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465B1 - 폐플라스틱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465B1
KR102232465B1 KR1020200169765A KR20200169765A KR102232465B1 KR 102232465 B1 KR102232465 B1 KR 102232465B1 KR 1020200169765 A KR1020200169765 A KR 1020200169765A KR 20200169765 A KR20200169765 A KR 20200169765A KR 102232465 B1 KR102232465 B1 KR 102232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drum
waste plastic
crushing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제이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제이천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제이천하
Priority to KR1020200169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6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02C13/09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and throwing the material against an anvil or impact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02C2013/28609Dischar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재활용이 가능한 미분쇄된 폐플라스틱을 별도의 블로워 등을 이용하지 않고, 정선기 등의 다음 공정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PVC 톱밥을 분말화하여 재생 PVC 원소재로 상품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 분쇄장치{Waste plastic crushing device}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미분쇄된 폐플라스틱을 별도의 블로워 등을 이용하지 않고, 정선기 등의 다음 공정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PVC 톱밥을 분말화하여 재생 PVC 원소재로 상품화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PVC 창호는 알루미늄 창호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고, 방음효과가 높으며, 개폐력, 개폐반복성, 내약품성이 좋으며 부식에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알루미늄 창호에 비해 가격이 비쌈에도 불구하고 다양하고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공장에서 생산된 PVC 창호는 단위 길이의 제품으로 생산되고 창호 제작 공장에서 용도에 맞도록 재단하여 조립 후 시공 설치하고 있다.
이때 파생되는 잔여물은 수거하여 재활용 처리 후 원재료로 재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PVC 창호 등의 폐플라스틱을 매립하거나 소각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지만, , PVC 창호, PVC 파이프나 하이 샤시, 플라스틱 필름 등과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수지 폐기물은 분쇄기에 분쇄하여 재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합성수지 폐기물을 즉각적으로 재활용하지 못하고, 미분쇄된 합성수지 폐기물을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41017호 등에서 제안된 별도의 블로워 등을 통해 정선기 등의 다음 공정으로 배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4101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재활용이 가능한 미분쇄된 폐플라스틱을 별도의 블로워 등을 이용하지 않고, 정선기 등의 다음 공정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PVC 톱밥을 분말화하여 재생 PVC 원소재로 상품화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일측부에 상기 배출구와 연통형성되는 배출공간과, 타측 상부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타측부에 상기 유입구와 연통형성되는 유입공간과, 상기 배출공간과 상기 유입공간 사이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고정날부가 구비된 분쇄공간이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유입공간, 분쇄공간 및 배출공간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폐플라스틱을 상기 몸체의 고정날부와 마찰 및 충격에 의해 미분쇄하는 분쇄드럼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분쇄드럼에 의해 미분쇄된 폐플라스틱 분쇄물을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송풍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분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분쇄드럼은 상기 회전축의 중간부에 구비되는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외경이 상기 드럼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일측 측판 및 타측 측판과; 상기 드럼부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외경이 상기 일측 측판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링부와; 상기 일측 측판, 상기 복수의 링부 및 타측 측판 사이에 일정한 각도로 각각 형성되어 복수의 수용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고정판과; 상기 복수의 고정판에 고정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폐플라스틱을 상기 몸체의 고정날부와 마찰 및 충격에 의해 미분쇄하는 복수의 타격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의 타측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폐플라스틱을 상기 분쇄드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블레이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분쇄드럼의 타측 측판은 상기 몸체의 분쇄공간의 타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분쇄드럼의 타측 측판과 상기 몸체의 분쇄공간의 타측면 사이의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블레이드에 의해 이송된 폐플라스틱을 상기 분쇄공간의 고정날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분쇄드럼의 타측 측판과 상기 복수의 안내판 사이에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폐플라스틱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보조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 중 상기 분쇄공간의 상부가 별도로 분할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PVC 파이프 등의 PVC나 하이 샤시, 플라스틱 필름 등과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미분쇄된 폐플라스틱을 별도의 블로워 등을 이용하지 않고, 복수의 송풍블레이드를 통해 정선기 등의 다음 공정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PVC 톱밥을 분말화하여 재생 PVC 원소재로 상품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폐플라스틱 분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회전축에 이송블레이드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분쇄공간의 상부가 별도로 분할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폐플라스틱 분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폐플라스틱 분쇄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 회전축(20), 분쇄드럼(30) 및 송풍블레이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몸체(10)의 일측 상부에는 미분쇄된 폐플라스틱 분쇄물을 상기 몸체(10)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도 4의 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일측부의 내측에는 상기 배출구(110)와 연통되는 배출공간(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타측 상부에는 분쇄하고자 하는 PVC 파이프 등의 PVC나 하이 샤시, 플라스틱 필름, 특히, PVC 창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폐플라스틱이 유입되는 유입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유입구(130)로는 1차 파쇄된 폐플라스틱 또는 PVC 톱밥 등 다양한 종류의 폐플라스틱 칩 등의 부산물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타측부 내측에는 상기 