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930Y1 -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 Google Patents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930Y1
KR200306930Y1 KR20-2002-0035176U KR20020035176U KR200306930Y1 KR 200306930 Y1 KR200306930 Y1 KR 200306930Y1 KR 20020035176 U KR20020035176 U KR 20020035176U KR 200306930 Y1 KR200306930 Y1 KR 2003069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writing instrument
nib
writing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수
Original Assignee
조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수 filed Critical 조성수
Priority to KR20-2002-0035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9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9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9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2Holders for attachment to finger tip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손가락에 착용하여 간편하게 사용함으로써 분실의 위험이 적고 빠른 시간내에 메모나 필기가 가능함은 물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손가락에 착용한 채로 다른 수작업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는 펜촉을 수용하여 일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하는 펜촉지지편; 상기 펜촉지지편의 후방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대략 고리형으로 탄성파지하는 파지체; 및 상기 파지체 양측의 전방하단에서 후방상단으로 대각선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양측면을 감싸면서 연장되어 손가락 상단을 지지하는 잉크통을 구비하는 필기구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Writing materials used to put finger into}
본 고안은 지면(紙面)에 글을 쓰거나 각종 전자기기의 입력에 사용될 수 있는 필기구(筆記具)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에 착용하여 간편하게 사용함으로써 분실의 위험이 적고 빠른 시간내에 메모나 필기가 가능함은 물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손가락에 착용한 채로 다른 수작업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록을 위한 필기구로서 연필, 볼펜, 만년필 등과 같은 다양한 필기구들이 있다. 이같은 필기구들은 대체로 기다란 봉형상으로 제작된다. 필기구중에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볼펜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볼펜은 대략 2가지 형태로 많이 제작된다. 그 하나가 잉크가 저장되고 그 잉크를 배출하여 실제적인 필기를 행하는 촉을 구비한 볼펜심과, 그 볼펜심을 포위 및 보호하기 위한 몸체와, 볼펜심의 촉을 몸체에 대해 돌출 및 후퇴시키기 위한 스프링 및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다른 하나는 볼펜심의 펜촉이 본체의 외부로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그 펜촉을 보호하기 위한 뚜껑을 구비하는 형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볼펜들은 모두 길이가 긴 스틱(Stick) 또는 로드(Rod) 형상을 취하고 있어 항상 필기 또는 기록만을 행하는 경우에는 유용하지만,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첫번째가, 일반적인 스틱형 볼펜은 그 길이가 길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으며, 다양한 작업, 예를 들어 컴퓨터 작업 또는 전화통화중에 볼펜을 이용하는 경우 그 사용이 제한적이고 불편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스틱형 볼펜은 사용시 반드시 2개 이상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파지한 채 필기해야 하므로, 손가락을 모두 갖고 있는 정상인의 경우에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손가락에 장애가 있는 사람(장애인)은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컴퓨터 키보드 또는 마우스 작업을 할 때 볼펜을 손에 파지한 상태로 작업을 원만하게 수행할 수 없을 뿐더러 신속하게 볼펜을 사용할 수도 없는 불편함이 있다.
