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695Y1 - 액자기능을 갖는 장식용 병 - Google Patents

액자기능을 갖는 장식용 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695Y1
KR200306695Y1 KR20-2002-0035218U KR20020035218U KR200306695Y1 KR 200306695 Y1 KR200306695 Y1 KR 200306695Y1 KR 20020035218 U KR20020035218 U KR 20020035218U KR 200306695 Y1 KR200306695 Y1 KR 200306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photo
decorative
bottle
photo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석
Original Assignee
김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석 filed Critical 김만석
Priority to KR20-2002-0035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6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6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8Double sided adhesive tape, e.g. for suspension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명한 유리병의 내부에 사진이 부착되는 사진고정판을 삽입하여 줌으로서, 액자의 기능과 포장용기의 기능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하는 액자 기능을 갖는 장식용 병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상측의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마개체가 제공되는 투명한 유리병의 내부에, 상기 개방구를 통해 삽입되며 내면을 가로질러 포장공간을 분할하는 투명한 사진고정판을 설치하고, 상기 사진고정판의 일면에는 사진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나이상의 양면접착제를 부착하며, 상기 투명한 사진고정판의 전방에는 이형박리지를 포함하는 사진보호용 필름을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자기능을 갖는 장식용 병{Decoration Bottle}
본 고안은 장식용 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한 유리병의 내부에 사진이 부착되는 사진고정판을 삽입하여 줌으로서, 액자의 기능과 포장용기의 기능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하는 액자 기능을 갖는 장식용 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기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더욱이 방향제 등 액상의 재료가 포함되는 포장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경우에는 우수한 차단성이 요구되는 것이므로 합성수지 또는 유리병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중 유리병은, 내충격성이 약해서 파손의 우려가 크다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포장용기라는 기능적 용도와 함께 그 성형된 모양에 따라 장식적 효과도 배가되는 것이므로 고가의 상품을 포장하는데 매우 적합한 것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성을 최대한 포장물을 담는데 사용되는 포장용기는 와 방향제를 수동하고 있는 방향용기는 합성수지나 유리로 제작되며, 단순한 용기의 형태를 벗어나 자동차나 동물 등 장식감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최근의 경향이다.
그러나, 이같은 포장용 병은 상자나 여타의 포장재료에 비해 안정감이 우수하며 재료의 특성으로 인해 포장물이 외부로 충분히 투영되는 잇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포장물이 삽입되는 투입구가 비교적 좁아 여기에 포장할 수 있는 상품의 종류가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캔디등의 식품이나 작은 입자상태로 가공된 물품. 예로서 방향제 등을 포장하는 용기로 사용되는 이외에 새로운 용도로 적용하는 것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종래의 포장용기는 내부에 단일 포장공간들 가지는 것이므로 방향제 등을 포장하고 있는 용기에 또 다른 상품을 동시에 포장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이같은 이유로 인해 2가지 이상의 물품을 포장하고자 하는 경우개별 용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투명한 유리병의 내부에 사진이 부착되는 사진고정판을 삽입하여 줌으로서, 액자의 기능과 포장용기의 기능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하는 액자 기능을 갖는 장식용 병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진이 부착되는 사진고정판을 통해 수용된 투명한 유리병의 내부에 적어도 2개이상의 수용공간을 확보하며, 그 일면에 방향제가 함침된 포장물을 수용함으로서 장식감과 더불어 포장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병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병의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의 내부 삽입물인 사진고정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횡단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리병 12: 개방구 14: 마개체 15a,15b,15c: 수용공간 20: 사진고정판 21: 2단접힘 날개편 22: 받침편 24: 양면접착제 26: 이형박리지 28: 사진보호용 필름 30: 사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측의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마개체가 제공되는 투명한 유리병의 내부에, 상기 개방구를 통해 삽입되며 내면을 가로질러 포장공간을 분할하는 투명한 사진고정판을 설치하고, 상기 사진고정판의 일면에는 사진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나이상의 양면접착제를 부착하며, 투명한 상기 사진고정판의 전방에는 또한 이형박리지를 포함하는 사진보호용 필름을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사진고정판의 저부에 전후 방향으로 전개되는 한쌍의 받침편을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 일면에 사진이 부착되는 상기 사진고정판은 유리병의 내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포장공간을 분할하는 상기 사진고정판의 좌우 양측에 2단으로 접힘되는 날개편을 일체로 형성시켜 주어 유리병 내부를 3개의 저장공간으로 구획하게되면 본 고안이 추구하는 장식 및 포장의 기능은 더욱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병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병의 단면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의 내부 삽입물인 사진고정판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횡단면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투명한 유리병(10)과, 이 유리병(10)의 내부에 세워진 상태로 삽입되며 이를 통해 내부 공간을 적어도 2이상으로 구획하는 사진고정판(20), 그리고 상기 사진고정판(20)의 전방에 부착되는 장식용 사진(30)으로 이루어 진다.
