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595Y1 - 증기 배출장치 및 이 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 - Google Patents

증기 배출장치 및 이 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595Y1
KR200306595Y1 KR20-2002-0037476U KR20020037476U KR200306595Y1 KR 200306595 Y1 KR200306595 Y1 KR 200306595Y1 KR 20020037476 U KR20020037476 U KR 20020037476U KR 200306595 Y1 KR200306595 Y1 KR 200306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ressure cooker
discharge port
body portion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욱
이기한
Original Assignee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7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5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5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력 밥솥 내에 구비된 증기배출 포트가 막힌 경우에 압력 밥솥 내의 압력을 강제적으로 비상 감압하기 위한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력 밥솥의 용기커버에 체결되어 압력 밥솥 내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장치에 있어서, 하부 면에 제1배출구(101) 및 제2배출구(102)가 형성되며, 상부 면에는 상기 제1배출구(101) 및 제2배출구(102)가 서로 연통되어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공통배출구(104)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커버에 체결되는 몸체부(100)와;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배출구(101)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100)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110)와; 제1탄성체(121)가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102)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100)에 구비된 제어밸브(120)로 구성되되, 특히 상기 몸체부(100)에는 상기 공통배출구(104)를 따라 몸체부(100) 하측 면으로 연장 관통 형성된 비상배기구(105)가 형성되며, 이 비상배기구(105)의 하측 개구부에는 탄성적으로 압입된 기밀부재(140)가 구비됨으로써, 공통배출구를 따라 핀을 삽입하여 몸체부에 형성된 비상배기구가 개폐 가능하므로, 증기 배출용 밸브계통에 고장이 발생 시에 수리작업이 용이하며, 증기 배출장치 구조의 단순화와 사이즈 축소로 인하여 비용절감과,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증기 배출장치 및 이 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Discharging device and a pressure rice cooker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증기 배출장치 및 이 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력 밥솥 내에 구비된 증기배출 포트가 막힌 경우에 압력 밥솥 내의 압력을 강제적으로 비상 감압하기 위한 증기 배출장치 및 이 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 밥솥은 밥솥 내부를 일정 압력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며, 조리가 끝난 후에는 밥솥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여 감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압력 밥솥은 조리과정에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며, 조리가 끝난 후에는 밥솥 내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한 증기 배출장치가 구비된다.
그러나, 압력 밥솥에 구비된 증기 배출장치는 조리과정에서 배출구가 막히거나, 증기 배출을 제어하는 밸브계통이 고장난 경우에 압력 밥솥의 증기를 배출할수가 없으므로 압력 밥솥의 뚜껑을 개방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압력 밥솥 내에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계통이 고장난 경우에는 고장 수리를 위하여 압력 밥솥의 뚜껑을 개방할 수가 없으므로, 자연적으로 압력 밥솥 내부의 압력이 감압되도록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실용신안 제268044호에는 전기압력 밥솥 내에 증기를 강제로 배출하기 위한 비상 증기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밥솥이 개시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의 비상 증기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밥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종래의 증기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압력밥솥은 외통(11) 내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압력용기(10)와, 이 압력용기(10)의 개구부를 차단하기 위한 용기커버(20)와, 이 용기커버(20)에 고정되어 압력용기(10) 내에 증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증기배출장치로 구성된다.
용기커버(20)에는 제1,2, 및 제3배출구(21)(22)(23)가 관통 형성된다.
용기커버(20)의 상부에는 외통커버(24)가 구비되며, 외통커버(24)에는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증기배출캡(25)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조립된다.
증기배출장치는 압력밥솥 내의 증기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 미도시된 제어유니트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제1배출구(21)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30)와; 조리 시에 압력밥솥 내에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2배출구(22)를 개폐하는 제어밸브(40)로 구성될 수가 있다.
제어밸브(40)는 조리 시에 압력밥솥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스프링(41)과, 이 스프링(41)에 탄지되어 제2배출구(22)를 차단하는 밸브스템(42)으로 구성된다.
