의 지지 브라켓이 내측을 향하여 각각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각 지지 브라켓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회전 브라켓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회전 브라켓에는 상기 투입구 커버가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회전 브라켓은 직각, 원호형, "ㅡ"형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과 회전 브라켓의 결합위치는 개구부의 중심으로부터 함체의 내측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된 곳에 위치한다. 이는 상기 도어가 개구부를 개방하였을 때 도어가 최대한 함체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 브라켓은 함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 브라켓은 도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도어가 자중에 의해 함체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개구부를 개방하게 됨으로 도어가 함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고, 도어의 개폐작동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가 적용되는 우편함은 전체적으로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된 함체(10)와,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20)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20)는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의 개구부(12) 양측 중간부에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30)이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 브라켓(30)은 그 일단이 상기 개구부(12)의 양측 중간부에 설치되어 타단이 함체(10)의 내측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설치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 브라켓(30)은 개구부(12)의 양측 중간부 또는 중간부에서 상부측으로 치우친 부위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도어(20)는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부에는 장방형의 우편물 투입구(2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괘해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20)는 그 양측 상단부에 한 쌍의 회전 브라켓(40)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회전 브라켓(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 브라켓(40)은 도어(20) 측에 결합되는 고정단(42)과, 상기 고정단과 직각을 유지하여 설치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30)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연장단(4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 브라켓(30)의 연장단(44)은 힌지에 의해 상기 각 지지 브라켓(30)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 브라켓(40)과 지지 브라켓(30)의 회전 중심점(C)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2)의 중간부 측에서 함체(10)의 내측으로 설정된 거리만틈 떨어진 부위이다. 즉, 상기 연장단(44)의 끝단과 지지 브라켓(30)의 끝단은 개구부(12)와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고 함체(10)의 내부 상부측에서 하부로 설정된 거리를 유지한 위치에서 힌지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회전 중심점(C)은 함체(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 중심점(C)이 함체(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은 도어(20)가 개구부(12)를 개방하기 위하여 회전되었을 때 도어(20)가 최대한 함체(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각 회전 브라켓(40)의 고정단(42) 내측면에는 상기 투입구(22)를 개폐하기 위한 투입구 커버(24)가 힌지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즉,상기 투입구 커버(24)는 도어(20)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22)를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도어(20)는 그 중간부를 수평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하부보다 상부측의 무게가 더 무겁게 된다. 이는 상부측에 투입구 커버(24)를 비롯하여 한 쌍의 회전 브라켓(40)이 설치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4a,4b,4c,를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가 개구부(12)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는 도어(20) 전체의 무게중심이 회전 중심점(C) 우측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투입구 커버(24)는 상기 회전 브라켓(30)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상태를 유지하여 투입구(22)를 커버하게 된다. 따라서, 투입구 커버(24)를 강제 회전시켜 투입구(22)를 커버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불필요하게 된다.
즉, 상기 투입구 커버(24)는 회전이 자유롭게 회전 브라켓(40)에 설치됨으로 항상 자중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도어(20)가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투입구 커버(24)도 자중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하여 투입구(22)를 커버하게 되어 투입구 커버(24)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기구나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괘해정장치를 통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고 도어(20)의 하단부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들어 올린다.
상기 도어(20)의 하단부를 상부로 들어 올려 도어(20)와 일체화된 회전 브라켓(40)도 같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이 도어(20)의 계속적인 회전이 진행되어 도어(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도어(20)의 무게 중심은 회전 중심점(C)의 좌측(도어(20)의 상부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20)를 더 이상 회전시키지 않아도 자중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하게 되고 결국에는 도어(20)의 전면 하단부가 개구부(12)의 상단부에 접촉되면서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가 함체(10)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그 전체가 함체(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되어 도어(20)의 돌출거리(ℓ)은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의 돌출 거리(L)보다 현저하게 짧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도어(20)를 상부측으로 들어올려 설정된 구간만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도어(20)가 자중에 의해 회전을 진행하여 개구부(12)를 개방함은 물론, 도어(20)가 함체(10)의 내부에 삽입됨으로 함체(10)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돌출된 도어(20)에 의해 통행자가 불편을 격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20)가 함체(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은 그 회전 중심점(C)이 함체(10)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 2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는 상기 회전 브라켓(40)의 형상이 원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작용 또한 동일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어(20)가 함체(10)의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 중심점, 즉 회전 중심점(C)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개구부(12)를 개방하면서 함체(10)의 내부로 삽입됨으로 도어(20)가 함체(10)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도어(20)를 살짝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도어(20)가 회전하여 개구부(12)를 개방함으로 개방동작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는 도어의 회전 중심점을 함체의 내측에 위치시킴으로써, 도어의 무게중심이 함체의 내측으로 치우치는 시점부터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개구부를 개방하게 됨으로, 개구부를 개방하는 동작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도어의 회전 중심점이 함체의 내부에 위치하게 됨으로 도어가 함체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개구부를 개방하게 되어 도어가 함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투입구 커버가 자유 회전되도록 설치됨으로 투입구 커버를 강제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기구,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6)

  1. 전방에 개구부(12)가 형성된 함체(10)와, 상부측에 형성되는 투입구(22)를 개폐하기 위한 투입구 커버(24)를 구비하여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20)로 이루어진 우편함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2)의 양측 벽에 한 쌍의 지지 브라켓(30)이 내측을 향하여 각각 설치되고,
    상기 도어(20)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각 지지 브라켓(30)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회전 브라켓(40)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30)과 회전 브라켓(40)의 회전 중심점(C)은 함체(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라켓(40)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라켓(40)은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30)은 함체(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 브라켓(40)은 도어(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 브라켓(40)에는 상기 투입구 커버(24)가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
KR20-2002-0034794U 2002-11-21 2002-11-21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 KR200309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794U KR200309262Y1 (ko) 2002-11-21 2002-11-21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794U KR200309262Y1 (ko) 2002-11-21 2002-11-21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262Y1 true KR200309262Y1 (ko) 2003-03-31

Family

ID=4933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794U KR200309262Y1 (ko) 2002-11-21 2002-11-21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2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9213B1 (en) Pivotable computer access door structure having concealed, breakaway hinge mechanism
US6244505B1 (en) Security mailbox assembly
US10881233B1 (en) Through-door package delivery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KR200309262Y1 (ko) 우편함의 도어 설치구조
JP2980602B1 (ja) 扉の開閉機構
KR102268231B1 (ko)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
GB2463473A (en) Mail box with hinged front panel.
KR102282902B1 (ko)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
KR200368518Y1 (ko) 보조 개폐장치가 장착된 여닫이문
KR200404275Y1 (ko) 배달물 투입구
JP3684693B2 (ja)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JP2000005037A (ja) 配達物受け
KR20190002676U (ko) 스윙 도어
JPH10328077A (ja) 衛生装置
JP3601121B2 (ja) パチンコ機
JP4594051B2 (ja) 夜間金庫
JP2004350714A (ja) 郵便ポスト
JP2719321B2 (ja) キーボックス
KR960004189Y1 (ko) 각도조절식 경첩
JP4088580B2 (ja) 施錠機構付き引手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サッシ窓
JPH026869Y2 (ko)
JPH0630059Y2 (ja) 郵便受け箱
JPH0342236Y2 (ko)
JP6278946B2 (ja) ドアクローザ
JPS6038825Y2 (ja) ル−フフアンにおけるシヤツタロツ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