때로는 서류정리작업을 하면서 필기를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물품을 옮기면서 수량을 기재해야 한다거나 물건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특징적인 것을 기재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이와 같이 다른 여러 가지 일을 하다가 필기할 내용이 있을 때 필기구를 찾아서 메모하는 데는 다소의 시간이 필요하고, 특히 위와 같은 종래 필기구의 경우 비교적 가늘고 길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불편하며, 따라서 분실의 위험이 높을 뿐만 아니라 여러모로 불편한 점이 많았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다소의 해결책이 제안되었는데, 그 중하나가 실용신안등록 제27054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실용신안에 따르면, 손가락이 삽입되는 고정링형태의 본체 외주면에 볼펜삽입링을 마련하여 소형볼펜을 교체 가능하게 삽입함에 의해, 손가락이 하나이상 없는 장애자도 남아 있는 손가락에 펜을 착용하여 간편하게 필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이 실용신안에 개시된 펜은 그 본체가 평균적인 크기의 손가락을 갖는 사람을 기준으로 하여 제조됨으로써 손가락의 크기가 다른 사용자는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펜촉이 본체의 외측에 거치되므로 본체에서 이탈하기 쉽고 본체중앙에 위치되지 않으므로 필기를 정확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손가락에 착용한 채로 다른 수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펜촉이 필기에 적합한 필기구본체의 중앙위치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착용감이 좋고 정상인은 물론 손가락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들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필기할 수 있으며, 환형의 파지체가 분할되어 손가락 삽입시 탄성의 팽창/수축복원력이 작용하므로 손가락의 굵기에 상관없이 착용할 수 있는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에서 필기구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를 손가락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필기구본체 110 : 펜촉
120 : 펜촉지지편 130 : 파지체
132 : 선단부 134 : 바닥판
136,136a : 날개 138,138a : 상부지지대
140 : 패드(Pad) 150,150a : 잉크통
200 : 뚜껑 210 : 클립(Clip)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는 펜촉을 구비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펜촉을 수용하여 일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하는 펜촉지지편; 상기 펜촉지지편의 후방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대략 고리형으로 탄성파지하는 파지체; 및 상기 파지체 양측의 전방하단에서 후방상단으로 대각선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양측면을 감싸면서 연장되어 손가락 상단을 지지하는 잉크통을 구비하는 필기구본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에서 필기구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필기구(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필기를 하는 데 사용되는 부분인 필기구본체(10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필기구본체(100)를 보호하고 보관운반이 용이하도록 필기구본체(100)를 수납하는 뚜껑(200)을 구비하고 있다.
필기구본체(100)는 전방부에 실제 필기가 행해지는 펜촉(110)이 마련되어 있다. 이 펜촉(110)은 펜촉지지편(120)의 내부에 수용되어 그 선단의 일부분만이 외부로 돌출하고 있다. 펜촉지지편(120)의 후방에는 파지체(130)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 파지체(130)는 펜촉지지편(120)이 결합되는 선단부(132)로부터 연장되는 바닥판(134)이 지문이 있는 손가락의 끝마디의 하면형상에 부합되어 편안하게 안착하도록 그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고, 이 바닥판(134)으로부터 대략 그와 수직하게 양측으로 한쌍의 날개들(136,136a)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날개들(136,136a)의 상단에는 각각 손가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직선의 상부지지대들(138,138a)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날개들(136,136a)은 손가락의 측면을 감싸 지지하는 것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어 손가락의 삽입시 약간 벌어지면서 수축하려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손가락에 필기구본체(100)를 안정되게 고정하며, 이와 더불어 상부지지대들(138,138a)이 손가락의 상면부들을 지지함으로써 보다 안정되고 견고한 장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 상부지지대들(138,138a)은 손가락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직선의 봉형상으로, 바닥판(134)보다 펜촉(110)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이를 위해 날개들(136,136a)은 바닥판(134)으로부터의 연장이 길이방향으로는 펜촉(110)으로부터 더 멀어지도록 만곡되면서 폭방향으로도 손가락의 측면곡선에 부합되도록 외부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손가락의 하면을 지지하는 바닥판(134)보다 손가락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대들(138,138a)이 손가락의 끝단으로부터 더 먼 지점을 지지하게 되어, 손가락에 장착된 본 필기구본체(100)의 보다 안정되고 견고한 장착을 유도하게 된다. 특히, 바닥판(134)과 날개들(136,136a) 및 상부지지대들(138,138a)로 이뤄진 파지체(130)의 길이를 손가락의 끝마디 이하로 하여 손가락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이들이 연결되어 이루는 단면형상이 대략 원형이나 타원형이 되게 하여 손가락의 삽입시 밀착성을 좋게 하고 편안함을 부여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본 필기구본체(100)를 착용하고 자유로운 필기가 가능하고, 컴퓨터 등의 키보드 입력시 장시간 사용에도 피로가 최소화되어 무리가 없게 된다. 본 필기구본체(100)는 손가락 끝단부 하면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요입되어 사용자들의 손가락 하면이 밀착되는 안착홈(134a)이 바닥판(134)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손가락형상에 부합되는 안착홈(134a)을 형성함에 의해 착용감을 향상하고, 나아가 안착홈(134a)을 포함한 손가락이 접촉하는 부위에 쿠션이 있는 부드러운 패드(Pad)(140)등을 부착시켜 장시간 사용시의 피로감이나 불쾌감을 해소할 수도 있다.
