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410B1 - 이치수형 펌프수문 - Google Patents

이치수형 펌프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410B1
KR102319410B1 KR1020210111852A KR20210111852A KR102319410B1 KR 102319410 B1 KR102319410 B1 KR 102319410B1 KR 1020210111852 A KR1020210111852 A KR 1020210111852A KR 20210111852 A KR20210111852 A KR 20210111852A KR 102319410 B1 KR102319410 B1 KR 102319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wedge
opening
valve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국
김용현
한백일
한영민
강성백
채경수
Original Assignee
하서산업(주)
한국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서산업(주), 한국환경공단 filed Critical 하서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111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E02B8/045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automatically mov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치수형 펌프수문에 관한 것으로, 밸브개폐전동기 또는 핸들이 한방향으로 구동되면 밸브개폐기가 연동되어서 상부연결봉, 동력변환부를 통해 하부연결봉이 하강되고 플랩개폐부의 상부누름웨지 및 하부누름웨지가 하강되어서 상부고정웨지 및 하부고정웨지와의 상·하쐐기대우(對偶)가 해제되어서 플랩의 외수측 자유도가 해제되어 플랩이 회동개폐되도록 구비되고; 밸브개폐전동기 또는 핸들이 반대방향으로 구동되어서 하부연결봉이 상승시키면 플랩개폐부의 상부누름웨지 및 하부누름웨지가 상승되어서 상부고정웨지 및 하부고정웨지와의 상·하쐐기대우(對偶)가 플랩의 전(全)자유도를 구속하여 밸브본체에 강제로 폐쇄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치수형 펌프수문은, 수문본체, 개폐기, 펌프, 플랩밸브, 밸브개폐기 및 플랩개폐부를 유기적으로 작동 제어하도록 제어부를 구성하여 치수시에는 상기 플랩을 밸브본체로부터 개폐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시키고, 저수시에는 플랩을 밸브본체와 강제 폐쇄시키도록 구비하여 내수의 치수와 저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이치수형 펌프수문{Pump Gate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 and Storable Water}
본 발명은 이치수형(利治水形) 펌프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문에 펌프를 일체화시킨 펌프수문의 플랩을 개폐 및 제어하도록 플랩개폐부를 구성하여 내수의 치수(治水)인 자연배수, 강제배수 및 외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 내수의 이수(利水)인 저수(貯水)가 가능한 이치수형 펌프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용도의 수문은 강이나 하천 등 수로의 말단부에 수로와 횡방향으로 설치하여 내수의 외수측으로 원활한 자연배수와 외수의 내수측 역류를 차단하는 치수(治水) 역할과 내수의 저수(貯水)를 통하여 수자원을 이용하는 이수(利水) 역할과 외수위가 상승한 상태에서 내수를 강제배수시키는 치수(治水) 기능을 목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종래 수문은 강이나 하천제방이나 방조제 등의 수로에 설치하여 평소에는 개방하여 상류측 내수를 하류측 외수로 자연배수시키다가 집중호우나 장마 또는 태풍등으로 강우량이 증가하여 외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으로 상승하면 일차적으로 수문을 하강하여 수로를 폐쇄하고, 외수가 내수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수문을 폐쇄하면 외수의 내수측 유입은 차단할 수 있지만, 내수가 자연배수가 이뤄지지 않게 되고, 강우가 지속되면 내수위도 상승하게 되어, 별도의 강제배수시설이 없는 저지대의 주택이나 농경지는 침수가 발생하게 되어 많은 인명과 재산상의 수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 종래 수문의 저수역할에 대하여 살펴보면, 강이나 하천제방이나 방조제등의 수로에 수문을 설치하여 수문을 개방하면, 내수를 외수측으로 자연배수시킬 수 있고, 내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수문으로 수로를 차단하여 내수를 저수하여 직접 이용하거나, 내수를 용수로나 취수로를 통하여 수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지만, 외수위가 내수위보다 상승하면 일차적으로 수문을 하강하여 수로를 폐쇄해야 한다. 이와 같이 수로를 폐쇄하면 외수의 내수측 유입은 차단할 수 있지만, 내수가 자연배수 되지 않으므로, 강우가 지속되면 내수위도 상승하게 되고, 저지대의 주택이나 농경지는 침수로 커다란 수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펌프수문은 내수를 수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저수하려면 내수위가 상승하여야 하지만 그렇게 되면 내·외수의 수위차에 의해 발생하는 내수측 차압(差壓)이 증가하여 수문의 하류측에 결합된 플랩밸브의 플랩이 플랩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자동으로 개방되어서 내수가 펌프의 말단부에 결합된 플랩밸브를 통하여 외수측으로 자연배수됨으로써 내수를 저수(貯水)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나아가, 종래 펌프수문은 플랩밸브의 구조적인 자동개방으로 내수를 저수할 수 없어서, 내수를 귀중한 수자원으로 활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고정보나 가동보의 설치 없이는 하천의 건천화(乾川化)를 방지할 수 없어서 내수로부터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는 경제적, 환경적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펌프수문을 채택한 펌프장을 건설한 후 또는 펌프의 고장 수리후 현장에서 펌프의 성능시험에 필요한 내수를 저수할 수 없어서 성능시험을 실시하지 못하고, 다음 해 우기가 될 때까지 기다려서 종합 시운전을 실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저수용 펌프일체형수문 (특허번호 제10-1973393호, 2019.04.23. 