증기배출장치에는 제3배출구(23)와 연통되는 증기 비상배출구가 형성되며, 이 증기 비상배출구에는 배출로개폐부재(50)가 나사체결되어, 제3배출구(23)를 차단하게 된다.
배출로개폐부재(50)의 두부에는 함몰 형성된 조작홈(51)이 형성된다.
도 9는 도 8의 증기배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30)에 의해 개폐되는 제1배출구(21)와, 제어밸브(40)에 의해 개폐되는 제2배출구(22)는 각각 제1증기배출로(21a)와, 제2증기배출로(22a)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공통배출구(60)로 연결된다.
배출로개폐부재(50)가 나사체결되는 증기 비상배출구에는 제3증기배출로(23a)가 형성되어 제3배출구(23)와, 상기 공통배출구(60)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증기배출장치의 비상시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종래의 증기배출장치의 작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조리 완료 후에 솔레노이드밸브(30) 또는 제어밸브(40)를 통해 증기가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증기배출캡(25)을 제거한 후에 외통커버(24)에 구비된 보호캡(26)을 분리한다.
보호캡(26)을 분리하여 배출로개폐부재(50)가 외부로 노출되면, 배출로개폐부재(50)의 조작홈(51)에 동전 또는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제3배출구(23)가 개방되도록 하여, 압력 밥솥 내에 증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제3배출구(23)가 개방되도록 하여도 증기가 배출되지 않으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로개폐부재(50)를 완전히 제거한 후에 제3배출구(23)를 따라 핀(1)을 삽입하여 압력밥솥 내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압력밥솥 증기배출장치는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제어밸브를 통해 압력밥솥 내에 증기가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제3배출구의 개폐를 단속하기 위하여 증기 비상배출구와. 이 증기 비상배출구에 나사 체결되는 배출로개폐부재가 구비되므로 증기배출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사이즈가 커지게 되므로 외관미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통배출구 이외에 제3배출구와 연결된 증기 비상배출구가 필요하므로 배출 포트가 증가하여 증기배출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따라서 비용 증대의 원인이 된다.
또한, 강제 증기배출을 위해서는 외통커버에 구비된 증기배출캡, 보호캡을 제거한 후에 다시 배출로개폐부재를 제거하여 제3배출구에 핀 등을 삽입 관통하여 압력밥솥의 증기를 배출하게 되므로, 일반 사용자의 입장에서 작업이 지난하며, 취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압력 밥솥 내에 증기를 강제 배출함에 있어 사용자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증기 배출장치 및 이 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력 밥솥 증기 배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C-C'선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압력 밥솥 증기 배출장치의 작용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압력 밥솥 증기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압력 밥솥 증기 배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종래의 증기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증기배출장치의 평면도,
도 10은 종래의 증기배출장치의 작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01 : 제1배출구
102 : 제2배출구 103 : 제3배출구
104 : 공통배출구 105 : 비상배기구
110 : 솔레노이드밸브 120 : 제어밸브
130 : 안전밸브 140 : 기밀부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장치는 압력 밥솥의 용기커버에 체결되어 압력 밥솥 내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장치에 있어서, 하부 면에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부 면에는 상기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서로 연통되어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공통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커버에 체결되는 몸체부와;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와; 탄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제어밸브로 구성되되, 특히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공통배출구를 따라 몸체부 하측 면으로 연장 관통 형성된 비상배기구가 형성되며, 이 비상배기구의 하측 개구부에는 탄성적으로 압입된 기밀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장치는 압력 밥솥의 용기커버에 체결되어 압력 밥솥 내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장치에 있어서, 하부 면에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부 면에는 상기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서로 연통되어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공통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커버에 체결되는 몸체부와;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와; 탄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제어밸브로 구성되되, 특히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공통배출구를 따라 몸체부 하측 면으로 연장 관통 형성된 비상배기구가 형성되며, 이 비상배기구의 하측 개구부에는 탄성재질의 기밀패드가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고정됨으로써 