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734Y1 - 반달회전수문 - Google Patents

반달회전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734Y1
KR200308734Y1 KR20-2002-0036293U KR20020036293U KR200308734Y1 KR 200308734 Y1 KR200308734 Y1 KR 200308734Y1 KR 20020036293 U KR20020036293 U KR 20020036293U KR 200308734 Y1 KR200308734 Y1 KR 200308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water
water gate
plat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후석
Original Assignee
오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후석 filed Critical 오후석
Priority to KR20-2002-0036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7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7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2Gates of segmental or sector-like shape with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수로나 공업용수로 그리고 항만수로 등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수문의 개폐효율과 안전성(安全性) 및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 토사나 뻘이 수문 막아 개폐(開閉) 효율(效率)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차후 개, 보수를 용이하게 배가 시켜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인 수문의 형태는 상, 하 직선운동으로 수문을 개폐하는데 토사나 뻘이 수문에 유입(流入)되어 수문의 개폐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고 수문의 가장 중요한 역할인 기밀이 누수(漏水) 되어 수문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그리고 좀더 변형된 형태로는 주로 농수로에 사용되는 간혈회전식 수문이 있는데 이것은 수로의 폭이 적고, 유량이 적은 곳에 적합하며 설치공간이 크게 차지해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코자 본 고안은 먼저 수로(水路)의 양쪽 벽면(壁面)에 수문이 회전할 수 있는 가이드벽(14)을 설치하고 가이드벽(04)의 안쪽에 수문(01)이 수로와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양쪽의 막음판(13)과 연결되고 막음판(13)에는 수문링크(12)가 링크연결핀(13-1)연결(連結)되고 수문링크(12)의 다른 한쪽 끝단은 수로상부 측면의 링크암(11)과 연결핀(12-1)으로 연결되어있다.
이때 메인실린더(02)를 전, 후진 시키면 수문(01)의 메인암(03)을 회전운동시켜 수문(01)을 개폐(開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로 바닥 면에 토사(土砂)나 뻘이 싸이면 수문(01)의 전면에 부착(付着) 되어있는 1차뻘제거판(01-5)과 2차뻘제거판(01-3)으로 토사와 뻘을 제거하며, 보수점검 시에는 수문링크(12)를 상사 점까지 회전시켜 정지하면 보조실린더(04)가 링크핀(01-1)을 밀어 상부로 회전시키면 이때 위치고정핀(07-1)이 수문(01)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위치고정구멍에 걸린다.
다시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수문(01)을 점검위치까지 상승시켜 개,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수문(01)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반달회전수문{a half a month rotation floodgate}
본 고안은 하천수로나 공업용수로 그리고 항만수로 등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수문의 개폐효율과 안전성 및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 토사나 뻘이 수문을 막아 개폐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차후 개, 보수를 용이하게 배가 시켜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인 수문의 형태는 상, 하 직선운동으로 수문을 개폐하는데 토사나 뻘이 수문에 유입되어 수문의 개폐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고 수문의 가장 중요한 역할인 기밀이 누수 되어 수문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그리고 좀더 변형된 형태로는 주로 농수로에 사용되는 간혈회전식 수문이 있는데 이것은 수로의 폭이 적고, 유량이 적은 곳에 적합하며 설치공간이 크게 차지해 불편한 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문(01)의 개,보수시 주로 수밀고무판(01-2)의 마모가 주원인인데 수밀고무판(01-2)의 교체를 위해 수문을 인양하여 교체하며, 또는 수로의 유수를차단한 후 작업자가 수로에 들어가 개, 보수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수문으로 유입된 토사나 뻘을 제거하기 위하여 소방호스나 기타의 방법으로 제거하고 있으나 제거 또한 수월하지 않아 가장 큰 문제점을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성능이 개선된 수문을 공급코자 수문의 원리를 변형시키고 기능을 보강하여 성능을 백분 발휘하여 내구성과 개, 보수가 용이한 수문의 공급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수문을 수로의 상부면 까지 강제로 회전시켜 수문고무판의 교체 및 개, 보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문의 제공.
수문의 바닥 면에 쌓여있는 토사나 뻘을 수문이 회전하면서 제거할 수 있는 수문의 제공.
수압에 위한 수문의 회전방지 및 고정 그리고 급속회전하강이 방지될 수 있도록 회전방지용 유압브레이크가 구비된 수문의 제공.