등록)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플랩의 상단은 가이드안내스롯에 착탈되고 플랩의 하단은 지지구스롯에 착탈되는데, 가이드안내스롯 및 지지구스롯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된 개폐구는, 강제배수시 외수측으로 전도시켜 플랩을 해제시킬 수 있으나 저수시에 작용하는 큰 수압하중으로 인하여 외팔보 형상의 개폐구가 변형되어 수문본체를 하강시켜도 개폐구가 가이드안내스롯과 정확하게 결합되지 못하여 플랩을 결합시키지 못하며, 가이드안내스롯에 착탈되도록 플랩 하단의 지지구스롯을 수중에서 수리하여야 저수가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랩밸브의 개폐를 현장 및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제어하여서 내수의 즉각적이고 확실한 자연배수와 강제배수를 구현하며, 하천이나 하수관거의 범람과 저지대의 침수를 방지하여 수해로 인하여 발생하는 인명피해와 매년 반복되는 커다란 재산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한 이치수형 펌프수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랩밸브를 확실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플랩개폐부를 구성하고, 내수의 원활한 자연배수와 강제배수는 물론, 내수의 저수 기능을 갖도록 구성하여, 저수를 귀중한 수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하천의 건천화를 방지하여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이치수형 펌프수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펌프수문의 펌프 구동시 플랩밸브에서 작용하는 큰 유체마찰저항을 저감시켜 작은 개폐모멘트로 개폐되는 플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펌프수문을 채택한 펌프장을 건설한 후 또는 펌프의 고장수리 후 현장에서 성능시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우기가 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도 펌프 등 기기의 성능을 현장에서 시험할 수 있도록 한 이치수형 펌프수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수를 저수하여 물놀이 공원을 조성하여 여름철 어린이들의 물놀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이치수형 펌프수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치수형 펌프수문은, 수로의 수문구조물에 일체로 설치된 문틀 사이에서 개폐기로 승강되도록 설치되고 개구부를 가지며, 개구부를 개방하여 내수를 배수시키거나, 개구부를 폐쇄하여 저수시키고 외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수문본체; 상기 수문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수로의 내수를 외수측으로 강제배수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의 토출측에 결합되는 밸브본체와, 밸브본체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개폐되도록 배설되는 플랩을 구성하여 치수시에는 플랩이 밸브본체에 대해 하류측으로 회동개폐되고, 외수의 내수측으로 역류를 차단시키며, 저수시에는 플랩을 강제폐쇄시키는 플랩밸브; 상기 플랩의 스킨판의 외수측에 진공격자로 배설되어 외수위 상승시 플랩에 부력을 작용하는 부력챔버; 밸브본체의 외측면 상부와 플랩의 외측면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서 플랩의 상부를 밸브본체의 상부에 착탈시키는 상부개폐부와, 밸브본체의 외측면 하부와 플랩의 외측면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서 플랩의 하부를 밸브본체의 하부에 착탈시키는 하부개폐부로 구성되는 플랩개폐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플랩개폐부의 상부누름웨지 및 하부누름웨지는, 하단이 회동축에 연결된 하부연결봉과, 하부연결봉의 상단에 결합된 동력변환부와, 하단이 동력변환부에 연결된 상부연결봉과, 상부연결봉의 상단부에 결합된 밸브개폐기와, 벨브개폐기에 연결된 핸들 또는 밸브개폐전동기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비되되, 밸브개폐전동기 또는 핸들이 한방향으로 구동되면 밸브개폐기가 연동되어서 상부연결봉, 동력변환부를 통해 하부연결봉이 하강되고 플랩개폐부의 상부누름웨지 및 하부누름웨지가 하강되어서 상부고정웨지 및 하부고정웨지와의 상·하쐐기대우(對偶)가 해제되어서 플랩의 외수측 자유도가 해제되어 플랩이 회동개폐되도록 구비되고; 밸브개폐전동기 또는 핸들이 반대방향으로 구동되어서 하부연결봉이 상승되면 플랩개폐부의 상부누름웨지 및 하부누름웨지가 상승되어서 상부고정웨지 및 하부고정웨지와의 상·하쐐기대우(對偶)가 플랩의 전(全)자유도를 구속하여 밸브본체에 강제로 폐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문본체, 개폐기, 펌프, 플랩밸브, 밸브개폐기 및 플랩개폐부를 유기적으로 작동 제어하도록 제어부를 구성하여 치수시에는 상기 플랩을 밸브본체로부터 개폐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시키고, 저수시에는 플랩을 밸브본체와 강제 폐쇄시키도록 구비하여 내수의 치수와 저수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이치수형 펌프수문의 다른 특징은, 플랩개폐부의 상부개폐부는, 밸브본체의 외측면 상부에 배설되는 상부고정웨지와, 플랩의 외측면 상부에 배설되고 플랩이 밸브본체에 닫힌 후 상승되면 상부고정웨지에 쐐기결합되어 플랩을 밸브본체와 결합시키는 상부누름웨지가 구비되고; 동력변환부를 회동시켜 플랩을 상승시키면 상부누름웨지가 상부고정웨지와 쐐기결합되어 플랩의 전(全)자유도를 구속시켜 플랩을 밸브본체와 결합시키고, 동력변환부를 회동시켜 플랩을 하강시키면 상부누름웨지 및 상부고정웨지의 쐐기결합이 해제되어 플랩이 밸브본체와 해제되므로 플랩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외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며; 플랩개폐부의 하부개폐부는, 밸브본체의 외측면 하부에 배설되는 하부고정웨지와, 플랩의 외측면 하부에 배설되고 플랩이 밸브본체에 닫힌 후 상승되면 하부고정웨지에 쐐기결합되어 플랩을 밸브본체와 결합시키는 하부누름웨지가 구비되고; 동력변환부를 회동시켜 플랩을 상승시키면 하부누름웨지가 하부고정웨지와 쐐기결합되어 플랩의 전(全)자유도를 구속시켜 플랩을 밸브본체와 결합시키고, 동력변환부를 회동시켜 플랩을 하강시키면 하부누름웨지 및 하부고정웨지의 쐐기결합이 해제되어 플랩이 밸브본체와 해제되므로 플랩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외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며; 제어부에 의해 밸브개폐기가 상승 구동되면 하부연결봉과 회동축에 결합된 플랩이 상승되어서 상부개폐부와 하부개폐부가 폐쇄되어 플랩과 밸브본체가 폐쇄되고; 제어부에 의해 밸브개폐기가 하강 구동되면 하부연결봉과 회동축에 결합된 플랩이 하강되어서 상부개폐부와 하부개폐부가 해제되어 플랩과 밸브본체가 해제되므로, 플랩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현수(懸垂)되어 전후의 수위차에 의한 수압하중으로 외수측으로 회동궤적을 그리며 개폐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이치수형 펌프수문의 또 다른 특징은, 상부개폐부의 상부고정웨지 및 하부개폐부의 하부고정웨지는, 밸브본체의 상하부 외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면이 구비되며, 상부개폐부의 상부누름웨지 및 하부개폐부의 하부누름웨지는, 플랩의 상하부 외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면이 구비되어서 상부고정웨지 및 하부고정웨지와 쐐기대우(對偶)관계에 있으며, 상부누름웨지 및 하부누름웨지에는 상하 쐐기대우(對偶)의 플랩과 밸브본체의 결합정도를 조절하여서 플랩밸브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누름웨지조절구가 구비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수문본체에 펌프가 일체화되고 이 펌프에 플랩밸브가 결합되며 이 플랩밸브에 플랩을 선택적으로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플랩개폐부가 더 구성됨으로써 수로의 내수를 외수측으로 자연배수 또는 강제배수 또는 외수의 내수측 유입을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수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저수(貯水)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에 따른 이치수형 펌프수문은 플랩밸브 개폐기를 구성하여 플랩밸브의 개폐를 확실하게 구현하고, 플랩개폐부의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이 발생할 요소가 적으며, 운용이 쉬워서 내수를 수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2) 본 발명에 따른 이치수형 펌프수문은 내수의 수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단순한 기계적인 구성으로서 주요 기능인 치수기능(자연배수 또는 강제배수)을 확실하게 구현하는 운용상의 효과가 있다.