달성될 수가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압력 밥솥은 압력 밥솥 용기 내부와 연통하는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 용기커버에 체결되는 몸체부와;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탄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제어밸브로 이루어진 증기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압력 밥솥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서로 연통되어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공통배출구가 형성되되, 이 공통배출구를 따라 하측 면으로 연장 관통 형성된 비상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커버는 상기 비상배기구와 연통되는 벤트홀이 형성되며, 이 벤트홀의 하측 개구부에는 탄성적으로 압입된 기밀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압력 밥솥은 압력 밥솥 용기 내부와 연통하는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 용기커버에 체결되는 몸체부와;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탄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제어밸브로 이루어진 증기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압력 밥솥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서로 연통되어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공통배출구가 형성되되, 이 공통배출구를 따라 하측 면으로 연장 관통 형성된 비상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커버는 상기 비상배기구와 연통되는 벤트홀이 형성되며, 이 벤트홀의 하측 개구부에는 탄성재질의 기밀패드가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고정됨으로써 달성될 수가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력 밥솥 증기 배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C-C'선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압력 밥솥 증기 배출장치의 작용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압력 밥솥 증기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압력 밥솥 증기 배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장치는 압력 밥솥의 용기커버에 체결되어 압력 밥솥 내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장치에 있어서, 하부 면에 제1배출구(101) 및 제2배출구(102)가 형성되며, 상부 면에는 상기 제1배출구(101) 및 제2배출구(102)가 서로 연통되어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공통배출구(104)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커버에 체결되는 몸체부(100)와;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배출구(101)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100)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110)와; 제1탄성체(121)가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102)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100)에 구비된 제어밸브(120)로 구성되되, 특히 상기 몸체부(100)에는 상기 공통배출구(104)를 따라 몸체부(100) 하측 면으로 연장 관통 형성된 비상배기구(105)가 형성되며, 이 비상배기구(105)의 하측 개구부에는 탄성적으로 압입된 기밀부재(140)가 구비되는 것을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솔레노이드밸브(110)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제1배출구(101)를 개폐하기 위한 공지의 솔레노이드밸브로서, 미도시된 제어유니트와 연결되는 코일(111)과, 이 코일(111) 내에 변위 구동되는 플런저(112)와, 이 플런저(111)의 하단에 구비되어 제1배출구(101)를 개폐하게 되는 다이어프램(113)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솔레노이드밸브(110)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배출구(101)가 개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바람직할 것이다.
제1배출구(101)는 몸체부(100) 내에 형성된 제1배출로(101a)를 통해 공통배출구(104)와 연결된다.
제어밸브(120)는 조리과정에서 압력밥솥 내부의 압력이 정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스프링(121)과, 이 제1스프링(121)에 탄지된 밸브스템(122)과, 이 밸브스템(12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제2배출구(102)를 개폐하게 되는 다이어프램(123)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제2배출구(102)는 몸체부(100) 내에 형성된 제2배출로(102a)를 통해 공통배출구(104)와 연결된다.
상기 몸체부(100)에는 하부 면에 제3배출구(103)가 형성되며, 압력 밥솥 내부가 일정 압력 이상이 될 경우에는 상기 제3배출구(103)를 개방하여 압력 밥솥 내부 압력을 감압하기 위한 안전밸브(130)가 추가로 구성될 수가 있다.
안전밸브(130)는 제2스프링(131)이 탄지된 밸브스템(132)으로 구성될 수가 있으며, 제2스프링(131)의 스프링 상수는 제어밸브(120)에 구비된 제1스프링(121)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안전밸브(130)는 제어밸브(120)의 설정 압력 이상으로 압력 밥솥 내에 압력이 발생 시에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공통배출구(104)는 제1배출로(101a) 및 제2배출로(102a)에 의해 각각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와 연결되어, 제어밸브 또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작동 시에 배출되는 증기는 공통배출구(104)를 통해 배출된다.
