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698Y1 - 폐목 찢음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폐목 찢음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698Y1
KR200304698Y1 KR20-2002-0034730U KR20020034730U KR200304698Y1 KR 200304698 Y1 KR200304698 Y1 KR 200304698Y1 KR 20020034730 U KR20020034730 U KR 20020034730U KR 200304698 Y1 KR200304698 Y1 KR 200304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ood
guide shaft
main body
shaft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식
Original Assignee
박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식 filed Critical 박인식
Priority to KR20-2002-0034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6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6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목 찢음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집된 폐목 (廢木)의 크기와 형태에 제한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재활용(再活用) 또는 재가공(再加工)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찢어서 절단하는 폐목 찢음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폐목 찢음절단장치는, 본체와, 이 본체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폐목을 일정한 크기로 찢으면서 절단하는 타격부와, 이 타격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타격부는, 상기한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한 구동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발생된 일방향의 회전관성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관성플레이트와, 상기한 회전축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가이드축과, 이 가이드축의 외주면에서 일정한 배열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컷터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폐목 찢음절단장치{CUTTING EQUIPMENT FOR WASTE WOOD}
본 고안은 폐목 찢음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집된 폐목 (廢木)의 크기와 형태에 제한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재활용(再活用) 또는 재가공(再加工)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찢어서 절단하는 폐목 찢음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신축이나 재건축 또는 도로, 항만공사 등을 위해 행해지는 벌목시에는 건축폐자재나 나무조각, 나무뿌리와 같은 폐목(廢木)들이 발생하게되며, 이러한 폐목들은 주로 열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화목(火木)이나 가축의 사료, 농작물의 거름 등으로 용이하게 재활용 및 재가공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작업을 행하게 된다.
상기한 폐목들을 절단하는 방법으로는 작업자가 직접 절단도구 예를들면, 전동톱이나 해머, 도끼 등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절단을 행하게 되며, 이러한 절단작업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폐목은 그대로 화목으로 재활용되며, 가축의 사료나 농작물의 거름 등으로 사용할 때에는 별도의 칩가공장치에 의해 이를 다시 톱밥형태로 재가공하게 된다.
상기에서 폐목을 절단하는 장치는 본체 내부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컷터부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서 수집된 폐목을 상기한 본체에 투입하게 되면 상기한 컷터부에 의해 폐목이 일정한 길이로 등분되면서 절단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폐목을 작업자가 절단도구를 이용하여 직접 가공하려면 작업이 난이할 뿐만 아니라 과다한 시간을 감수하여야 하므로 만족할 만한 작업능률을 기대하기 어렵고, 특히, 상기한 폐목 중에서 나무뿌리 등은 일정한 수분과 섬유질을 갖고 있어서 가공성이 더욱 저하되기 때문에 이러한 가공상의 이유로 재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방치되어 환경훼손과 오염을 가중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폐목절단장치는 그 구조상 제한된 범위내의 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폐목들만 절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만족할 만한 설비의 효율성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컷터부가 폐목의 전체길이에서 이를 등분하는 형태로 절단을 행하기 때문에 폐목이 원활하게 절단되지 못하여 이에 따른 설비의 능률 및 생산성 그리고 신뢰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집된 폐목의 크기와 형태에 제한을 받지 않고 재활용 또는 재가공이 가능한 크기로 용이하게 찢음절단함으로서 작업능률과 절단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폐목 찢음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체와, 이 본체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폐목을 일정한 크기로 찢으면서 절단하는 타격부와, 이 타격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타격부는, 상기한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한 구동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발생된 일방향의 회전관성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관성플레이트와, 상기한 회전축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가이드축과, 이 가이드축의 외주면에서 일정한 배열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컷터들을 포함하는 폐목 찢음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목 찢음절단장치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타격부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폐목 찢음절단장치의 타격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관성플레이트의 셋팅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6은 도 4의 컷터들의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7은 도 4의 일측면도.
도 8은 도 4의 일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요부 부분확대도.