3) 본 발명에 따른 이치수형 펌프수문은 펌프의 작동과 정지와 플랩밸브의 작동 및 정지가 정확하게 일치해야 하는 동기(synchronize)화를 구성하지 않아도 무동력으로 개폐되는 운용상의 효과가 있다.
4) 본 발명에 따른 이치수형 펌프수문은 부력챔버에서 발생하는 부력만큼 플랩의 수직하중을 저감시켜 작은 개폐모멘트로 개폐되므로 작은 전동기의 동력 용량을 갖는 펌프를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5) 펌프장 건설 현장에서는 내수의 저수가 불가능하여 우기가 될 때까지 기다리는 문제가 발생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이치수형 펌프수문은 펌프수문을 채택한 펌프장을 건설한 후 현장에서 내수의 저수가 가능하므로 우기가 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도 펌프 등 기기의 성능을 현장에서 시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6) 본 발명에 따른 이치수형 펌프수문은 내수를 저수모드로 저수하여 내측 하천의 건천화를 방지할 수 있고, 물놀이 공원을 조성하여 여름철 어린이들의 물놀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역할을 하는 효과가 있다.
7) 본 발명에 따른 이치수형 펌프수문은 별도의 동력장치없이 플랩을 개폐시킬 수 있으며, 수문의 내외수측 수위에 의해 발생되는 수압(무동력)으로 작은 수위차에도 쉽게 개폐되게 플랩밸브를 구성함으로써 설비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수문본체에 펌프가 설치되고 이 펌프에 플랩밸브가 설치되며 이 플랩밸브에 플랩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플랩개폐부가 더 설치됨으로써 수로의 내수를 외수측으로 자연배수 또는 강제배수 또는 외수의 내수측 유입을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수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저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평소에는 내수가 외수측으로 원활히 자연배수되며 내수위가 설정치보다 상승하면 내수를 수문에 일체화된 펌프로 외수측으로 강제배수시켜서 저지대 주택지 및 농경지의 침수로 인한 수해를 최소화할 뿐 아니라, 내수를 필요에 따라 저수하여서 귀중한 수자원과 건천화 방지, 물놀이 공원 등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치수형 펌프수문의 플랩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치수형 펌프수문의 플랩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치수형 펌프수문의 이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플랩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 및 플랩개폐부의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 및 플랩개폐부의 개방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제 1 실시예의 폐쇄(하강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제 1 실시예의 폐쇄(상승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제 1 실시예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제 2 실시예의 폐쇄(하강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제 2 실시예의 폐쇄(상승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제 2 실시예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동력변환부의 하강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랩개폐부의 상하개폐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연결봉지지구를 나타내는 부품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장점,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들에게 발명의 범주를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치수형 펌프수문의 플랩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치수형 펌프수문의 플랩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치수형 펌프수문의 이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플랩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 및 플랩개폐부의 플랩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 및 플랩개폐부의 개방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제 1 실시예의 폐쇄(하강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제 1 실시예의 폐쇄(상승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제 1 실시예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제 2 실시예의 폐쇄(하강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제 2 실시예의 폐쇄(상승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제 2 실시예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동력변환부의 하강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랩개폐부의 상하개폐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랩밸브의 연결봉지지구를 나타내는 부품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치수형 펌프수문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문구조물(105)에는 문틀(125)이 일체화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문틀(125) 사이에는 수문본체(11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수문본체(110)의 상단에는 개폐기(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기(120)와 수문본체(110) 사이에는 수문브라켓(122) 상부에 스핀들(121)로 연결되어 있으며, 개폐기(120)의 구동시 스핀들(121)이 승강되면서 수문본체(110)에 외설된 주행롤러(126)가 수문구조물(105)의 문틀(125)을 타고 승강하게 된다. 이러한 수문본체(110)에는 그 중앙 부분의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개구부(116)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116)에는 내·외측플렌지(117)(118)와 펌프(115)가 결합되어 있으며, 펌프(115)의 토출부(119)와 결합되는 외측플렌지(118)의 격벽 외측에는 플랩밸브(140)가 현수(懸垂)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펌프수문(100)은 개폐기(120)의 구동시 수문본체(110)와 함께 펌프(115), 플랩밸브(140)가 일체로 승강하게 된다.