수문이 회전하는 바닥 면에 지수판을 설치하여 토사나 뻘의 제거를 원활하게할 수 있도록 지수판이 구비된 수문의 제공.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설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설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점검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점검 작동상태도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수문의 닫힌 상태를 예시한 "B" - "B"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수문의 점검 상태를 예시한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수문의 열린 상태를 예시한 "A" - "A"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토사 및 뻘제거방법을 예시한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수위조절 및 맑음 물을 흘러보내는 것을 예시한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역류방지를 예시한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01: 수문
01-1: 링크핀
01-2: 수밀고무판
01-3: 2차 뻘제거판
01-4: 고무판지지대
01-5: 1차 뻘제거판
02: 메인실린더
02-1: 연결핀
03: 메인암
04: 보조실린더
05: 핀밀봉
06: 클램퍼흰지
07: 클램퍼지지대
07-1: 위치고정핀
08: 바란스추
09: 보조실린더지지대
10: 메인실린더지지대
11: 링크암
12: 수문링크
12-1: 연결핀
13: 막음판
13-1: 링크연결핀
14: 가이드벽
15: 메인축
16: 암회전지지대
17: 지수판
18: 메인앙카
19: 보조앙카
20: 조작반
21: 메인축하우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서 그 구성을 도1에서부터 7까지 도시하였다.
도1,2는 수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3,4는 수문의 점검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5는 수문의 닫힌 상태, 도6은 수문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8,9,10은 유수의 흐림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먼저 수로의 양쪽 벽면에 수문(01)이 회전할 수 있는 가이드벽(14)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벽(14) 사이에 막음판(13)이 구비되고 양쪽 막음판(13) 사이에는 수문(01)이 막음판(13)면과 직각방향으로 연결된다.
양쪽 AKR음판(13) 뒤면 에는 수문링크(12)가 있어 한쪽 끝단은 막음판(13)과 링크연결핀(13-1)으로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단은 링크암(11)에 연결핀(12-1)으로 연결된다.
링크암(11)의 다른 한쪽 끝단은 암회전지지대(16)에 위치한 메인축(15)과 연결 고정되며, 메인암(03)또한 메인축(15)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메인암(03)의 다른 한쪽 끝단은 메인실린더(02) 로드 끝단과 연결핀(02-1)으로 연결되며, 메인실린더(02)의 뒷면은 메인실린더지지대(10)에 연결된다.
이때 모든 연결(連結)부위는 회전운동이 가능한 구조로서 이루어지며, 메인실린더(02)의 전, 후진에 의하여 수문(01)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막음판(13) 사이에 위치한 반달형태의 수문(01)은 수문(01)에 유입된 토사나 뻘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문(01)의 전단(前段)에 갈퀴모양의 1차뻘제거판((01-5)이 장착되며, 1차뻘제거판(01-5)에서 제거하지 못한 토사나 뻘을 2차뻘제거판(01-3)에서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2차뻘제거판(01-3) 뒷면에 위치한 2개의 수밀고무판(01-2)이 고무판지지대(01-4)에 볼트,너트로 취부 고정되어 있어 이물질에 의한 수밀고무판(01-2)의 마모를 최소화시킨다.
양쪽 막음판(13) 뒷면상부에는 링크핀(01-1)이 복수개가 구비되며, 개,보수시에는 수문(01)을 수로의 상부까지 상승 시켜야하는데, 메인실린더(02)의 로드를 전진시켜 링크핀(13-1)의 위치가 상사 점까지 오면 메인실린더(02)의 전진은 정지되며 이때 보조실린더(04)가 전진하면 보조실린더지지대(09)를 기점으로 움직이면서 보조실린더(04) 전단에 부착된 핀밀봉(05)가 링크핀(01-1)을 밀어 수문(01)을 강제 회전시키면 메인축(15)은 메인축하우징(21)을 기점으로 하여 회전 상승한다.
이때 수문(01)이 회전하면, 수문(01) 양측 면에 부착된 막음판(13)측면 상부에는 복수개의 홈이 파여져 있어 클램퍼지지대(07)에 부착된 위치고정핀(07-1)이 홈 사이로 끼워져 보조실린더(04)가 후진 할때 스토퍼역할을 하며, 보조실린더(04)가 다시 후진하여 전진하면 클램퍼지지대(07)는 클램퍼흰지(06)를 기점으로 바란스추(08)에 의하여 지레 대 역할을 하여 상, 하로 움직여 록크(lock)와 언록크(unlock)를 반복하면, 다시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수문(01)은 메인축(15)을 기점으로 회전운동을 하여 개, 보수위치까지 회전이동 시킨다.