유입구(130)와 연통되는 유입공간(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중간부 내측에 분쇄공간(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분쇄공간(150)은 상기 배출공간(120)과 상기 유입공간(140)과 연통되도록 상기 배출공간(120)과 상기 유입공간(14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분쇄공간(150)이 형성된 상기 몸체(10)의 중간부 내주면에는 상기 몸체(10)의 분쇄공간(150)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고정날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날부(151)는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중간부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축(20)은 상기 몸체(10)의 유입공간(140)의 중앙, 분쇄공간(150)의 중앙 및 배출공간(120)의 중앙을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0)의 일측은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0)은 구동부(2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1)는 일예로, 상부회전체(211), 하부회전체(212), 감김부재(213) 및 구동모터(2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회전체(211)는 상기 회전축(20)의 일측과 함께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축(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회전체(212)는 상기 상부회전체(211)의 하부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회전체(211)와 동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감김부재(213)의 상부는 상기 상부회전체(211)의 외주면에 감겨질 수 있고, 상기 감김부재(213)의 하부는 상기 하부회전체(212)의 외주면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감김부재(213)는 상기 하부회전체(212)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회전체(21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14)의 구동축(214a)에는 상기 하부회전체(212)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하부회전체(212)는 상기 구동축(214a)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부회전체(211)와 상기 하부회전체(212)는 풀리, 스프로켓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김부재(213)는 풀리에 감겨지는 벨트, 스프로켓에 감겨지는 체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회전축에 이송블레이드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0)의 타측부 외주면에는 상기 유입구(130)를 통해 유입되는 폐플라스틱을 상기 분쇄드럼(30)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블레이드(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블레이드(50)가 상기 유입공간(140)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일예로, 상기 이송블레이드(50)는 상기 회전축(20)의 타측부 외주면에 나선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분쇄드럼(30)은 상기 몸체(10)의 분쇄공간(150)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2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0)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유입구(130)를 지나 상기 분쇄공간(150)으로 유입된 폐플라스틱을 상기 몸체(10)의 고정날부(151)와의 마찰 및 충격에 의해 미분쇄할 수 있다.
상기 분쇄드럼(30)은 일예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드럼부(310), 일측 측판(320) 및 타측 측판(330), 복수의 링부(340), 복수의 고정판(350) 및 복수의 타격날(3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부(310)는 상기 몸체(10)의 분쇄공간(150)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2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0)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일측 측판(320)은 상기 드럼부(310)의 일측부에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수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측판(330)은 상기 드럼부(310)의 타측부에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수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0)이 상기 일측 측판(320)의 중간부와 상기 타측 측판(330)의 중간부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일측 측판(320)의 중간부와 상기 타측 측판(330)의 중간부는 상기 회전축(2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측판(320)의 외경크기와 상기 타측 측판(330)의 외경크기는 상기 드럼부(310)의 외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링부(340)는 상기 일측 측판(320)과 상기 타측 측판(330) 사이의 상기 드럼부(310)의 외주면에 상기 드럼부(3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환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링부(340)의 외경크기는 상기 일측 측판(320)의 외경크기 및 상기 타측 측판(330)의 외경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고정판(350)은 상기 드럼부(310)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일정각도로 형성되어 복수의 수용홈(351)을 형성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드럼부(310)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일정각도로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고정판(350)은 상기 드럼부(3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복수의 상기 링부(340) 사이마다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부(310)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일정각도로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고정판(350)은 상기 일측 측판(320) 및 상기 일측 측판(320)과 마주보는 어느 하나의 링부(340) 사이에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부(310)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일정각도로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고정판(350)은 상기 타측 측판(330) 및 상기 타측 측판(330)과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링부(340) 사이에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타격날(360)은 복수의 상기 고정판(350)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타격날(360)은 상기 회전축(20)을 따라 회전하는 상기 드럼부(310)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유입구(130)를 통해 유입되는 폐플라스틱을 상기 몸체(10)의 고정날부(151)와의 마찰 및 충격에 의해 미분쇄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타격날(360)의 상하폭은 복수의 상기 고정판(350)의 상하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30)를 지나 상기 분쇄공간(150)으로 유입된 폐플라스틱 중 일부는 복수의 상기 수용홈(351)에 수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유입구(130)에 많은 양의 폐플라스틱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구동부(21)의 구동모터(214)가 과부하 우려없이 상기 회전축(20)과 함께 상기 분쇄드럼(3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송풍블레이드(40)는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배출공간(120)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20)의 일측부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0)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송풍블레이드(40)는 상기 분쇄드럼(30)에 의해 미분쇄되어 상기 몸체(10)의 배출공간(120)으로 이동된 미분쇄된 폐플라스틱 분쇄물을 상기 배출구(110)로 배출시킬 수 있다.
