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917Y1 - 무선전화기의전원회로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전원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917Y1
KR200304917Y1 KR2019980012179U KR19980012179U KR200304917Y1 KR 200304917 Y1 KR200304917 Y1 KR 200304917Y1 KR 2019980012179 U KR2019980012179 U KR 2019980012179U KR 19980012179 U KR19980012179 U KR 19980012179U KR 200304917 Y1 KR200304917 Y1 KR 2003049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wireless telephone
battery
power supply
oscillat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377U (ko
Inventor
이현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12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91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3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3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9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 전화기의 전원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전화기의 사용상태에 따라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한 무선 전화기의 전원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무선 전화기의 제어부에서는 무선 전화기의 사용상태를 확인하여 액티브 상태로 동작할 경우에 주발진회로부를 동작시키고,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할 경우에 보조발진회로부를 동작시켜 소비 전류가 거의 없이 배터리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사용효율을 향상시켜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화기의 전원 회로
본 고안은 무선 전화기의 전원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전화기의 사용상태에 따라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한 무선 전화기의 전원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 전화기의 전원 회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동작을 받아들이기 위해 키를 입력하는 키입력부(11)와, RF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12)와, 모든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와, 상기 제어부(13)가 활성상태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발진회로부(14)와, 회로전체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5)와, 상기 배터리(15)의 일정 전압이하일 경우에 상기 배터리(15)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부(1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무선 전화기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무선 전화기의 전원부(16)에서 전압레벨를 감지하여 제어부(13)로 인가하고, 제어부(13)에서는 상기 전원부(16)로부터 인가된 전압레벨이 저 전압이 아닐 경우에, 무선 전화기가 오프훅 상태인 경우 즉, 대기상태가 아닌 경우에 제어부(13)에서는 주발진회로부(14)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기 위한 필요한 주파수를 인가받는다.
이에, 제어부(13)에서는 배터리(1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키입력부(11)로부터 키를 입력받아 무선 송수신부(12)를 통해 통화를 하게 된다.
한편, 무선 전화기가 오프훅 상태가 아닐 경우에 즉, 대기상태인 경우에도 주발진회로부(14)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기 위한 필요한 주파수를 인가받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에서는 배터리(15)로부터 불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서 배터리(15)의 효율을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무선 전화기에서 대기상태일 경우에 제어부 및 주변회로에 일정한 전류가 계속 소모되고 있는데 이 전류는 실제 불필요한 소모 전류로 배터리 효율이 감소하여 배터리 사용시간을 줄이고, 계속 전류가 소모될 경우에 완전 방전 상태가 되어 배터리의 수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무선 전화기의 제어부에서 무선 전화기의 사용상태를 확인하여 액티브 상태로 동작할 경우에 주발진회로부를 동작시키고, 슬립 모드에서 동작할 경우에 보조발진회로부를 동작시켜 소비 전류가 거의 없이 배터리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사용효율을 향상시켜 사용시간을 연장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전화기의 전원 회로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화기의 전원 회로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화기의 전원 회로에서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하는 동작 수행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키입력부 22: 무선 송수신부
23: 제어부 24: 주발진회로부
25: 보조발진회로부 26: 배터리
27: 전원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무선 전화기에서 있어서, 무선 전화기의 사용상태를 확인하여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선택제어에 따라 통화 채널 스캔 상태에서 동작 가능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발진회로부와; 상기 제어부의 선택제어에 따라 대기상태에서 동작 가능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보조발진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확인한 사용상태가 통화 채널 스캔 상태인 경우에 상기 주발진회로부를 동작시키고, 대기상태인 경우에 상기 보조발진회로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전화기의 전원 회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입력부(21)와, 무선 송수신부(22)와, 제어부(23)와, 주발진회로부(24)와, 보조발진회로부(25)와, 배터리(26)와, 전원부(2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키입력부(21)와, 무선 송수신부(22)와, 주발진회로부(24)와, 배터리(26)와, 전원부(27)는 종래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3)는 무선 전화기의 사용상태를 확인하여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제어한다.
상기 보조발진회로부(25)는 상기 제어부(23)가 주변회로를 제어하지 않고 슬립모드로 동작할 경우 필요한 주파수를 발생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사용가능 시간 연장 동작을 첨부된 도 3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선 전화기의 전원부(27)에서 배터리(26)의 전압을 감지하여 해당 감지한 전압레벨를 제어부(23)로 인가한다(스텝 S1).
이에, 제어부(23)에서는 상기 전원부(27)로부터 인가되는 전압레벨이 저 전압 상태인지를 검사하고(스텝 S2), 해당 전압레벨이 저 전압 상태일 경우에 배터리(26)의 전원을 차단한다(스텝 S3).
한편, 상기 제2스텝(S2)에서 상기 전압레벨이 저 전압 상태가 아닐 경우에 제어부(23)에서 대기상태인지 즉, 무선 전화기를 오프훅 하지 않는 상태인지를 검출한다(스텝 S4).
이에, 무선 전화기가 대기상태일 경우에 즉, 제어부(23)에서 주변회로를 제어하지 않고 슬립 모드로 동작할 경우에 보조발진회로부(25)를 온시켜 동작 수행시키고, 해당 보조발진회로부(25)에서는 슬립 모드상태에서 동작 가능한 필요한 주파수를 발생시켜 제어부(23)로 인가한다(스텝 S5).
이에 따라, 제어부(23)에서는 저 전류 소비 모드 시작을 위한 전원을 배터리(26)로부터 공급받는다(스텝 S6).
이후에, 제어부(23)에서는 각 모드의 동작 수행이 종료되었는지를 검출하여 모든 동작을 종료시킨다(스텝 S7).
한편, 상기 제4스텝(S4)에서 무선 전화기가 대기상태가 아닐 경우에 즉, 통화 채널 스캔(Scan)상태일 경우에 제어부(23)에서는 주발진회로부(24)를 온 시켜 동작 수행시키고, 해당 주발진회로부(24)에서는 통화 채널 스캔 상태에서 동작 가능한 필요한 주파수를 발생시켜 제어부(23)로 인가한다(스텝 S8).
이에, 제어부(23)에서는 무선 전화기에서 통화를 위한 채널 검색 루틴을 시작하기 위해서 배터리(2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스텝 S5), 상기 제7스텝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무선 전화기의 제어부에서는 무선 전화기의 사용상태를 확인하여 액티브 상태로 동작할 경우에 주발진회로부를 동작시키고,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할 경우에 보조발진회로부를 동작시켜 소비 전류가 거의 없이 배터리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사용효율을 향상시켜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무선 전화기의 제어부에서는 무선 전화기의 사용상태를 확인하여 액티브 상태로 동작할 경우에 주발진회로부를 동작시키고,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할 경우에 보조발진회로부를 동작시켜 소비 전류가 거의 없이 배터리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사용효율을 향상시켜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Claims (2)