특히, 공통배출구(104)가 구비된 몸체부(100)에는 상기 공통배출구(104)를 따라 몸체부(100) 하측 면으로 연장 관통 형성된 비상배기구(105)가 형성되며, 이 비상배기구(105)의 하측 개구부에는 탄성적으로 압입된 기밀부재(140)가 구비된다.
상기 비상배기구(105)의 상측 개구부(105a)는 역원추 형상의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상배기구(105) 내에 핀을 삽입하여 기밀부재(140)를 빼내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 제어밸브, 또는 안전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압력 밥솥 내에 증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핀(1)을 공통배출구(104) 내에 삽입하여 기밀부재(140)를 밀어내게 되면, 압력 밥솥 내에 증기가 비상배기구(105) 및 공통배출구(104)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압력 밥솥 내에 발생된 증기가 배출되어 대기압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압력 밥솥 용기 커버를 열어 분리된 기밀부재(140)를 다시 비상배기구(105)에 압입하여 비상배기구(105)를 폐쇄한 후에 필요한 고장 수리 작업을 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의 압력 밥솥 증기 배출장치에 있어, 비상배기구를 통해 증기를 강제 배출하도록 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재질의 기밀패드(150)가 개폐 가능하도록 몸체부(100)에 힌지 고정될 수가 있다.
기밀패드(150)에는 몸체부(100)내에 삽입 고정된 힌지부(151)가 구비되어 비상배기구(150)의 하측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몸체부(10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조리 시에 압력 밥솥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기밀패드(150)는 몸체부(100)의 하면에 밀착되어 비상배기구(150)를 차단하게 된다.
만약, 솔레노이드밸브, 제어밸브, 또는 안전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미도시된 핀을 이용하여 공통배출구(104) 내에 삽입하여 기밀패드(150)를 밀어내게 되면, 비상배기구(150)가 개방되므로 압력 밥솥 내에 증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본 고안의 증기 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은, 증기 배출장치의 몸체부에 공통배출구를 따라 하측 면으로 연장 형성된 비상배기구가 형성되며, 이 비상배기구를 통해 증기를 비상 배출하기 위한 기밀부재 또는 기밀패드가 용기커버에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도 6의 단면도에 대응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6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기한다.
본 고안의 압력 밥솥은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1배출구와, 제어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2배출구가 각각 제1배출로(101a)와 제2배출로(102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배기 포트를 이루는 공통배출구(104)가 몸체부(100)에 구비되되, 이 몸체부(100)에는 상기 공통배출구(104)를 따라 하측 면으로 연장 관통 형성된 비상배기구(105)가 형성된 증기 배출장치와; 상기 몸체부(100)가 고정되는용기커버(200)에는 상기 비상배기구(105)와 연통되는 벤트홀이 형성되며, 이 벤트홀의 하측 개구부에는 탄성적으로 압입된 기밀부재(210) 또는 탄성재질의 기밀패드가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고정되는 것을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압력 밥솥은 솔레노이드밸브, 제어밸브, 또는 안전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 핀을 공통배출구(104) 내에 삽입하여 용기커버(200)에 고정된 기밀부재(210)를 아래로 밀어내게 되면, 압력 밥솥 내에 발생된 증기가 벤트홀, 비상배기구(105), 및 공통배출구(104)를 통해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비상배기구(105)의 상측 개구부(105a)는 역원추 형상의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상배기구(105)를 따라 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장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제어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를 하나의 공통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며, 또한 강제적으로 압력 밥솥 내에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공통배출구를 따라 몸체부에 형성된 비상배기구가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종래와 비교하여 증기 배출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사이즈를 축소할 수가 있으므로 비용절감과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압력 밥솥 증기 배출장치는 공통배출구를 따라 비상배기구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압력 밥솥 내에 증기를 강제 배출하기가 용이하므로, 고장 수리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압력 밥솥의 용기커버에 체결되어 압력 밥솥 내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장치에 있어서,
    하부 면에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부 면에는 상기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서로 연통되어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공통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커버에 체결되는 몸체부와;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와;
    탄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제어밸브로 구성되되,
    특히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공통배출구를 따라 몸체부 하측 면으로 연장 관통 형성된 비상배기구가 형성되며, 이 비상배기구의 하측 개구부에는 탄성적으로 압입된 기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장치.