도 10은 도 4의 가이드축에 셋팅되는 컷터들의 배열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가이드축의 외주면을 전개하여 나타낸 전개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폐목 찢음절단장치의 타격부에 의해 폐목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목 찢음절단장치의 전체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폐목 찢음절단장치는, 본체(2)와, 이 본체(2)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폐목(W)을 일정한 크기로 찢으면서 절단하는 타격부(4)와, 이 타격부(4)를 구동시키는 구동부(6)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체(2)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질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주물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한 본체(2)의 상부 외측에는 이 본체(2)의 자체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판형태의 보강리브(R)들이 일정한 배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본체(2)의 일측면에는 일정한 영역으로 뚫려져서 폐목(W)이 유입 및 배출되기 위한 유입구(8)와 배출구(1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한 본체(2)의 내측에서 상기한 유입구(8)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유입되는 폐목(W)을 일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플레이트(1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본체(2)의 유입구(8)와 배출구(10)측에는 폐목(W)을 이동시키기 위한 콘베이어(C1,C2)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한 유입구(8)측에 설치되는 콘베이어(C1)는 로딩된 폐목(W)이 상기한 유입구(8)측을 향해 이송되도록 셋팅되고, 상기한 배출구(10)측의 콘베이어(C2)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폐목(W1)이 상기한 본체(2)로부터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상기한 콘베이어(C1,C2)들은 통상의 벨트콘베이어(BELT CONVEYOR)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콘베이어의 구조 및 구동방법은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가이드플레이트(12)는 상기한 콘베이어(C1)에 로딩되어 상기한 본체(2) 내부로 공급되는 폐목(W)들이 별도의 이송장치 없이 중력에 의해 상기한 타격부(4)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한 본체(2)의 유입구(8) 측에서 상기한 타격부 (4)를 향해 경사지게 셋팅될 수 있다.
상기한 본체(2)에서 상기한 유입구(8)의 반대편 측벽에는 상기한 타격부(4)에 의해 폐목(W)이 원활하게 찢겨지면서 절단될 수 있도록 폐목(W)을 지지하고 배출하기 위한 가이드면(14)이 일정한 경사각(A1)을 이루며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한 가이드면(14)의 경사각(A1)는 상기한 본체(2)의 일측벽을 기준으로 15°∼45°범위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한 가이드면(14)의 경사각(A1)이 상기한 각도범위보다 작거나 크면 폐목(W)이 원활하게 찢어지지 못하고 그대로 패스되거나 상기한 가이드면(14)과 패쇄부(4)사이에서 적체되어 상기한 타격부(4)의 과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한 본체(2)의 내측 바닥면은 절단된 폐목(W1)이 자연낙하하면서 원활하게 이동하여 상기한 배출구(10)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 배출구(10)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체(2)의 내측에는 폐목(W)을 일정한 크기로 찢으면서 절단하는 타격부(4)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타격부(4)의 구조를 도 1, 도 2, 도 3,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타격부(4)는, 상기한 본체(2)에 설치되어 상기한 구동부(6)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16)과, 이 회전축(16)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 축(16)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일방향의 회전관성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관성플레이트 (18)와, 상기한 회전축(16)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가이드축(20)과, 이 가이드축(20)의 외주면에서 일정한 배열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컷터(22)들을 포함한다.
상기한 회전축(16)은 상기한 본체(2)의 상부 일측에서 내부를 관통하여 가이드면(14)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설치되고, 양측단에는 상기한 본체(2)에서 베어링부재(B)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첨부한 도면에서는 상기한 본체(2)의 외측에 고정된 외장형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회전축(16)의 외주면에는 가이드축(18)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축(2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축의 중심부에는 상기한 회전축(16)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크기의 홀이 뚫려져서 상기한 회전축(16)과 별도의 키이부재 등에 의해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가이드축(20)의 직경은 이 가이드축(20)의 외주면에 셋팅되는 컷터(22)들의 크기를 감안하여 상기한 컷터(22)가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4열 이상이설치될 수 있는 범위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16)의 외주면에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가이드축(20)을 설치하여 이 축(20)의 외주면에 컷터(22)들을 셋팅하는 이유는 상기한 회전축(16)의 직경을 과다하게 크게 하면 상기한 본체(2)에 결합할 때에 조립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되면 호환성이 저하되어 과다한 유지보수비용과 시간을 감수하여야 한다. 물론,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이면 상기한 회전축(16)의 외주면에 컷터(22)들을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16)에 설치되는 가이드축(20)이 상기한 본체(2) 내부에 셋팅될 때에 상기한 가이드축(20)의 외주면 일측과 이에 인접한 가이드면(14)과의 이격거리(D1)는 찢어져서 절단되는 폐목(W1)의 크기를 감안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크기 범위내로 이루어져야한다. 만일, 상기한 본체(2)에 투입되어 일정한 크기로 찢어져서 절단된 폐목(W1)의 두께보다 작게 셋팅되면 찢어져서 절단된 폐목(W1)들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도 3참조)
상기한 회전축(16)의 일측단에는 상기한 본체(2)의 외부에서 관성플레이트 (18)가 설치되며, 이 관성플레이트(18)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휠(WHEEL)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관성플레이트(18)는 상기한 회전축(16)에서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첨부한 도면에서는 상기한 관성플레이트(18)의 플렌지부(24) 일측에 나사홈(26)을 뚫어서 이 나사홈(26)에 멈춤나사(28, SET SCREW)를 결합시켜 상기한 회전축(16)의 선단부 일측면을 가압하여 고정되는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한 회전축(16)에서 상기한 멈춤나사(28)에 대응하는 외주면에는 일정한 영역이 평면으로 형성되도록 가공하면 상기한 멈춤나사(28)에 의한 고정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관성플레이트(18)는 상기한 회전축(16)이 구동부(6)에 의해 상기한 본체(2)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이 회전축(16)의 일방향 관성력을 유지시켜 폐목(W)을 절단할 때에 발생되는 과부하를 해소함으로서 폐목(W)이 원활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주로 차량의 내연기관 등에서 관성모멘트를 증대시키기 위한 용도로 설치되는 예를들면, 플라이휠(flywheel)과 유사한 역할을 행하게 된다.