PVC 파이프 등의 PVC나 하이 샤시, 플라스틱 필름, PVC 창호 등과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미분쇄된 폐플라스틱을 별도의 블로워 등을 이용하지 않고, 복수의 상기 송풍블레이드(40)를 통해 정선기 등의 다음 공정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PVC 톱밥을 분말화하여 재생 PVC 원소재로 상품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도 1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쇄드럼(30)의 타측 측판(330)은 상기 몸체(10)의 분쇄공간(150)의 타측면(F)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20)에 수직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쇄드럼(30)의 타측 측판(330)과 상기 몸체(10)의 분쇄공간(150)의 타측면(F) 사이의 상기 회전축(2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안내판(60)이 방사형으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고정된 상태로 일정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0)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상기 안내판(60)은 원심력에 의해 상기 이송블레이드(50)에 의해 상기 유입구(130)에서 상기 분쇄공간(150)방향으로 이송된 폐플라스틱을 상기 분쇄공간(150)의 고정날부(151)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폐플라스틱을 상기 분쇄공간(150)의 고정날부(151) 방향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안내하기 위해, 상기 분쇄드럼(30)의 타측 측판(330)과 복수의 상기 안내판(60)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20)을 따라 회전하는 보조판(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0)이 상기 분쇄드럼(30)의 타측 측판(330)과 복수의 상기 안내판(60) 사이의 상기 보조판(70)의 중간부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보조판(70)은 상기 회전축(20)의 외주면에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판(70)의 일측의 반대측 타측에 복수의 상기 안내판(60)의 일측에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안내판(60)과 함께 상기 보조판(70)이 폐플라스틱을 상기 분쇄공간(150)의 고정날부(151) 방향으로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안내하기 위해, 상기 보조판(70)의 가장자리 외주면에는 폐플라스틱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710)이 방사형으로 일정깊이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분쇄공간의 상부가 별도로 분할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10) 및 상기 분쇄드럼(30)의 유지보수 등의 관리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몸체(10) 중 상기 분쇄공간(150)의 상부가 별도로 분할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예로, 상기 분쇄공간(150)이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몸체(10)의 중간부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중간몸체(101)와 상부중간몸체(1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중간몸체(101)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중간몸체(102)의 내주면에 각각 상기 고정날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중간몸체(102)의 분실방지를 위해 상기 하부중간몸체(101)의 전측에 상기 상부중간몸체(102)의 전측이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중간몸체(102)의 전측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중간몸체(102)의 후측이 상기 하부중간몸체(101)의 전측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하부중간몸체(101)의 내측을 개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분쇄드럼(3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중간몸체(101)의 후측에 상기 상부중간몸체(102)의 후측이 공지된 잠금수단에 의해 잠금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하부중간몸체(101)의 후측에 상기 상부중간몸체(102)의 후측이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중간몸체(102)의 후측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중간몸체(102)의 전측이 상기 하부중간몸체(101)의 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하부중간몸체(101)의 내측을 개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상기 하부중간몸체(101)의 전측에 상기 상부중간몸체(102)의 전측이 공지된 잠금수단에 잠금고정될 수 있다.
10; 몸체, 20; 회전축,
30; 분쇄드럼, 40; 송풍블레이드.