이때 메인실린더(02)의 실린더튜브 내부에 차있는 오일은 압력이 걸리지 않도록 하며, 모든 밸브는 오픈 상태로 하여 모든 오일이 자연스럽게 빠지고 들어오게하여 메인실린더(02) 부하를 최소로 한다.
홍수 시나 비상시에는 수문(01)을 전부 열어야하는데 이때에는 수문(01)을 바닥 면까지 회전시키는데 이때 바닥 면에 차있는 토사나 뻘을 1차뻘제거판(01-5)과 2차뻘제거판(01-3)으로 완전히 제거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수밀고무판(01-2)의마모나 파손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수문(01)의 원할한 회전을 위하여 바닥 면은 스테인레스 철판으로 지수판(17)을 제작하고 지수판(17)의 고정은 수로의 바닥면에 메인앙카(18)와 보조앙카(19)로 고정 장착하면 수밀고무판(01-2)과 지수판(17) 사이에 마찰력이 최소화하여 마모나 손상을 방지하며 기타의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 할 수 있다.
그리고 수문(01)이 수압(水壓)이나 기타의 부하에 밀리거나 하강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메인실러더(02)에 유압(油壓)을 공급하는 유압유니트에는 별도의 브레이크밸브를 부착하며 정전 시에도 브레이크 역할을 할 수 있는 "B" TYPE(전기의 공급차단시 작동)을 사용하여, 급속하강 및 수압에 의해 수문(01)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수문(01)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 토사나 뻘의 제거를 위하여 수문(01)을 도8.과 같은 위치로 열어 고정하면, 수문(01) 하부의 지수판(17)에 쌓여 있는 토사나 뻘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수위의 조절과 맑음 물을 흘러보낼 때에는 도9.와 같은 위치에서 사용하며되고, 해안 가의 바다와 맞물린 하천은 밀물과 썰물에 의한 역류방지의 목적으로 도10.과 같이 수문(01)을 자동하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수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수로의 양쪽 벽면(壁面)에 수문이 회전할 수 있는 가이드벽(14)을 설치하고 가이드벽(04)의 안쪽에 수문(01)이 수로와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양쪽의막음판(13)과 연결되고, 막음판(13)에는 수문링크(12)가 링크연결핀(13-1)연결되고 수문링크(12)의 다른 한쪽 끝단은 수로상부 측면의 링크암(11)과 연결핀(12-1)으로 연결되며, 이때 메인실린더(02)를 전, 후진 시키면 수문(01)의 메인암(03)을 회전운동 시켜 수문(01)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로 바닥 면에 토사나 뻘이 쌓이면 수문(01)의 전면에 부착 되어있는 1차뻘제거판(01-5)과 2차뻘제거판(01-3)으로 토사와 뻘을 제거하며, 수문의 보수점검 시에는 막음판(13)에 연결된 수문링크(12)를 상사 점까지 회전시켜 정지하면 보조실린더(04)가 링크핀(01-1)을 밀어 상부로 회전시키고 이때 위치고정핀(07-1)이 수문(01)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위치고정구멍에 걸린다.
다시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수문(01)을 점검위치까지 상승시켜 개,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수문(01)의 하부 면은 지수판(17)을 설치하여 수문의 원활한 회전과 수밀고무판(01-2)의 마모를 최소화하며 효과적인 토사 및 뻘을 제거할 수 수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5)

  1. 수문(01)을 수로의 상부면 까지 강제로 회전시켜 수밀고무판(01-2)의 교체 및 개, 보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치와
    수문(01)의 바닥 면에 쌓여있는 토사나 뻘을 수문(01)이 회전하면서 제거할 수 있는 장치와
    수압에 위한 수문(01)의 회전방지 및 고정 그리고 급속회전하강이 방지될수 있도록 회전방지용 유압브레이크가 구비된 장치와.
    수문(01)이 회전하는 바닥면에 지수판(17)을 설치하여, 토사나 뻘의 제거를 원할하게 할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반달회전수문.
  2. 제1항에 있어서
    양쪽 막음판(13) 뒷면 상부(上府)에는 링크핀(01-1)이 복수개가 구비되며, 링크핀(13-1)의 위치가 상사 점까지 오면 보조실린더(04)가 전진하여 링크핀(01-1)을 밀면 수문(01)은 메인축(15)을 기점으로 하여 강제로 회전 상승하며,
    이때 막음판(13)측면 상부에는 복수개의 홈이 파여져 클램퍼지지대(07)에 부착된 위치고정핀(07-1)이 홈 사이로 끼워져 스토퍼역할을 하며, 보조실린더(04)가 다시 후진(後進)하여 전진(前進)하면 클램퍼지지대(07)는 클램퍼흰지(06)를 기점으로 바란스추(08)에 의하여 지레 대 역할을 하여 상, 하로 움직여 록크(lock)와 언록크(unlock)를 반복하면서, 개,보수위치까지 회전하여 지수판(17)의 교체 및 개,보수를 용이하게 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달회전수문.