상기한 관성플레이트(18)의 직경과 무게는 상기한 회전축(16)이 회전하면서 상기한 컷터(22)들이 폐목(W)들을 찢으면서 절단할 때에 발생되는 부하를 원활하게 상쇄시킬 수 있는 범위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한 관성플레이트(18)의 관성유지력이 너무 작게 셋팅되면 폐목(W)의 찢음절단시에 발생되는 과부하에 의해 상기한 회전축(16)을 회전시키는 구동부(6)의 전기장치 또는 컷터(22)들이 손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가이드축(2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컷터(22)들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컷터(22)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도 6을 참조하면, 상기한 컷터(22)들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측면에는 소정의 형태로 가공된 절삭날(22a)이 제공된다.
상기한 컷터(22)들의 재질은 내마모성 등이 구비되어 일정한 절삭력이 유지될 수 있는 공구강 계열의 금속재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재질이면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컷터(22)들은 상기한 가이드축(20)의 외주면에 결합된 고정브라켓트 (30)에서 절삭날(22a)이 돌출되어 외측을 향하도록 셋팅될 수 있으며, 첨부한 도면에서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컷터(22)들이 상기한 가이드축(20)의 고정브라켓트(30)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면 유지보수시에 조립 및 교환이 용이해져서 이에 따른 유지보수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컷터(22)들은 상기한 고정브라켓트(30)에서 고정된 셋팅위치의 변화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고정브라켓트(30)는 상기한 컷터(22)들의 크기에 대응하는 판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한 가이드축(20)의 외주면에서 이 축의 중심부로부터 방사되는 형태로 돌출고정된다.
상기한 고정브라켓트(30)의 배면부에는 비틀림과 같은 외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리브형태의 보강부(3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고정브라켓트(30)는 상기한 가이드축(20)의 외주면에서 용접과 같은 방법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도 9참조)
도 7, 도 8,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한 고정브라켓트(30)는 상기한 가이드축(20)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2열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첨부한 도면에서는 상기한 가이드축(20)의 원주면에서 90°간격으로 이격되어 4열이 배열되고 상기한 가이드축(2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리드각(A2)을 가지면서 5개가 소정의 이격거리(D2)로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리드각(A2)은 5°∼30°범위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가이드축(20)의 외주면에서 일정한 리드각(A2)을 가지며 설치되는 컷터(22)들은 폐목(W)의 찢음절단시에 더욱 향상된 절삭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컷터(22)들의 이격거리(D2)는 폐목(W)의 절단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셋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축(20)의 외주면에 셋팅되는 커터(22)들의 셋팅 일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한 본체(2) 내부에 유입되는 폐목(W)의 지름이 대략 200mm이고 길이가 1500mm일 때, 이 폐목(W)을 두께 30∼150mm, 길이 200∼400mm로 찢으면서 절단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본체(2)의 가이드면(14)과 이 가이드면(14)에 인접한 가이드축(20)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거리(D1)는 대략 180mm 이상의 범위내로 셋팅되고, 상기한 컷터(22)들은 상기한 가이드축(20)의 외주면에서 150mm 범위내로 돌출 셋팅되며, 상기한 가이드축(2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컷터(22)들의 이격거리(D2)는 200∼400mm 범위내로 셋팅되는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한 컷터(22)들의 셋팅위치 및 배열은 폐목(W)의 절단길이에 따라 상기한 셋팅예를 감안하여 상기한 가이드축(20)에 다양하게 셋팅 및 배열될 수 있다.