투명한 유리병(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사진고정판(20)에 의해 분할되는 유리병의 수용공간(15a, 15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방향제가 함침된 장식체(42) 또는 작은 입자를 갖는 장식골재(44)가 포장된다.
상기 유리병(10)은 그 내부공간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공되는 것이며, 이같은 유리병(10)은 그 상부에 마개체(14)가 끼워지는 비교적 좁은 개방구(12)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리병(10)의 내부에는 사진고정판(20)이 삽입된다. 이 사진고정판(20)은 그 좌우 폭이 유리병(10)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기에 바람직한 칫수로 가공되는 것이며, 이러한 사진고정판(20)은 유리병(10)의 개방구(12)를 통과할 때 대체로 구부러진 상태로서 끼워지고 개방구(12)를 통과한 후 펼쳐진 판상의 모습을 유지하게 된다. 이같은 특성을 만족하기 위하여 상기 사진고정판(2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고탄성의 투명한 합성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사진고정판(20)의 전방에는 하나이상의 양면접착제(24)가 설치된다. 이 양면접착제(24)는 장식용 사진(30)을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사진고정판(20)의 중앙에 하나의 양면접착제(24)가 부착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양면접착제(24)는 상기 사진고정판(20)의 후방에서 그대로 투영되는 것이므로, 하트 또는 별모양 등 소정의 장식적 가치를 고려하여 부작하는 것이 유익하다.
이와같이 상기 사진고정판(20)의 전방에 부착되는 장식용 사진(30)은, 유리병(10)의 내부에 포장되는 장식물들(42,44,46)과 함께 보관된다. 따라서 관찰위치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선명한 투영이 가능한 것이며, 장식감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상기 사진고정판(20)에 의해 내부가 구획되는 상기 유리병(10)의 저장공간(15a,15b)의 한쪽에는 작은입자의 장식골재(44) 또는 방향제가 함침된 세라믹 장식체(42)가 선택적으로 포장된다. 그리고, 장식용 사진(30)이 부착된 방향에는 사진을 가리우지 아니하는 정도의 포장물, 예로서 간단한 메모지(46)를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사진고정판(20)의 전방에는, 여기에 부착되는 장식용 사진(30)이 포장물과 닿아 오염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사진보호용필름(28)을 설치한다. 이 사진보호용 필름(28)은 그 상측 일부만을 사진고정판(20)에 고정한 체 그 내면이 이형박리지(26)로 보호되도록 부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사진보호용 필름(28) 및 이형박리지(26)는 상기 사진고정판(20)의 전방에 부착되는 장식용 사진(30)을 충분히 가리울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된다.
물론, 상기 사진보호용 필름(28)이 구비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상기 장식용사진(30)의 부착은 가능하고, 또한 내부에 수용되는 포장물과 함께 우수한 장식효과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사진고정판(20)의 전방에 사진보호용 필름(28)을 설치하는 경우 방향액과의 접촉에 의한 사진의 탈색등을 억제할 수 있어 상품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진고정판(20)의 저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전개되는 한쌍의 받침편(22)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사진고정판(20)의 하부에 일체로 절곡 연장되는 이러한 한쌍의 받침편(22)은, 일면에 사진(30)이 부착되는 상기 사진고정판(20)을 유리병(10)의 내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진고정판(20)이 기울어지거나 포장물에 밀리어 불안정하게 위치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그리고, 포장공간을 분할하는 상기 사진고정판(20)의 좌우 양측에 2단으로 접힘되는 날개편(21)을 일체로 형성시켜 주는 경우 내부 공간의 효율적이 분할이 가능해진다. 즉, 이들 양측 날개편(21)과 상기 사진고정판(20)과의 경계부를 내측으로 접어주고 나서, 날개편(21)의 중간을 다시 외측으로 절곡하게 되면, 상기 사진고정판(20)은 상기 양측 날개편(21)에 의해 기울어짐 없이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세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양측 날개편(21)은, 유리병(10)의 내부를 3개의 저장공간(15a, 15b, 15c)으로 구획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본 고안이 추구하는 장식 및 포장의 기능은 더욱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르면, 먼저 유리병(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사진고정판(20)의 전방에 장식용 사진(30)을 부착한다. 이같은 사진(30)은 사진고정판(20)의 중앙에 일면이 고정된 양면접착제(24)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서, 견고한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이상의 양면접착제(24)가 사용될 수 있다.