펌프(115)는 도 1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부, 흡입부, 몸체부, 토출부(119)가 횡축으로 배설되어 구성되고, 토출부(119)와 결합하는 외측플렌지(118)의 격벽 외측에는 플랩밸브(140)가 플렌지 결합되어 있으며, 수로의 내수를 외수측으로 강제배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랩밸브(140)는 밸브본체(150)와 플랩(145)이 회동축(180)을 중심으로 내외수위차에 따라 자동으로 회동개폐되도록 배설되고, 밸브개폐기(155), 상부연결봉(160), 동력변환부(190), 하부연결봉(161)이 플랩(145)에 연결되도록 배설하여, 평소에는 외수측으로 원활히 자연배수되고, 내수위가 설정치보다 상승하면 내수를 수문본체(110)에 일체화된 펌프(115)로 외수측으로 강제배수시키며, 외수가 내수측으로 역류하는 것은 차단하여 저지대 주택지 및 농경지의 침수로 인한 수해를 최소화할 뿐 아니라, 내수를 필요에 따라 저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랩밸브(140)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본체(150), 플랩(145), 밸브개폐기(155), 상·하부연결봉(160)(161), 동력변환부(190), 회동축(180) 및 플랩개폐부(400)로 이루어진다.
밸브본체(150)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문본체(110)의 외수측 개구부(116) 격벽을 사이에 두고 내측에 토출부(119)와 같은 축(軸)상 외수측에 밸브본체(150)가 결합되고, 외측에 배설된 플랩개폐부(400)와 하부연결봉(161)의 하단에 배설된 회동축(180)에 현수(懸垂)된 플랩(145)이 외수측으로 개폐 관계를 이루도록 구비되며, 외수위가 상승하여 플랩(145)이 밸브본체(150)에 결합되면 밸브지수고무(151)가 누수를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부력챔버(148)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45)의 스킨(Skin)판의 외수측에 진공을 형성하도록 횡보강빔(146) 및 종보강빔(147)을 여러 하중에 적합하도록 격자형으로 배치하여 구성하되, 플랩(145)의 개폐시 밸브본체(150)나 수문본체(11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랩개폐부(400)는 도 1 내지 도 9,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본체(150)와 플랩(145)의 외수측 양상단(兩上端)에 상부개폐부(200)와 양하단(兩下端)에 하부개폐부(300)가 구비된다.
상부개폐부(200)는 상부개폐구(220), 상부누름웨지(230) 및 상부고정웨지(24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개폐구(220)는 플랩(145)의 양측 상단을 연장하여 상부누름웨지(230)를 배설하고, 밸브본체(150)의 양측 상단 플랩측으로 상부누름웨지(230)와 쐐기대우(對偶)를 이루도록 상부고정웨지(240)를 배설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45)을 하부연결봉(161)으로 하강시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45)이 외수측 방향으로 회동축(18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45)을 하부연결봉(161)으로 상승시키면 플랩(145)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누름웨지(230)와 상부고정웨지(240)가 쐐기 결합시키도록 구비된다.
하부개폐부(300)는 하부개폐구(320), 하부누름웨지(330) 및 하부고정웨지(34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개폐구(320)는 플랩(145)의 양측 하단을 연장하여 하부누름웨지(330)를 배설하고, 밸브본체(150)의 양측 하단 플랩측으로 하부누름웨지(230)와 쐐기대우(對偶)를 이루도록 하부고정웨지(340)를 배설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45)을 하부연결봉(161)으로 하강시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45)이 외수측 방향으로 회동축(18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45)을 하부연결봉(161)으로 상승시키면 플랩(145)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누름웨지(330)와 하부고정웨지(340)가 쐐기 결합시키도록 구비되며, 외수위가 상승하여 플랩(145)이 밸브본체(150)에 결합되면 밸브지수고무(151)가 외수의 역류차단과 내수의 누수를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도 15의 연결봉지지구(195)는 수문본체(110)에 설치되어서 플랩밸브(140)의 하부연결봉(161)을 지지하며,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밸브브라켓(165)은 플랩(145)의 상부에 결합되어서 플랩(145)이 하부연결봉(161)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플랩밸브(140)는 도 1 내지 도 3,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본체(150), 플랩(145), 밸브개폐기(155), 상·하부연결봉(160)(161), 동력변환부(190), 회동축(180) 및 플랩개폐부(400)로 이루어진다.
밸브본체(150)는 도 1 내지 도 3,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문본체(110)의 외수측 개구부(116) 격벽을 사이에 두고 내측에 토출부(119)와 같은 축(軸)상 외수측에 밸브본체(150)가 결합되고, 외측에 배설된 플랩개폐부(400)와 상·하부연결봉(160)(161)의 하단에 배설된 회동축(180)에 현수(懸垂)된 플랩(145)이 외수측으로 개폐 관계를 이루도록 구비되며, 외수위가 상승하여 플랩(145)이 밸브본체(150)에 결합되면 밸브지수고무(151)가 누수를 차단하도록 구비되며, 외수위가 상승하여 플랩(145)이 밸브본체(150)에 결합되면 밸브지수고무(151)가 외수의 역류차단과 내수의 누수를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플랩개폐부(400)는 도 7 내지 도 9,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본체(150)와 플랩(145)의 외수측 양상단에 상부개폐부(200)와 양하단에 하부개폐부(300)가 구비된다.
상부개폐부(200)는 상부개폐구(220), 상부누름웨지(230) 및 상부고정웨지(240)로 구성된다.