한편, 본 필기구본체(100)에는 펜촉(110)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통(150,150a)이 마련되어 있는데, 잉크통(150,150a)은 좌우한쌍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134)의 선단부(132) 양측에 장착되어 손가락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부지지대들(138,138a)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즉, 잉크통들(150,150a)은 상부지지대들(138,138a)에 그 후단이 끼워져 고정되며, 그 전단은 바닥판의 선단부(132)양측에 형성된 잉크공급공들(미도시)에 끼워져 선단부(132)내에 형성된 공급통로를 통해 펜촉(110)으로 잉크를 공급하게 된다. 본 필기구(10)는 2개의 잉크통(150,150a)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잉크저장이 가능하여 한번 장착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물론, 다 쓴 잉크통들은 교체가 가능하며, 이 잉크통들(150,150a)은 그 선단잉크출구부들을 연결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잉크통들(150,150a)은 측면에서 볼 때 바닥판(134)의 선단부(132)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바닥판(13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고, 대략 바닥판(134)의 끝단과 대응되는 부위에 와서는 절곡되어 수평을 이루면서 전술한 상부지지대들(138,138a)내로 진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잉크통들(150,150a)은 위에서 볼 때 약간 벌어지다가 다시 좁아지게 형성되어 손가락의 선단측면으로부터 상면을 가로질러 감싸 파지하게 된다. 이같이 삽입되는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며 탄력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 잉크통들(150,150a)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두개의 잉크통들(150,150a)은 잉크공급의 목적외에도 손가락을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펜촉(110)은 잉크를 사용하는 펜촉 대신에 연필심이나 전자보드용(대표적으로, 모바일 폰이나 컴퓨터) 펜촉으로 대체할 수 있는데, 이때 잉크통들(150,150a)은 잉크를 수용하고 있는 잉크통의 용도가 아니라 단지 탄성의 파지대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필기구본체(100)는 손가락의 끝마디에 장착하기에 적합한 길이로 제작되며, 대략 원추형이나 반원추형으로 형상화되면서 그 중심에 펜촉(110)이 위치함으로써 보다 유연하고 자유로운 필기동작이 가능하여 정확하고 정밀한 필기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뚜껑(200)은 원추형이나 반원추형으로 형상화되는 필기구본체(100)가 삽입수용될 수 있도록 그에 상응하는 원추형이나 반원추형으로 제작된다. 이때, 필기구본체(100)와 뚜껑(200)의 대응부위에는 삽입수납시 일정압력에서 걸림을 갖고 일정압력이상에서 취출이 가능하도록 걸림요철들을 형성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즉, 뚜껑(200)내로 필기구본체(100)를 삽입시 "딱"하는 클릭(Click)감을 갖고 걸리게 하고, 반대로 취출시에는 클릭감을 가지면서 이탈되게 함으로써 뚜껑(200)에서 아무때나 필기구본체(100)가 쉽게 빠져 분실되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해소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필기구(10)는 뚜껑(200)을 가짐으로써 보관 및 이동시 펜촉(110)을 포함한 필기구본체(100)를 손상 및 파손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전도를 높이고 있다. 나아가, 뚜껑(200)에 마련된 클립(Clip;210)을 옷의 주머니나 기타 물건에 꽂아 사용함으로써 미사용시 분실을 방지하고 보관운반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를 손가락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이 도면 및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며 본 필기구의 사용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기에 적합한 손가락(20)의 끝마디(22)를 본 필기구본체(100)의 파지체(130)내로 진입시키면 손가락(20)의 하면이 바닥판(134)의 안착홈(134a)에 밀착된 상태에서 파지체(130)의 날개들(136,136a)이 손가락(20)의 좌우측면을 고리처럼 감싸면서 그 단부에 마련된 상부지지대들(138,138a)이 손가락(20)의 상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파지체(130)의 날개들(136,136a)은 손가락(20)의 삽입시 탄성을 갖고 약간 벌어지게 되어, 손가락(20)의 삽입후에는 수축하려는 탄성복원력이 고정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견고한 착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좌우의 잉크통들(150,150a)이 파지체(130)의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그리고 아래에서 위로 연장되면서 손가락(20)의 측면을 대각선으로 가로질려 전방하단에서 후방상단으로 손가락(20)을 파지하여 지지력을 보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날개들(136,136a)과 상부지지대들(138,138a)의 수직방향의 고정력에 더하여 잉크통들(150,150a)의 대각선방향의 고정력이 함께 하여 필기구본체는 손가락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손가락(20)의 끝마디(22)에 완전히 장착된 본 필기구본체(100)를 사용자가 손가락(20)을 자연스럽게 구부려 펜촉(110)을 지면(30)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필기를 하면 편안하고 정확하게 필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필기구본체(100)를 손가락(20)에 착용한 상태에서도 동시에 책을 넘기거나 물건을 잡을 수 있고, 그 다음에 다시 돌아와 필기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필기작업이 