전방에 장식용 사진(30)이 부착된 상기 사진고정판(20)은, 고탄성의 투명한 합성수지 필름으로 성형되는 것이므로, 이를 투명한 유리병(10)의 내부에 삽입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구부리더라도 사진고정판(20)은 물론 이에 부착된 장식용 사진(30)의 손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다시말해, 마개체(14)가 끼워지는 상기 유리병(10)의 좁은 개방구(12)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사진고정판(20)을 일시적으로 구부려준 다음 이를 개방구(12)로 투입하면, 유리병(10)의 내부에 삽입된 사진고정판(20)이 유리병(10) 내에서 필쳐지면서 내부공간을 분할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사진고정판(20)에 의해 분할된 유리병(10)의 내부 저장공간(15a,15b)중 장식용 사진(30)이 부착된 전방에는 사진(30)이 선명하게 투영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장식물 예로서 간단한 메모지(46)를 투입한다. 그리고 그 후방에는 작은입자의 장식골재(44) 또는 방향제가 함침된 세라믹 장식체(42)를 선택적으로 포장하게 된다. 물론, 부착된 사진(30)의 크기와 위치 등을 고려하여 사진은 가리우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양쪽의 저장공간(15a,15b)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포장물의 종류와 량을 설명하는 것은 본 고안에 있어서 그리 중요하지 않다.
이러한 포장방법에 의해 포장되는 포장물은, 단순한 선물의 개념에서 벗어나 사진에 담긴 추억과 선물하는 사람의 마음을 표현한 메시지 등이 함께 전달될 수 있는 것이며, 더욱이 이를 장식물로서 오랜시간 진열 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주역을 오래도록 간직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액자기능을 갖는 장식용 병에 의하면, 투명한 유리병의 내부에 사진이 부착되는 사진고정판을 삽입하여 줌으로서, 액자의 기능과 포장용기의 기능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하는 다용도의 장식용구를 제공한다.
더욱이, 사진이 부착되는 사진고정판을 통해 수용된 투명한 유리병의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용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며, 그 일면에 방향제가 함침된 포장물을 수용함으로서 장식감과 더불어 포장효과를 극대화하는 등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있는 것이므로 미감이 향상되어 장식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Claims (4)

  1. 상측의 개방구(12)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마개체(14)가 제공되는 투명한 유리병(10)의 내부에, 상기 개방구(12)를 통해 삽입되며 내면을 가로질러 포장공간을 분할하는 투명한 사진고정판(20)을 설치하고, 상기 사진고정판(20)의 일면에는 사진(30)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나이상의 양면접착제(24)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기능을 갖는 장식용 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사진고정판(20)의 전방에, 이형박리지(26)를 포함하는 사진보호용 필름(28)이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기능을 갖는 장식용 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고정판(20)의 저부에, 전후 방향으로 전개되는 한쌍의 받침편(22)을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기능을 갖는 장식용 병.
  4. 제1항에 있어서, 포장공간을 분할하는 상기 사진고정판(20)의 좌우 양측에는, 2단으로 접힘되는 날개편(21)을 일체로 형성시켜 병 내부를 3개의 저장공간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기능을 갖는 장식용 병.
KR20-2002-0035218U 2002-11-25 2002-11-25 액자기능을 갖는 장식용 병 KR200306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218U KR200306695Y1 (ko) 2002-11-25 2002-11-25 액자기능을 갖는 장식용 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218U KR200306695Y1 (ko) 2002-11-25 2002-11-25 액자기능을 갖는 장식용 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695Y1 true KR200306695Y1 (ko) 2003-03-11

Family

ID=4940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218U KR200306695Y1 (ko) 2002-11-25 2002-11-25 액자기능을 갖는 장식용 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6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780B1 (ko) * 2020-08-03 2022-01-19 오승환 내장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하바리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780B1 (ko) * 2020-08-03 2022-01-19 오승환 내장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하바리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2293A (en) Three-dimensional display and packaging device
US9878823B2 (en) Display package having two modes
US2854135A (en) Packing and display containers
KR200306695Y1 (ko) 액자기능을 갖는 장식용 병
JP3186276U (ja) 包装容器
US6533117B2 (en) Candle packaging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2012229045A (ja) 物品保持体用カバー
US7137508B2 (en) Folding box for displaying an article
JP3190296B2 (ja) 包装用箱
US20110100867A1 (en) Packaging and display device
JP4080988B2 (ja) 物品包装体
JP3447616B2 (ja) 袋状容器
SK7992002A3 (en) Package for food products
JP7334600B2 (ja) 包装体
JPH10152132A (ja) 芳香剤などの展示用紙箱
KR920002059Y1 (ko) 상자의 내포장 고정구조
JP2017210271A (ja) 物品包装箱
KR102018563B1 (ko)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KR200259203Y1 (ko) 상품 비닐 포장용 속판지 구조
KR200296166Y1 (ko) 속판지를 이용한 비닐포장대 펼침구조
KR200250999Y1 (ko) 전시 가능한 포장 상자
JPH11198930A (ja) 物品収納台座
KR970006173Y1 (ko) 화장품용기 케이스
WO2019087233A1 (ja) 商品パッケージ
KR101469536B1 (ko) 절첩 전개형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