상부개폐구(220)는 플랩(145)의 중앙 상단을 연장하여 상부누름웨지(230)를 배설하고, 밸브본체(150)의 중앙 상단 플랩측으로 상부누름웨지(230)와 쐐기대우(對偶)를 이루도록 상부고정웨지(240)를 배설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45)을 하부연결봉(161)으로 하강시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45)이 외수측 방향으로 회동축(180)과 양 회동링크(152)에 현수(懸垂)되어 회동하여 개폐되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45)을 하부연결봉(161)으로 상승시키면 플랩(145)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누름웨지(230)와 상부고정웨지(240)가 쐐기 결합시키도록 구비된다.
하부개폐부(300)는 하부개폐구(320), 하부누름웨지(330) 및 하부고정웨지(340)로 구성된다.
하부개폐구(320)는 플랩(145)의 양 중앙측 하부를 연장하여 하부누름웨지(330)를 배설하고, 밸브본체(150)의 양 중앙측 하부 플랩측으로 하부누름웨지(230)와 쐐기대우(對偶)를 이루도록 하부고정웨지(340)를 배설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45)을 하부연결봉(161)으로 하강시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45)이 외수측 방향으로 회동축(18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45)을 하부연결봉(161)으로 상승시키면 플랩(145)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누름웨지(330)와 하부고정웨지(340)가 쐐기 결합시키도록 구비되며, 외수위가 상승하여 플랩(145)이 밸브본체(150)에 결합되면 밸브지수고무(151)가 외수의 역류차단과 내수의 누수를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회동링크지지구(153)는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본체(150)의 하류측에 배설된 회동링크(152)를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플랩개폐부(400)가 하부연결봉(161)이 하강하여 폐쇄(하강)상태이거나 회동하여 해제된 치수모드에서는 플랩145)을 현수(懸垂)하는 회동링크(152)가 자중에 의하여 스롯의 하부로 하강하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연결봉(161)이 상승하여 폐쇄(상승)상태인 저수모드에서는 회동링크(152)가 상승하여 스롯의 상부로 상승하여 플랩개폐부(400)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동력변환부(190)는 변환구(191), 상·하부변환연결구(192)(193), 변환구덮개(194)로 구성된다.
변환구(191)는 중공(中空) 원주내면 전(全)구간에 숫나사가 내설되고 하부연결봉(161) 외면에 암나사가 외설되어 변환구(191)와 하부연결봉(161)을 나사 치합시키며, 상부는 상부연결봉(160) 하단과 결합된 변화구덮개(194)와 스터드볼트로 결합되고, 수문본체(110) 상부빔과 중공(中空) 원주외측 상·하부변환연결구(192)(193)를 플렌지 결합시킨다.
이렇게 구성하여 상부연결봉(160)과 결합된 변환구(191)를 회전시키는 동력이 변환구(191)와 치합(齒合)된 하부연결봉(161)이 상하운동으로 동력의 전달방향을 변환시키도록 구비된다.
하부연결봉(161) 외면에 외설되는 나사는 도 13과 도 14 사이의 상승과 하강사이 거리만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개폐기(155)는 도 1 내지 도 2,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개폐전동기(170), 핸들(175) 및 상부연결봉(160)으로 구성되며, 수문본체(110)를 개폐하는 개폐기(120)와 같은 높이에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30)는 현장운전모드 및 자동(원격)운전모드로 구성된 치수모드와 저수모드에서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수위계(127)에서 수신한 수위, 전원과 수문의 개폐 및 개도정보에 따라서 자동(원격)구동모드일 경우, 외수위가 내수위보다 상승하여 수문폐쇄수위(LL)에 도달하면, 개도(開度)가 하한개도에 도달할 때까지 문틀(125)에 형성된 안내면을 따라 주행롤러(126)가 하강하여 수문본체(110)를 폐쇄시키고, 상기 수문폐쇄단계에서 수문본체(110)가 폐쇄된 상태에서 내수위가 계속 상승하여 펌프구동수위(H)에 도달하면, 펌프(115)를 구동하여 강제배수를 시작하여 내수관리최고수위(HH)까지 내수위가 상승하지 않도록 여러대의 펌프(115)를 구동시키며, 상기 펌프구동단계에서 강제배수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내수위가 펌프(115)의 연속운전이 가능한 최저수위인 펌프정지수위(LWL)에 하강하면, 펌프(115)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펌프정지와, 상기 펌프정지단계에서 수위가 펌프구동수위(H)로 다시 상승하면 펌프구동을 거쳐서 펌프정지를 반복하고 외수위가 내려가서 수문본체(110)를 개방하여 자연배수시킬 수 있는 수문개방수위(L)에 도달하면, 수문본체(110)를 개방시키며, 상기 수문개방단계에서 수문본체(110)를 개방하고 있으면 자연배수시킬 수 있으며, 다시 외수위가 상승하면 수문페쇄, 펌프구동, 정지를 반복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현장에서 구동하는 현장운전모드로 전환되면 수위정보와 전원과 수문의 개폐 및 개도정보를 확인하면서 개폐기(120)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수문본체(110)를 폐쇄시키고 펌프(115)를 수동으로 조작하고, 상기 수동운전단계에서 수위가 하강하여 강제배수를 종료시키며, 수위가 하강하면 수문본체(110)를 개방시켜서 자연배수시키며, 상기 수동운전단계에서 적정한 수위가 유지되어 수동으로 자연배수를 유지시키도록 구비된다.