상기한 구동부(6)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본체(2)의 바닥면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M)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구동모터(M)의 축은 감속기(M1)와 연결되어 일정한 회전수로 감속된 후 상기한 회전축(16)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동모터(M)의 회전수는 상기한 감속기(M1)를 통해 상기한 타격부(4)의 회전축(16)을 대략 300∼600RPM 범위내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한 구동모터(M)의 동력은 상기한 감속기(M1)의 출력축(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음)과 회전축(16)에 일정한 지름을 가지는 복동풀리(P1,P2)를 각각 설치하고 이들 풀리(P1,P2)에 벨트(F)를 연결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일예로 도면에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복동풀리(P1,P2)들은 단일의 풀리 본체에 복수개의 벨트홈이 형성되어 이들 홈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벨트(F)가 설치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설치된 축간의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복동풀리(P1,P2)들은 비교적 큰 동력과 토우크가 발생되는 축들에 연결되면 더욱 원활하게 동력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축간 동력전달요소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동모터(M)의 작동은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본체(2) 일측면에 콘트롤박스를 설치하여 이 콘트롤박스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별도의 송수신장치를 설치하여 원격제어기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되도록 셋팅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벨트(F)와 풀리(P)를 이용하여 상기한 구동모터(M)의 동력을 상기한 회전축(16)에 전달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구동모터(M)의 축과 회전축 (16)에 한쌍의 체인과 스프라켓 또는 한쌍의 기어를 직접 설치하여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한 폐목(W)의 찢음절단시에 발생되는 부하를 적절하게 해소하여 과부하에 의한 구동모터(M)의 전기적 파손이나 컷터(22)들의 물리적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폐목 찢음절단장치의 바람직한 작동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수집된 폐목(W)을 상기한 본체(2)의 유입구(8) 측에 설치된 콘베이어(C1)에 로딩시키면 로딩된 폐목(W)이 상기한 콘베이어(C1)를 따라 이송되어 상기한 본체(2)의 내부 즉, 타격부(4) 상측으로 자연낙하하면서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한 타격부(4) 즉, 회전축(16)과 이 회전축(16)에 설치된 가이드축(20)이 상기한 구동모터(M)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한 가이드축(20)의 외주면과 상기한 본체(2)의 가이드면(14) 사이로 폐목(W)들을 세운상태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축(20)과 본체의(2) 가이드면(14) 사이로 가이드되면서 이동하는 폐목(W)들은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한 가이드축(20)의 외주면에서 일정한 배열로 셋팅된 복수개의 컷터(22)들이 폐목(W)의 일측면을 타격하게 되면 타격된폐목(W)의 일측면이 상기한 컷터(22)들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찢어지면서 절단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체(2)에 투입되는 폐목(W)은 상기한 가이드축(20)의 외주면에서 일정한 배열로 셋팅된 복수개의 컷터(22)들에 의해 폐목(W)을 찢음절단함므로서 투입되는 폐목(W)의 크기나 형태에 제한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수분과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는 나무뿌리 등도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타격부(4)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찢어져서 절단된 폐목(W1)들은 상기한 본체(2)의 바닥면으로 떨어져서 배출구(10)측에 설치된 콘베이어(C2)에 로딩된 후 이 콘베이어(C2)를 따라 상기한 본체(2)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과정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찢어져서 절단된 폐목(W1)들은 그대로 화목용으로 사용되거나 별도의 장치에 의해 톱밥과 같은 형태로 용이하게 재가공되어 재활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일정한 길이로 찢음절단된 폐목(W1)들을 톱밥형태로 재가공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 예를들면, 칩가공장치에 투입하게 되면 이 장치의 파쇄작동시에 발생되는 부하를 최소화시켜서 전기장치나 구동계통 등의 전기적 또는 물리적인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적의 입도(粒度)를 가지는 톱밥형태로 용이하게 재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폐목 찢음절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폐목 찢음절단장치는, 폐목의 재활용 또는 재가공을 위한 절단작업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 등을 대폭 절감시켜서 더욱 향상된 설비의 효율과 이에 따른 부가이익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폐목의 재활용 효율을 증대시켜서 무분별한 방치에 따른 환경훼손이나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폐목 찢음절단장치는, 타격부의 회전축 일측에 이 회전축의 일방향 회전관성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관성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기한 타격부가 구동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폐목을 찢음절단할 때에 발생되는 과부하를 용이하게 해소함으로서 