완전히 끝난 후에는 필기구본체(100)를 손가락(20)에서 잡아당겨 빼내면 가볍게 분리가 되며, 이 상태에서 필기구본체(100)를 뚜껑(200)에 삽입하여 보관하면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는 보다 편한 자세에서 가벼운 손가락 운동으로 필기가 가능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손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필기구를 장착하고도 손가락들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다른 작업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손가락에 고정시킨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는 다른 일을 하면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메모가 필요할 때 볼펜을 일일이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구조가 간단하며 펜촉이 필기에 적합한 중앙위치에 돌출하고 있어, 정상인은 물론 손가락 장애를 가진 장애인들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필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필기구는 크기가 소형화되어 휴대가 간편하고 언제 어디서든 신속히 사용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고안은 손가락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분실의 위험이 적고 필기구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

Claims (5)

  1. 펜촉을 구비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펜촉을 수용하여 일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하는 펜촉지지편; 상기 펜촉지지편의 후방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대략 고리형으로 탄성파지하는 파지체; 및 상기 파지체 양측의 전방하단에서 후방상단으로 대각선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양측면을 감싸면서 연장되어 손가락 상단을 지지하는 잉크통을 구비하는 필기구본체를 포함하는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체는 상기 펜촉지지편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손가락의 하면이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상기 손가락의 측면을 감싸 지지하는 탄성의 날개들; 및
    상기 날개들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손가락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대들을 구비하는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체는 상기 손가락이 접촉하는 부위에 편안함과 안락감을 부여하기 위해 쿠션을 갖는 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본체를 삽입 수용하여 보호하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외면 소정부위에 주머니나 물건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KR20-2002-0035176U 2002-11-25 2002-11-25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KR2003069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176U KR200306930Y1 (ko) 2002-11-25 2002-11-25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176U KR200306930Y1 (ko) 2002-11-25 2002-11-25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930Y1 true KR200306930Y1 (ko) 2003-03-11

Family

ID=4940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176U KR200306930Y1 (ko) 2002-11-25 2002-11-25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9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5206A (en) Finger-mounted writing apparatus
US4738556A (en) Finger pen
JP2002507509A (ja) フィンガグリップ器具付きの筆記用具
US20060147246A1 (en) Grip for hand held instruments
US7125186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enclosing structure
KR200306930Y1 (ko)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KR200348210Y1 (ko)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KR20120002781U (ko)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KR200419520Y1 (ko) 핑거 펜
US5897261A (en) Ballpoint pen for credit card receiving pocket
KR20020082160A (ko) 삽지식 필기구
EP0467949B1 (en) Holder for a writing article or the like
US7001090B2 (en) Offset pen
US5549405A (en) Heel-shaped ergonomic writing instrument
JP3131488U (ja) ペン等の筆記用具
CN215041644U (zh) 一种省力防滑握笔矫正器
CN214258088U (zh) 一种用于矫正书写握笔手势的手套
KR200331545Y1 (ko) 삽지식 필기구 집게
JP4218497B2 (ja) 筆記具
KR20100086759A (ko) 핑거 펜
JP3783514B2 (ja) 筆記具
CN211764478U (zh) 一种适用于多尺寸笔的握笔器
KR200399099Y1 (ko)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
JP2003276393A (ja) キャップ式筆記具
CN201077248Y (zh) 强制握笔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