누름웨지조절구(25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누름웨지(230) 및 하부누름웨지(330)에는 상하 쐐기대우(對偶)의 플랩(145)과 밸브본체(150)의 결합정도를 조절하여서 플랩게이트(140)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이치수형 펌프수문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펌프수문(100)은 치수모드 중 자동(원격)운전모드로 설정하면, 외수위가 내수위보다 상승하여 수문폐쇄수위(LL)에 도달하면, 개도(開度)가 하한개도에 도달할 때까지 수문을 폐쇄시키고, 수문본체(110)가 폐쇄된 상태에서 내수위가 계속 상승하여 펌프구동수위(H)에 도달하면, 펌프(115)를 구동하여 강제배수를 시작하고 내수관리최고수위(HH)까지 내수위가 상승하지 않도록 여러 대의 펌프(115)를 구동시키며, 상기 펌프구동단계에서 강제배수를 지속하여 내수위가 펌프(115)의 연속운전이 가능한 최저수위인 펌프정지수위(LWL)에 하강하면, 펌프(115)의 가동을 정지시키고, 수위가 펌프구동수위(H)로 다시 상승하면 펌프구동을 거쳐서 펌프정지를 반복하고 외수위가 내수위보다 하락하면 수문본체(110)를 개방하여 자연배수시킨다.
상기 치수모드시에 플랩개폐부(400)는 밸브개폐기(155)가 플랩개폐부(400)를 도 7과 도 9, 도 10과 도 12와 같이 상·하부개폐부(200)(300)를 하강시켜서 플랩(145)의 좌우상하와 상류측 자유도를 구속한 상태에서 하류측 자유도를 해제시켜 회동축(180)을 중심으로 하류측으로 회동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플랩(145)에 외설한 부력챔버(148)에서 발생하는 부력이 플랩(145)의 수직하중을 저감시켜서 플랩(145)을 개폐시키는 모멘트(플랩의 수직하중 x 하중작용점까지의 거리)가 저감되어 플랩(145)의 유체마찰저항을 저감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펌프수문(100)은 내수를 이수(利水)하기 위하여 제어부(130)에서 저수모드로 설정하면, 내외수위와 무관하게 개도(開度)가 하한개도에 도달할 때까지 수문을 폐쇄시키고, 수문본체(110)가 폐쇄된 상태에서 내수위가 계속 상승하여 이수수위(R)에 도달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수문(176)을 통하여 저수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저수모드시에 플랩개폐부(400)는 밸브개폐기(155)가 플랩개폐부(400)를 도 8, 도 11과 같이 상·하부개폐부(200)(300)를 상승시켜서 상·하누름웨지(230)(330)와 상·하부고정웨지(240)(340)를 결합시키면 플랩(145)의 자유도가 상하좌우전후 6방향으로 구속되고, 플랩(145)을 밸브본체(150)에 결합시키고 밸브지수고무(151)의 작용으로 저수가 이뤄지게 된다.
한편, 저수모드로 운전중 내수위가 이수수위(R)를 초과하여 치수모드의 펌프구동수위(H)에 도달하면, 제어부(130)는 저수모드를 치수모드로 전환시키며, 내수위에 따라 펌프(115)를 구동하여 강제배수를 시작하고, 상기 펌프구동단계에서 강제배수를 지속하여 내수위가 펌프(115)의 연속운전이 가능한 최저수위인 펌프정지수위(LWL)에 도달하면, 펌프(115)의 가동을 정지시키며, 수위가 펌프구동수위(H)로 다시 상승하면 펌프구동을 거쳐서 펌프정지를 반복하고 외수위가 내수위보다 하락하면 수문본체(110)를 개방하여 자연배수시킨다.
상기 치수모드에서 저수모드로의 전환은, 사용자가 건천(乾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할 용수로 저수하거나, 수자원으로 활용이 필요할 경우, 제어부(130)에서 모드설정을 저수모드로 변경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밸브개폐기(155)가 플랩개폐부(400)를 도 7, 도 11 및 도 14와 같이 상·하부개폐부(200)(300)를 상승시켜서 상·하누름웨지(230)(330)와 상·하부고정웨지(240)(340)가 결합됨으로써 플랩(145)이 밸브본체(150)에 결합되면 밸브지수고무(151)가 외수의 역류차단과 내수의 누수를 차단하여 저수가 이뤄지게 된다.
동력변환부(190)에서 상부연결봉(160)과 결합된 변환구(191)를 회전운동시킬 때 변환구(191)와 치합(齒合)된 하부연결봉(161)이 상하운동을 하므로 상부연결봉(16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밸브개폐기(155)를 돌출하여 상부로 올라가지 않게 된다.
제어부(130)에서 치수모드에서 현장운전모드로 설정하면, 수위정보와 전원과 수문의 개폐 및 개도정보를 확인하면서 개폐기(120)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수문본체(110)를 폐쇄시키고 펌프(115)를 수동으로 조작하며, 상기 수동운전단계에서 수위가 하강하면 강제배수를 종료시키고, 수위가 하강하면 수문본체(110)를 개방시켜서 자연배수시키며, 상기 수동운전단계에서 적정한 수위가 유지되어 수동으로 자연배수를 유지시킨다.