부품들의 물리적인 파손을 방지하고 절단능률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투입되는 폐목의 크기와 형태에 제한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찢어서 절단함으로서 만족할 만한 작업능률과 생산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본체와, 이 본체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폐목을 일정한 크기로 찢어서 절단하는 타격부와, 이 타격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타격부는, 상기한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한 구동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발생된 일방향의 회전관성력을 유지시키는 관성플레이트와, 상기한 회전축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가이드축과, 이 가이드축의 외주면에서 일정한 배열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컷터들을 포함하며,
    상기한 본체 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한 가이드축의 외주면과 인접하여 찢음절단되는 폐목을 지지 및 배출하기 위한 가이드면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며 형성되고, 이 경사각은 15°∼45°범위내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폐목 찢음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컷터들은 상기한 가이드축의 외주면에서 2열 이상이 길이방향으로 2개 이상 이격되어 소정의 리드각을 가지며 나선(螺線)형태로 셋팅되는 폐목 찢음절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관성플레이트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 또는 다각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 찢음절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가이드축은 상기한 회전축의 직경보다 큰지름을 가지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한 회전축과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폐목 찢음절단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한 컷터들은 상기한 가이드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브라켓트에 의해 상기한 가이드축의 외주면에서 방사되는 형태로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돌출고정되는 폐목 찢음절단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부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고, 이 구동모터의 축과 상기한 회전축 사이에는 한쌍의 풀리와 벨트, 한쌍의 체인과 스프라켓, 한쌍의 기어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연결되는 폐목 찢음절단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한 가이드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컷터들의 리드각은 5°∼30°범위내로 이루어지는 폐목 찢음절단장치.
KR20-2002-0034730U 2002-11-20 2002-11-20 폐목 찢음절단장치 KR200304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730U KR200304698Y1 (ko) 2002-11-20 2002-11-20 폐목 찢음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730U KR200304698Y1 (ko) 2002-11-20 2002-11-20 폐목 찢음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698Y1 true KR200304698Y1 (ko) 2003-02-15

Family

ID=49401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730U KR200304698Y1 (ko) 2002-11-20 2002-11-20 폐목 찢음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6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9399A1 (en) * 2004-11-05 2006-05-11 Hongik Jeon Propulsion device
CN113561284A (zh) * 2021-07-29 2021-10-29 上海炎凰建筑工程设备有限公司 一种秸秆环保板生产预处理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9399A1 (en) * 2004-11-05 2006-05-11 Hongik Jeon Propulsion device
CN113561284A (zh) * 2021-07-29 2021-10-29 上海炎凰建筑工程设备有限公司 一种秸秆环保板生产预处理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691B2 (en) Wood hogging apparatus
EP0754529A1 (en) Stone corner removing machine
US6398140B1 (en) Truck mounted chipper vehicle
JP4294717B1 (ja) 破砕機
KR200304698Y1 (ko) 폐목 찢음절단장치
US5829692A (en) Modularly tiered clear-trajectory impact comminuter and modular comminution chamber
FI121735B (fi) Liikutettava puuhakettaja
WO2012096560A1 (en) Cutter drum for use in tree trunk pulverizer
KR101087748B1 (ko) 파쇄장치
KR100729424B1 (ko) 폐목재 파쇄장치
KR100526953B1 (ko) 목재 분쇄 장치
KR102232465B1 (ko) 폐플라스틱 분쇄장치
KR102238797B1 (ko) 굴삭기용 선별 버킷
US5350122A (en) Waste recycling device
KR200173668Y1 (ko) 목재 파쇄기
JP4071500B2 (ja) タブ式破砕機用ビット、タブ式破砕機、自走式タブ式破砕機
EP1413358A1 (en) Shredder
ATE306327T1 (de) Verbesserte anlage für die vorzerkleinerung von gegenständen
JP3734464B2 (ja) 破砕処理装置
JPS6326189Y2 (ko)
KR200411122Y1 (ko) 폐목재 파쇄장치
CN109968466A (zh) 一种木材削片机刀辊
JP2010029840A (ja) 破砕機
KR950009036B1 (ko) 폐타이어 파쇄장치
CN108705705A (zh) 一种汽车轮胎回收自动破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