  1. 무선 전화기에서 있어서,
    무선 전화기의 사용상태를 확인하여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23)와; 상기 제어부(23)의 선택제어에 따라 통화 채널 스캔 상태에서 동작 가능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발진회로부(24)와; 상기 제어부(23)의 선택제어에 따라 대기상태에서 동작 가능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보조발진회로부(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의 전원 회로.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3)에서 확인한 사용상태가 통화 채널 스캔 상태인 경우에 상기 주발진회로부(24)를 동작시키고, 대기상태인 경우에 상기 보조발진회로부(25)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의 전원 회로.
KR2019980012179U 1998-07-03 1998-07-03 무선전화기의전원회로 KR2003049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79U KR200304917Y1 (ko) 1998-07-03 1998-07-03 무선전화기의전원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79U KR200304917Y1 (ko) 1998-07-03 1998-07-03 무선전화기의전원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77U KR20000002377U (ko) 2000-02-07
KR200304917Y1 true KR200304917Y1 (ko) 2003-05-17

Family

ID=4940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179U KR200304917Y1 (ko) 1998-07-03 1998-07-03 무선전화기의전원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91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895B1 (ko) * 2007-07-12 2008-10-29 한국과학기술원 서브-스레시홀드 전원을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77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3297B1 (ko) 휴대폰의 전원절약방법
KR100314689B1 (ko) 핸드홀드 통신시스템의 개선된 전력 절감 방법 및 그 핸드홀드 통신시스템
US5842141A (en) Mobile terminal having user-actuated pager mode
JPH10271062A (ja) 無線携帯情報端末
KR200304917Y1 (ko) 무선전화기의전원회로
JP2002237886A (ja) 表示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における電力削減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40235537A1 (en) Radio communications apparatus
KR100318931B1 (ko) 휴대통신단말기의전력소모절약장치및그방법
KR20050052098A (ko) 센서를 이용한 전류소모최소화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휴대전화기
JPH11191797A (ja) 電話装置
KR20010003940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수명 연장 장치 및 방법
JPH07231291A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4768242B2 (ja) 省電力化装置、携帯端末及び省電力化方法
KR100353460B1 (ko) 무선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JP2001202184A (ja) キーボード装置及びその電源制御方法
KR19990002939A (ko) 무선 휴대기기의 밧데리 전류소모 절감 방법
KR10036964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절약 방법 및 장치
KR10029399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대기시간향상발진회로
KR2002000675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4037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0169422B1 (ko) 디지탈 무선전화기의 전원공급 제어장치
KR20000044463A (ko) 무선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JPH06252798A (ja) 携帯無線電話
JP2003018076A (ja) 無線端末機
KR100357124B1 (ko) 이동통신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