이때 중요한 것은 상기 현장운전모드가 종료되면 반드시 자동(원격)운전모드로 변환하거나 이수가 필요하면 저수모드로 변환을 제어부(130)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100 : 펌프수문 105 : 수문구조물
110 : 수문본체 115 : 펌프
116 : 개구부 117 : 내측플렌지
118 : 외측플렌지 119 : 토출부
120 : 개폐기 121 : 스핀들(Spindle)
122 : 수문브라켓 125 : 문틀
126 : 주행롤러 127 : 수위계
130 : 제어부 140 : 플랩밸브
145 : 플랩(Disc) 146 : 횡보강빔
147 : 횡보강빔 148 : 부력챔버
150 : 밸브본체(Body)
151 : 밸브지수고무 152 : 회동링크
153 : 회동링크지지구 155 : 밸브개폐기
160 : 상부연결봉 161 : 하부연결봉
165 : 밸브브라켓 170 : 밸브개폐전동기
175 : 핸들 176 : 제수문
180 : 회동축
190 : 동력변환부 191 : 변환구
192 : 상부변환연결구 193 : 하부변환연결구
194 : 변환구덮개 195 : 연결봉지지구
200 : 상부개폐부
220 : 상부개폐구 230 : 상부누름웨지(Wedge)
240 : 상부고정웨지(Wedge) 250 : 누름웨지조절구
300 : 하부개폐부 320 : 하부개폐구
330 : 하부누름웨지(Wedge)
340 : 하부고정웨지(Wedge) 400 : 플랩개폐부
HH : 내수관리최고수위 R ; 이수수위
H : 펌프구동수위 LWL : 펌프정지수위
L : 수문개방수위 LL : 수문폐쇄수위

Claims (3)

  1. 수로의 수문구조물(105)에 일체로 설치된 문틀 사이에서 개폐기(120)로 승강되도록 설치되고 개구부(116)를 가지며, 개구부(116)를 개방하여 내수를 배수시키거나, 개구부(116)를 폐쇄하여 저수시키고 외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수문본체(110);
    상기 수문본체(110)의 개구부(116)에 결합되어 수로의 내수를 외수측으로 강제배수시키는 펌프(115);
    상기 펌프(115)의 토출측에 결합되는 밸브본체(150)와, 밸브본체(150)의 회동축(180)을 중심으로 회동개폐되도록 배설되는 플랩(145)을 구성하여 치수시에는 플랩(145)이 밸브본체(150)에 대해 하류측으로 회동개폐되고, 외수의 내수측으로 역류를 차단시키며, 저수시에는 플랩(145)을 강제폐쇄시키는 플랩밸브(140);
    상기 플랩(145)의 스킨판의 외수측에 횡보강빔(146)과 종보강빔(147)을 진공격자로 배설하여 외수위 상승시 플랩(145)에 부력을 작용시키는 부력챔버(148);
    밸브본체(150)의 외측면 상부와 플랩(145)의 외측면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서 플랩(145)의 상부를 밸브본체(150)의 상부에 착탈시키는 상부개폐부(200)와, 밸브본체(150)의 외측면 하부와 플랩(145)의 외측면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서 플랩(145)의 하부를 밸브본체(150)의 하부에 착탈시키는 하부개폐부(300)로 구성되는 플랩개폐부(40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플랩개폐부(400)의 상부누름웨지(230) 및 하부누름웨지(330)는,
    하단이 회동축(180)에 연결된 하부연결봉(161)과, 하부연결봉(161)의 상단에 결합된 동력변환부(190)와, 하단이 동력변환부(190)에 연결된 상부연결봉(160)과, 상부연결봉(160)의 상단부에 결합된 밸브개폐기(155)와, 벨브개폐기(155)에 연결된 핸들(175) 또는 밸브개폐전동기(170)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비되되,
    밸브개폐전동기(170) 또는 핸들(175)이 한방향으로 구동되면 밸브개폐기(155)가 연동되어서 상부연결봉(160), 동력변환부(190)를 통해 하부연결봉(161)이 하강되고 플랩개폐부(400)의 상부누름웨지(230) 및 하부누름웨지(330)가 하강되어서 상부고정웨지(240) 및 하부고정웨지(340)와의 상·하쐐기대우(對偶)가 해제되어서 플랩(145)의 외수측 자유도가 해제되어 플랩(145)이 회동개폐되도록 구비되고;
    밸브개폐전동기(170) 또는 핸들(175)이 반대방향으로 구동되어서 하부연결봉(161)이 상승되면 플랩개폐부(400)의 상부누름웨지(230) 및 하부누름웨지(330)가 상승되어서 상부고정웨지(240) 및 하부고정웨지(340)와의 상·하쐐기대우(對偶)가 플랩(145)의 전(全)자유도를 구속하여 밸브본체(150)에 강제로 폐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문본체(110), 개폐기(120), 펌프(115), 플랩밸브(140), 밸브개폐기(155) 및 플랩개폐부(400)를 유기적으로 작동 제어하도록 제어부(130)를 구성하여 치수시에는 상기 플랩(145)을 밸브본체(150)로부터 개폐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시키고, 저수시에는 플랩(145)을 밸브본체(150)와 강제 폐쇄시키도록 구비하여 내수의 치수와 저수가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치수형 펌프수문.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플랩개폐부(400)의 상부개폐부(200)는,
    밸브본체(150)의 외측면 상부에 배설되는 상부고정웨지(240)와, 플랩(145)의 외측면 상부에 배설되고 플랩(145)이 밸브본체(150)에 닫힌 후 상승되면 상부고정웨지(240)에 쐐기결합되어 플랩(145)을 밸브본체(150)와 결합시키는 상부누름웨지(230)가 구비되고; 동력변환부(190)를 회동시켜 플랩(145)을 상승시키면 상부누름웨지(230)가 상부고정웨지(240)와 쐐기결합되어 플랩의 전(全)자유도를 구속시켜 플랩(145)을 밸브본체(150)와 결합시키고, 동력변환부(190)를 회동시켜 플랩(145)을 하강시키면 상부누름웨지(230) 및 상부고정웨지(240)의 쐐기결합이 해제되어 플랩(145)이 밸브본체(150)와 해제되므로 플랩(145)이 회동축(180)을 중심으로 외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며;
    플랩개폐부(400)의 하부개폐부(300)는,
    밸브본체(150)의 외측면 하부에 배설되는 하부고정웨지(340)와, 플랩(145)의 외측면 하부에 배설되고 플랩(145)이 밸브본체(150)에 닫힌 후 상승되면 하부고정웨지(340)에 쐐기결합되어 플랩(145)을 밸브본체(150)와 결합시키는 하부누름웨지(330)가 구비되고; 동력변환부(190)를 회동시켜 플랩(145)을 상승시키면 하부누름웨지(330)가 하부고정웨지(340)와 쐐기결합되어 플랩의 전(全)자유도를 구속시켜 플랩(145)을 밸브본체(150)와 결합시키고, 동력변환부(190)를 회동시켜 플랩(145)을 하강시키면 하부누름웨지(330) 및 하부고정웨지(340)의 쐐기결합이 해제되어 플랩(145)이 밸브본체(150)와 해제되므로 플랩(145)이 회동축(180)을 중심으로 외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며;
    제어부(130)에 의해 밸브개폐기(155)가 상승 구동되면 하부연결봉(161)과 회동축(180)에 결합된 플랩(145)이 상승되어서 상부개폐부(200)와 하부개폐부(300)가 폐쇄되어 플랩(145)과 밸브본체(150)가 폐쇄되고;
    제어부(130)에 의해 밸브개폐기(155)가 하강 구동되면 하부연결봉(161)과 회동축(180)에 결합된 플랩(145)이 하강되어서 상부개폐부(200)와 하부개폐부(300)가 해제되어 플랩(145)과 밸브본체(150)가 해제되므로, 플랩(145)이 회동축(180)을 중심으로 현수(懸垂)되어 전후의 수위차에 의한 수압하중으로 외수측으로 회동궤적을 그리며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치수형 펌프수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부개폐부(200)의 상부고정웨지(240) 및 하부개폐부(300)의 하부고정웨지(340)는, 밸브본체(150)의 상하부 외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면이 구비되며,
    상부개폐부(200)의 상부누름웨지(230) 및 하부개폐부(300)의 하부누름웨지(330)는, 플랩(145)의 상하부 외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면이 구비되어서 상부고정웨지(240) 및 하부고정웨지(340)와 쐐기대우(對偶)관계에 있으며,
    상부누름웨지(230) 및 하부누름웨지(330)에는 상하 쐐기대우(對偶)의 플랩(145)과 밸브본체(150)의 결합정도를 조절하여서 플랩밸브(140)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누름웨지조절구(2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치수형 펌프수문.