  2. 압력 밥솥의 용기커버에 체결되어 압력 밥솥 내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장치에 있어서,
    하부 면에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부 면에는 상기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서로 연통되어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공통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커버에 체결되는 몸체부와;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와;
    탄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제어밸브로 구성되되,
    특히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공통배출구를 따라 몸체부 하측 면으로 연장 관통 형성된 비상배기구가 형성되며, 이 비상배기구의 하측 개구부에는 탄성재질의 기밀패드가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장치.
  3. 압력 밥솥 용기 내부와 연통하는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 용기커버에 체결되는 몸체부와;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탄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제어밸브로 이루어진 증기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압력 밥솥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서로 연통되어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공통배출구가 형성되되, 이 공통배출구를 따라 하측 면으로 연장 관통 형성된 비상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커버는 상기 비상배기구와 연통되는 벤트홀이 형성되며, 이 벤트홀의 하측 개구부에는 탄성적으로 압입된 기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밥솥.
  4. 압력 밥솥 용기 내부와 연통하는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 용기커버에 체결되는 몸체부와;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탄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제어밸브로 이루어진 증기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압력 밥솥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서로 연통되어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공통배출구가 형성되되, 이 공통배출구를 따라 하측 면으로 연장 관통 형성된 비상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커버는 상기 비상배기구와 연통되는 벤트홀이 형성되며, 이 벤트홀의 하측 개구부에는 탄성재질의 기밀패드가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밥솥.
KR20-2002-0037476U 2002-12-16 2002-12-16 증기 배출장치 및 이 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 KR200306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476U KR200306595Y1 (ko) 2002-12-16 2002-12-16 증기 배출장치 및 이 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476U KR200306595Y1 (ko) 2002-12-16 2002-12-16 증기 배출장치 및 이 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362A Division KR100483133B1 (ko) 2002-12-16 2002-12-16 증기 배출장치 및 이 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595Y1 true KR200306595Y1 (ko) 2003-03-11

Family

ID=4933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476U KR200306595Y1 (ko) 2002-12-16 2002-12-16 증기 배출장치 및 이 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5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6595Y1 (ko) 증기 배출장치 및 이 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
KR100483133B1 (ko) 증기 배출장치 및 이 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
KR101816554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310095Y1 (ko) 뚜껑이 불필요한 출몰식 배출장치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US20030011086A1 (en) Vapor cleaner
KR101110035B1 (ko) 잉크 카트리지 개폐장치
KR200336743Y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JP4381626B2 (ja) スリットバルブ付きキャップ
KR200339343Y1 (ko) 전기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231093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닫힘 물꼭지
KR200253622Y1 (ko) 압력조리기의뚜껑열림보조장치
KR200268044Y1 (ko) 전기압력밥솥의 비상 증기배출장치
JPH0433077Y2 (ko)
CN213444051U (zh) 一种容器盖及容器
JP3883161B2 (ja) 簡易開栓容器
JP3608461B2 (ja) 液体保温容器の栓装置
CN210697052U (zh) 按键式水杯
KR20020067848A (ko) 전기압력밥솥
JP4105279B2 (ja) 噴出ポンプ
JP2017214087A (ja) 流路切替えアダプタ及び正倒立両用液体噴出ポンプ
KR20030089519A (ko) 라디에터의 열수 배출 장치
JP2546168B2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KR200158300Y1 (ko) 부항치료기용 부항컵
JP2578728Y2 (ja) エアゾール容器
KR19990039965A (ko) 압력조리기의 뚜껑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0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