  3. 제1항에 있어서
    막음판(13) 사이에 위치한 반달형태의 수문(01)에 유입(流入)된 토사나 뻘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문(01)의 전단에 갈퀴모양의 1차뻘제거판((01-5)이 장착되며 1차뻘제거판(01-5)에서 제거하지 못한 토사나 뻘을 2차뻘제거판(01-3)에서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달회전수문.
  4. 제1항에 있어서
    수문(01)이 수압(水壓)이나 기타의 부하(負荷)에 밀리거나 하강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메인실러더(02)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유니트에는 별도의 브레이크밸브(brake valve)를 부착하며 정전 시에도 브레이크 역할을 할 수 있는 "B" TYPE(전기의 공급차단시 작동)을 사용하여 급속하강을 방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달회전수문.
  5. 제1항에 있어서
    수로의 바닥 면에 스테인레스 철판(鐵板)을 사용하여 지수판(17)을 제작하여 바닥 면에 메인앙카(18)와 보조앙카(19)로 고정 장착(裝着)하여 수밀고무판(01-2)과 지수판(17) 사이에 마찰력(摩擦力)이 최소화하여 지수판(17)의 마모(磨耗)나 손상(損傷)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달회전수문.
KR20-2002-0036293U 2002-11-29 2002-11-29 반달회전수문 KR200308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293U KR200308734Y1 (ko) 2002-11-29 2002-11-29 반달회전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293U KR200308734Y1 (ko) 2002-11-29 2002-11-29 반달회전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734Y1 true KR200308734Y1 (ko) 2003-03-26

Family

ID=4933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293U KR200308734Y1 (ko) 2002-11-29 2002-11-29 반달회전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73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076B1 (ko) 2005-12-28 2006-08-25 한국수자원공사 댐 수문용 래이디얼게이트 유압식 개폐장치
KR100686885B1 (ko) * 2006-11-29 2007-02-27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회전수문의 구성방법
KR100930533B1 (ko) 2009-08-25 2009-12-09 장찬철 반원형 회전수문
KR101261700B1 (ko) * 2010-12-09 2013-05-06 주식회사 지현 회전식 가동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076B1 (ko) 2005-12-28 2006-08-25 한국수자원공사 댐 수문용 래이디얼게이트 유압식 개폐장치
KR100686885B1 (ko) * 2006-11-29 2007-02-27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회전수문의 구성방법
KR100930533B1 (ko) 2009-08-25 2009-12-09 장찬철 반원형 회전수문
KR101261700B1 (ko) * 2010-12-09 2013-05-06 주식회사 지현 회전식 가동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1315B2 (en) A water control gate
KR100788918B1 (ko) 펌프일체형수문
KR200308734Y1 (ko) 반달회전수문
KR100749721B1 (ko) 대용량 저장용 슬라이딩 자동보 수문
KR101276031B1 (ko) 방류형 수문
KR200427632Y1 (ko) 가동보의 구동장치
WO2019131212A1 (ja) 油圧制御装置
KR100845143B1 (ko) 유/무전원 중력식 자동수문
CN2641123Y (zh) 漫水桥型拦河坝
KR101681141B1 (ko) 좌우회동개폐 펌프일체형수문
KR100514954B1 (ko) 하향식 가동보
KR101317313B1 (ko) 인양 및 전도수문 일체형 복합게이트
CN209760189U (zh) 一种排水箱涵防回淤设施
CN108166459B (zh) 一种曲臂钢坝闸门
JP3742776B2 (ja) 制水扉付きゲートポンプ設備
KR102319410B1 (ko) 이치수형 펌프수문
KR200332446Y1 (ko) 기어식 회전수문
CN111075461A (zh) 一种双模系统排土闸门
CN212772238U (zh) 一种横拉门底门槽防淤积装置
CN219450658U (zh) 一种齿轮齿条液压缸复合驱动翻板闸门
JP3088524U (ja) 補助ゲート付きゲートポンプ設備
KR102484663B1 (ko) 부력과 하중을 이용한 수문 장치
KR200215793Y1 (ko) 수문 개폐장치
CN215052752U (zh) 一种立式钢闸门
JP2002327426A6 (ja) 制水扉付きゲートポンプ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