KR1020210111852A 2021-08-24 2021-08-24 이치수형 펌프수문 KR102319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852A KR102319410B1 (ko) 2021-08-24 2021-08-24 이치수형 펌프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852A KR102319410B1 (ko) 2021-08-24 2021-08-24 이치수형 펌프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410B1 true KR102319410B1 (ko) 2021-11-01

Family

ID=7851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852A KR102319410B1 (ko) 2021-08-24 2021-08-24 이치수형 펌프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41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2039A (ja) * 1999-06-11 2000-12-19 Takashi Kubota 水 門
JP2004027520A (ja) * 2002-06-21 2004-01-29 Kubota Corp ポンプゲート
KR200340314Y1 (ko) * 2003-06-09 2004-02-05 (주) 삼안산업 수위 자동조절형 수문
JP2004132046A (ja) * 2002-10-10 2004-04-30 Mitsui Miike Mach Co Ltd ポンプ付きゲート
KR20120038731A (ko) * 2010-10-14 2012-04-24 우일산업 주식회사 펌프 일체형 수문
KR101355949B1 (ko) * 2013-12-10 2014-01-28 김상국 플랩게이트
JP2014088752A (ja) * 2012-10-02 2014-05-15 Omote Tekkosho:Kk 引上げ式フラップインゲート
KR101973393B1 (ko) * 2018-12-03 2019-04-29 하서산업(주) 저수용 펌프일체형수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2039A (ja) * 1999-06-11 2000-12-19 Takashi Kubota 水 門
JP2004027520A (ja) * 2002-06-21 2004-01-29 Kubota Corp ポンプゲート
JP2004132046A (ja) * 2002-10-10 2004-04-30 Mitsui Miike Mach Co Ltd ポンプ付きゲート
KR200340314Y1 (ko) * 2003-06-09 2004-02-05 (주) 삼안산업 수위 자동조절형 수문
KR20120038731A (ko) * 2010-10-14 2012-04-24 우일산업 주식회사 펌프 일체형 수문
JP2014088752A (ja) * 2012-10-02 2014-05-15 Omote Tekkosho:Kk 引上げ式フラップインゲート
KR101355949B1 (ko) * 2013-12-10 2014-01-28 김상국 플랩게이트
KR101973393B1 (ko) * 2018-12-03 2019-04-29 하서산업(주) 저수용 펌프일체형수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8494B2 (ja) 陸閘の自動防潮扉設備
KR100788918B1 (ko) 펌프일체형수문
KR101324671B1 (ko) 설치구조를 개선시킨 수문용 게이트 펌프
KR101973393B1 (ko) 저수용 펌프일체형수문
KR100497044B1 (ko) 펌프 일체형 수문 및 그 구동방법
KR102319410B1 (ko) 이치수형 펌프수문
KR102351926B1 (ko) 개폐형 자동수문을 구비한 수문
CN102995611A (zh) 液控翻转钢坝闸门
KR200382030Y1 (ko) 펌프 일체형 수문
TWI767100B (zh) 油壓控制裝置
CN114753390B (zh) 一种可调式水利围堰
KR200395621Y1 (ko) 가변유량 자동 수문
KR101681141B1 (ko) 좌우회동개폐 펌프일체형수문
KR101317313B1 (ko) 인양 및 전도수문 일체형 복합게이트
CN215482414U (zh) 混流管涵截流槽防淤积装置
KR100890029B1 (ko) 수문 수납형 조력발전 방조제용 수로
KR200308734Y1 (ko) 반달회전수문
KR100501956B1 (ko) 어도겸용 하단부 배출식 자동보 수문 개폐장치
CN113622383B (zh) 一种挡潮排水闸及其施工方法
JP2000027165A (ja) 緊急作動装置付フローティングゲート
KR100503766B1 (ko) 어도겸용 하단부 배출식 자동보 수문 개폐장치
CN211973413U (zh) 单孔大跨度变截面底边双挑空箱的隐蔽型闸室结构
KR200429800Y1 (ko) 하수도용 부력기능을 갖는 자동비
CN220666144U (zh) 一种升降式水利阀门
CN219671273U (zh) 一种新式拍弧式自动控制闸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