Claims (6)

  1.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일측부에 상기 배출구와 연통형성되는 배출공간과, 타측 상부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타측부에 상기 유입구와 연통형성되는 유입공간과, 상기 배출공간과 상기 유입공간 사이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고정날부가 구비된 분쇄공간이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유입공간, 분쇄공간 및 배출공간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중간부에 구비되는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외경이 상기 드럼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일측 측판 및 타측 측판과, 상기 드럼부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외경이 상기 일측 측판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링부와, 상기 일측 측판, 상기 복수의 링부 및 타측 측판 사이에 일정한 각도로 각각 형성되어 복수의 수용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고정판과, 상기 복수의 고정판에 고정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폐플라스틱을 상기 몸체의 고정날부와 마찰 및 충격에 의해 미분쇄하는 복수의 타격날로 구성되는 분쇄드럼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분쇄드럼에 의해 미분쇄된 폐플라스틱 분쇄물을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송풍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분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타측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폐플라스틱을 상기 분쇄드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블레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분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드럼의 타측 측판은 상기 몸체의 분쇄공간의 타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분쇄드럼의 타측 측판과 상기 몸체의 분쇄공간의 타측면 사이의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블레이드에 의해 이송된 폐플라스틱을 상기 분쇄공간의 고정날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분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드럼의 타측 측판과 상기 복수의 안내판 사이에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폐플라스틱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보조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분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 상기 분쇄공간의 상부가 별도로 분할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분쇄장치.
  6. 삭제
KR1020200169765A 2020-12-07 2020-12-07 폐플라스틱 분쇄장치 KR102232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765A KR102232465B1 (ko) 2020-12-07 2020-12-07 폐플라스틱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765A KR102232465B1 (ko) 2020-12-07 2020-12-07 폐플라스틱 분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465B1 true KR102232465B1 (ko) 2021-03-26

Family

ID=7525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765A KR102232465B1 (ko) 2020-12-07 2020-12-07 폐플라스틱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4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310B1 (ko) 2023-06-27 2023-09-13 에이치디컴퍼니 주식회사 폐 플라스틱 창호 분쇄설비 및 이를 사용한 폐 플라스틱창호 분쇄공정
KR102654583B1 (ko) 2024-01-02 2024-04-05 김인철 분말 초미분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017B1 (ko) 2000-03-14 2002-06-20 허동수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한 세정 방법
JP2002326038A (ja) * 2002-03-13 2002-11-12 Mitsubishi Chemicals Corp トナー製造用粉砕装置
JP2014233695A (ja) * 2013-06-04 2014-12-15 日本シーム株式会社 廃プラスチック類の微粉砕機
JP2019136644A (ja) * 2018-02-08 2019-08-22 株式会社御池鐵工所 微粉砕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017B1 (ko) 2000-03-14 2002-06-20 허동수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한 세정 방법
JP2002326038A (ja) * 2002-03-13 2002-11-12 Mitsubishi Chemicals Corp トナー製造用粉砕装置
JP2014233695A (ja) * 2013-06-04 2014-12-15 日本シーム株式会社 廃プラスチック類の微粉砕機
JP2019136644A (ja) * 2018-02-08 2019-08-22 株式会社御池鐵工所 微粉砕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310B1 (ko) 2023-06-27 2023-09-13 에이치디컴퍼니 주식회사 폐 플라스틱 창호 분쇄설비 및 이를 사용한 폐 플라스틱창호 분쇄공정
KR102654583B1 (ko) 2024-01-02 2024-04-05 김인철 분말 초미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465B1 (ko) 폐플라스틱 분쇄장치
KR101787666B1 (ko) 폐기물 파쇄장치
DK2689908T3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plastic material
US6325306B1 (en) Variable size reduction apparatus and process
US5509610A (en) Centrifugal chopping and grinding apparatus
US20060292259A1 (en) Device for preparation of plastic materials for recycling purposes
US9993825B2 (en) Device for comminuting feedstock
KR102272376B1 (ko) 스티로폼 파쇄장치
EP0911131A1 (en) Unit for feeding a screw extruder with shredded plastic material
JP5681754B2 (ja) 粉砕機
KR20020086875A (ko) 합성 원료 처리 장치
KR20190117872A (ko)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
KR101921857B1 (ko) 폐고무 분말 제조 장치
KR102536224B1 (ko) 플라스틱 파쇄장치
KR101492212B1 (ko) 파분쇄와 박리에 의한 순환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488150B1 (ko) 폐스크랩을 이용한 재활용 수지칩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4071500B2 (ja) タブ式破砕機用ビット、タブ式破砕機、自走式タブ式破砕機
CN211221540U (zh) 一种具有牵引功能的薄膜回收造粒机
KR101612534B1 (ko) 산업폐기물 분쇄기
KR200419250Y1 (ko) 합성수지원료의 분쇄 및 이송장치
KR101623204B1 (ko) 목재 파쇄 장치
KR20210045889A (ko) 폐비닐의 재생연료 생산을 위한 장치
US6474575B1 (en) Plastic chipp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70045813A (ko) 절단기가 장착된 폐합성수지의 처리장치
KR200409548Y1 (ko) 폐플라스틱 파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